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901B1 -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901B1
KR100759901B1 KR1020050079692A KR20050079692A KR100759901B1 KR 100759901 B1 KR100759901 B1 KR 100759901B1 KR 1020050079692 A KR1020050079692 A KR 1020050079692A KR 20050079692 A KR20050079692 A KR 20050079692A KR 100759901 B1 KR100759901 B1 KR 10075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ser
switching
port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847A (ko
Inventor
이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셋탑박스 내에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이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USB 포트와 다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셋탑박스의 외부에 허브 회로를 연결하지 않고, 내부에 간단한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게 됨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회로의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고, 허브 회로를 연결하지 않음에 따라 주변 회로에 잡음 등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내부에 USB 공유 회로를 구현함에 따라 전자파 차단(EMI) 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제품의 규격 승인이 용이할 수 있으며, USB 공유 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탑박스, USB, 스위칭 회로, USB 포트, USB 인터페이스, 허브, 메모리 리더

Description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use of Universal Serial Bus in Set-Top-Box}
도 1은 종래 셋탑박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공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셋탑박스 110 : 입력부
120 : 튜너부 130 : 메인칩
140 : 플래쉬 메모리 150 : RAM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USB 포트
180 : USB 허브 190 : 메모리 리더
200 : USB 공유 장치 210 : 전원 공급부
220 : USB 스위칭부 230 : 중앙 제어부
본 발명은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셋탑박스 내에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이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USB 포트와 다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탑박스(Set-Top-Box)는 디지털 티브이(Digital Television)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원래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한다.
도 1은 종래 셋탑박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셋탑박스(100)는, 입력부(110), 튜너부(120), 메인칩(130), 플래쉬 메모리(140), RAM(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17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칩(130)은 CPU(133), 역다중화부(135), 및 디코더(138)로 구성되고, 입력부(110)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튜너부(120)의 채널 선국을 제어하고, 메인칩(130)에 동작모드 설정 등의 사용자 명령을 전달한다. 튜너부 (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플래쉬 메모리(140)에는 셋탑박스를 초기화시키는 프로그램인 부트로더와, 셋탑박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인칩(130)은 플래쉬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부트로더의 동작에 의해 초기화되며, 초기화 이후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시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역다중화부(135)는 튜너부(12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이때, 디코더(138)는 역다중화부에서 분리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160)는 셋탑박스(1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USB 포트(170)는 다른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써, 예컨대, 외장 메모리 등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이용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 셋탑박스(100)에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능으로, 메모리 카드를 구동하기 위한 '10 in 2' 메모리 리더(Memory Reader:190)를 USB로 인터페이스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그러나, 종래 셋탑박스(100)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USB 포트(170)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10 in 2' 메모리 리더(190)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허브(Hub) 장치(180)를 추가하여 부착한 후, 허브 장치(180)에 메모리 리더(190)를 연결 접속하여 사용했다.
따라서, 종래 셋탑박스(100)에 허브 장치(180)를 추가함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또한 굳이 필요치 않는 확장의 핀(Pin)이 있어 불필요한 회로가 추 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허브 장치(180)가 예컨대, 24 ㎒ 의 크리스탈로 발진함에 따라 주변 회로에 잡음(Noise)의 발생 원인이 되어, 셋탑박스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에 허브 장치(180)를 추가함에 따른 전자파 차단(EMI)이 되지 않아 제품의 규격 승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셋탑박스 내에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이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USB 포트와 다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에스비 포트 또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유에스비 공유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스위칭 연결하는 유에스비 스위칭부; 사용자의 유에스비 사용 키입력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스위칭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유에스비 사용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상기 포트를 선택하면,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스위칭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를 활성시키며,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스위칭하여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ㅍ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는 메모리 리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셋탑박스의 유에스비 공유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유에스비 사용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유에스비 포트 또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스위칭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칭 연결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전원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공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USB 공유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Unit:210), 유에스비 스위칭부(USB Switching Unit:220), 및 중앙 제어부(CPU:230)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210)는 중앙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유에스비 스위칭부(220)에 전원을 공급하며, USB 스위칭부(220)는 중앙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USB 포트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스위칭 연결한다. 또한, USB 스위칭부(220)는 전원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전원을 스위칭 연결에 따라 USB 포트 또는 USB 인터페이스로 공급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USB 사용 키입력에 따라 유에스비 스위칭부(220)를 스위칭 제어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USB 포트를 선택하면 USB 스위칭부(220)를 스위칭하여 USB 포트(170)를 활성시키고,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USB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USB 스위칭부(220)를 스위칭하여 메모리 리 더 회로(190)와 같은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중앙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USB 스위칭부(220)를 스위칭 제어할 때, 메모리 리더 회로(19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감지하여 USB 스위칭부(220)를 USB 인터페이스로 스위칭 연결한다. 이때, 중앙 제어부(230)는 지피아이오(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를 통해 USB 스위칭부(220)를 스위칭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USB 포트(170)나 메모리 리더(190)를 사용하기 위해, 입력부(110)를 통해 USB 사용에 관한 키입력을 실행하고, 중앙 제어부(230)는 입력부(110)로부터 USB 사용 키입력을 수신한다(S302).
이에 따라, 입력부(110)로부터 USB 사용 키입력이 있으면, 중앙 제어부(230)는 USB 사용 신호를 전원 공급부(210)로 전달하고, 전원 공급부(210)는 USB 스위칭부(2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S304).
이어, 중앙 제어부(230)는 USB 포트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USB 포트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06).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USB 포트(17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입력부(110)를 통해 USB 포트를 선택하고,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USB 포트에 선택 입력을 중앙 제어부(230)로 전달한다(S308).
따라서, 중앙 제어부(230)는 GPIO 제어 신호를 통해 USB 스위칭부(220)가 USB 포트(170)로 연결되도록 USB 스위칭부(220)를 스위칭 제어한다(S310). 이에 따라, USB 스위칭부(220)가 USB 포트(170)로 연결되고, 전원 공급부(210)의 전원이 USB 포트(170)로 공급되어, USB 포트(170)가 활성화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USB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경우, 중앙 제어부(230)는 GPIO 제어 신호를 통해 USB 스위칭부(220)가 메모리 리더(190)로 연결되도록 USB 스위칭부(220)를 스위칭 제어한다(S312).
따라서, USB 스위칭부(220)가 메모리 리더(190)로 연결되고, 전원 공급부(210)의 전원이 USB 스위칭부(220)를 통해 메모리 리더(190)로 공급되어, USB 인터페이스 장치인 메모리 리더(190)가 활성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셋탑박스 내에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이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USB 포트와 다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스위칭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셋탑박스 외부에 허브 회로를 연결하지 않고, 내부에 간단한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게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회로의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허브 회로를 연결하지 않음에 따라 주변 회로에 잡음 등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내부에 USB 공유 회로를 구현함에 따라 전자파 차단(EMI) 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제품의 규격 승인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USB 공유 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에스비(USB) 포트 또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유에스비 공유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스위칭 연결하는 유에스비 스위칭부;
    사용자의 유에스비(USB) 사용 키입력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스위칭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는 메모리 리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 공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유에스비 사용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상기 포트를 선택하면,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스위칭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를 활성시키며,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상기 유에스비 스위칭부를 스위칭하여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 공유 장치.
  3. 삭제
  4. 사용자에 의한 유에스비 사용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유에스비 포트 또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스위칭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는 메모리 리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유에스비 공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칭 연결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상기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로 전원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유에스비 공유 방법.
KR1020050079692A 2005-08-29 2005-08-29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075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692A KR100759901B1 (ko) 2005-08-29 2005-08-29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692A KR100759901B1 (ko) 2005-08-29 2005-08-29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847A KR20070027847A (ko) 2007-03-12
KR100759901B1 true KR100759901B1 (ko) 2007-09-18

Family

ID=3810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692A KR100759901B1 (ko) 2005-08-29 2005-08-29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3146B2 (en) * 2016-11-22 2018-09-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hared USB por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675A (ko) * 2004-04-27 2004-06-23 홍종운 충전과 데이터 링크 기능을 겸비한 유에스비 방식 메모리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675A (ko) * 2004-04-27 2004-06-23 홍종운 충전과 데이터 링크 기능을 겸비한 유에스비 방식 메모리저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3146B2 (en) * 2016-11-22 2018-09-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hared USB 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847A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231B1 (ko) Tv카드가 장착된 컴퓨터시스템
KR20020015848A (ko)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텔레비젼 및 이 장치의 초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80165289A1 (en) Receiving apparatus
EP2079230A2 (en) Method for operating TV tuner card
WO1995030634A1 (fr) Adaptateur d&#39;ecran de controle
JP2004264588A (ja) 情報処理装置
US20070218946A1 (en)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terminal
KR100759901B1 (ko) 셋탑박스의 범용 직렬 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40320749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02677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drive devices in order to enable rapid booting
KR100703161B1 (ko) 영상처리장치 및 데이터처리방법
CN1312581C (zh) 应用于个人计算机系统的外加开机装置
JP201314122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アップグレード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この制御方法
KR20130087747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130857A (ja) 携帯機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赤外線通信システム
US2013019428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GB2427778A (en) A set-top box which can work in an analogue or digital mode
KR100524020B1 (ko)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방법
JP2009048405A (ja) 通信装置
JP6641555B2 (ja) システム起動回路、電気機器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576235B1 (ko) 디지털 티브이
CN107749966B (zh) 图像输入/输出切换方法及电子装置
US20090313404A1 (en) Apparatus for accessing conditional access device by utilizing specific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KR20050119443A (ko) 컴퓨터와 tv수상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장치
KR20070022493A (ko) 듀얼 튜너의 드라이버 소스 코드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