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565B1 - 반도체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565B1
KR100237565B1 KR1019960048240A KR19960048240A KR100237565B1 KR 100237565 B1 KR100237565 B1 KR 100237565B1 KR 1019960048240 A KR1019960048240 A KR 1019960048240A KR 19960048240 A KR19960048240 A KR 19960048240A KR 100237565 B1 KR100237565 B1 KR 10023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data input
memory array
b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009A (ko
Inventor
주양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4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565B1/ko
Priority to DE19734719A priority patent/DE19734719A1/de
Priority to JP9282074A priority patent/JPH10134576A/ja
Priority to US08/956,355 priority patent/US5838632A/en
Publication of KR1998002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5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다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어레이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n개씩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n개씩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와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연결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를 n개식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및 제2 버퍼와, 외부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2n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1 데이터 버스로부터 전송된 2n개의 데이터를 각각 n개씩 상기 제1 및 제2버퍼에 전송하기 위한 두 개의 제2 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1 및 제2 버퍼와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n개씩 입,출력하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력 버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데이터 버스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수보다 2배 넓게 확장한 것으로, Y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가 칼럼 어드레스 선택신호의 상승,하강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는, 대용량화 고속화대고 있는 정보시대의 중심기술로서 1970년대 1K비트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 개발된 이래 회로설계기수로가 제조기술의 향상으로 비약할만한 집적화 및 대용량화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64메가비트, 256메가 비트의 안정적인 실용화 및 기가비트의 용량을 가진 메모리의 개발을 눈앞에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집적화와 대용량화에 있어서, 가장 많이 고려되는 사항은, 저소비전력화, 데이터의 고속처리, 광범위한 동작마진 및 저가격화인데, 상기 데이터의 고속처리에 대한 최근의 기술동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고속 페이지 모드(Fast Page Mode)로서, 칼럼계 회로가 스태틱 동작을 하여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Column Address Strobe)는 칼럼 어드레스를 넣는 것만으로 되는데, 이러한 고속 페이지 모드에 따르면 CAS의 프리차지 시간이 감소되어 전송속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고속 페이지 모드보다 좀 더 진보적인 방법으로는, EDO(Extended Data Output)모드가 있는데, 제1도를 참조하여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a)의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RAS*(RAS;Row Address Strobe)가 인에이블(enable) 되면 X어드레스를 받아 들이고, (b)의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CAS*(CAS;Column Address Strobe)가 로우 인에이블되면 Y어드레스를 받아들이며, 받아들인 어드레스를 가지고 메모리 어레이의 특정 셀 부분을 접근하며, (d)의 데이터 출력은 상기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가 하이 인에이블되어도 유효한 값을 유지한다.
즉, 상기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가 디스에이블 된 구간에도 데이터가 유지되어 주기(THPC : Hyper Page mode Cycle Time)를 고속 페이지 모드보다 줄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고속 처리를 위해 일반적인 디램의 핀(pin)수를 증가시켜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려는 방법이 있는데, 예를들어 16 IO와 32 IO를 다음(1)식과 (2)식로 비교하면 데이터 핀수를 늘린 경우 데이터 전송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16 I/O : 57.2 Mbyte/sec = 2byte*(1/35 nsec◇) = 2*28.6M
(2) 32 I/O : 114.4Mbyte/sec = 4byte*(1/35 nsec◇) = 4*28.6M
(◇: 50n TRAC(Access Time from RAS*)인 경우 35n TPC(Access Time from CAS*)임)
그러나 전자와 같은 EDO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고속 페이지 모드를 갖고 있는 디램보다는 빠르지만 씨피유(CPU:Cental Process Unit)의 속도를 따라가기는 어려우며, 또한 속도가 개선된 에스디램(SDRAM : Synchronous DRAM)과 상기 디램의 호환성이 거의 없으며, 후자와 같이 데이터 핀수를 늘리는 방법은 상기 식(1)과 식(2)에서 볼 수 있듯이 식(1)보다 데이터 핀수를 2배로 늘린 식(2)에서 데이터 전송률이 두배 증가하지만 이 경우 칩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어렵고, 메모리 소자간의 호환성이 떨어지며,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핀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칩사이즈가 증가하는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 버스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수보다 2배 넓게 확장함으로써 하나의 Y어드레스에 대해 두 개의 데이터를 출력시켜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다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어레이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n개씩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n개씩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와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연결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를 n개씩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및 제2 버퍼와, 외부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2n 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1 데이터 버스로부터 전송된 2n 개의 데이터를 각각 n개씩 상기 제1 및 제2버퍼에 전송하기 위한 두 개의 제2 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1 및 제2 버퍼와 데이퍼 입출력 패드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n개씩 입,출력하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력 버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타이밍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모리셀 어레이 2 : 제1 데이터 버스
3 : 제2 데이터 버스 4 : 제1버퍼
5 : 제2버퍼 6 : 데이터 입출력 버스
7 : 데이터 입출력 패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장치의 구성블럭을 도시한 것으로,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제1데이타 버스(2)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7)보다 두배가 넓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7)와 상기 제1 데이터 버스(2)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버퍼(4,5)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버스와 메모리 어레이는 최소 2n개의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일시간동안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데이타 버스와 데이터 입출력 패드는 타임 인터리브(time interleave)방식에 의해 n개씩 최소 2n 개의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다수의 메모리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어레이(1)와, 외부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 어레이(1)에 데이터를 쓰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2n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1 데이터 버스(2)와, 상기 제1 데이터 버스(2)로부터 전송된 2n 개의 데이터를 각각 n개씩 타임 인터리브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버퍼(4,5)에 전송하여 일시 저장하도록 하는 제2 데이터 버스(3)와, 상기 제2 데이터 버스의 출력, 즉 상기 메모리 어레이(1)와 데이터 입출력 패드(7)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n개씩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및 제2버퍼(4,5)와, 상기 제1 및 제2버퍼(4,5)의 데이터를 n개씩 출력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 버퍼에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가 로우 액티브되면서 X 어드레스를 받아들여 워드라인을 선택하며, (c)와 같이 상기 X 어드레스에 로우, 도는 하이로 상태전환하는 점을 검출하여 내부 Y셀이 인에이블되어 워드라인과 교차하는 부분의 셀 데이터가 데이터 라인에 실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데이타 버스가 상기 입출력 데이터 패드수보다 최소 2배가 되므로 셀 데이터 또한 최소한 상기 입출력 데이터 패드수보다 두배 이상 실을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버스는 두 개의 16 데이터 버스로 나뉘어져 상기 제1 및 제2버퍼로 연결되며, 예를들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먼저 출력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1버퍼로 연결되며, 나중에 출력되는 데이터는 제2버퍼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b)와 같이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AS*)가 로우 액티브되면, 상기 데이터 입출력 버스(6)를 거쳐 상기 제1 및 제2버퍼로부터 차례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도록 하여 (d) 와 같이 하나의 Y 어드레스에 대해 Y와 Y′의 두 개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버스를 데이터 입출력 패드수보다 2배 넓게 확장하여 Y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가 칼럼 어드레스 선택신호의 상승,하강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아도되고, 데이터 핀의 증가없이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따라 기기의 소형화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수정없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upgrade)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어레이와, 외부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저장할 데이터를 n개씩 입,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와는 최소 2n개의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일시간동안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는 타임 인터리브 방식에 의해 n개식 최소 2n개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 다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어레이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n개씩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n개씩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어레이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외부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2n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1 데이터 버스로부터 전송된 2n개의 데이터를 각각 n개씩 상기 제1 및 제2버퍼에 전송하기 위한 제2 데이터 버스와, 상기 각각의 제2 데이터 버스의 데이터를 n개씩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및 제2버퍼와, 상기 제1 및 제2버퍼와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n개씩 입,출력하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력 버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19960048240A 1996-10-25 1996-10-25 반도체 메모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240A KR100237565B1 (ko) 1996-10-25 1996-10-25 반도체 메모리장치
DE19734719A DE19734719A1 (de) 1996-10-25 1997-08-11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JP9282074A JPH10134576A (ja) 1996-10-25 1997-10-15 半導体メモリ装置
US08/956,355 US5838632A (en) 1996-10-25 1997-10-23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240A KR100237565B1 (ko) 1996-10-25 1996-10-25 반도체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09A KR19980029009A (ko) 1998-07-15
KR100237565B1 true KR100237565B1 (ko) 2000-01-15

Family

ID=1947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2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565B1 (ko) 1996-10-25 1996-10-25 반도체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38632A (ko)
JP (1) JPH10134576A (ko)
KR (1) KR100237565B1 (ko)
DE (1) DE19734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245B1 (en) 1997-02-11 2001-05-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ariable sequence of memory device command signals
US6175894B1 (en) * 1997-03-05 2001-01-16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command buffer apparatus and method and memory devices and computer systems using same
US5996043A (en) * 1997-06-13 1999-11-30 Micron Technology, Inc. Two step memory device command buffer apparatus and method and memory devices and computer systems using same
US5825711A (en) * 1997-06-13 1998-10-2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processing multiple memory addresses
US6484244B1 (en) 1997-06-17 2002-11-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processing multiple memory commands
US6202119B1 (en) 1997-12-19 2001-03-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ipelined memory commands
US6669691B1 (en) * 2000-07-18 2003-12-30 Scimed Life Systems, Inc. Epicardial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and denerv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7796446B2 (en) * 2008-09-19 2010-09-14 Qimonda Ag Memory dies for flexible use and method for configuring memory dies
KR101033490B1 (ko) * 2009-11-30 2011-05-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237A (en) * 1989-05-16 1993-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M data selection on dual-ported DRAM devices
JPH0784870A (ja) * 1993-06-30 1995-03-31 Sanyo Electric Co Ltd 記憶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09A (ko) 1998-07-15
DE19734719A1 (de) 1998-05-07
JPH10134576A (ja) 1998-05-22
US5838632A (en) 199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072B1 (ko) 동기형 다이나믹 램들을 활용한 고성능, 고대역폭 메모리 버스구조체
KR100295046B1 (ko) 개선된싱크로너스디램과로직이하나의칩에병합된반도체장치
US7966446B2 (en) Memory system and method having point-to-point link
US4633440A (en) Multi-port memory chip in a hierarchical memory
US6779074B2 (en) Memory device having different burst order addressing for read and write operations
US67281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ementary command bus
JP2010015685A (ja) 多重プリフェッチi/o構成を備えるデータパスを有するメモリ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000011296A (ko) 메모리버스시스템및이중모드메모리시스템
US563186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54752B1 (ko) 메모리 확장을 위한 로직을 갖는 동기식 sram
KR100237565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US9696941B1 (en) Memory system including memory buffer
JPH0146946B2 (ko)
JPH1166892A (ja) 半導体装置のデータ入出力回路及びデータ入出力方法
CN114064530B (zh) 存储系统、存储控制器和存储芯片
EP0831402A1 (en) Dynamically configuring timing to match memory bus loading conditions
US766490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5363337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with variable addressing of memory cells
KR100299179B1 (ko) 고속동작용반도체메모리소자
US20020113635A1 (en) Memory control circuit
JPH1124989A (ja) 語長可変メモリアクセス方式
KR19990031016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데이터 연속 전송 제어 장치
JPS6150298A (ja) メモリ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