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317B1 -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 Google Patents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317B1
KR100235317B1 KR1019930005976A KR930005976A KR100235317B1 KR 100235317 B1 KR100235317 B1 KR 100235317B1 KR 1019930005976 A KR1019930005976 A KR 1019930005976A KR 930005976 A KR930005976 A KR 930005976A KR 100235317 B1 KR100235317 B1 KR 10023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ilm container
photographic film
len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142A (ko
Inventor
가쯔오 가마타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93002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 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의 제1 및 제2부분이 각각 제1부분과 제2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와 결합부분 사이의 결합을 통하여 서로 고착된다. 후크의 밑바닥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후크는 경사면을 갖고있고, 경사면은 후크의 결합면을 향하여 후크의 밑바닥으로부터 연장되며 또 구멍뒤의 공간을 막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1부분이 제2부분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막대기형 공구가 구멍속에 삽입된다. 공구는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후크를 밀며 결합부분으로부터 후크의 결합면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후크를 만곡시킨다.

Description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 덮개 부재와 본체 부분사이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필름용기의 부분 수평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고정 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고정 구조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수평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제1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고정구조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수평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를 갖는 셔터 덮개 부재의 부분 수평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필름용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필름용기의 셔터 덮개 부재와 본체 부분 사이의 종래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수평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필름용기의 전면 덮개 부분과 본체 부분사이의 종래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수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부분 5 : 셔터 덮개부분
22 : 후크 22a : 결합면
23 : 결합부분 23a : 결합면
25 : 구멍 26 : 돌기
본 발명은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 용기를 조립하기 위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구조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준다.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이하 "필름용기"라 칭한다)는 예컨대 "퀵스냅(Quick Snap)"이라는 상품명으로 현재 시판중에 있는데, 이것은 사진 필름을 미리 내장시킨 일회용 카메라이다. 이 필름용기는 비싸고 무거운 카메라를 사서 운반하는 일이없이 필요한 때는 언제라도 사진찍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필름용기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면 덮개부분(1), 본체부분(2), 및 후면 덮개부분(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분(2)은 필름 콘테이너(4a)로부터 미리 취출되어 로울 상태로 감긴 노출필름(4)을 수용한다. 촬영 렌즈(9)를 설치하기 위한 셔터덮개부재(5)는 본체부분(2)의 전면에 고착된다. 셔터개방버튼(6)을 누르면, 셔터 작동레버(7)와 셔터 블레이드(8)를 포함하는 노출장치는 장입위치로부터 노출위치로 개방되어 빛이 촬영렌즈(9)를 통과한다. 필름용기를 조립시, 노출장치와 필름감는 장치가 결합되고 노출필름(4)과 필름콘테이너(4a)가 수용되는 본체부분(2)은 빛이 새지 않는 방식으로 후면 덮개부분(3)에 의하여 밀폐된다. 촬영렌즈(9)를 설치하기 위한 셔터 덮개부재(5)는 본체부분(2)의 전면에 고착된다. 그다음 전면 덮개부분(1)은 본체부분(2)의 전면에 고착된다.
이들 부품은 예컨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서로 영구적으로 고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냅인 결합을 통하여 이들 부품을 제거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아주 일반적인 바, 그 이유는 이 방법은 비용 및 조립의 효율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쌍의 후크(10)가 셔터 덮개부재(5)에 일체로 형성되고, 한쌍의 결합부분(11)이 본체부분(2)에 형성되므로, 셔터 덮개부재(5)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10)와 결합부분(11)을 결합시키므로서 본체부분(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유사하게,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덮개부분(1)은 전면 덮개부분과 본체부분(2)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후크(16 및 17) 사이의 결합을 통하여 본체부분(2)에 고정된다.
후크(10)와 결합부분(11)의 결합면(10a 및 11a) 은 셔터 덮개부재(5)가 본체부분(2)에 부착되거나 또는 본체부분(2)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A)에 대하여 사실상 수직이다. 또한 후크(16 및 17)의 결합면(16a 및 17a)도 방향(A)에 대하여 사실상 수직이다.
스냅인 형태의 저면뚜껑(3a)은 후면 덮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저면 뚜껑(3a)은 필름용기로부터 노출사진 필름을 함유하는 필름 콘테이너(4a)를 제거하기 위하여 포토피니셔에 의하여 지레의 작용에 의해 개방된다.
한편, 노출된 사진 필름이 현상 및 인화를 위해 제거된 후 필름용기의 본체가 포토피니셔에 의하여 폐기되기는 하지만, 환경보호 및 산업폐기물의 재생을 위하여, 필름용기의 재사용이 긍정적으로 촉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작자는 사용된 필름용기의 본체를 회수하고자 노력하였다. 회수된 본체는 재질에 따라 개개의 부품을 분류하기 위하여 분해하여야만 한다. 분해시, 부품을 서로로부터 분해시킬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분해공정은 수동에 의하여 행한다. 예컨대 셔터 덮개부재(5) 또는 전면 덮개부분(1)을 본체부분(2)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막대기 또는 스크류 드라이버 같은 공구를 구멍(12 또는 15)에 삽입하고, 후크(10 또는 16)를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공구에 의하여 만곡시켜 결합면(10a 또는 16a)을 각각 결합면(11a 또는 17a)으로부터 제거시킨다. 구멍(12 및 15)은 원래 주형공정에 의하여 결합면(10a 및 16a)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의 제거를 허용하는 구멍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고정구조에 의하면, 제8도 및 제9도에서 쇄선-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를 먼저 방향(A)으로 이동시킨다음 방향(A)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번거로우며 분해의 능률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후크(10 및 16)는 불필요하게 큰 범위로 만곡될 수 있기 때문에 공구에 의하여 만곡시 자주 파손되었다. 후크(10)가 파손된 셔터 덮개부재(5) 또는 후크(16)가 파손된 전면 덮개부분(1)은 새로운 필름용기의 일부로서 직접 재사용될 수 없다.
비록 분해공정을 자동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공구를 상술한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복잡하며 값비싼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구멍속으로의 공구의 삽입정도는 제한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와같은 자동분해 장치는 위치설정 및 기타조작에 있어서 큰 정확성이 요구된다. 더욱이, 이는 필름용기를 분해하는데 드는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용기의 필요부품을 서로에 대하여 고착시키고 필름용기를 효율적으로 분해시킴은 물론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고정구조를 갖는 필름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용기의 저렴한 자동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구조를 갖는 필름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크에 돌기를 제공하여 준다. 각각의 돌기는 후크의 밑바닥으로부터 후크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고 있으며 후크의 밑바닥에 형성되는 구멍뒤의 공간을 막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는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단일방향으로 후크를 밀므로서 후크와 결합되는 결합부분의 결합면으로부터 후크의 결합면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만곡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고정구조는 어떠한 형태의 필름용기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제7도에 도시한 종래의 필름용기에 상당하는 구조를 갖는 필름용기에 대하여 특히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대응하는 부품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이 실시예는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7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필수적인 부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보인 것이다. 셔터덮개부재(5)는 한쌍의 후크(22)를 가지고 있고, 이들 후크는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수평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분(2)은 함께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분(23)을 갖고 있다. 결합부분(23)은 결합면(22a)을 갖고 있고, 이 결합면은 셔텨 덮개부재(5)가 본체부분(2)에 부착될 때 후크(22)의 결합면(22a)과 결합하게 된다.
제1도에서, 화살표(A)는 셔터 덮개부재(5)가 본체부분(2)에 부착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후크(22)는 방향(A)에 대하여 사실상 평행한 방향으로 셔터 덮개부재(5)로부터 돌출되고, 결합면(22a 및 23a)은 방향(A)에 대하여 사실상 수직이다. 따라서, 셔터 덮개부재(5)는 결합면(22a)이 결합면(23a)과 접촉된후 방향(A)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셔터 덮개부재(5)에는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5)은 결합면(22a)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후크(22)의 밑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25)은 후크(22)가 주형공정에 의하여 셔터 덮개부재(5)와 일체로 형성된 후 결합면(22a)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형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구멍(25)의 폭 또는 수평길이는 결합면(22a)의 높이, 즉 결합면(22a)의 밑바닥으로부터 상부(22b)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다.
후크(2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돌기(26)를 갖고 있다. 돌기(26)는 구멍(25)을 향하여 결합면(22a)의 상부(22b)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26a)을 갖고 있다. 돌기(26)의 수직길이는 후크(22)의 수직길이 보다 작다. 즉 결합면(22a)은 돌기(26)에 의하여 돌기(26)의 양 수직측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다.
후크(22)의 자유단부는 셔터덮개부재(5)를 본체부분(2)에 부착시키는 방향으로 후크(22)가 결합된부분(23)에 대하여 압압될 때 후크(22)가 결합부분(23)을 넘게하는 경사면(22c)을 갖고 있다. 결합부분(23)은 결합면(23a)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하는 절단부(23b)를 갖고있어 돌기(26)가 절단부(23b)에 맞추어진다. 또한 결합부분(23)은 경사면(23c)을 갖고있고, 이것을 따라 결합면(22a)의 상부(22b) 결합부분(23)을 넘도록 안내된다.
각각의 결합부분(23)은 본체부분(2)의 전면벽부분(2a)에 형성된 장방형 개구부(27)의 변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면벽부분(2a)의 양 수평 변부에 결합부분(23)을 배치시킬 수도 있다.
본체부분(2)으로부터 셔터 덮개부재(5)를 제거시, 공구를 방향(A)으로 구멍(25)속으로 밀어넣고 돌기(26)의 경사면(26a)에서 후크(22)를 옆으로 민다. 그결과, 후크(22)는 결합면(23a)으로부터 결합면(22a)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상술한 필름용기의 재생이용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사진필름(4)의 모든 프레임의 노출후, 필름용기를 포토피니셔로 전진시킨다. 포토피니셔에서, 노출 필름을 함유하는 필름콘테이너(4a)는 스냅인 형태의 저면 뚜껑(3a)을 지레의 작용에 의하여 개방시키므로서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다. 그다음, 노출된 필름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현상 및 인화한다. 현상된 필름 및 인화된 사진은 고객에게 돌려주고, 빈 용기본체는 제작자에 의하여 회수한다.
회수된 용기본체는 분해공정을 받게한다. 예컨대, 셔터 덮개부재(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둥근 한쌍의 막대기(30)를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 본체부분(2)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시킨다. 막대기(30)는 구멍(25)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막대기(30)는 분해하고자 하는 용기 본체에 대하여 방향(A)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다. 막대기(30)의 최대직경은 폭, 즉 구멍(25)의 수평길이보다 약간작다. 구멍(25)의 폭은 결합면(22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기 때문에, 막대기(30)의 최대직경은 결합면(22a)이 결합면(23a)과 겹치는 결합량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막대기(30)의 최대직경은 결합면(22a 및 23a)사이의 결합량 보다 약간크다.
막대기(30)가 구멍(25)에 삽입되면, 막대기(30)는 돌기(26)의 경사면(26)에 대하여 접촉된다. 따라서, 구멍(25)속으로 막대기(30)를 더욱 밀므로서, 후크(22)는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결합부분(23)을 지나간다. 그다음, 막대기(30)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구멍(25)속에 충분히 삽입되면, 후크(22)는 결합면(22a)이 방금 결합면(23a)을 지나가는 정도까지 만곡된다. 따라서, 셔터 덮개부재(5)를 본체부분(2)으로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후크(22)는 과도하게 만곡되는 것이 방지된다. 후크(22)는 결합면(23a)으로부터 결합면(22a)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최대량까지 만곡된다. 따라서, 셔터 덮개부재(5)가 반복 사용되는 경우에도 후크(22)의 파손은 방지된다.
더욱이, 본체부분(2)으로부터 셔터덮개부재(5)를 제거하는 방향이 막대기(30)를 구멍(25)으로부터 빼내는 방향과 동일하고 또, 막대기(30)가 후크(22)의 탄성으로 인해 후크(22)에 의하여 구멍(25)의 내측벽에 대하여 압착되기 때문에, 단지 막대기(30)를 후방으로, 즉 삽입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구멍(25)에 삽입된 막대기(30)로 셔터 덮개부재(5)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분해 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할 수 있다. 이외에, 막대기(30)를 높은 정확도로 구멍(25)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저동분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재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된 셔터 덮개부재(5)를 사용된 본체부분(2)에 부착시, 셔터 덮개부재(5)를 본체부분(2)의 앞에 위치시킨 다음 본체부분(2)에 대하여 민다. 그러면 후크(22)는 결합부분(23)과 스냅이 결합하게 된다.
비록 후크(22)의 돌기(26)의 상부가 결합면(22a)의 상측변부(22b)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결합면(22a)의 상측변부(22b)와 높이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돌기(26)의 상부를 결합면(22a)의 상측변부(22b)보다 높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돌기(26)의 상부를 상측변부(22b)로부터 방향(A)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에 따라, 분리에 필요한 막대기(30)의 삽입량이 감소된다.
더욱이, 결합면(22a)의 중앙에 배치되는 단일돌기(26) 대신에, 결합면(22a)의 양 수직측부에 몇 개의 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분(23)의 결합면(23a)은 이에 상응하게 변형되어야만 한다.
제4∼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유사한 부품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바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냈다.
셔터 덮개부재(5)는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양 수평 측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후크(32)를 갖고 있다.
본체부분(2)은 함께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분(33)을 갖고 있다. 결합부분(33)은 결합면(33a)을 갖고 있으며, 셔터 덮개부재(5)가 본체부분(2)에 부착될 때 후크(32)의 결합면(32a)이 결합면(33a)에 맞추어진다. 제4도 및 제6도에서, 화살표(A)는 셔터 덮개부재(5)가 본체부분(2)에 부착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나타내며, 결합면(32a 및 33a)은 방향(A)에 대하여 사실상 수직이다. 후크(32)의 자유단부는 후크(32)가 결합부분(33)을 넘게하는 경사면(33c)을 갖고 있다.
셔터 덮개부재(5)에는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35)은 결합면(32a)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후크(32)의 밑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후크(32)는 함께 일체로 형성된 돌기(36)를 갖고 있다. 돌기(36)는 구멍(35)뒤의 공간을 막기위한 방향으로 결합면(32a)을 향하여 구멍(35)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36a)을 갖고 있다. 후크(32)의 만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후크(32)는 돌기(36)의 경사면(36a)으로부터 반대측에 V-형 오목면(36c)을 갖고 있다.
결합부분(33)을 수용하기 위하여 돌기(36)와 결합면(32a)의 사이에 공간(3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셔터덮개부재(5) 본체부분(2)에 부착될때, 결합부분(33)은 공간(37)에 수용되는 한편, 결합부분(33)의 결합면(33a)은 후크(32)의 결합면(32a)과 견고히 접촉된다.
부호(La)는 결합면(32a)이 결합면(33a)과 겹치는 수평길이를 나타내고, 부호(Lc)는 돌기(36)의 상부(36a)로부터 결합면(32a)의 상측변부(32b)까지의 수평거리를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값(La 및 Lc)은 다음과 같이 예정된다. 즉 0 ≤ Lc ≤ La.
구멍(35)은 결합면(32a)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을 제거하는데 통상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구멍(35)의 폭 또는 수평길이는 돌기(36)의 높이 또는 수평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셔터 덮개부재(5)를 본체부분(2)으로부터 제거시, 공구를 방향(A)으로 구멍(35)속으로 밀어넣고 돌기(36)의 경사면(36a)에서 후크(32)를 옆으로 민다. 그결과, 후크(32)는 결합면(33a)으로부터 결합면(32a)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예컨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막대기(40)는 공구로서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막대기(40)의 직경은 결합면(32a 및 33a)사이의 결합량(La)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후크(32)에 대립되는 구멍(35)의 내측벽(35a)을 따라 막대기(40)를 구멍(35)속에 삽입하므로서, 막대기(40)는 변위되는 위험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막대기(40)의 직경은 부호(Lb)가 돌기(36)의 상부(36b)로부터 구멍(35)의 변부(35a)까지의 수평거리를 나타낸다는 전제하에 길이(La + Lb)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
결합면(32a)이 결합면(33a)으로부터 제거되는 위치로 후크(32)가 막대기(40)에 의하여 만곡될 때, 셔터 덮개부재(5)를 본체부분(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돌기(36)의 높이는 결합면(32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기 때문에, 결합면(33a)으로부터 결합면(32a)의 분리에 필요한 막대기(40)의 구멍(35)속으로의 삽입량이 적어질 수 있다.
방금 기술한 고정장치를 갖는 필름용기의 재생이용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용기에 대하여 방향(A)으로 전후 이동가능한 한쌍의 막대기를 갖는 자동 분해장치가 막대기의 크기를 상응하게 결정함으로서 실시예 2의 필름용기의 분리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셔터 덮개부재(5)와 본체부분(2)사이의 고정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필름용기의 어떠한 부품사이의 고정구조에도 이용 가능하다. 물론, 각 부분의 크기가 수평방향 대신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상응하게 결정되어야만 하는 고정구조의 쌍을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4)

  1. 필름이 미리 내장되고 노출기구를 갖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용기에 있어서, 후크에 제1결합면을 형성시키되 상기 후크를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 용기의 제1부분에 일체로 형성시켜 제1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게 하고, 상기 제1결합면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시키고; 제2부분에 결합부분을 형성시키되 상기 제1부분을 상기 제2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밀므로서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제2부분에 결합될 때 상기 제1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면을 상기 결합부분에 형성시키고; 상기 제1결합면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의 밑바닥에서 상기 제1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후크에 돌기를 형성시키되 상기 구멍뒤의 공간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결합면을 향하여 상기 후크의 상기 밑바닥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을 상기 돌기에 형성시키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막대기형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밀므로서 상기 제1결합면이 상기 제2결합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결합면에 반대되는 지역에서 점감되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크기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 보다 크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기형 공구는 상기 제1결합면이 상기 제2결합면과 결합되는 양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높이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 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제1결합면을 상기 제1부분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주형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면과 접촉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분은 상기 돌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결합면을 통하여 연장되는 절단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결합면의 중앙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제1결합면과 정렬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돌기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돌기의 상기 경사면에 반대되는 직역에 V-형 오목면을 형성시켜 상기 후크의 만곡을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13. 필름이 미리 내장되고 노출기구를 갖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에 있어서, 후크에 결합면을 형성시키되 상기 후크를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의 제1부분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면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의 밑바닥에서 상기 제1부분에 형성시키되 상기 구멍은 크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과 동일 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상기 후크에 돌기를 형성시키되 상기 구멍을 향하여 상기 결합면의 상측변부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을 상기 돌기에 형성시키고;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의 제2부분에 결합부분을 형성시키되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제2부분에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후크의 상기 결합면과 결합되게 구성시키고;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제2부분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막대기형 공구에 의하여 상기 돌기가 밀릴 때 상기 후크가 상기 결합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14. 필름이 미리 내장되고 노출기구를 갖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에 있어서, 후크에 제1결합면을 형성시키되 상기 후크를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의 제1부분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의 제2부분에 결합부분을 형성시키되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제2부분에 결합될 때 상기 후크의 상기 제1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면을 상기 결합부분에 형성시키고; 상기 제1결합면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의 밑바닥에서 상기 제1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후크에 돌기를 형성시키되 상기 돌기는 상기 제1결합면을 향하여 상기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을 형성시켜 상기 구멍을 막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 제1결합면이 상기 제2결합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결합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돌기 사이에 공간을 배치시키고; 상기 후크를 만곡시켜 상기 제2결합면으로부터 상기 제1결합면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구멍속으로 삽입된 막대기형 공구에 의하여 밀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KR1019930005976A 1992-04-09 1993-04-09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KR100235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89029A JP2868665B2 (ja) 1992-04-09 1992-04-09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92-89029 1992-04-09
JP92-95488 1992-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42A KR930022142A (ko) 1993-11-23
KR100235317B1 true KR100235317B1 (ko) 1999-12-15

Family

ID=1395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976A KR100235317B1 (ko) 1992-04-09 1993-04-09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68665B2 (ko)
KR (1) KR100235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4383B2 (ja) * 2013-11-20 2016-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組付け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89244A (ja) 1993-11-05
JP2868665B2 (ja) 1999-03-10
KR930022142A (ko) 199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255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method of film reloading therefor
EP0565097B1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GB2198250A (en) Camera-film package
US4804987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KR0154986B1 (ko)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KR100235317B1 (ko)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용기
US5360183A (en) Photographic film cassette having a film anchor
GB2202056A (en) Camera-film package
US6011923A (en) Single use camera having flexure of a front cover constrained by an exposed-film door
US56467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 camera
US5184158A (en) Gate for motion picture camera
EP0631187B1 (en) A leader card attachable to a photographic filmstrip having a lead end with a pair of apertures
CA2172030C (en) Film leader and arrangement for coupling film to leader
US6760544B1 (en) Camera frame assembly having dogged lens mount and recycling method
JP286866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818714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6751408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method for reusing the same
JPH0924418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970004719Y1 (ko) 슬라이드필름 케이스
JP2503330Y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509975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310770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593104A (en) Film spool
US6394671B1 (en) Auto-mechanism for removing film leader card from 35 and APS film after processing
JP294264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