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16B1 -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수지 - Google Patents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16B1
KR100238716B1 KR1019920019515A KR920019515A KR100238716B1 KR 100238716 B1 KR100238716 B1 KR 100238716B1 KR 1019920019515 A KR1019920019515 A KR 1019920019515A KR 920019515 A KR920019515 A KR 920019515A KR 100238716 B1 KR100238716 B1 KR 10023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component
acrylonitrile
carboxyl
bu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993A (ko
Inventor
디터파울
게르하르트호프만
클라우즈휨케
울리히하이만
Original Assignee
베른하르트 클루트
바스프 코팅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옌스 피셔
한드룽스베볼매크티그테르 프로쿠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434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87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하르트 클루트, 바스프 코팅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옌스 피셔, 한드룽스베볼매크티그테르 프로쿠리스트 filed Critical 베른하르트 클루트
Publication of KR93000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03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with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30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 C08C19/34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oxygen or oxygen-containing groups
    • C08C19/36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oxygen or oxygen-containing groups with carboxy radic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a)35내지 100 몰%의 부타디엔, (b) 0 내지 45 몰%의 아크릴 및 (c)0내지 20 몰%의 추가의 공단량체를 공단량체로 함유하며, 500내지 5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분자 1개당 평균 1.5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수반하는 카르복실기-함유 공중합체와, (B)(d)다염기성 지방족 C10-C100-카르복실산과 (e)1차 및 2차 아미노기에 대해 다작용기성인 아민의 축합생성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양이온 수지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성분(e)의 양을 통계학적으로 성분(d)의 각각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기가 1.05 내지 4개의 방식으로 결정되며, 단, 성분(B)의 양이 성분(A)의 각각의 카르복실기 1몰당 아미노기가 1.05 내지 4몰인 방식으로 선택된다.

Description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 수지
본 발명은, (a) 35 내지 100몰%의 부타디엔, (b) 0 내지 45몰%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c) 0내지 20몰%의 추가의 공단량체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하고,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0이고, 분자 1개당 평균 1.5 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 함유 공중합체(A)와, (d) 다염기성 지방족 C10-C100-카르복실산과 (e) 일차 및 이]차 아미노기에 대해 다작용기성이고, 그 양이 계산상으로, 성분(d)의 각각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기가 1.05 내지 4개 존재하도록 결정되는 아민의 축합 생성물(B)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성분(B)의 양은 성분(A)중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 1몰당 아미노기가 1.05 내지 4몰이 되도록 선택되는 양이온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의 제조 방법, 전기 피복을 위한 결합제 성분으로서의 이것의 용도, 및 또한 이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피복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전기 피복욕을 제조하기 위해, 아미노 함유 결합제 및 결합제 혼합물이 양성자화된 후, 물에 분산된다. 피복은 음극(cathode)으로서 연결된 금속물품, 예를 들어, 금속성 자동차 본체를 전기 피복욕내에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전기장의 영향하에, 음극적으로 분산된 페인트 입자들은 금속성 기판으로 이동하고, 이때 입자들이 전하를 잃으면 부착되게 된다.
부착이 종결된 후,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피막은 열적 가교 반응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피막 및 이에 따르는 결합제는 그 자체로, 예를 들어, 접착성, 내식성, 화학적 내성 및 기계적 안정성에 대해, 여러가지 질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사실상, 결합제 요건은 대체로 상반되기 때문에, 상기 성질 모두에 대해 특별한 최적값을 하나로 동시에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우수한 부식 보호성은 유리전이온도가 비교적 높은 결합제에 대해 논의되나, 이러한 결합제로 얻을 수 있는 피막은 비교적 부서지기 쉬어서, 충격 강도는 다소 부족하다.
EP-A-385 300에는 전기 피복용의 통상적인 양이온성 결합제에 대한 첨가제로서 사용된 수지가 이것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피막의 충격 강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 첨가제는, 초기에 저분자량 디아민과 반응하고, 그 다음에 중합체 유사 방식으로 에폭시 수지와 반응하는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영동으로 형성된 피막을 더욱 개선시키는 결합제 첨가제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정의된 수지에 의해 이러한 목적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공중합체(A)는 35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몰%의 부타디엔,0내지 45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몰%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경우에 따라, 이것의 특성을 개질시키기 위해, 20몰% 이하의 스티렌 및 아세트산 비닐과 같은 추가의 단량체를 함유한다. 몰%는 각각 전체 공단량체 함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공중합체(A)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중합된 단위체로서 실질적으로 중합 동안 혼입되는 통상적인 개시제 및 조절제에 의해, 예를 들어, 3차-부틸 퍼옥토에이트 및 3차-부틸 퍼피발레이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공중합체(A)는 일반적으로 말단기인 1.5 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며, 2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는, 예를 들어, 비.에프. 굿리치(B.F. Goodrich)사의 물품인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하이카CTBN 1300 (HycarCTBN 1300)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카르복실화된 개시제, 예를 들어, 4,4'-아조비스(4-시아노이소부티르산)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공중합체(A)는 또한, 아크릴산과 같은 상응하는 양의 올레핀계 불포화 산과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A)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0, 특히 1,000 내지 10,000이다.
성분(B)는 다염기성 지방족 C10-C100카르복실산(d)과 폴리아민의 축합 생성물이다.
적합산 산(d)은, 특히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C10내지 C18의 α,ω-디카르복실산, 특히 천연 C10-C24-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이합체 및 소중합체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합체 및 소중합체 지방산은 공지되어 있으며, 대부분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산의 예로는 아미인유 지방산(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 및 또한 이에 상응하는 이합체가 있다.
산(d)의 산가는 100 내지 500이다.
적합한 폴리아민(e)은 특히, 분자량이 50 내지 300인 비방향족 디아민이다. 이러한 아민은,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데칸메틸렌디아민과 같은 알칸디아민, 및 1,14-디아미노-4,11-디옥사테트라데칸과 같은 에테르기를 갖는 지방족 디아민,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말단 아미노기의 올리고머이다. 또한, 피페라진(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및 2-아미노에틸피페라진과 같은, 고리형 구조를 갖는 디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 아민이 또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지 비방향족 아민과 혼합된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아민은 더 경질인 피막을 형성하지만, 동시에 탄성도을 감소시켜, 일반적으로 덜 바람직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같은 문제가, 생성된 수지가 계속 가용성 상태이게 하는 비율로만 사용될 수 있는 고급 아민에 적용된다. 또한, 일차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이 바람직하지만, 이차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삼차 아미노기가 또한 존재할 수 있지만, 이와 관련하여, 삼차 아미노기는 아미드화 반응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비활성 치환기로서 간주된다.
아민(e) 또한 시판되고 있다.
성분(d) 및 (e)는, 계산상으로, (d)의 카르복실기 1개당 (e)의 아미노기가 1.05 내지 4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개가 되는 양으로 서로 반응한다.
산(d)과 아민(e)의 반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130 내지 250℃에서 고비점 용매 중에서 서로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아민은 언제나 과량으로 존재해야 하고, 반응물의 물은 반응 혼합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유리하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양의 톨루엔 또는 크실렌이다.
생성된 성분(B)는 우세하게 지방족 특성의 2 작용기성 이상의 고분자량 아미드-아민이다.
공중합체(A)와 아미드-아민 성분(B)의 반응은 성분(B)의 제조방법과 똑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불필요하다.
(A) 및 (B)의 양은, (A)의 카르복실 작용기가 (B)의 아민 작용기에 의해 사실상 완전히 아미드화되고, 축합 생성물이 여전히 1몰당 평균 1 내지 4개의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방식으로 결정되게 된다.
상기 나머지 아미노기는 수지의 양이온성 및 이에 따라 전기 피복용 결합제 성분으로서의 적합성을 보장하고, 부착후에 가능한 가교에 의해 경화시키는 데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수지는 전기 피복을 위해 단독 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외적 환경에서만 요구되는 매우 연질인 피막을 형성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상기 수지는, 결합제 첨가제로서, 즉, 결합제(즉, 추가의 가교 성분 및 다른 성분 없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의 비율이 일반적으로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인 다른 결합제, 즉 기본 수지와 혼합된 결합제 성분으로서 사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결합제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수지는 부분 적합 혼합물로서 기본 수지와 함께 분산되거나, 미리 제조된 기본 수지 분산액에 분리 분산액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는 산을 사용하는 완전 또는 부분 중화에 의해 물에 분산될 수 있다. 적합한 산으로는 락트산, 아세트산 및 포름산과 같은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또는 인산과 같은 무기산이 있다. 수성 분산액은, 고체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 특히 15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기본 수지는 염기성 기로서 1차, 2차 또는 3차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염기성 중합체이다. 또한, 포스포늄 또는 술포늄기를 수반하는 기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본 수지는 부가적으로, 작용기, 예를 들어, 수산기 또는 올레핀 이중 결합을 함유한다.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0인 상기 유형의 적합한 기본 수지는 첨가 중합체, 예를 들어, 아미노아크릴레이트 및 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수지, 아미노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다첨가 생성물, 및 아미노에폭시 수지와 같은 다축합물이다.
우수한 부식 보호성을 갖는 기본 피막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본 수지는 아미노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미노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어, EP-A-134 983, EP-A-165 556, EP-A-167 029, DE-A-34 22 457 또는 DE-A-34 44 410에 기술되어 있다.
아미노에폭시 수지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에폭시 함유 수지를 포화 및/또는 불포화 1차 및/또는 2차 아민 또는 아미노 알코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적합한 에폭시 수지는 분자 1개당 에폭시기가 평균 1.5 내지 3개, 바람직하게는 2개이며, 평균 분자량이 300 내지 6,000인 화합물이다.
특히, 분자 1개당 평균 2개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페놀의 글리시딜 에테르가 안정성을 가지며, 특히 적합한 페놀 성분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A)이다.
고분자량을 갖는 에폭시 수지는 언급된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같은 폴리페놀과 반응시키므로써 얻어진다.
아미노에폭시 수지는 또한, 포화 또는 불포화된 폴리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디프산, 푸마르산 또는 이합체 지방산을 사용하여 개질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반 블로킹(half-block)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고 자체 가교성을 갖는 기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예를 들어, EP-A-273 247 또는 US 4,692,503에 기술되어 있다.
기본 수지가 자체 가교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별도의 가교 성분이 필요하다.
상기 기본 수지에 적합한 가교제는, 예를 들어, DE-A-33 11 514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우레아 축합 생성물 또는 DE-A-34 22 457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페놀성 만니히(Mannich) 염기이다. EP-A-134 983에는, 추가의 가능한 가교제로서, 블로킹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아미노수지, 예를 들어,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벤조구안아민 수지가 언급되어 있다.
또한, 표준 전기 피복욕은 추가로 안료 페이스트 및 통상적인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안료 페이스트는, 예를 들어, 분쇄 수지, 이산화티탄, 카아본 블랙 또는 규산 알루미늄과 같은 안료, 보조제 및 분산제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합한 분쇄 수지는 예를 들어, EP-A-107 089 및 EP-A-251 772에 기술되어 있다.
기본 수지 및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개별적 또는 공통 분산액으로서 사용된다.
음극성 전기피복에서 페인트 필름의 부착은 통상적으로, 50 내지 500V의 부착 전압에서, 5 내지 500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300초 동안, 20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2℃에서 수행된다.
이후, 페인트 필름은 12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에서 베이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막은 매우 우수한 탄성도 및 내식성을 나타내고, 피막이 우수한 부식 보호성 뿐만 아니라 기계적 응력, 예를 들어, 스톤 치핑(Stone Chipping)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제공하는 다층 피복계에 대한 베이스 코우트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다층 피복계는 예를 들어, 3층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음극 부착된 베이스코우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통상적인 표면 피막의 상층에 도포된 후, 시판되는 상부 피복 조성물의 상부 피복이 이어진다.
[실시예]
Ⅰ. 지방 아미드 B의 제조
[일반적 방법]
이합체 아미인유 지방산(유니케마(Unichema)사의 시판용 물품인 프리폴 1013(Pripol1013), 산가 195) 및 디아민을, 약 5 내지 10시간 동안, 혼합물의 산가가 0으로 떨어질 때까지, 반응물의 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190℃에서, 산과 아민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중량%의 크실렌의 존재하에 가열시켰다. 축합 생성물은 후속 반응에 사용되므로, 크실렌 중에 잔류시켰다. 상기 실험이 하기의 표에 상세히 기재된다.
1)텍사코 켐. 컴패니(Texaco Chem. Comp.)의 상기 물품은, 평균 분자량이 230,400 또는 2,000이며, 2개의 말단 아미노기를 갖는 1,2-프로필렌 옥사이드 올리고머이다.
Ⅱ. 결합제 첨가제의 제조
[일반적 방법]
[실시예 1 내지 8]
74몰%의 부타디엔 및 26몰%의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되고, 3200의 평균 분자량 및 또한 분자(성분A) 1개당 2개의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굿드리지(Goodrich)사의 공중합체(하이카CTBN 1300 × 13, 산가 32)를, 혼합물의 산가가 약 1 내지 4로 떨어질 때까지(반응시간 : 약 3 내지 8시간), 반응물의 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190℃에서 공중합체 및 성분(B)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의 크실렌의 존재하에 성분(B)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의 크실렌의 존재하에 성분(B)와 함께 가열시켰다. 이들 실시예는 하기의 표에 상세히 기재된다.
2) 피켄쳐(Fikentscher)에 따름
Ⅲ. 전기피복욕의 제조
1. 결합제의 제조
(a1) 5800g의 헥사메틸렌디아민, 7250g의 이합체 아마인유 지방산 및 1400g의 아마인유 지방산의 혼합물을 195℃로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반응중 생성된 물(약 540g)을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다시 100℃로 냉각시키고, 5961g의 톨루엔으로 용리시켜 고체 함량이 70중량%가 되게 하였다. 생성물의 아민가는 197㎎의 KOH/g이었다.
(a2) 485의 에폭시 당량을 갖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을 기재로 하는 4850g의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1039g의 톨루엔과 1039g의 이소부탄올의 혼합물중에 80℃로 가열시킴으로써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60℃에서 300g의 N-메틸-N-히드록시에틸아민과 128g의 이소부탄올의 용액과 혼합하여, 가열에 의해 첨가 생성물을 생성하고, (a1)에 따라 얻은 1850g의 톨루엔 용액과 혼합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2. 가교제의 제조
1.32㎏의 톨루엔,0.42㎏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0.72㎏의 비스페놀A의 혼합물을, 균질 용액이 생성될 때까지 60℃에서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60℃에서 3.45㎏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0.86㎏의 톨루엔 및 0.0034㎏의 디부틸틴 디아우레이트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2.0㎏의 디부틸아민과 혼합시키고,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80℃를 초과하지 않도록첨가 속도를 맞추었다. 그 다음에,1.11㎏의 톨루엔을 첨가한 후, 용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3. 안료 페이스트의 제조
Ⅲ. 1에 따라 얻은 526g의 결합제,169g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600g의 물 및 16.5g의 아세트산을, 안료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9㎛가 될 때까지, 볼 밑에서 800g의 이산화티탄,11g의 카아본 블랙 및 50g의 염기성 규산 납과 함께 분쇄하였다. 페이스트를 물로 조절하여 고체 함량이 47중량%가 되게 하였다.
4. 전기 피복 분산액의 제조
(a) 전기 피복 분산액의 제조
[E 1 내지 E8]
[일반적 방법]
730g의 Ⅲ. 1의 결합제, 365g의 Ⅲ. 2의 가교제, 및 170g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르는 첨가제를 20g의 아세트산의 존재하에 1690g의 물에 미리 제조된 용액의 형태로 분산시키고, 용매를 수분 함유 공비 혼합물로서 증류시켰다. 분산액의 고체 함량을 물을 사용하여 33 중량%로 조절하였다.
(b) 첨가제 분산액 A1의 제조
428.6g의 실시예 1의 첨가제를 61.7g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및 109.7g의 이소부탄올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45℃에서 10.7g의 진한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900g의 물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400g의 용매-물 공비 혼합물을 40℃ 및 80 mbar에서 증류시켰다. 분산액의 고체 함량은 26.9중량%이었다.
(c) 첨가제 분산액 A2의 제조
60g의 크실렌, 40g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및 100g의 이소부탄올의 혼합물중의 실시예 2의 첨가제의 50 중량%의 용액 400g을 45℃에서 4.6g의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600g의 물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약 90g의 용매-물 공비 혼합물을 40℃ 및 80 mbar에서 증류시켰다. 생성된 분산액은 24.2중량%의 고체 함량을 가졌다.
(d) 첨가제 분산액 A3의 제조
53g의 크실렌, 53g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및 194g의 이소부탄올의 혼합물중의 실시예 3의 첨가제의 50중량% 용액 600g을 45℃에서 5g의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900g의 물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약 400g의 용매-물 공비 혼합물을 40℃ 및 80 mbar에서 증류시켰다. 분산액의 고체 함량은 20중량%이었다.
(e) 전기 피복 분산액 E 0의 제조
(기본 수지 + 가교제)
700g의 Ⅲ. 1에 따르는 결합제 및 300g의 Ⅲ. 2에 따르는 가교제를 19g의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1350g의 물에 분산시키고, 여전히 존재하는 용매를 물-함유 공비 혼합물로서 증류시켰다. 그 다음, 물을 첨가하여 고체 함량을 35중량%로 맞추었다.
5. 전기 피복욕 제 0 내지 11 번의 제조
(a) 제 0 번 내지 제 8 번
분산액 E 0 내지 E 8을 775g의 Ⅲ. 3의 안료 페이스트와 혼합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5000mℓ의 부피가 되게 하였다.
(b) 제 9 번 내지 제 11 번
분산액 E 0를 사용하는, (a)에 따라 제조한 전기 피복욕에 하기의 양으로 첨가제 분산액 A1 내지 A3을 첨가하였다 :
전기피복욕 제 9 번 : E 0 + 476g의 A1
전기피복욕 제 10 번 : E 0 + 529g의 A2
전기피복욕 제 11 번 : E 0 + 641g의 A3
6. 전기영동 피복
페인트 필름을 부착 전압 U[V]에서 음극적으로 연결된 아연 인산화된 강 시험판위에 2분 동안 부착시켰다. 상기 페인트 필름을 160℃에서 20분동안 열 경화시켰다.
그 다음, 가드너(Gardner)의 맨드렐 충격 시험기(mandrel impact tester)를 사용하여 역 충격을 측정함으로써 ASTM D 2794에 따라 충격 강도를 시험하였다.
상기 실험들의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Claims (8)

  1. (a) 35 내지 100몰%의 부타디엔, (b) 0 내지 45몰%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c) 0 내지 20몰%의 추가의 공단량체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하며,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0이고, 분자 1개당 평균 1.5 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A)와, (d) 다염기성 지방족C10-C100-카르복실산과 (e) 1차 및 2차 아미노기에 대해 다작용기성이고, 그 양이 계산상으로, 성분(d)의 각각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기가 1.05 내지 4가 되도록 결정되는 아민의 축합 생성물(B)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성분(B)의 양은 성분(A)의 각각의 카르복실기 1몰당 아미노기가 1.05 내지 4몰이 되도록 선택되는 양이온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5 내지 45중량%이고, 분자 1개당 평균 1.5 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수지.
  3. 130℃ 내지 250℃에서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 (a) 35 내지 100몰%의 부타디엔, (b) 0 내지 45몰%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c) 0 내지 20몰%의 추가의 공단량체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하며,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0이고, 분자 1개당 평균 1.5 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A)와, (d) 다염기성 지방족 C10-C100-카르복실산과 (e) 1차 및 2차 아미노기에 대해 다작용기성이며, 그 양이 계산상으로, 성분(d)의 각각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기가 1.05 내지 4개가 되도록 결정되는 아민의 축합 생성물(B)을 반응시킴을 포함하며, 성분(B)의 양은 성분(A)의 각각의 카르복실기 1몰당 아미노기가 1.05 내지 4몰이 되도록 선택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청구하는 양이온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따르는 양이온 수지를 5 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
  5. 제1항에 따르는 양이온 수지를 포함하는, 페인트 필름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기 피복 조성물용 결합제 첨가제.
  6. 제4항에 따르는 분산액을 포함하는, 전기피복욕에의 첨가제.
  7. 전체 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제1항에 따르는 양이온 수지를 5 내지 30 중량% 함유하는 전기피복욕.
  8. 제7항에 따르는 전기 피복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음극 전기피복 물품.
KR1019920019515A 1991-10-25 1992-10-23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수지 KR100238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4135239 DE4135239A1 (de) 1991-10-25 1991-10-25 Kationische harze auf basis von copolymerisaten aus butadien und acrylnitril
DEP4135239.4 199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993A KR930007993A (ko) 1993-05-20
KR100238716B1 true KR100238716B1 (ko) 2000-01-15

Family

ID=644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515A KR100238716B1 (ko) 1991-10-25 1992-10-23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수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274011A (ko)
EP (1) EP0538759B1 (ko)
JP (1) JPH05320545A (ko)
KR (1) KR100238716B1 (ko)
CN (2) CN1051101C (ko)
AT (1) ATE134650T1 (ko)
BR (1) BR9204071A (ko)
CA (1) CA2080619A1 (ko)
DE (2) DE4135239A1 (ko)
DK (1) DK0538759T3 (ko)
ES (1) ES2086608T3 (ko)
ZA (1) ZA928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8653B2 (ja) * 2006-12-12 2014-07-23 神東塗料株式会社 カチオン性電着塗料組成物
JP5118874B2 (ja) * 2007-04-11 2013-01-16 共栄社化学株式会社 塗料用流動調整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非水系塗料
CN107827832B (zh) * 2017-11-22 2020-04-10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基于ipdi的聚异氰酸酯固化剂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578A (en) * 1973-08-24 1977-05-24 The B. F. Goodrich Company Elastomeric liquid polymer vulcanizates from epoxy resin, liquid carboxy terminated polymer, dihydric phenol, and an amine
EP0131027B1 (en) * 1982-12-24 1986-12-17 The Secretary of State for Defence in Her Britannic Majesty's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Curable thermosetting prepolymerised imide resin compositions
DE3542594A1 (de) * 1985-12-03 1987-06-04 Basf Lacke & Farben Durch protonieren mit saeure wasserverduennbares bindemittel,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906144A1 (de) * 1989-02-28 1990-09-06 Basf Lacke & Farben Durch protonieren mit saeure wasserverduennbare polymere umsetzungsproduk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35239A1 (de) 1993-04-29
DK0538759T3 (da) 1996-06-24
DE59205466D1 (de) 1996-04-04
EP0538759A1 (de) 1993-04-28
EP0538759B1 (de) 1996-02-28
CN1073190A (zh) 1993-06-16
US5274011A (en) 1993-12-28
ES2086608T3 (es) 1996-07-01
JPH05320545A (ja) 1993-12-03
CN1051101C (zh) 2000-04-05
CA2080619A1 (en) 1993-04-26
ZA928196B (en) 1994-04-25
KR930007993A (ko) 1993-05-20
BR9204071A (pt) 1993-05-04
ATE134650T1 (de) 1996-03-15
CN1229098A (zh)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2373A (en)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made from modified epoxy resin, polymeric acid and tertiary amine
US4247439A (en)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made from epoxy resin, polymeric acid and tertiary amine
CA1131843A (en) Acidified electrodepositable michael adducts of polymers
JPS59117560A (ja) 樹脂性被覆組成物の水性分散液
US4303488A (en) Electrocoating with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made from epoxy resin, polymeric acid and tertiary amine
US4647604A (en) Heat-curable coating agent and its use
US4486571A (en) Epoxy-modified polybutadiene crosslinkable resin coating composition
KR950006258B1 (ko) 산으로 양성자 첨가반응에 의해 물에 희석되는 결합제 및 그의 제법.
KR100238716B1 (ko)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수지
CA2010525C (en) Two-phase cathodic electrocoat
US4376848A (en) Water dilutable cathodic depositable resinous binder production and use
US4514548A (en) Crosslinkable composition of matter-I
US4721758A (en) Binders for cathodic electrocoating which contain non-tertiary basic amino groups in addition to phenolic mannich bases
US456872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urea condensates and their use
US4619952A (en) Resinous blends of epoxy and acrylic resins and the use thereof in electrodeposition
EP0114722B1 (en) Crosslinkable composition of matter
JPH0689275B2 (ja) 被覆用組成物
KR940011196B1 (ko) 음극전기피복을 위한 결합제
US4605476A (en) Resinous blends of epoxy and acrylic resins and the use thereof in electrodeposition
EP0056808B1 (en) Self-curable resinous compositions useful in coating applications
US5385977A (en) Polymeric reaction products
US3673137A (en) Coating compositions
US4514549A (en) Crosslinkable composition of matter-IV
US4777194A (en) Heat-curable coating agent, and cathodic electrocoating
US5258460A (en) Polymeric reaction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