KR100239123B1 -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123B1
KR100239123B1 KR1019970068279A KR19970068279A KR100239123B1 KR 100239123 B1 KR100239123 B1 KR 100239123B1 KR 1019970068279 A KR1019970068279 A KR 1019970068279A KR 19970068279 A KR19970068279 A KR 19970068279A KR 100239123 B1 KR100239123 B1 KR 10023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ommunication
signal
wireless keyboard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351A (ko
Inventor
김학량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1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일정시간동안 무선키이보드의 임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통신수단의 중앙처리부에서는 정상적인 배치파일을 수행할수 없을뿐만 아니라 인터넷/PC통신 톱메뉴가 TV수단에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도스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통신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할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즉,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리모콘의 인터넷/PC통신에 따른 입력신호보다 중앙처리부를 먼저 제어하게 되면,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인해 정상적인 인터넷/PC통신의 톱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도스 모드로 빠지게 되는등 시스템이 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전원공급과 동시에 허용하지 않고 마이컴의 상태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만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통신수단으로 입력되도록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시스템과 또다른 방법으로서 통신을 위한 톱메뉴명령수행 이전에 버퍼를 클리어하여 불필요한 데이타를 삭제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므로서, 복합TV시스템의 구동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른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인터넷/PC통신의 톱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등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피씨(PC) 통신 티브이(TV) 또는 인터넷 TV 등과 같이 리모콘과 무선키이보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 TV에서의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신호입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합 TV 시스템의 작동시 무선키이보드의 신호입력을 제어하여 정상적인 통신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모콘이나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1)과, 상기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1)에 의해 수신된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TV기능 및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2)과, 상기 마이컴(2)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TV수단(3)과,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1)에 의해 수신된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키이보드수신부(6)로 전송하는 Tx버퍼수단(4)과, 마이컴(2)의 제어 및 상기 Tx버퍼수단(4)에서 전송하는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수단(5)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Tx버퍼수단(4)에는, 저항(R1)(R2)의 일측에 연결된 일정전원(5V)과 동시에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통신수단(5)으로 공급시키도록 온/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Q2)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수단(5)은, Tx버퍼수단(4)에 포함된 트랜지스터(Q1)(Q2)의 온/오프 동작과 동시에 공급되는 일정전원(5V)에 따라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키이보드 수신부(6)와, 상기 키이보드 수신부(6)에 의해 수신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콘트롤하는 키이보드 콘트롤부(7)와, 마이컴(2)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8)와, 키이보드 콘트롤부(7)에 의해 제어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 및 상기 인터페이스(8)를 통해 입력되는 마이컴(2)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기능이 수행될수 있도록 제어동작하는 중앙처리부(9)와, 상기 중앙처리부(9)의 제어동작에 따라 통신에 필요한 어드레스 및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인메모리(10)와, 중앙처리부(9)의 제어동작시 상기 메인메모리(10)에 저장된 어드레스 및 데이타를 전송하는 어드레스 및 데이타 버퍼(11)(12)와, 외부전화라인과 연결되어 PC통신 호스트와 상기 어드레스 및 데이타 버퍼(11)(12)가 어드레스 및 데이타를 주고 받도록 제어하는 모뎀(13)과, 어드레스 및 데이타 버퍼(11)(12)에서 전송하는 어드레스 및 데이타에 따라 화면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색차신호(Y.C)와 색상신호(R.G.B)를 출력시키는 영상처리부(14)와, 상기 영상처리부(14)에 의해 처리되는 색차신호(Y.C)와 색상신호(R.G.B)를 저장하는 영상메모리(15)와, 영상처리부(14)에서 출력하는 주파수 및 동기신호를 엔코딩시킨 후 이의 색차신호(Y.C)를 TV수단(3)에 출력시키는 엔코딩부(16)를 포함하여 구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설명된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리모콘 수신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로서, 그 진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되는 리모콘의 인터럽트신호(IR)를 해독한 후 이의 해당코드를 출력하는 마이컴 수신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인터럽트신호(IR)의 해당코드에 의해 인터넷/PC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를 수신한 후 이를 변경하여 버퍼(11)(12)에 저장하는 램상주 데이타 수신단계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합TV의 TV수단(3)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인터넷/PC통신 버튼을 누르면, 상기 마이컴(2)에서는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1)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넷/PC통신의 입력신호 즉, 리모콘 키이에 해당하는 인터럽트신호(IR)의 코드에 따라 통신수단(5)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컴(2)은 복합TV의 인터넷/PC통신으로의 전환을 위해 인터럽트신호(IR)의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코드의 제어신호를 통신수단(5)의 인터페이스(8)를 통해 중앙처리부(9)에 전달시키게 된다.
즉, TV수단(3)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인터넷/PC통신 버튼을 누르면, 상기 마이컴(2)에서는 리모콘/키이보드 수신수단(1)을 통해 수신된 인터럽트신호(IR)를 해독하면서 도 4의 a,b,c,e와 같이 이의 해당코드에 따른 CS(Chip Select)신호와 클럭신호(CLK) 및 데이타를 통신수단(5)의 인터페이스(8)를 통해 전송시킨 후 일정시간 후에 다시 인터럽트요구신호(REQ)를 중앙처리부(9)에 전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부(9)에서는 입력되는 CS신호, 클럭신호(CLK), 데이타 및 인터럽트요구신호(REQ)의 해당코드에 의해 인터넷/PC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를 수신한 후 이를 변경하여 어드레스 버퍼(11) 및 데이타 버퍼(12)에 저장시키면서 마이컴(2)에 도 4의 d와 같은 응답신호(ACK; Acknowledge Character)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상기 마이컴(2)에서는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태(status)신호를 하이(H)로 하여 복합TV를 통신모드 즉, 인터넷/PC통신 기능으로 절환시키도록 제어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9)이 포함된 통신수단(5)에는 Tx버퍼수단(4)를 통해 일정전원(5V)이 공급되므로서, 상기 중앙처리부(9)에서는 마이컴(2)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PC통신 시스템을 구동시킨 후 배치파일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일정전원(5V)이 인가된 후 사용자가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출력시키면, 상기 출력되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는 전원(5V)공급과 동시에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1) 및 Tx버퍼수단(4)의 트랜지스터(Q1)(Q2)를 거쳐 통신수단(5)의 키이보드 수신부(6)에 수신되므로서, 상기 키이보드 수신부(6)에 수신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는 다시 키이보드 콘트롤부(7)에 의해 제어된 후 중앙처리부(9)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9)에서는 입력되는 마이컴(2)의 제어신호 및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메인메모리(10) 및 어드레스 버퍼(11)와 데이타 버퍼(12)를 제어하여 인터넷/PC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모뎀(13) 및 영상처리부(14)에 출력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영상처리부(14)에서는 영상메모리(15) 및 엔코딩부(16)를 제어하여 통신시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색차신호(Y.C) 및 색상신호(R.G.B)를 TV수단(3)으로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TV수단(3)에서는 마이컴(2)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PC통신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처리부(14)에서 출력하는 색차신호(Y.C)는 엔코딩부(16)에 의해 디코딩된 후 TV수단(3)으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에 있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시간동안(A구간) 무선키이보드의 임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일예로서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입력되므로서, 통신수단(5)의 중앙처리부(9)에서는 정상적인 배치파일을 수행할수 없을뿐만 아니라 인터넷/PC통신 톱(TOP) 메뉴가 TV수단(3)에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도스 모드(DOS mode)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통신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할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즉,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리모콘의 인터넷/PC통신에 따른 입력신호보다 중앙처리부(9)를 먼저 제어하게 되면,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인해 정상적인 인터넷/PC통신의 톱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도스 모드로 빠지게 되는등 시스템이 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전원공급과 동시에 허용하지 않고 마이컴의 상태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만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통신수단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시스템과 또다른 방법으로서 통신을 위한 톱메뉴 명령수행 이전에 버퍼를 클리어하여 불필요한 데이타를 삭제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므로서, 복합 TV 시스템의 구동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른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인터넷/PC통신의 톱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등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회로도.
도 2는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에서 Tx버퍼수단의 상세회로도.
도 3은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4의 a∼f는 종래 마이컴과 중앙처리부의 인터페이스 프로토클(protocol)을 보인 파형도.
도 5는 종래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있어 램상주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력제어시 도스 모드로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회로도.
도 7은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에서 Tx버퍼수단의 상세회로도.
도 8은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있어 램상주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력제어시 정상적인 톱 메뉴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모콘이나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20)과;
상기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20)에 의해 수신된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TV기능 및 통신기능을 제어하고 TX버퍼부에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TV수단(40)과;
마이컴(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20)에 의해 수신된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마이컴(30)의 상태신호에 의해 전송하는 Tx버퍼수단(50)과;
상기 Tx버퍼수단(50)에서 전송하는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수단(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Tx버퍼수단(50)은,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20)에서 수신하는 입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전송을 위해 마이컴(30) 상태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Q11)(Q12)와;
상기 스위칭부(Q11)(Q12)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전원을 마이컴(30)의 제어신호에 의해 공급받는 전원공급부(R11)(R12); 를 포함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 도 1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를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그 진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모콘/무선키이보드로 부터의 인터럽트신호(IR)를 입력받은 후 이를 마이컴(30)에서 해독하여 이의 해당코드를 출력하는 마이컴 수신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인터럽트신호(IR)의 해당코드에 의해 인터넷/PC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를 수신하고 변경시키는 램상주 데이타 수신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변경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전에 엔터키이 코드를 실행하여 키이보드 버퍼를 클리어시킨 후 변경데이타를 실행시키는 버퍼삭제단계; 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6 및 도 7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합TV의 TV수단(40)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인터넷/PC통신 버튼을 누르면, 상기 마이컴(30)에서는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20)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넷/PC통신의 입력신호 즉, 리모콘 키이에 해당하는 인터럽트신호(IR)의 코드에 따라 통신수단(60)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컴(30)은 복합TV의 인터넷/PC통신으로의 전환을 위해 인터럽트신호(IR)의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코드의 제어신호를 통신수단(60)의 인터페이스(8)를 통해 중앙처리부(9)에 전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9)에서는 인터넷/PC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를 수신한 후 이를 변경하여 어드레스 버퍼(11) 및 데이타 버퍼(12)에 저장시키면서 마이컴(30)에 응답신호(ACK)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상기 마이컴(30)에서는 응답신호(ACK)의 입력에 따라 상태(status)신호를 로우(L)에서 하이(H)로 하여 현재의 복합TV를 통신모드 즉, 인터넷/PC통신 기능임을 인지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키이보드의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30)의 상태신호가 하이이면, 상기 하이의 상태신호에 따라 Tx버퍼수단(50)의 전원공급부 즉, 저항(R11)(R12)에서는 스위칭부(Q11)(Q12)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서, 상기 Tx버퍼수단(50)에 포함된 스위칭부(Q11)(Q12)에서는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20)에서 수신하는 입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온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Q11)(Q12)의 온 스위칭동작에 따라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리모콘/키이보드 수신수단(20) 및 Tx버퍼수단(50)을 지나 통신수단(60)의 키이보드 수신부(6)에 의해 수신된다.
즉, 상기 저항(R11)(R12)의 한쪽 단자를 마이컴(30)의 출력단자와 연결시키므로서, 상기 마이컴(30)에서 출력시키는 상태신호의 레벨에 따라 인터넷/PC통신 의 톱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 후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통신수단(60)의 키이보드 수신부(6)로 전송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키이보드 수신부(6)에 의해 수신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는 다시 키이보드 콘트롤부(7)에 의해 제어된 후 중앙처리부(9)에 입력되므로서, 상기 중앙처리부(9)에서는 인터넷/PC통신 시스템을 구동시킨 후 배치파일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를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방법에 관하여 도 8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상기 마이컴(30)에서는 리모콘/키이보드 수신수단(20)을 통해 수신된 인터럽트신호(IR)를 해독한 후 이의 해당코드에 따른 데이타를 통신수단(60)에 전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통신수단(60)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타를 램상주 프로그램에서 받은 후 이를 시스템에 맞는 데이타로 변경시키고 키이보드 버퍼에 먼저 엔터키이를 저장시키면서 시스템에 맞는 데이타를 키이보드 버퍼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전에 입력된 데이타들은 상기 엔터키이의 실행으로 클리어되므로서, 상기 통신수단(60)에서는 시스템에 맞는 데이타로 시스템 구동을 정상적으로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일예로서 설명하면, 상기 마이컴(30)에서 인터넷/PC통신 전환을 위해 인터럽트신호(IR)의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코드인 임의의 데이타(예: 34H)를 통신수단(60)의 인터페이스(8)를 통해 중앙처리부(9)에 입력시켜 abc.bat를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중앙처리부(9)에서는 입력되는 임의의 데이타(예: 34H)에 따라 키이보드 버퍼를 클리어시키기 위해 엔터키이를 먼저 수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엔터키이가 먼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그전에 키이보드 버퍼에 aaa가 저장되어 있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처리부(9)에서는 인터넷/PC통신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메인메모리(10) 및 어드레스 버퍼(11)와 데이타 버퍼(12)를 제어하여 인터넷/PC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모뎀(13) 및 영상처리부(14)에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14)에서는 영상메모리(15) 및 엔코딩부(16)를 제어하여 인터넷/PC통신시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색차신호(Y.C) 및 색상신호(R.G.B)를 TV수단(40)으로 출력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TV수단(40)에서는 인터넷/PC통신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14)에서 출력하는 색차신호(Y.C)는 엔코딩부(16)에 의해 디코딩된 후 TV수단(40)으로 입력된다.
한편, 무선키이보드의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30)의 상태신호가 로우이면, 상기 로우의 상태신호에 따라 Tx버퍼수단(50)의 전원공급부 즉, 저항(R11)(R12)에서는 스위칭부(Q11)(Q12)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므로서, 리모콘/키이보드 수신수단(20)을 통해 수신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는 통신수단(60)으로 전송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전원공급과 동시에 허용하지 않고 마이컴의 상태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만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가 통신수단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 시스템과 또다른 방법으로서 통신을 위한 톱메뉴 명령수행 이전에 버퍼를 클리어하여 불필요한 데이타를 삭제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므로서, 복합 TV 시스템의 구동시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른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인터넷/PC통신의 톱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등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리모콘이나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과; 상기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TV기능 및 통신기능을 제어하고 TX버퍼부에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TV수단과;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를 마이컴의 상태신호에 의해 전송하는 Tx버퍼수단과; 상기 Tx버퍼수단에서 전송하는 리모콘 또는 무선키이보드의 입력신호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x버퍼수단은, 리모콘/무선키이보드 수신수단에서 수신하는 입력신호 전송을 위해 마이컴 상태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전원을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장치.
  3. 리모콘/무선키이보드로 부터의 인터럽트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마이컴에서 해독하여 이의 해당코드를 출력하는 마이컴 수신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인터럽트신호의 해당코드에 의해 인터넷/PC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를 수신하고 변경시키는 램상주 데이타 수신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변경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전에 엔터키이 코드를 실행하여 키이보드 버퍼를 클리어시킨 후 변경데이타를 실행시키는 버퍼삭제단계; 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리모콘 입력제어방법.
KR1019970068279A 1997-12-12 1997-12-12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3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279A KR100239123B1 (ko) 1997-12-12 1997-12-12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279A KR100239123B1 (ko) 1997-12-12 1997-12-12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351A KR19990049351A (ko) 1999-07-05
KR100239123B1 true KR100239123B1 (ko) 2000-01-15

Family

ID=1952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279A KR100239123B1 (ko) 1997-12-12 1997-12-12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47B1 (ko) * 1997-12-13 2005-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키보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35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7949A1 (en) Multiple electronic display remote control
KR100239123B1 (ko) 키이보드/리모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5892459A (en) Processing circuit for input signal from key or remote-controller
CN108701104B (zh) 数据传输系统、投影仪、和数据传输方法
US7420548B2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RE44957E1 (en) Moni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11261907A (ja) Av機器
KR0141750B1 (ko) Gui osd 전용 모듈을 이용한 tv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7798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514599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759901B1 (ko)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05189364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9990047762A (ko) 무선키이보드의 신호입력 확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08596B1 (ko) 접속된 영상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950011035B1 (ko) 리모콘의 자동 데이타 전송 방법
KR100654796B1 (ko) 데이터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72082B1 (ko) 영상표시기기와 호스트간 키보드 신호 전송 장치와 전송 제어방법
KR0146115B1 (ko) 복합 티브이 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74638B1 (ko)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 방법
KR19990010134A (ko) 피씨를 이용한 티브이 기능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3081688U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内部回路調整装置
JP3742973B2 (ja) 映像出力制御システム
KR19980052704A (ko) 컴퓨터를 이용한 다기능장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2314958A (ja) ビデオ無線送受信システム
KR20000040334A (ko) 브이시알의 동작모드 표시기능을 갖는 리모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