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188B1 -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188B1
KR100238188B1 KR1019970047213A KR19970047213A KR100238188B1 KR 100238188 B1 KR100238188 B1 KR 100238188B1 KR 1019970047213 A KR1019970047213 A KR 1019970047213A KR 19970047213 A KR19970047213 A KR 19970047213A KR 100238188 B1 KR100238188 B1 KR 100238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frequency
cycle
video
memory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548A (ko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188B1/ko
Priority to US09/152,502 priority patent/US6112310A/en
Publication of KR1999002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제어에 관한 명령어의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메모리 클럭을 변경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로 전송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 CPU로부터 호스트 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명령어를 수신는 버스인터페이스; 상기 버스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소정의 시간 단위로,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용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수단; 및 설정된 메모리 클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릭을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수가 많아지면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최대로 높여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메모리 억세스의 수가 작아지면 자동적으로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낮추어 칩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PCI/AGP 버스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제어에 관한 명령어의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메모리 클럭을 변경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콘트롤러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비디오 메모리(13)는 모니터로 전송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버스인터페이스(15)는 CPU(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호스트 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명령어(제어신호, 데이터 및 어드레스 신호로 구성됨)를 수신하여, 순차제어기(14)로 보낸다. 순차제어기(14)는 비디오 메모리(13)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비디오 메모리(13)로 전송한다. 여기의 제어신호에는 CAS(Column Address Strobe), RAS(Row Address Strobe), WE(Write Enable), OE(Output Enable)등이 있다. 주파수 합성기(16)는 메모리 클럭 및 픽셀 클럭등의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바이오스 롬 (BIOS ROM; 12)은 이들 모든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BIOS코드가 내장되어 있으며, 디바이스 초기화 시에 독출된다.
CPU는 모니터의 화면을 리플레쉬(refresh)시키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해야 하며, CPU에서 비디오 메모리로의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지면 수행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메모리의 타이밍 제어에 사용되는 메로리 클럭은 비디오 콘트롤라 칩 초기화 시에 바이오스에 의하여 한번만 프로그램된다. 따라서 CPU 명령어가 많아지거나 또는 적어지더라도 그 클럭 주파수가 더 높아지거나 또는 더 낮아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CPU에서 비디오 메모리로 데이터 전송이 전혀 없는 동안이나 부하가 가장 심한 순간이나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가 변함없이 항상 일정하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메모리 콘트롤러에서는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가 시스템 동작을 위한 최대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컴퓨터를 사용 하는 동안에 CPU에서 메모리로 데이터 전송을 많이 하는 경우는 드물므로, 필요없이 전력을 많이 소모하게 되고 또한 고주파 신호의 사용에 따라 EMI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CPU로부터의 버스 명령어를 분석하여 전체 버스 사이클 중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는 빈도에따라 자동적으로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CPU 로부터의 버스 명령어를 분석하여 전체 버스 사이클 중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는 빈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체 버스 사이클 중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는 빈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할수 있는 메모리클럭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콘트롤러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2도는 메모리 콘트롤러와 관련된 PCI 버스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제5도는 메모리 사이클 계수부(42)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의 블록도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은,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버스 사이클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전체 사이클 카운트 과정; 상기 소정의 시간과 같은 시간 동안 상기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메모리 사이클 카운트 과정; 상기 카운트된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하는 점유율 판단과정; 상기 점유율에 따라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는 메모리 클럭주파수 설정과전; 및 상기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 버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메모리 사이클 계수수단;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 및 상기 메모리 사이클 계수수단의 카운트 값을 리셋하기 위한 시간 설정수단; 상기 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상기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하기 위한 점유율 판단수단; 상기 점유율에 따라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발생수단를 포함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점유율을 정기적으로 판단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는, 모니터로 전송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CPU로부터 호스트 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버스인터페이스; 상기 버스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소정의 시간 단위로,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용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메모리 콘트롤러와 관련된 PCI 버스 타이밍도를 도신한 것이다.
CLK 신호는 버스 타이밍의 기준신호인 버스클럭신호이다. FRAME# 신호는 현재의 마스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억세스의 시작 및 그 계속을 나타내는 사이클 플레임신호이다. 따라서 FRAME#신호는 버스 트랜잭션(TRANSACTION)의 시작을 나타내기 위하여 어설트(ASSERT)되며, FRAME# 신호가 디어설트될때 2 트랜잭선은 마지막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ㅌ난다. AD(31:0)신호는 메모리 동작이나 입출력 동작 동안에 시스템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양ㅇ방향성의 어드레스/데이타 신호이다.
C/BE#(3:0)신호는 버스 명령어 및 바이트 인에이블을 전송하는 명령어/바이트 인에이블 신호로서, 어드레스 동작 상태 동안에는 아래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스명령어를 정의하고, 비디오 콘트롤러가 버스 마스터일 때 메모리 리드/라이트 명령어를 발생한다. 그리고 데이터 동작 상태 동안에는 바이트 인에이블로 사용된다.
Figure kpo00002
IDSEL 신호는 PCI 모드에서 컨피규레이션 리드/라이트 사이클 동안에 칩 선택 입력신호로 동작하고, AGP 모드에서 AD(31:16) 및 C/BE(3:2)#의 데이터를 스트로브하는 입력신호로 동작한다. DEVSEL# 신호는 입출력 겸용으로서, 그 출력신호는 비디오 콘트롤러가 그 어드레스를 현재 억세스의 타겟으로 디코드하였을 때 액티-로우로 구동되며, 비디오 콘트롤러가 버스 마스터일 때에는 입력핀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 선택신호이다. 그리고, IRDY# 신호와 TRADY# 신호가 다같이 어설트되는 클럭 사이클에서 데이터 상태가 완료된다.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BE# 신호가 06h (0110) 및 07h(0111)일 때, 즉(C/BE#3 C/BE# C/BE#1)=(011) 일 때에만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 클럭에서 DEVSEL# 신호가 액티브-로우가 되면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임이 분명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설정한 다음,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메모리 클럭을 그 시간 간격 단위로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은 각 시간 간격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된다.
먼저 전체 버스 사이클의 횟수 및 메모리 사이클의 횟수를 영으로 초기화(31)한 다음 버스 사이클의 시작인지를 첵크한다(32). 첵크된 버스 사이클이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인지를 판단하고(33), 만일 그렇다면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하나 증가시킨다(34). 그리고 버스 사이클마다 전체 버스 사이클의 발생 횟수를 하나 증가시킨다(35).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첵크(36)하여, 그 시간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버스 사이클을 첵크하여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 및 전체 버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업한다(32-35). 만일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었으면, 그 시간동안의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한다(37). 계산된 점유율에 따라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고(38), 그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한다(39).
여기서, 전체 사이클 카운트과정(35)은 버스 사이클의 시작에서 어설트되고 그 종료시에 디어설트되는 프레임신호(FRAME#)를 카운트하여 전체 사이클의 발생횟수를 결정한다. 메모리 클럭 주파수 설정과정(38)은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최대 주파수로 설정하고, 측정된 점유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증감시키며, 또는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최대 주파수의 중간 주파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16개의 버스 사이클 단위로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처음 16개의 버스 사이클 중에서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수를 제1레지스터에 저장하고, 그 다음 16개의 버스 사이클 중에서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수를 제2레지스터에 저장한다. 만일 제2레지스터의 값이 제1레지스터의 값보다 크면 그 차이에 대응하여 클럭 주파수를 높이고, 그렇지 않으면 그 차이에 대응하여 클럭 주파수를 낮춘다. 만일 그 값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어 4) 이상 차이날 경우에만 클럭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체 사이클 계수부(41)는 버스 사이클의 시작에서 어설트되고 그 종료시에 디어설트되는 프레임신호(FRAME#)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그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여, 전체 버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메모리 사이틀 계수부(42)는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메모리 사이클 계수부(42)는 버스 명령어를 정의하는 명령어/바이트 인에이블 신호(C/BE#) 및 비디오 콘트롤러가 그 어드레스를 현재 억세스의 타겟으로 디코드하였을 때 액티브-로우로 구동되는 선택신호(DEVSEL#)가 입력되어 그 신호의 상태에 따라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C/BE# 신호의 상위3비트의 값이 "11"일 때 메모리 리드/라이트 사이클이므로, 메모리 사이클 계수부(42)는 이 3비트를 입력으로하는 논리회로 및 카운터로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신호(DEVSEL#)를 첵크해 봄으로써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이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시간 설정부(43)는 소정의 시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 단위로 전체 사이클 계수부(41)및 메모리 사이클 계수부(42)의 카운트 값을 리셋한다. 예를 들어, 시간단위는 임의 개수의 버스 사이클(예를 들어, 16개의 버스 사이클)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점유율 판단부(44)는 시간 설정부(43)에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한다. 주파수 설정부(45)는 그 점유율에 따라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한다. 주파수 설정부(45)는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최대 주파수로 설정하거나 또는 최대 주파수의 중간값으로 설정한 다음, 측정된 점유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소정의 시간 단위로 증감시킬 수 있다. 즉 점유율이 100%일 때에는 최대 주파수로, 점유율이 80%일때에는 최대 주파수의 80% 값으로, 점유율이 30%일때에는 최대 주파수의 30%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반드시 벙비례 관계가 아니라 시스템 성능에 맞도록 임의의 비율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주파수 발생부(46)는 설정부(45)에서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MCLK)을 발생한다.
제5도는 메모리 사이클 계수부(42)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논리합 회로(51)는 C/BE1# 비트, C/BE2# 비트 및 인버터한 C/BE3# 비트를 논리합하고, 카운터(52)는 논리합회로(51)의 출력이 논리 하이일 때 카운트 값을 하나씩 증가시킨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비디오 메모리(61)는 모니터로 전송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저정한다. 버스인터페이스(63)는 CPU(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호스트 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명령어를 수신하며, 순차제어기(62) 및 주파수 설정부(64)로 필요한 신호를 전송한다. 순차제어기(62)는 버스인터페이스(62)에서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주파수 설정부(64)는 버스인터페이스(62)로부터 FRAME# 신호 및 C/BE#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용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소정의 시간 단위로 가변하여 설정하며, 그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주파수 발생부(65)는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MCLK)을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는 시스템의 부하가 많아지면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최대로 높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부하가 적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낮춰주므로써,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수가 많아지면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최대로 높여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 억세스의 수가 작아지면 자동적으로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낮추어 칩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2)

  1.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정의 시간 동안 전체 버스 사이클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전체 사이클 카운트 과정;
    상기 소정의 시간과 같은 시간 동안 상기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메모리 사이클 카운트과정;
    상기 카운트된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하는 점유율 판단과정;
    상기 점유율에 따라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는 메모리 클럭 주파수 설정과정; 및
    상기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사이클 카운트과정은
    버스 사이클의 시작에서 어설트되고 그 종료시에 디어설트되는 프레임신호를 카운트하여 전체 사이클의 발생 횟수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 설정과정은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최대 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점유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상기 소정의 시간 단위로 증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 설정과정은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최대 주파수의 중간 주파수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16개의 버스 사이클에 대응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방법.
  6.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비디오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 버스 사이클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메모리 사이클 계수수간;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 및 상기 메모리 사이클 계수수단의 카운트 값을 리셋하기 위한 시간 설정수단;
    상기 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상기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하기 위한 점유율 판단수단;
    상기 점유율에 따라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수단;및
    상기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발생수단를 포함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점유율을 정기적으로 판단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은
    버스 사이클의 시작에서 어설트되고 그 종료시에 디어설트되는 프레임신호를 카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 클럭 발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수단은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최대 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점유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상기 소정의 시간 단위로 증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수단은
    초기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최대 주파수의 중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점유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메모리 클럭 주파수를 상기 소정의 시간 단위로 증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설정수단은
    상기 소정의 시간 단위를 16개의 버스 사이클에 대응하는 시간 단위로 설정함을 특징으로하는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장치.
  11. 모니터로 전송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
    CPU로부터 호스트 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버스인터페이스;
    상기 버스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소정의 시간 단위로,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용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된 메모리 클럭 주파수에 따라 메모리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수단은
    전체 버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
    비디오 메모리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는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메모리 사이클 계수수단;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전체 사이클 계수수단 및 상기 메모리 사이클 계수수단의 카운트 값을 리셋하기 위한 시간 설정수단;
    상기 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전체 버스 사이클에 대한 상기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 사이클의 점유율을 판단하기 위한 점유율 판단수단; 및
    상기 점유율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 억세스용 메모리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트롤러.
KR1019970047213A 1997-09-12 1997-09-12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23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13A KR100238188B1 (ko) 1997-09-12 1997-09-12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US09/152,502 US6112310A (en) 1997-09-12 1998-09-14 Technique for generating memory clock in video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13A KR100238188B1 (ko) 1997-09-12 1997-09-12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48A KR19990025548A (ko) 1999-04-06
KR100238188B1 true KR100238188B1 (ko) 2000-01-15

Family

ID=1952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13A KR100238188B1 (ko) 1997-09-12 1997-09-12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12310A (ko)
KR (1) KR100238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125B2 (en) * 1998-08-07 2002-10-01 Ati Technologies, Inc. Dynamic memory c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657634B1 (en) 1999-02-25 2003-12-02 Ati International Srl Dynamic graphics and/or video memory power reducing circuit and method
US6820209B1 (en) * 1999-07-15 2004-11-16 Apple Computer, Inc. Power managed graphics controller
US7124285B2 (en) * 2001-03-29 2006-10-17 Intel Corporation Peak power reduction when updating future file
US7903116B1 (en) * 2003-10-27 2011-03-08 Nvid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aptive performance level management of a graphics system
US8250295B2 (en) 2004-01-05 2012-08-21 Smart Modular Technologies, Inc. Multi-rank memory module that emulates a memory module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ranks
US7343508B2 (en) * 2004-03-05 2008-03-11 Ati Technologies Inc. Dynamic clock control circuit for graphics engine clock and memory clock and method
US7500123B2 (en) * 2004-06-28 2009-03-03 Ati Technologies U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graphics processing device
US7827424B2 (en) * 2004-07-29 2010-11-02 Ati Technologies Ulc Dynamic clock control circuit and method
US7711966B2 (en) * 2004-08-31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lock frequency adjustment based on processor load
US7800621B2 (en) * 2005-05-16 2010-09-21 At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 of a memory controller
US8301833B1 (en) 2007-06-01 2012-10-30 Netlist, Inc. Non-volatile memory module
US8904098B2 (en) 2007-06-01 2014-12-02 Netlist, Inc. Redundant backup using non-volatile memory
US8874831B2 (en) 2007-06-01 2014-10-28 Netlist, Inc. Flash-DRAM hybrid memory module
US8438410B2 (en) 2010-06-23 2013-05-07 Intel Corporation Memory power management via dynamic memory operation states
US8327172B2 (en) * 2010-06-23 2012-12-04 Intel Corporation Adaptive memory frequency scaling
US8799685B2 (en) 2010-08-25 2014-08-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justable power consumption
US10198350B2 (en) 2011-07-28 2019-02-05 Netlist, Inc. Memory module having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subsystems and method of operation
US10380022B2 (en) 2011-07-28 2019-08-13 Netlist, Inc. Hybrid memory module and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838646B2 (en) 2011-07-28 2020-11-17 Netli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arching stored data
US10372551B2 (en) 2013-03-15 2019-08-06 Netlist, Inc. Hybrid memory system with configurable error thresholds and failure analysis capability
US9436600B2 (en) 2013-06-11 2016-09-06 Svic No. 28 New Technology Business Investment L.L.P. Non-volatile memory storage for multi-channel memory system
US10248328B2 (en) 2013-11-07 2019-04-02 Netlist, Inc. Direct data move between DRAM and storage on a memory module
KR102086719B1 (ko) 2014-03-1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3271A (en) * 1983-11-07 1990-01-09 Motorola, Inc. Synthesized clock microcomputer with power saving
US4819164A (en) * 1983-12-12 1989-04-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ariable frequency microprocessor clock generator
JP2507833B2 (ja) * 1990-12-25 1996-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コンピュ−タ
DE69229819T2 (de) * 1991-06-18 2000-01-27 Nokia Mobile Phones Ltd Einstellung der Taktfrequenz einer elektrischen Schaltung
US5524249A (en) * 1994-01-27 1996-06-0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Video subsystem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5513340A (en) * 1994-02-14 1996-04-30 Dell Usa, L.P. Video memory clock selection circuit and method
US5615376A (en) * 1994-08-03 1997-03-25 Neomagic Corp. Clock management for power reduction in a video display sub-system
US5771373A (en) * 1994-12-22 1998-06-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masked clock circuitry, systems and methods
US5623647A (en) * 1995-03-07 1997-04-22 Intel Corporation Application specific clock throttling
US5630145A (en) * 1995-05-05 1997-05-1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bus activity as determined by bus access times
US5758133A (en) * 1995-12-28 1998-05-26 Vlsi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bus speed based on bus utilization
US5781768A (en) * 1996-03-29 1998-07-14 Chips And Technologies, Inc. Graphics controller utilizing a variable frequency clock
US5774704A (en) * 1996-07-29 1998-06-30 Silicon Graph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central processing unit clock adjustment
US5951661A (en) * 1997-08-15 1999-09-1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Bus protocol violation monitor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12310A (en) 2000-08-29
KR19990025548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188B1 (ko) 비디오 콘트롤러에서 메모리클럭 발생방법 및 그 장치
US5873114A (en) Integrated processor and memory control unit including refresh queue logic for refreshing DRAM during idle cycles
US6134638A (en) Memory controller supporting DRAM circuits with different operating speeds
US5220651A (en) Cpu-bus controller for accomplishing transfer operations between a controller and devices coupled to an input/output bus
KR100353348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
US7043611B2 (en) Reconfigurable memory controller
US7606955B1 (en) Single wire bus for connect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4556952A (en) Refresh circuit for dynamic memory of a data processor employing a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EP0549164A1 (en) Memory controller with snooping mechanism
EP0307945B1 (en) Memory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530944A (en) Intelligent programmable dram interface timing controller
JPH04219692A (ja) メモリカード
JP2762138B2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EP0398189B1 (en) Noncacheable address random access memory
JPH0528097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
EP0590967B1 (en) Wait-state control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bus
US57218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memory devices operating at different speeds to a computer system bus
US5636367A (en) N+0.5 wait state programmable DRAM controller
US56570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head display data into a display FIFO of a graphics controller
US5229758A (en)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method
JP3342352B2 (ja) 表示用メモリ制御装置
WO1996038773A2 (en) Integrated primary bus and secondary bus controller with reduced pin count
US5768558A (en) Identific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eginning of a new write back cycle and an ongoing write cycle
US58929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accessing write-only registers in a DMAC
KR100223096B1 (ko) 내부 메모리 맵 레지스터를 관측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