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541B1 -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541B1
KR100238541B1 KR1019970043732A KR19970043732A KR100238541B1 KR 100238541 B1 KR100238541 B1 KR 100238541B1 KR 1019970043732 A KR1019970043732 A KR 1019970043732A KR 19970043732 A KR19970043732 A KR 19970043732A KR 100238541 B1 KR100238541 B1 KR 10023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nnector
prs
mpd
charg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272A (ko
Inventor
조의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5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64Pulse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34Charging, billing or metering arrangements for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8Metric aspects
    • H04M2215/7866Pulse b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사설교환기에서 과금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변경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과금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각각 서로 다른 보드 ID를 가지며 PRS와 미터펄스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PRS 보드 및 MPD 보드중 과금신호 타입에 대응하는 하나가 메인 보드 커넥터를 통해 메인 보드에 연결되며, 메인 보드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보드의 종류를 해당 보드 ID로부터 확인하여 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과금신호 처리를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사설교환기에서 과금기능을 구현하는데 이용한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금(account)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설교환기는 내선 가입자가 국선 통화를 할 때 국설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과금신호를 이용하여 과금을 할 수 있는 과금기능을 구비한다. 과금신호 타입(type)은 국가나 국설교환기 규격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크게 극성반전신호(Polarity Reverse Signal: 이하 "PRS"라 함) 타입과 미터펄스검출(Meter Pulse Detect: 이하 "MPD"라 함) 타입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사설교환기에서 과금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기 위한 과금신호 처리장치도 해당 사설교환기가 사용되는 국가나 국설교환기 규격에 따른 과금신호 타입에 적합한 과금신호 검출회로를 사용하여야만 한다. 이에따라 사설교환기는 PRS 회로가 실장된 하이브리드(hybrid) IC(Integrated Circuit)를 사용하거나 MPD 회로를 실장한 하이브리드 IC를 사용하여 왔었다. PRS 회로는 PRS 타입인 경우에 있어서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과금신호인 PRS를 검출하는 회로이고, MPD 회로는 MPD 타입인 경우에 있어서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과금신호인 미터펄스(meter pulse)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PRS 회로는 국선의 극성반전에 의한 DC(Direct Current) 전압 강하에 따른 전류에 의해 PRS를 검출하고, MPD 회로는 교류의 미터펄스를 검출한다. 이때 미터펄스는 예를들어 12㎑/16㎑의 주파수를 가진다.
만일 MPD 회로를 사용하는 있는 사설교환기에서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짐에 따라 PRS 기능을 구현하여야 할 경우 하드웨어(hardware)를 변경하여야 하며, 이에 대응되게 과금신호 처리기능 소프트웨어(software)도 변경을 하여야만 한다. 이때 하드웨어는 별도의 점퍼 와이어(jumper wire) 부품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과금신호 타입에 맞게 점퍼 와이어를 절단함으로써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MMC(Man Machine Communication)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실제 사용자가 변경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에따라 사설교환기 생산시에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교환기를 과금신호 타입별로 별도로 생산을 하여야만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PRS 타입 및 MPD 타입의 과금신호를 공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회로가 사용되어 왔었다. 도 1에서 MPD 회로(100)와 PRS 회로(102)는 각각 미터펄스와 PRS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MPD 회로(100)는 국선 입력단자 T,R가 캐패시터(C1,C2)를 통해 국선의 팁(tip),링(ring) 단자 T,R에 접속되고, PRS 회로(102)는 국선 입력단자 T,R가 국선에 바로 접속된다. 이때 MPD 회로(100)는 국선으로부터 교류의 미터펄스 입력에 의해 MPD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캐패시터(C1,C2)를 DC 차단용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PRS 회로(102)는 DC 전압 강하에 따른 전류에 의해 PRS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국선 입력단자 T,R를 국선에 직접 접속한다.
상기한 도 1의 회로가 MPD 타입에 사용될 경우 MPD 회로(100)는 국선으로부터 미터펄스의 입력에 의해 출력단자 /DET를 통해 MPD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와달리 PRS 타입에 사용될 경우 PRS 회로(102)는 DC 전압 강하에 따른 전류에 의해 출력단자 /DET를 통해 PRS 신호를 출력한다. MPD 회로(100)와 PRS 회로(102) 각각의 출력단자 /DET는 제어부(104)에 접속된다. 제어부(104)는 사설교환기의 각 부분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이다. 이러한 제어부(104)는 MPD 타입일 경우에는 MPD 회로(100)의 출력인 MPD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금 처리를 하고 PRS 타입일 경우에는 PRS 회로(102)의 출력인 PRS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금 처리를 한다. 이때 제어부(104)에는 MPD 타입 및 PRS 타입중에 실제 사용되는 과금신호 타입에 대응되는 과금신호 처리를 위한 기능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한 도 1의 회로는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지는 경우 하드웨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MPD 회로와 PRS 회로를 모두 구비하여야만 하였었다. 또한 여전히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지는 경우 과금신호 처리기능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야만 함으로써 실제 적용하기 곤란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과금신호 처리회로는 실제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질 경우 사용자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변경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과금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과금신호 처리를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신호 처리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서로 다른 보드 ID(Identification)를 가지며 PRS와 미터펄스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PRS 보드 및 MPD 보드중 과금신호 타입에 대응하는 하나가 메인 보드 커넥터를 통해 메인 보드에 연결되며, 메인 보드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보드의 종류를 해당 보드 ID로부터 확인하여 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과금신호 처리를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 구성, 소자나 부품의 종류 또는 개수, 처리 흐름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신호 처리장치의 회로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2의 과금신호 처리장치는 메인 보드(200)에 PRS 보드(202)와 MPD 보드(204)중 하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국선 1개당 1개의 PRS 보드(202) 또는 MPD 보드(204)를 사용하는 예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PRS 보드(202) 또는 MPD 보드(204)를 메인 보드(200)에 연결하기 위한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메인 보드(200)에 제어부(206)와 국선의 팁,링단자 T,R에 접속되게 설치한다. 메인 보드(200)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어부(206)와 국선만을 보인 것으로, 나머지 통상적인 구성 부분은 보이지 않고 생략하였다. 제어부(206)는 전술한 도 1의 제어부(104)와 마찬가지로 사설교환기의 주제어부이다.
상기 PRS 보드(202)는 메인 보드 커넥터(208)에 연결하기 위한 제1커넥터(210)를 구비하고, 제1커넥터(210)를 통해 메인 보드 커넥터(208)에 연결될 때 자신을 나타내는 제1보드 ID를 제1커넥터(210)를 통해 출력하며, 메인 보드 커넥터(208) 및 제1커넥터(210)를 통해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PRS를 검출한다. 이러한 PRS 보드(202)는 제1커넥터(210)와 제1보드 식별부(212)와 PRS 회로(214)로 구성한다. 제1보드 식별부(212)는 2개의 3상태 버퍼(216,218)와 저항(R1)으로 구성하는데, 접지와 제1커넥터(210)간에 3상태 버퍼(216)가 접속되고, 저항(R1)을 통한 전원전압 Vcc과 제1커넥터(210)간에 3상태 버퍼(218)가 접속된다. 이러한 제1보드 식별부(212)는 메인 보드 커넥터(208) 및 제1커넥터(210)를 통해 제어부(206)로부터 ID 인에이블신호 IDBEN가 입력될 때 3상태 버퍼들(216,218)이 인에이블된다. 이에따라 보드 ID BD0,BD1는 제1보드 ID값인 "1"로 제1커넥터(210) 및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통해 제어부(206)로 출력된다. 또한 PRS 회로(214)는 제1커넥터(210)에 국선 입력단자(T,R)와 출력단자 /DET가 접속되고 메인 보드 커넥터(208) 및 제1커넥터(210)를 통해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PRS를 검출하여 PRS 검출신호를 제1커넥터(210) 및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통해 제어부(206)로 출력한다.
그리고 MPD 보드(204)는 메인 보드 커넥터(208)에 연결하기 위한 제2커넥터(220)를 구비하고, 제2커넥터(220)를 통해 메인 보드 커넥터(208)에 연결될 때 자신을 나타내는 제2보드 ID를 제2커넥터(220)를 통해 출력하며, 메인 보드 커넥터(208) 및 제2커넥터(220)를 통해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미터펄스를 검출한다. 이러한 MPD 보드(204)는 제2커넥터(220)와 제2보드 식별부(222)와 MPD 회로(224)와 캐패시터(C11,C12)로 구성한다. 제2보드 식별부(222)는 2개의 3상태 버퍼(226,228)로 구성하는데, 접지와 제2커넥터(220)간에 3상태 버퍼들(216,228)가 접속된다. 이러한 제2보드 식별부(222)는 메인 보드 커넥터(208) 및 제2커넥터(220)를 통해 제어부(206)로부터 ID 인에이블신호 IDBEN가 입력될 때 3상태 버퍼들(226,228)이 인에이블된다. 이에따라 보드 ID BD0,BD1는 제2보드 ID값인 "0"으로 제2커넥터(220) 및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통해 제어부(206)로 출력된다. 또한 MPD 회로(224)는 제2커넥터(220)에 국선 입력단자(T,R)가 캐패시터(C11,C12)를 통해 접속됨과 아울러 출력단자 /DET가 접속되고, 메인 보드 커넥터(208) 및 제2커넥터(220)를 통해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미터펄스를 검출하여 MPD 검출신호를 제2커넥터(220) 및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통해 제어부(206)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보드(200)에 구비되고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통해 PRS 보드(202) 또는 MPD 보드(204)에 접속되는 제어부(206)는 메인 보드 커넥터(208)를 통해 연결되는 보드의 종류를 해당 보드 ID BD0,BD1로부터 확인하여 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과금신호 처리기능을 해당 보드에 의해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206)는 보드 종류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설치에 의해 과금신호 처리기능을 선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6)의 처리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PRS 보드(202) 또는 MPD 보드(204)중 하나가 제1커넥터(210) 또는 제2커넥터(220)에 의해 메인 보드 커넥터(208)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206)는 도 3의 (300)단계에서 현재 연결된 보드의 보드 ID를 리드한다. 이때 제어부(206)는 "로우"의 ID 인에이블신호 IDBEN를 출력한다. 이때 PRS 보드(202)가 연결된 경우라면 ID 인에이블신호 IDBEN에 의해 제1보드 식별부(212)의 3상태 버퍼들(216,218)이 인에이블된다. 이에따라 3상태 버퍼들(216,218)로부터 보드 ID BD0,BD1가 제1보드 ID 값 "1"으로 출력된다. 이와달리 MPD 보드(204)가 연결된 경우라면 ID 인에이블신호 IDBEN에 의해 제2보드 식별부(222)의 3상태 버퍼들(226,228)이 인에이블된다. 이에따라 3상태 버퍼들(226,228)로부터 보드 ID BD0,BD1가 제2보드 ID 값 "0"으로 출력된다. 그러면 제어부(206)는 이때 입력되는 보드 ID BD0,BD1를 리드하고 (302)단계에서 보드 종류를 확인한다.
만일 보드 ID BD0,BD1이 제1보드 ID값 "1"이면, 현재 연결된 보드가 PRS 보드(202)이므로 제어부(206)는 (304)단계에서 PRS 기능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이와달리 보드 ID BD0,BD1이 제2보드 ID값 "0"이면, 현재 연결된 보드가 MPD 보드(204)이므로 제어부(206)는 (306)단계에서 MPD 기능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이에따라 이후부터 제어부(206)는 현재 연결된 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과금신호 처리기능을 해당 보드에 의해 검출되는 PRS 검출신호 또는 MPD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과금신호 타입에 따라 PRS 보드(202)나 MPD 보드(204)를 해당 보드에 구비된 제1커넥터(210) 또는 제2커넥터(220)를 이용하여 메인 보드 커넥터(208)에 꼽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과금신호 타입에 대응되는 과금신호 처리기능이 설치되어 수행된다. 이에따라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별도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주에 의한 제품 생산시 보드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혼돈이 없으며, 설치자가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없고 설치의 에러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국선 1개당 PRS 보드(202) 또는 MPD 보드(204)를 하나씩 연결하는 예를 보였으나, 필요에 따라 PRS 보드와 MPD 보드를 2개 이상의 국선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금신호 타입이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사설교환기에서 PRS 및 MPD를 공용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의 메인 보드에 설치되며 국선에 접속되는 메인 보드 커넥터와,
    제1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메인 보드 커넥터에 연결될 때 제1보드 ID를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PRS를 검출하는 PRS 보드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 보드 커넥터에 연결될 때 제2보드 ID를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미터펄스를 검출하는 MPD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보드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기 PRS 보드와 MPD 보드중에 상기 메인 보드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보드의 종류를 해당 보드 ID로부터 확인하여 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과금신호 처리를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드 종류에 대응하는 과금신호 처리기능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상기 과금신호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RS 보드가,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ID 인에이블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1보드 ID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보드 식별부와,
    상기 제1커넥터에 국선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PRS를 검출하여 PRS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PRS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PD 보드가,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ID 인에이블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2보드 ID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보드 식별부와,
    상기 제2커넥터에 제1,제2캐패시터를 통해 국선 입력단자가 접속됨과 아울러 출력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미터펄스를 검출하여 MPD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MPD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신호 처리장치.
KR1019970043732A 1997-08-30 1997-08-30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KR10023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32A KR100238541B1 (ko) 1997-08-30 1997-08-30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32A KR100238541B1 (ko) 1997-08-30 1997-08-30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72A KR19990020272A (ko) 1999-03-25
KR100238541B1 true KR100238541B1 (ko) 2000-01-15

Family

ID=1951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732A KR100238541B1 (ko) 1997-08-30 1997-08-30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85B1 (ko) * 1998-07-10 200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복합 신호 감지회로 및 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72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5670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of a peripheral unit to a host system
US5630058A (en) Network connected device protection
KR100238541B1 (ko) 사설교환기의 과금신호 처리장치
US5163090A (en) Over-current verifier circuit for an enhanced subscriber line interface
CN1076038A (zh) 模拟键扫描方式的双键输入识别电路
US4562308A (en) Subscriber connection circuit comprising feed resistors which can be bridged in low-ohmic fashion and an indication circuit which effects different indications
JPS58115997A (ja) サ−ビス要求呼および連続性センサ回路
US5402484A (en) Telephone circuit assembly
CN216351051U (zh) 一种串口芯片测试系统的验证电路
JP3097626B2 (ja) 加入者線監視回路
JP2731247B2 (ja) 網制御装置
JP2001268252A (ja) 端末網制御装置
US6944286B1 (en) Ground key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interference-resistant detection of the activation of a ground key for telephones
US6862352B1 (en) Controlled switching mechanism for accomplishing soft polarity reversal, ring-trip filtering, and line voltage measurements in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using common capacitor
US20020090080A1 (en) Loop voltage detection circuit
KR100484169B1 (ko)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이용방법
JP3075076B2 (ja) 電話回線状況の監視回路
JP4246955B2 (ja) 加入者線路試験方法
KR100547885B1 (ko) 통신 단말기의 복합 신호 감지회로 및 그 처리방법
SU11903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 монтажа с радиоэлементами
KR100498903B1 (ko) 사설교환및키폰시스템에서과금신호검출회로
KR100247196B1 (ko) 데이타 어댑터의 보이스 모듈
JP2000151764A (ja) 電話回線測定回路
JP2003304328A (ja) 加入者線路試験方法、加入者線路試験回路及び加入者インタフェース装置
CA2721808A1 (en) Automatic telephone line loop around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