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492B1 -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492B1
KR100238492B1 KR1019970000359A KR19970000359A KR100238492B1 KR 100238492 B1 KR100238492 B1 KR 100238492B1 KR 1019970000359 A KR1019970000359 A KR 1019970000359A KR 19970000359 A KR19970000359 A KR 19970000359A KR 100238492 B1 KR100238492 B1 KR 10023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data
gamma correction
correction data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397A (ko
Inventor
박상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4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게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니터의 감마특성에 따른 감마데이터와, 상기 감마데이터에 있어서 감마보정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감마보정데이터로 하여 이를 통해 감마보정을 행하며,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를 포함한 각종 기능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와, 표시부와, 감마데이터를 저장하는 감마버퍼들을 구비한 제1메모리와,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를 받아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감마보정하여 출력하는 감마보정부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감마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메모리에서 감마데이터를 독출하여 해당되는 감마보정데이터를 상기 감마보정부로 출력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는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상기 감마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감마데이터를 상기 감마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감마데이터를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로 설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감마보정데이터 설정 상태에서, 상기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설정된 감마보정데이터를 다시 입력되는 감마데이터로서 변경하여 설정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METHOD FOR SETTING A GAMMA CORRECTION DATA ADAPTED FOR USER MONITOR DEVICE SPECIFICATION IN DIGITAL CAMERA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는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게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형성된 화상데이터는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상 처리한다. 그래서 피사체의 계조를 올바르게 재현하기 위해, 즉 모니터에서 충실한 색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모니터의 종합 감마 특성이 1이 되어야 한다. 피사체의 휘도를 가로축으로, 재생 화상의 휘도를 세로축으로 잡고 각각의 대응점을 대수 눈금으로 도시하면 그 곡선의 경사가 감마(γ)가 된다. 세로축과의 각도를 θ라 하면 감마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상적인 시스템의 입출력 특성은 45도의 경사를 가진 직선이 된다.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는 고유의 감마 특성을 가진다. 또한 컴퓨터의 모니터도 고유의 감마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모니터의 종합 감마 특성을 1로 하기 위해서는 감마보정을 해야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마보정은 카메라측에서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는 감마보정을 위해 설정되는 감마보정데이터가 일반적인 모니터의 감마 특성이나, 혹은 자사에서 생산하는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도록 고정되었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모니터는 종류마다 감마 특성이 다르고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를 이용해 감마보정을 할 때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게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여 주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게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렌즈이다.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20 이하 "CCD"라 한다.)는 상기 렌즈(10)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이 입력되면 상기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씨디에스/자동이득제어(CDS/Automatic Gain Control: 30 이하 "CDS/AGC"라 한다.)는 상기 CCD(20)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CDS에서 상기 전기신호를 샘플링하고 AGC에서 증폭하여 필요한 화상신호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Analog/Digital: 이하 "A/D"라 한다.) 컨버터(40)는 상기 CDS/AGC(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받아 디지털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감마보정부(50)는 감마보정데이터를 받아 상기 A/D 컨버터(4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의 감마를 보정하여 제2메모리(60)로 출력한다. 상기 제2메모리(60)는 다이나믹 램(Dynamic RAM: 이하 "DRAM"라 한다.)으로서 상기 감마보정부(50)에서 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80)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 제2제어부(70)는 한정명령세트컴퓨터(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로서, 상기 제2메모리(60)에서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독출하여 압축하여 제1메모리(9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따른 감마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메모리(9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70)는 제1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제1메모리(90)의 감마보정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감마보정부(5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70)는 상기 제1메모리(60)에서 압축된 화상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메모리(90)는 전기적인 처리에 의해 기억 내용을 소거할 수 있는 피롬(PROM)인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들과, 감마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감마버퍼를 구비한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한다.)로서 각종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키입력부(110)는 설정키와 선택키와 이동키와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 등을 포함한 각종 기능키들로서, 외부의 조작을 받아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제1제어부(100)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용어중에서 감마데이터는 모니터의 감마특성에 따른 감마데이터들이고, 감마보정데이터는 상기 감마데이터들중 감마보정을 위해 설정되어 감마보정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게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게 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감마데이터를 컴퓨터를 조작하여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7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제어부(70)는 상기 감마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제1제어부(100)에 알린다. 그러면 제200단계에서 상기 제1제어부(100)는 상기 감마데이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제210단계에서 제1표시데이터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입력된 감마데이터를 감마보정을 수행할 데이터로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 데이터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제1표시데이터를 보고 키입력부(110)에서 설정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220단계에서 상기 제1제어부(100)는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설정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2제어부(70)를 제어하여 제230단계에서 상기 감마데이터를 제1메모리(90)의 감마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240단계에서 상기 감마데이터를 감마보정을 수행할 감마보정데이터로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를 바꾸고 싶을 때에는 키입력부(110)에서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250단계에서 제1제어부(100)는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260단계에서 제2표시데이터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표시데이터는 감마버퍼에 저장된 감마데이터들에 해당하는 모니터의 명칭이다. 상기 제2표시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데이터면 사용자는 설정키를 조작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키는 선택키로서 표시데이터를 선택하는 키데이터이다. 그러면 제270단계에서 제1제어부(100)는 키입력부(110)로부터 설정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280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감마보정데이터로 설정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70단계에서 입력된 키데이터가 설정키 데이터가 아니고 이동키 데이터이면 제290단계에서 제1제어부(100)는 상기 이동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300단계에서 표시부(120)에 표시된 데이터를 이동하여 다음 데이터를 표시한 후 상기 제27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감마특성에 맞게 설정된 감마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감마 보정함으로써 사용 모니터의 감마특성으로 감마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모니터의 감마특성에 따른 감마데이터와, 상기 감마데이터에 있어서 감마보정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감마보정데이터로 하여 이를 통해 감마보정을 행하며,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를 포함한 각종 기능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와, 표시부와, 감마데이터를 저장하는 감마버퍼들을 구비한 제1메모리와,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를 받아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감마보정하여 출력하는 감마보정부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감마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메모리에서 감마데이터를 독출하여 해당되는 감마보정데이터를 상기 감마보정부로 출력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 모니터의 감마 특성에 맞는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상기 감마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감마데이터를 상기 감마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감마데이터를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로 설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감마보정데이터 설정 상태에서, 상기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설정된 감마보정데이터를 다시 입력되는 감마데이터로서 변경하여 설정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감마보정데이터 변경키가 입력되면 상기 감마버퍼에 저장된 상기 감마데이터들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 후 소정 설정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선택된 감마데이터를 감마보정데이터를 설정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제1과정 수행 완료에 따라, 입력된 감마데이터를 상기 감마보정데이터로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표시데이터 표시 상태에서, 설정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감마데이터를 저장한 후 저장된 감마데이터를 감마보정데이터로 설정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00359A 1997-01-09 1997-01-09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KR10023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59A KR100238492B1 (ko) 1997-01-09 1997-01-09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59A KR100238492B1 (ko) 1997-01-09 1997-01-09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397A KR19980065397A (ko) 1998-10-15
KR100238492B1 true KR100238492B1 (ko) 2000-01-15

Family

ID=1949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359A KR100238492B1 (ko) 1997-01-09 1997-01-09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4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397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083B1 (en) Color imaging device and method
US5990949A (en) Digital still camera which displays a gamma-corrected high-quality still image upon depression of a shutter release button but without displaying an unwanted image
US20060023273A1 (en) Image pickup device with brightness correcting function and method of correcting brightness of image
KR20140018471A (ko) 이미지 캡처 방법 및 이미지 캡처 장치
US6466263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pointing indicator showing operation mode
US5589889A (en) Imag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80266239A1 (en) Imaging device having display brightness control function
US70234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signal
US20030219156A1 (en) Image synthesis apparatus and image synthesis method
US20030081954A1 (en) Digital camera
JP4698155B2 (ja) 表示装置の表示特性調整方法
EP1578110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238492B1 (ko) 사용 모니터 감마 특성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의 감마보정데이터 설정방법
JP3203127B2 (ja) カード型カメラ
EP0952729B1 (en) Electronic camera apparatus equipped with preview image preparation function
JPH05328127A (ja) 画像処理装置
JP2002271825A (ja) 色合わせ方法、色合わせ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3253536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7322117A (ja) カード型カメラ
JP200401346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撮像装置
JP2703962B2 (ja) 撮像装置
JPH10136400A (ja) カラー撮像装置及びカラー撮像方法
JP3523398B2 (ja) デジタル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3291398B2 (ja) カメラ装置
KR19990026572A (ko) 이미지 변화 표시 기능을 갖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