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702B1 -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702B1
KR100235702B1 KR1019960063947A KR19960063947A KR100235702B1 KR 100235702 B1 KR100235702 B1 KR 100235702B1 KR 1019960063947 A KR1019960063947 A KR 1019960063947A KR 19960063947 A KR19960063947 A KR 19960063947A KR 100235702 B1 KR100235702 B1 KR 10023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door latch
coupled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736A (ko
Inventor
천우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7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핸들(21)이 연결되고 조절 수단(40)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제 1 로드(20)와; 도어 래치(31)와 연결되고, 제 1 로드(20)와 결합된 조절 수단(40)의 타측 나사부에 결합되는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1 로드(20)와 제 2 로드(30)의 나사부를 결합하여 제 1 로드(20)와 제 2 로드(3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절 수단(40)으로 구성하여 조절수단(40)에 제 1 로드(20)와 제 2 로드(30)를 결합하여 로드의 절곡된 부분이 변형되어 도어가 잘 열리고 닫히지 않을 때 조절수단으로 로드의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자동 조절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어를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도어를 확실하게 록킹하여 차량의 운행 도중에 도어가 열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본 발명은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 로드를 분리하여 2 개의 로드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움직이는 조절 수단으로 결합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어를 확실하게 닫는데 편의를 제공하고, 차량의 운행 도중에 도어가 열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도어 래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의 내측에 로드(13)를 여러번 절곡하여 도어 래치 어셈블리(14)와 연결시키고, 도어 인사이드 핸들(12)에는 2 개의 로드(13)를 여러번 절곡하여 도어 래치 어셈블리(14)와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1)과 도어 인사이드 핸들(12)의 로드(13)가 여러번 절곡된 상태로 도어 래치 어셈블리(14)와 연결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계속적으로 도어 핸들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로드(13)의 굴곡된 부분에 변형이 생겨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열리지 않아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며, 특히 도어가 확실히 닫히지 않은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다가 도중에 도어가 열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로드를 분리하여 2 개의 로드 사이에 조절 수단을 결합하여 조절수단으로 로드의 변형으로 인해 도어의 열림 닫힘 상태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며, 또한 도어가 열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 래치 로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12: 도어 인사이드 핸들
13: 로드 14: 도어 래치 어셈블리
20: 제 1 로드 21: 도어 핸들
22: 케이블 23: 나사부
30: 제 2 로드 31: 도어 래치
33: 나사부 40: 조절수단
41: 나사공 43: 로드 길이 조절기어
44: 배터리 45: 스위치
46: 구동기어 47: 모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핸들이 연결되고 조절 수단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제 1 로드와; 도어 래치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제 1 로드와 결합된 조절 수단의 타측 나사부에 결합되는 제 2 로드와; 상기 제 1 로드와 제 2 로드의 나사부를 결합하여 제 1 로드와 제 2 로드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절 수단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은 도어 핸들(21)을 케이블(22)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은 나사부(23)를 형성하여 로드 길이 조절기어(43)의 나사부(41)와 결합한다.
상기 제 2 로드(30)의 일측은 도어 래치(31)와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로드(30)의 타측은 나사부(33)를 형성하여, 로드 길이 조절기어(43)의 나사부(41)와 결합하고 상기 조절수단(40)과 도어 래치(31) 사이에는 차량의 여러 부품들 때문에 상기 제 2 로드(30)를 여러번 절곡한다.
상기 조절수단(40)은 로드 길이 조절기어(43)의 외주연에 기어를 형성하여 구동기어(46)를 결합하되 배터리(44)에서 인가된 전원이 스위치(45)를 통하여 모터(47)를 구동하게 되고 모터(47)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기어(46)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로드 길이 조절기어(43)의에 나사공(41)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로드(20)와 제 2 로드(30)의 나사부(23,33)를 결합하여, 상기 제 1 로드(20)의 나사부(23)가 왼나사이면 상기 제 2 로드(30)의 나사부(33)를 오른나사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로드(20)의 나사부(23)가 오른나사이면 상기 제 2 로드(30)의 나사부(33)는 왼나사로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 핸들(21)을 당기면 케이블(22)이 제 1 로드(20)를 내측으로 당기고 상기 조절수단(40)의 나사부(41)에 결합된 제 2 로드(30)가 당겨지게 되므로 조절수단(40)에 결합된 모터(47)의 스위치(45)에 전원이 인가되기 전에 도어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도어를 계속적으로 열고 닫음으로 인하여 제 2 로드(30)의 절곡된 부분에 변형이 생겨 제 2 로드(30)가 도어 래치(31)를 작동하지 못하게 되면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어 핸들(21)을 많이 당기게 되므로 제 1 로드(20)가 내측으로 많이 움직이게 되어 조절수단(40)의 구동기어(46)에 연결된 모터(47)의 스위치(45)가 오프(off)되고, 배터리(44)에서 인가된 전원이 스위치(45)를 통하여 모터(47)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47)의 회전으로 구동기어(46)가 회전하며 로드 길이 조절기어(43)가 회전하면서 제 1 로드(20)와 제 2 로드(30)를 당겨 제 2 로드(30)가 변형되기 전의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수단에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를 결합하여 로드의 절곡된 부분이 변형되어 도어가 잘 열리고 닫히지 않을 때 조절수단으로 로드의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자동 조절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어를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도어를 확실하게 록킹하여 차량의 운행 도중에 도어가 열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도어 핸들이 연결되고 조절 수단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제 1 로드와; 도어 래치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제 1 로드와 결합된 조절 수단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제 2 로드와; 상기 제 1 로드와 제 2 로드의 나사부를 결합하여 제 1 로드와 제 2 로드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는 조절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배터리에서 인가된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스위치의 온 오프로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로드 길이 조절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KR1019960063947A 1996-12-10 1996-12-10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KR10023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47A KR100235702B1 (ko) 1996-12-10 1996-12-10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47A KR100235702B1 (ko) 1996-12-10 1996-12-10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736A KR19980045736A (ko) 1998-09-15
KR100235702B1 true KR100235702B1 (ko) 1999-12-15

Family

ID=1948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947A KR100235702B1 (ko) 1996-12-10 1996-12-10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7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736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228B2 (en) Method of operating a power closure panel
EP2006577B1 (en) Link mechanism
US5794480A (en) Device for driving of sliding roofs, window raisers, or the like
US5746459A (en) Power door latch method and apparatus
JPH07217311A (ja) 終点位置の間で可動な車輌部材の駆動装置
FR2740571A1 (fr) Procede servant a controler le trajet de deplacement d'une piece
KR100235702B1 (ko) 도어 래치 로드 자동 조절장치
GB2167120A (en) Remote power operated rear window device
KR0132361Y1 (ko) 자동차의 도어 유리 이중 구조
KR200149534Y1 (ko) 러버 스토퍼를 갖는 스윙도어 드라이브 샤프트 구조
KR970002076B1 (ko) 승용차의 문짝 자동개폐장치
KR950005606Y1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제어회로
KR100443995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개폐 제어장치.
US5561948A (en) Device for manually controlling a power window of an automobile
KR0135367Y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JPH06247149A (ja) 自動車用サンルーフ駆動制御装置
KR0137313Y1 (ko) 자동차 도어록 구동장치의 강제 해제 방지구조
JPH09235926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0125739Y1 (ko)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KR0135552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닫힘 장치
KR19980058618A (ko) 차량용 사이드 글라스 작동 장치
KR19980044743A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 장치
KR20010109649A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수동 조절구조
KR19980041985U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 손잡이 구조
KR19990016229U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