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873B1 - 클럭 신호 입력 버퍼 - Google Patents

클럭 신호 입력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873B1
KR100234873B1 KR1019970006596A KR19970006596A KR100234873B1 KR 100234873 B1 KR100234873 B1 KR 100234873B1 KR 1019970006596 A KR1019970006596 A KR 1019970006596A KR 19970006596 A KR19970006596 A KR 19970006596A KR 100234873 B1 KR100234873 B1 KR 10023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terminal
reference voltage
signal input
inpu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505A (ko
Inventor
정웅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0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8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H03K19/0171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by bootstrapping, i.e. by positive feed-back

Abstract

본 발명은 클럭 신호 입력 버퍼에 관한 것으로, 명령 제어 회로에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클럭 신호 입력 버퍼와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에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클럭 신호 입력 버퍼가 각각 독립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클럭 신호 입력 버퍼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전압 레벨의 기준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가 전압 분배기로 이루어져서 전원 전압의 범위에 비례하는 기준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각각이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독립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구비하여 안정된 레벨 검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럭 신호 입력 버퍼
본 발명은 클럭 신호 입력 버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독립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구비한 클럭 신호 입력 버퍼에 관한 것이다.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티티엘(TTL : transistor transistor logic) 레벨의 신호와 씨모스(CMOS) 레벨의 신호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는 티티엘 레벨의 신호와 씨모스 레벨의 신호의 호환을 위하여 별도의 인터페이스 회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클럭 신호 입력 버퍼가 사용되는데, 클럭 신호 입력 버퍼를 이용한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단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럭 패드(100)를 통하여 입력된 클럭 신호(CLK)와 기준 전압 발생 회로(400)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압(Vref)이 두 개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300)에 각각 입력된다.
두 개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300)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OUT)는 명령 제어 회로(500)와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600)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300)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IN)는 티티엘 레벨의 신호이며, 출력되는 클럭 신호(OUT)는 씨모스 레벨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단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럭 신호 입력 버퍼로서 차동 증폭 회로(210)가 사용되는데, 입력 신호로서 기준 전압(Vref)과 클럭 신호(IN) 및 인에이블 신호(E)가 있으며, 출력신호는 클럭 신호(OUT)가 있다.
이와 같은 차동 증폭 회로(210)를 이용한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병렬 연결된 네개의 PMOS 트랜지스터(Q1∼Q4)의 각각의 소스 단자가 전원 전압(VDD) 단자에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Q1)(Q2)의 드레인 단자는 서로 단락되어 NMOS 트랜지스터(Q5)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며, PMOS 트랜지스터(Q3)(Q4)의 드레인 단자도 서로 단락되어 NMOS 트랜지스터(Q6)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다.
또 PMOS 트랜지스터(Q1)(Q4)의 게이트 단자에는 인에이블 신호(E)가 입력되며, PMOS 트랜지스터(Q2)(Q3)의 게이트 단자는 서로 단락되어 PMOS 트랜지스터(Q2)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능동 부하로 동작한다.
또 PMOS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 단자에 나타나는 신호가 클럭 신호(OUT)로서 출력된다.
NMOS 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 단자에는 클럭 신호(IN)가 갖는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중심 전압인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되며, NMOS 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 단자와 접지 전압(VSS) 단자 사이에는 NMOS 트랜지스터(Q7)를 이용한 캐패시터(220)가 연결되어 있어 기준 전압(Vref)이 NMOS 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 단자에 직접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작용을 한다.
NMOS 트랜지스터(Q6)의 게이트 단자에는 클럭 신호(IN)가 입력되는데, 이와 같은 NMOS 트랜지스터(Q6)의 게이트 단자와 접지 전압(VSS) 단자 사이에는 NMOS 트랜지스터(Q8)를 이용한 캐패시터(230)가 연결되어 있어 입력 클럭 신호(IN)가 NMOS 트랜지스터(Q6)의 게이트 단자에 직접 입력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NMOS 트랜지스터(Q5)(Q6)의 소스 단자는 서로 단락되어 NMOS 트랜지스터(Q9)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Q9)의 소스 단자에는 두개의 NMOS 트랜지스터(Q10)(Q11)가 직렬 연결되며, 이와 같이 직렬 연결된 세개의 NMOS 트랜지스터(Q9)(Q10)(Q11)의 게이트 단자에는 인에이블 신호(E)가 입력된다.
NMOS 트랜지스터(Q10)의 소스 단자와 접지 전압(VSS) 단자 사이에는 스위치(SW1)가 연결되어 있으며, NMOS 트랜지스터(Q9)의 소스 단자와 접지 전압(VSS) 단자 사이에도 스위치(SW2)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세 개의 NMOS 트랜지스터(Q9)(Q10)(Q11)은 차동 증폭 회로(210)의 전류원으로 동작하며, 이때 스위치(SW1)(SW2)는 각각 NMOS 트랜지스터(Q10)(Q11)와 접지 전압(VSS) 단자 사이를 스위칭 제어하여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로 동작의 초기 상태에서는 인에이블 신호(E)가 로우 레벨로 되어 PMOS 트랜지스터(Q1)(Q4)를 턴 온 시킨다.
PMOS 트랜지스터(Q1)(Q4)는 PMOS 트랜지스터(Q2)(Q3)와 비교하여 그 채널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 소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Q5)(Q6)에도 소량의 전류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Q5)(Q6)에 소량의 전류를 인가하는 까닭은 입력된 클럭 신호(IN)의 레벨에 따른 NMOS 트랜지스터(Q5)(Q6)의 스위칭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인에이블 신호(E)가 하이 레벨로 되어 회로가 동작하면 PMOS 트랜지스터(Q1)(Q4)는 턴 오프된다.
이때 클럭 신호(IN)가 기준 전압(Vref)보다 하이 레벨인 경우에 NMOS 트랜지스터(Q6)는 턴 온되지만, NMOS 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Vref)은 클럭 신호(IN)가 갖는 전압 범위의 중심 전압이기 때문에 완전히 턴 온되지 않는다.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Q5)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Q6)를 통하여 인가되고, 이 전류의 값과 PMOS 트랜지스터(Q3)가 갖는 저항값의 곱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압이 NMOS 트랜지스터(Q6)의 드레인 단자와 PMOS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 단자가 단락되어 이루어진 노드의 전압이다.
이 전압은 곧 클럭 신호(OUT)의 전압으로서 하이 레벨이며, 그 전압 범위는 차등 증폭 회로(210)가 갖는 이득에 비례한다.
상술한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는 티티엘 레벨의 클럭 신호를 씨모스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술한 차동 증폭 회로(210)의 이득값을 적절히 설정하여 티티엘 레벨의 클럭 신호(IN)를 씨모스 레벨의 클럭 신호(OUT)로 변환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클럭 신호(IN)가 기준 전압(Vref)보다 낮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NMOS 트랜지스터(Q6)는 턴 오프되고,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Q6)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양은 NMOS 트랜지스터(Q5)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Q6)의 드레인 단자의 전압이 낮아짐에 따라 클럭 신호(OUT)의 레벨도 로우 레벨로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는 공급되는 전원 전압(VDD)의 범위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기준 전압(Vref)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전압(VDD)의 전체 범위에서 기준 전압(Vref)의 위치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클럭 신호(IN)의 레벨 검출 속도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독립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구비하여, 안정된 레벨 검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클럭 신호 입력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럭 패드 200,300 : 클럭 신호 입력 버퍼
400,700 : 기준 전압 발생 회로 500 : 명령 제어 회로
600 :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 Q1∼Q25 : MOS 트랜지스터
210 : 차동 증폭 회로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명령 제어 회로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클럭 신호 입력 버퍼와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클럭 신호 입력 버퍼가 각각 독립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클럭 신호 입력 버퍼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전압 레멜의 기준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가 전원 전압의 범위에 비례하는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럭 신호 입력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에는 클럭 패드(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클럭 신호(CLK)와 기준 전압 발생 회로(700)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압(Vref1)이 입력된다.
클럭 신호 입력 버퍼(300)에는 클럭 패드(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클럭 신호(CLK)와 기준 전압 발생 회로(400)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압(Vref2)이 입력된다.
두 개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300)에서 각각 출력되는 클럭 신호(OUT1)(OUT2)는 명령 제어 회로(500)와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600)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클럭 신호 입력 버퍼(200)(300)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IN)는 티티엘 레벨의 신호이며, 출력되는 클럭 신호(OUT)는 씨모스 레벨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에 기준 전압(Vref1)(Vref2)를 인가하기 위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의 일례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준 전압 발생 회로는 전압 분배기로 이루어져 있다.
PMOS 트랜지스터(Q21)의 소스 단자가 전원 전압(VDD)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단락되어 PMOS 트랜지스터(Q23)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Q23)의 드레인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Q25)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며, PMOS 트랜지스터(Q25)의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는 단락되어 접지 전압(VSS) 단자에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Q22)의 소스 단자는 전원 전압(VDD) 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Q21)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Q23)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Q24)의 소스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Q22)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노드(N)를 형성하여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하고, 게이트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Q23)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는 접지 전압(VSS) 단자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PMOS 트랜지스터(Q21)(Q25)는 일종의 저항 소자로서 동작하며, PMOS 트랜지스터(Q21)(Q23)(Q25)는 모두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다.
또 PMOS 트랜지스터(Q22)(Q24)도 상호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데, 이때 PMOS 트랜지스터(Q21)(Q23)(Q25)는 PMOS 트랜지스터(Q22)(Q24)가 갖는 저항값의 두배의 저항값을 갖는다.
즉, 전원 전압(VDD)이 변화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전압 분배기를 통하여 노드(N)에는 항상 전원 전압(VDD)의 1/2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각각의 입력 버퍼마다 구비하도록 하여 각각의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절절한 기준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며, 이때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또는 입력 버퍼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변화하더라도 변화한 전원 전압에 따라 기준 전압도 함께 변화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적절한 기준 전압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독립된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구비하여 안정된 레벨 검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입력된 클럭 신호의 전압 범위를 변환시켜 명령 제어 회로와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로 각각 출력하는 다수개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가 차동 증폭 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동 증폭 회로의 제1입력단에 기준 전압이 입력되고 제2입력단에 상기 클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클럭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클럭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 다음, 상기 차동 증폭 회로가 갖는 이득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의 전압 범위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클럭 신호 입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회로는 전원 전압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저항 소자와; 접지 전압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2저항 소자와; 상기 제1저항 소자와 상기 제2저항 소자 사이에 각각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연결된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전압 단자와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각각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지 전압 단자와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각각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 제3피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공급 전원의 전압 범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공급 전원의 전압 범위의 변화에 비례하는 가변적인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인 클럭 신호 입력 버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다수개의 클럭 신호 입력 버퍼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클럭 신호 입력 버퍼.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 소자 또는 상기 제2저항 소자는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단락되어 이루어진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이 특징인 클럭 신호 입력 버퍼.
KR1019970006596A 1997-02-28 1997-02-28 클럭 신호 입력 버퍼 KR10023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596A KR100234873B1 (ko) 1997-02-28 1997-02-28 클럭 신호 입력 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596A KR100234873B1 (ko) 1997-02-28 1997-02-28 클럭 신호 입력 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505A KR19980069505A (ko) 1998-10-26
KR100234873B1 true KR100234873B1 (ko) 1999-12-15

Family

ID=1949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596A KR100234873B1 (ko) 1997-02-28 1997-02-28 클럭 신호 입력 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326B1 (ko) * 1999-10-19 2002-02-16 박종섭 입력 버퍼 회로
KR100484257B1 (ko) * 2002-09-12 2005-04-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차동증폭형 입력 버퍼
KR100673899B1 (ko) 2005-03-02 2007-0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데이터 입력 버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505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5308A (en) Two input-two output differential latch circuit
US5907259A (en) Operational amplification circuit capable of driving a high load
JP3079515B2 (ja) ゲ−トアレイ装置及び入力回路及び出力回路及び降圧回路
JP2525346B2 (ja) 定電流源回路を有する差動増幅回路
US5640122A (en) Circuit for providing a bias voltage compensated for p-channel transistor variations
KR20020081054A (ko) 반도체 집적 회로
US6611157B2 (en) Differential signal output circuit
US5148164A (en) Current generating device for complementarily generating two currents of different magnitudes in response to one-bit data
US6653892B2 (en) Squelch circuit to create a squelch waveform for USB 2.0
EP0485973B1 (en) Switching constant current source circuit
US6400219B1 (en) High-speed offset comparator
US7250793B2 (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driving apparatus
EP0439158B1 (en) High speed level conversion circuit
US5706006A (en) Operational amplifier incorporating current matrix type digital-to-analog converter
US7262638B2 (en) Current sense amplifier
KR19990087228A (ko) 내부전압 기준출력 구동기
KR100234873B1 (ko) 클럭 신호 입력 버퍼
US6060940A (en) CMOS output stage for providing stable quiescent current
US20070024367A1 (en) Operational amplifier and constant-current generation circuit using the same
US4965471A (en) BI-CMOS clock driver with reduced crossover current
KR100210843B1 (ko) 클럭 신호 입력 버퍼
KR100243336B1 (ko) 차동 증폭기
KR100243263B1 (ko) Rc 오실레이터용 슈미트트리거 회로
US5004938A (en) MOS analog NOR amplifier and current source therefor
JPH09116419A (ja) レベルシフ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