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062B1 -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062B1
KR100239062B1 KR1019970026449A KR19970026449A KR100239062B1 KR 100239062 B1 KR100239062 B1 KR 100239062B1 KR 1019970026449 A KR1019970026449 A KR 1019970026449A KR 19970026449 A KR19970026449 A KR 19970026449A KR 100239062 B1 KR100239062 B1 KR 10023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evice control
control board
status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746A (ko
Inventor
이석란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2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0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72Supervisory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들이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구동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기 구동되면 액티브/ 스탠바이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액티브 상태이면, 자기 상태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내에 상기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태가 보고되면 자기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정상 상태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내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로부터 상태가 보고되지 않으면, 자신은 정상이나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비정상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단계와; 스탠바이 상태이면,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하여 자기 상태를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보고하는 단계와;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태 보고 요구 신호가 소정 시간동안 인가되지 않으며 자기 상태를 상기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보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화로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서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전자 교환기에서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여러 가지 디바디스 예컨데, 신호 장치, 가입자 라인, 트렁크 라인, 시험 장치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이러한 디바이스 제어 보드들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위하여 통상 액티브(Active)/스탠바이(Standby) 상태의 이중화로 구성되며, 상위 프로세서인 텔레포니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 ;이하, TP라 함)와는 고레벨 데이터 링크 콘트롤 인터페이스 타임 슬롯(High Level Data Link Control Interface Timeslot;) 버스(이하, HIT 버스라 함)를 통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함)을 행한다.
한편,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특성상 액티브(Active)/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 관계없이 TP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나, TP로의 데이터 송신은 액티브일 때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X- 버스를 통하여 수신하고, 자신의 상태와 함께 TP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즉, TP를 통하여 전송되는 액티브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가 되며, 또한 프로세서에 탑재되는 응용 블록에서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중화로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X-버스를 통하여 상대편 디바이스 제어 보드와 IPC를 행하게 되며, 먼저 파워 온(Power On)된 쪽이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하드웨어에서 지원하게 구성되고, 상대편의 탈장, 기능 이상(Function Fail)및 리셋 등의 상태는 논마스크어블(NonMaskablke) 하드웨어 인터럽트로 제공된다.
즉, 종래의 이중화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중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상태를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받고, 내부 소프트웨어에서는 하드웨어에서 제공하는 여러 자원을 검사하여 이중화로 구성된 자신의 상태및 상대편 즉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상태를 TP에게 보고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중화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서는 상대편의 상태 정보를 하드웨어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가 스탠 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로부터 상태 정보를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없이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와 자신의 상태 정보를 TP에 송신할 수 있게 하는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은, 이중화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들이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구동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초기 구동되면 액티브/ 스탠바이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액티브 상태이면, 자기 상태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내에 상기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태가 보고되면 자기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정상 상태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내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로부터 상태가 보고되지 않으면, 자신은 정상이나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비정상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단계와; 스탠바이 상태이면,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하여 자기 상태를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보고하는 단계와;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태 보고 요구 신호가 소정 시간동안 인가되지 않으며 자기 상태를 상기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보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을 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보드와 텔레포니 프로세서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2 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C11-DC4n : 디바이스 제어 보드
10-1~10-n : HIT 버스 20 : 텔레포니 프로세서
30 : X- 버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1-DC1n), (DC21-DC2n),(DC31-DC3n)(DC41-DC4n)들은 HIT 버스(10-1~10-4)를 통하여 TP(20)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1-DC4n)들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 1및 제 2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DC2)로 이중화 구성되어있으며, 이들은 X-버스(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3 에는 이와 같이 이중화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DC2)의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파워 온 되면, 파워 온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 DC2)는 데이터를 초기화하고(단계 101,102), 실장된 상태가 A사이(Side)드 또는 B 사이드인가를 판단하여(단계103) 자신의 사이드를 결정한다(단계 104),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 DC2)는 자신이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결정하게 된다(단계 105) 액티브/ 스탠바이 상태의 결정은 먼저 실장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 또는 DC2)가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된다.
단계(105)에서의 결정 결과,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 또는 DC2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DC1이 액티브, DC2가 스탠바이라고 가정하고 이하에 설명하였다.)는 단계(106)로 진행한다.
단계(106)에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는 액티브 상태인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로부터 상태 보고 요구 신호가 X-버스(30)를 통하여 인가되는 경우에는 즉시 자신의 상태를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에 인가하며(단계 107), 소정 시간 동안 상태 보고 요구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신의 상태를 다시 X- 버스(30)를 통하여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에 인가한다(단계 108, 109).
이와 같이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상태 보고 요구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태 보고를 행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는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 상태 보고를 다시 TP(2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스탠바이 상태로 되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는 자신이 비정상일 수도 있고, 정상 상태일 수도 있으며, 비정상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회복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자신의 상태를 상태 보고 요구 신호의 인가시에만 보고하도록 구성하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연속적으로 인가하여야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발명에서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초기화된 후, 소정 시간내에 상태 보고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자신의 상태를 보고하도록 구성하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연속하여 인가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자기 부하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계(105)의 판단에 의하여 액티브 상태인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단계(110)로 진행하고, 단계(110)에서 자신의 상태를 정상으로 하고, X-버스(30)를 통하여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인가한다(단계 111).
단계(111)의 수행 후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내부 타이머를 세트시키고,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상태가 보고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113, 114).
단계(113,114)의 판단 결과, 소정 시간내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로부터 상태가 보고되면, 상기 타이머를 리셋시키고(단계 115)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 상태로 세팅한다((단계 116).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단계(117)로 진행하여 자신(DC1)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 상태임을 상술한 HIT 버스(10)를 통하여 TP(20)에 통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단계(113,114)의 판단 결과, 소정 시간내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로부터 상태가 보고되지 않으면 타이머(118)를 리셋시킨 후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비정상임을 인식하고, TP(20)에 자신(DC1)은 정상이나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는 비정상임을 통보하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티브 상태인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스탠바이 상태인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인가하고, 이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대응하여 상태가 보고되면 자신및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 상태임을 TP(20)보고하고,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대응한 상태 보고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신은 정상이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는 비정상임을 TP(20)에 보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는 비정상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자신의 상태를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관계없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에 인가한다. 따라서, 이경우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으로 복귀하였음을 TP(20)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도 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으로 복귀하였음을 TP(20)에 보고하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의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로부터 상태 보고가 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201), 상태 보고가 있으면 단계(202)로 진행한다.
단계(202)에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의 이전 상태가 정상 상태로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정상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모든 과정을 종료하나, 비정상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203)로 진행한다.
단계(202)에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를 정상 상태로 설정하고, 단계(204)로 진행한다.
단계(204)에서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자신및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정상 상태임을 TP(20)에 보고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하는 것이다.
즉, 디바이스 제어 보드(DC1)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로부터 상태 보고가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의 이전 상태가 정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모든 과정을 종료하나, 이전 상태가 비정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비정상에서 정상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여 TP(20)에 자신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DC2)가 모두 정상임을 보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가 자신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의 제어 보드의 상태를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보고할 수 있어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존할 경우 실제 스탠바이측의 소프트웨어가 정상 상태(running)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

  1. 이중화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보드들이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구동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초기 구동되면 액티브/ 스탠바이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액티브 상태이면, 자기 상태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상태 보고 요구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내에 상기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태가 보고되면 자기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정상 상태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내에 상기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로부터 상태가 보고되지 않으면, 자신은 정상이나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비정상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단계와;
    스탠바이 상태이면, 상기 상태 보고 요구 신호에 응하여 자기 상태를 상기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보고하는 단계와;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상태 보고 요구 신호가 소정 시간동안 인가되지 않으며 자기 상태를 상기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에 보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스탠 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로부터 상태 보고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보고가 있으면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전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설정되었으면, 자기및 스탠바이 상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는 정상임을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에 보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19970026449A 1997-06-23 1997-06-23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23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49A KR100239062B1 (ko) 1997-06-23 1997-06-23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49A KR100239062B1 (ko) 1997-06-23 1997-06-23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46A KR19990002746A (ko) 1999-01-15
KR100239062B1 true KR100239062B1 (ko) 2000-01-15

Family

ID=1951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449A KR100239062B1 (ko) 1997-06-23 1997-06-23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484A (ko) * 1999-12-27 2001-07-07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메인 프로세서 이중화 메모리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46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062B1 (ko)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21413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JPH10207802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装置切り換え制御方法
KR100390403B1 (ko) 이중화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절체 방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237370B1 (ko) 이중화된 운용 워크스테이션 포트의 절체방법
KR10022751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에서의 전화망 가입자 제어장치
KR96000105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패킷 계층 제어 프로세서와 패킷 처리 모듈간의 통신 이상 유무 검출 방법
KR100239059B1 (ko)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JP2666849B2 (ja) 遠隔監視装置
KR100220900B1 (ko) 통신망 이중화장치
KR1002600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망동기 리셋 방법
KR200183008Y1 (ko) 근거리 정보 통신망 시스템의 통신망 자동복구장치
KR100249859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
KR100382356B1 (ko) 교환 시스템의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보드 시험 방법
KR100214138B1 (ko)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단말기용 버스에 대한시험방법
KR200270668Y1 (ko) 제어부의 상태를 반영하는 이중화 장치
KR960025162A (ko) 고도지능망 서비스교환기용 지능망 서비스 호 제어방법
JPH10285163A (ja) 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
KR20000066429A (ko) 공간 스위치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19990053782A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장애 및 상태 관리방법
JP3022971B2 (ja) 電子交換機における端末制御障害監視方式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KR20020000347A (ko) 에이티엠 교환기에 있어서의 가입자 보드 상태관리 방법
JPS5833747A (ja) 自動通信回路切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