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523B1 -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코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523B1
KR100234523B1 KR1019910021801A KR910021801A KR100234523B1 KR 100234523 B1 KR100234523 B1 KR 100234523B1 KR 1019910021801 A KR1019910021801 A KR 1019910021801A KR 910021801 A KR910021801 A KR 910021801A KR 100234523 B1 KR100234523 B1 KR 10023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tent
solder joint
contact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993A (ko
Inventor
마이클알버트비셀리
로버트네일화이트만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620,976 external-priority patent/US5037334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620,602 external-priority patent/US5080596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620,605 external-priority patent/US5071372A/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2001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Solder tail)를 복수열로 정확한 위치를 맞추어서 유지하는 직각 전기 코넥터가 제공된다.
절연하우징의 결합면(26)에서 후면(28)에 걸쳐서 결합부(36)를 가지고, 후방으로는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형성한 납땜 접속부(38)를 가지는 복수의 콘택트(34)가 설치되어 있다.
납땜 접속부(38)는 복수의 평행 채널(42)을 가지는 스페이서판(22)의 채널(42)에 복수의 디텐트(72, 74)가 복수열로 정렬되고 있다. 스페이서판(22)의 채널(42)에는 복수의 비임이 형성된다. 또, 채널(42)의 양단과 플랜지(202, 302)간에는 채널과 같은 작용을 하는 가교부(206, 306)가 붙은 슬롯(200, 30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 코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판 부착형 전기 코넥터의 바람직한 1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전기 코넥터로부터 콘택트를 제외한 상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드형 전기 코넥터의 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스페이서판의 채널 중앙부의 디텐트(detent)를 가리키는 부분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스페이서판의 채널의 최전방 디텐트를 가리키는 부분평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스페이서판의 상면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납땜 접촉부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디텐트와 제6도의 납땜 접속부를 가리키는 도면.
제8도는 제1도의 디텐트와 납땜 접속부를 가리키는 도면.
제9도는 제1도의 스페이서판의 채널을 가리키는 부분 확대 평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스페이서판과 최전열의 콘택트용 납땜 접속부를 가리키는 평면도.
제11도는 최전열의 콘택의 납땜 접속부가 삽입 유지된 제1도의 스페이서판에 제2열의 납땜 접속부를 삽입하고 있는 평면도.
제12도는 제1 및 제2열의 납땜 접속부가 삽입유지된 제1도의 스페이서판에 제3열의 납땜 접속부를 삽입하고 있는 평면도.
제13도는 제1 내지 제3열의 납땜 접속부가 삽입유지된 제1도의 스페이서판에 제4(최후)열의 납땜 접속부를 삽입하고 있는 평면도.
제14도는 제1 내지 제4열의 모든 납땜 접속부가 채널의 디텐트에 삽입유지된 제1도의 스페이서판의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에 사용하는 스페이서판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16도는 선 16-16에 따르는 스페이서판의 채널 및 디텐트의 확대단면도.
제17도는 하우징내의 하측용 콘택트 수용통로의 콘택트를 가리키는 도면.
제18도는 스페이서판의 채널에 17의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삽입 유지한 상태를 가리키는 부분단면도.
제19도는 하우징내의 상측열용 콘택트 수용통로의 콘택트를 가리키는 도면.
제20도는 스페이서판의 채널에 제19도의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삽입 유지한 상태를 가리키는 부분단면도.
제21도는 스페이서판의 채널의 전방 2열 디텐트와 후방 2열 디텐트에 상이한 폭의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삽입 유지한 상태를 가리키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 전기 콘넥터
22 : 스페이서판 24 : 하우징
34 : 콘택트 40 : 납땜 접속부
46 : 채널 70, 72, 74 : 디텐트(detent)
200, 200', 300, 300' : 슬롯 206, 206', 306, 306' : 연결부
414, 416, 438, 440, 444, 446 : 정지 돌기
본 발명은 전기 코넥터, 특히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납땜 접속부를 가지는 복수의 콘택트를 정렬하여 유지하는 콘택트 스페이서를 갖춘 직각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직각코넥터는 일반적으로 회로판(프린트기판)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것과 결합하는 상대 코넥터는, 이 회로판과 평행방향으로 삽입 결합한다. 직각코넥터의 콘택트는 회로판에 평행한 결합부와 코넥터가 장치되는 회로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납땜 접속부(solder tail)를 가지고 있다.
이 납땜 접속부는 회로판상의 회로와 상호 접속된다. 납땜 접속부는 SMT(surface mount solder tail)형 또는 스루-홀(through-hole)형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스푸-홀형 납땜 접속부는 회로판의 도금처리를 한 스루-홀내에 삽입되고, 그곳에 납땜으로 접속된다. 회로판상의 스루-홀이나 SMT용랜드의 어레이(array)는 코넥터에서 뻗는 납땜 접속부와 동일한 패턴 및 간격을 갖는다.
코넥터 납땜 접속부의 수평위치는 소정의 납땜 접속 어레이패턴을 가지는 양산(量産)된 코넥터가 대응하는 도금처리 스루-홀 또는 패드의 패턴을 가지는 양산된 회로판과 적합하도록 보증하는 것이 오랜 주요사항이었다. 납땜 접속부를 소정의 어레이형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여러 가지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그 하나는 코넥터 하우징을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하고, 그 한부품에 위치 결정판을 사용하고, 코넥터의 장착면에서 돌출하는 납땜 접속부의 패턴과 간격에 대응하는 개구(開口) 어레이를 가진다. 모든 콘택트가 코넥터 하우징내에 삽입된 후, 납땜 접속부의 단부로부터 위치결정판을 삽통하여 코넥터 하우징에 고정한다(미국특허 제4,080,041호 참조). 이 전형적인 스페이서판에 의해 각 납땜 접속부는 위치결정판의 대응하는 개구에 수용된다.
위치결정판이 코넥터의 절연하우징과 일체인 경우에는, 슬롯형 위치결정판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 종류의 설계에도 여러 가지 것이 있다. 콘택트를 코넥터의 콘택트 수용통로내에 삽입하여, 납땜 접속부를 위치결정판의 슬롯내에 구부려서 콘택트의 결합(접촉)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미국 특허 제4,210,376호에는 하단근방의 콘택트에 유지란스(retaining lance)가 설치된 형식의 직각 코넥터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스페이서판의 채널 측벽의 부에 란스가 삽입되어서, 콘택트를 채널내에 유지한다. 인출형 와이어 콘택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번갈아 형성된 깊은 채널과 얕은 채널이 사용가능하다. 이들 채널은 매우 좁은 입구부와 큰 내단(內端)을 갖는다. 내단은 와이어 도체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져야만 하며, 좁은 입구부는 도체가 채널내에 압입되는 폭이 아니면 안된다.
미국특허 제3,493,916호는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직각 코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단자의 후단부는 일련의 비교적 긴 제1슬롯 또는 비교적 짧게 코넥터의 플랜지부에 후방으로 뻗는 제2슬롯을 통하여 후방으로 뻗는 후단부를 가진다. 미국특허 제4,491,676호는 슬롯형 위치결정판을 사용하고, 각 슬롯의 폭은 납땜 접속부보다 좁다. 2열의 콘택트 수용통로의 각 콘택트 수용통로와 각 슬롯은 위치에 맞추어져 있다. 각 슬롯은 위치결정판의 슬롯의 평행벽내의 凹 부에 의하여 각 슬롯에는 2개의 디텐트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열의 납땜 접속부는 앤빌의 둘레에 구부러져서 위치결정판의 슬롯의 전방 디텐트에 밀어 넣어진다. 그 후, 상측열의 납땜 접속부가 구부러지게 되어 위치결정판의 슬롯의 후방 디텐트에 밀어 넣어진다.
또, 미국특허 제4,789,46호는 납땜 포스트 위치결정 및 유지장치를 가지는 직각 코넥터를 개시한다. 이 콘택트는 1열의 콘택트 수용통로에 모두 동시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납땜 접속부가 납땜 포스트용 스페이서판의 프로파일 채널내에 번갈아 삽입된다. 납땜 포스트가 채널내에 삽입될 때, 인접 채널간의 포스트용 스페이서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콘택트의 열마다 달리한 실효비임 길이로 가로방향으로 휘어진다. 콘택트는 각 채널의 디텐트내에 착좌(着座)된다.
중요한 기능을 갖는 수직위치는 코넥터를 회로판에 장착하여, 모든 납땜 접속부가 양호한 납땜을 가능케 하도록 회로판의 저면에서 수정치수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보증할 수 있게끔 검사한다. 코넥터를 회로판에 로봇트를 사용하여 자동조립하기로 되어 있고, 회로판에의 장착시뿐만 아니라 운송 및 취급시에 납땜 접속부의 수직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일층 중요하게 되었다. 로봇트에 의한 자동조립에는 코넥터 조립체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각 특징점을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각 중요점의 위치는 납땜 접속부의 단부로서, 회로판에 코넥터를 장착할 때 납땜 접속부의 단부가 회로판의 도금처리한 스루-홀의 어레이에 확실히 삽입되는 것을 보증한다. 납땜 접속부를 스루-홀의 어레이에 삽입중에, 납땜 접속부를 스루-홀의 중심에 강제적으로 맞춤으로써 양호한 납땜 접속을 가능케 하는데 충분한 치수의 납땜 접속부가 회로판의 저면으로부터 돌출치 않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두께 약 1.6㎜의 회로판의 경우에는 납땜 때문에 납땜 접속부가 회로판의 저면으로부터 약 1.6㎜ 돌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코넥터의 조립중에, 납땜 접속부의 선단은 허용되는 납땜접속을 행하기 위하여 회로판의 저면으로부터 충분히 돌출하도록 하우징 장착면의 하방에 최저 약 3.2㎜ 위치로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미국특허 제4,842,528호는 스페이서판에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받는 채널을 가지는 직각 코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납땜 접속부는 스페이서판의 하방 또는 상하 양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는 정지수단(스토퍼)를 가져서, 납땜 접속부가 스페이서판을 통하여 축방향에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납땜 접속부는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납땜 접속부를 스페이서판에 대하여 예정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그 선단의 정확한 위치를 보증하는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 유지장치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수의 채널을 가지는 스페이서판의 양단의 채널이 다른(중앙부) 채널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가 스페이서판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되고, 콘택트가 코넥터에 조립된 후에는 납땜 접속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전기 코넥터의 과제를 해결하는 신규인 스페이서부착 전기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하우징내에 2열로 배열한 복수의 콘택트를 가지는 직각 코넥터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절연하우징의 후부에 복수의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평행 채널이 형성된 스페이서판을 설치하고, 이 스페이서판의 각 채널에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복수개 삽입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각 채널에 삽입되는 복수의 납땜 접속부중 삽입단에서 떨어진 납땜 접속부의 폭을 삽입단 근방의 납땜 접속부의 폭보다 좁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되어도 먼저 삽입되는 콘택트에 의하여 채널에 변형되고, 후에 삽입되는 콘택트의 유지력이 저하하는 것을 막는다. 다시 말하면, 동일 채널에 순차삽입되는 복수의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가 모두 확실하게 스페이서판에 삽입 유지하도록 한다. 또 모든 콘택트에는 거의 균일한 유지력이 작용한다.
다음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채널이 평행으로 형성된 스페이서판에는 양단의 채널의 바깥측에 거의 평행으로 슬롯을 형성하고, 각 슬롯은 그 긴 방향으로 연결된 연결부를 가진다. 이 슬롯에 의하여 중앙부의 채널도 양단의 채널과 함께 실질적으로 동등한 특성을 가지고, 콘택트를 원활 또는 확실히 삽입 유지하도록 한다.
또, 제3의 발명에 의하면, 각 콘택트의 스페이서판의 채널과 대응위치의 양측에 광폭부를 형성하고, 또한 채널에 미소한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각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가 축방향에 이동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 전기 코넥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 전기 코넥터(이하 단지 "코넥터"라 함)(20)는 콘택트 스페이서판(이하 단지 "스페이서판"이라 함)(22) 및 복수의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40)(제3도 참조)를 가진다. 이 스페이서판(22)에는 테이퍼형 측벽을 가지는 다수의 채널(4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납땜 접속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코넥터(20)는 적당한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 유전체(절연)하우징(이하 단지 "하우징"이라 함)(24)을 가지고 있다. 또, 이 하우징(24)은 결합면(26), 이것과 반대측의 후면(28) 및 결합면(26)과 직각의 장착면(30)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로(32)가 결합면(26)에서 후면(28)으로 향하여 뻗고, 그 내부에 콘택트(34)가 고정된다. 콘택트(34)는 하우징의 후면(28)에서 콘택트 수용통로(32)내에 뻗는 결합(또는 접촉)부(36) 및 장착부(38)를 가진다. 이 콘택트(34)는 핀 또는 소켓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장착부(38)는 전형적으로 납땜 접속부(40)를 가지며, 하우징 후면(28)에서 후방으로 뻗은 후 하방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스페이서판(22)내의 채널(42)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뻗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판(22)은 하우징(24)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코넥터(20)의 실드(차폐)형의 것은, 제3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다이캐스트 부재(44) 및 인발셸(46)등으로서 하우징(24)의 적어도 일부분을 도전부재로 포위하고 있다. 또, 제3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판(22)은 코넥터 수용통로(32)와 거의 평행이며, 하측통로(56)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하우징(24)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뻗는다.
도전성 일반 셸(46)은 하우징(24)의 융기부(隆起部)(48)와 동일 형상이다. 시라우드(50)는 극성(極性)제공을 위하여 사다리꼴형 또는 초소형 D자형상을 할 수도 있다.
콘택트(34)는 소정의 스트립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콘택트는 2열의 콘택트 수용통로(54, 56)내에 삽입되고, 납땜 접속부(40)는 엇갈림 상태로 4열(58, 60, 62 및 64)로 형성된다. 코넥터(20)의 제조중에, 장착부(38)가 형성된 콘택트(34)는 미국특허 제4,789,346호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후면(28)으로부터 콘택트 수용통로(32)내에 삽입된다. 여기서, 미국특허 제4,789,346호는 종래기술로서 인용한다. 결합부(36)가 통로(32)내에 삽입되면, 납땜 접속부(34)는 스페이서판(22)의 후면(52)으로부터 대응하는 채널(42)내에 삽통된다. 결합부(36)는 측벽(68)에 마찰결합하는 바 - 브(barb)(66)으로부터 통로(32)내에 유지된다.
제2도는 콘택트(34)를 제거한 코넥터(20)의 상면도를 가리키고, 이것에 의하여 스페이서판(22)을 보기 쉽게 하고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채널(42)은 서로 이격된 1쌍의 디텐트(70), 즉 전방 디텐트(72)와 후방 디텐트(74)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채널(42)의 디텐트(70)는 채널(42)과 가로방향으로 위치가 맞추어져 있는 열(54, 56)의 콘택트 수용 통로내에 장착되어 있는 콘택트(34)의 대응하는 납땜 접속부를 받는다. 납땜 접속부(40)의 엇갈림 구성은, 엇갈림형 채널(42)의 하우징 후면(28)에 접근하여 이간시킨 디텐트(70)를 배치함으로써 달성하고 있다. 즉, 채널(42a)의 디텐트를 채널(42b)의 디텐트보다도 하우징 후면(28)에 접근시킨다. 이들 디텐트(72)는 4열을 형성한다. 각 디텐트열의 모든 디텐트는 하우징 후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또 후면(52)은 하우징 후면(28)에 접근시킨다. 이들 디텐트(72)는 4열을 형성한다. 각 디텐트열의 모든 디텐트는 하우징 후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또, 후면(52)는 하우징 후면(28)과 평행이기 때문에, 각 디텐트열의 디텐트는 모두 후면(52)으로부터도 등거리이다.
콘택트(34), 특히 열(58)에 삽입되어야 할 납땜 접속부를 가지는 콘택트(34a)는 통로의 하측열(56)의 번갈아 있는(한개 건너)의 콘택트 수용통로(32)내에 밀어 넣어지고, 동시에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40)는 통로(32)와 위치를 맞춘 대응채널(42a)내에 넣어져, 최전방의 디텐트(72)내에 유지된다.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가 열(58)을 형성한다.
다음은, 콘택트중 지정된 콘택트(34b)는 통로의 하측열(56)내에 남은 콘택트 수용통로(32)에 밀어 넣어진다. 동시에, 콘택트(34b)의 납땜 접속부(40는 통로(32)와 위치가 맞추어진 대응채널(42b)내에 넣어져 전방 디텐트(72)내에 삽입된다. 콘택트(34b)의 납땜 접속부가 열(60)을 형성한다. 그후, 콘택트중 지정된 콘택트(34c)는 통로의 상측열(54)에 번갈아 있는 콘택트 수용통로(32)내에 넣어지고, 동시에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는 통로(32)와 위치를 맞춘 대응채널(42a)내에 삽통되고 후방 디텐트(74)에 삽입된다.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는 열(62)을 형성한다.
최후로, 콘택트중 지정 콘택트(34d)는 통로의 상측열(54)의 남은 콘택트 수용통로(32)에 삽입되어서 후방 디텐트(74)에 삽입된다.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가 열(64)를 형성한다.
각 채널(42)은 후면(52)에 개구를 가지고, 그 입구는 넓어진 납땜 접속부(4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채널(42)사이에는, 스페이서판(22)의 전단(78)과 일체로 비임이 형성되고, 후면(52) 근방에 자유단에 뻗는다. 후방 디텐트(74)가 채널(42b)보다 채널(42a)이 더욱 깊게 우묵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채널(42a)은 채널(42b)보다도 채널(42)에 따라서 보다 길게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4도는 스페이서판(22)의 채널(42a) 또는 (42b)의 전형적인 중간채널 디텐트(70)을 가리킨다. 제5도는 채널(42a)의 최전방 디텐트(72)의 전형예를 가리킨다. 제6도는 스페이서판(22)의 상면(76)위치에서의 납땜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전면(80)는 테이퍼면(82), (84)를 가지고, 납땜 접속부의 삽입시에 채널의 측벽과 결합하고, 이것에 의하여 채널간의 비임을 휘게 하여 그 사이에 납땜 접속부(40)가 통과 될 수 있게끔 한다. 후면(94)의 각 (86, 88)은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납땜 접속부(40)는 약간의 압축결합으로 디텐트(70)내에 고정하여도 좋다 .작은 가로방향의 힘을 디텐트내의 납땜 접속부에 유지하고, 납땜 접속부가 내부에 유지되도록 한다. 디텐트(70)는 제4도 및 제5도를 제6도와 비교하면 명백한 것과 같이, 납땜 접속부의 단면과 거의 같은 형상으로 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4도 및 제5도의 디텐트(70)내에 삽입된 납땜 접속부(40)를 가리킨다. 테이퍼면(82, 84)은 디텐트(70)를 삽통하여 채널(42)에 따라서 납땜 접속부(40)가 채널 측벽면(96, 98)과 결합한다. 납땜 접속부(40)의 측면(90, 92)은 디텐트(70)의 측벽(100, 102)과 실질적으로 결합한다. 납땜 접속부(40)의 후면(94)의 각(86, 88)은 제조과정에서 약간만 둥글게 만들어진 후방의 코어(104, 106)와 마찰결합한다. 납땜 접속부(40)의 후면(94)은 실질적으로 후벽(108, 110)과 맞닿는다.
제2도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판(22)은 인접채널(42a), (42b)간에 비임을 형성하고, 납땜 접속부(40)를 채널(42)내에 삽통하면 이 비임은 디텐트(70)내에 유지하는 실효비임길이로서 가로방향으로 한다. 각 비임은 후면(52)에 원단(遠端)을 가지고, 채널의 깊이에 따라서 전방으로 뻗고, 전단(78)은 스페이서판(2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임에는 비임(120)과 (122)의 2종류가 있고, 인접 채널(42)간에 형성된다.
콘택트(34a)는 하우징(24)에 최초로 삽입된다. 제2도, 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콘택트(34a)가 최초에 채널(42a)내에 삽입되면, 비임(122)은 좌측으로, 비임(120)은 우측으로 된다. 납땜 접속부(40)가 삽입구의 테이퍼면(124)을 통과할 때, 비임(122)은 탄성적으로 좌측으로 휘게 되고, 다른쪽 비임(120)은 탄성적으로 우측으로 휘게 되고, 양 비임(120, 122)은 유효비임길이(126)로 된다(제9도).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인 벽면을 가지는 채널(42a)의 제1영역(128)에 들어간다. 그후, 납땜 접속부(40)는 후방 디텐트(74)에 들어가고, 거기서 비임(120, 122)은 탄성적으로 휘지 않는 위치로 복귀한다.
결합부(36)를 통로(32)내로 향하여 이동을 계속하고 또한 납땜 접속부(40)가 채널(42a)을 통과하면, 테이퍼 붙은 각(82, 84)이 후방 디텐트(74)의 테이퍼면(96, 98)과 접촉하여 비임(120) 및 (122)를 각각 좌측 및 우측에 탄성적으로 휘게 한다. 이들 비임도 실효비임길이(126)이다.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벽면을 가지는 채널(42a)의 제2영역(130)에 들어가고 또한 통과한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그 삽입방향으로 넓어지는 채널(42a)의 제1과도영역(132)을 통과한다. 이 제1과도영역(132)에서 비임(120 및 122)은 휘지 않은 위치에 복귀한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인 벽면을 가진다. 채널(42a)의 제3영역(134)에 들어가고 이것을 통과한다. 납땜 접속부(40)가 이 제3영역(134)을 통과하면, 비임(120, 122)은 거의 휘지 않는 위치에 멈춘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그 삽입방향으로 좁아지는 채널(42a)의 제2과도영역(136)을 통과한다. 테이퍼 붙은 각(82, 84)과 과도영역(136)의 측벽간의 작용에 의하여 비임(120)은 좌측으로, 비임(122)은 우측으로 탄성적으로 휘고, 이 경우의 실효비임길이는 양쪽 공히 126이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한 벽면을 가지는 채널(42a)의 제4영역(138)내에 들어가서, 여기를 통과한다. 다음에,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40)는 채널(42a)의 전방 디텐트(72)에 들어가고, 여기서 비임(120, 122)은 탄성적으로 휘는 것이 없는 위치로 복귀시키고, 납땜 접속부(40)를 전방 디텐트(72)내에 유지한다.
하우징(24)내에 삽입되는 다음의 콘택트는 콘택트(34b)이며, 채널(42b)에 삽입된다. 제2도, 9도 및 제11도를 참조하면, 콘택트(34b)가 채널(42v)내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비임(120)은 좌측으로, 비임(122)은 우측으로 있다. 조립의 이 단계에서,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40)는 채널(42a)의 디텐트(72)내에 유지가 끝난 것이다.
납땜 접속부(40)가 입구의 테이퍼면(144)사이를 통과하면, 비임(120)은 비임좌측에 탄성적으로 휘고, 다른쪽 비임(122)은 우측으로 휘게 된다. 여기서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40)가 인접채널(42a)사이의 전방 디텐트(72)내에 있기 때문에, 이들 양 비임의 실료비임 길이는(146)이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한 벽면을 가지는 채널(42b)의 제1영역(148)에 들어가고, 여기서 비임(122, 120)은 탄성적으로 휘는 위치로 복귀한다.
결합부(36)를 통로(32)내에 이동하고 또한 납땜 접속부(40)가 채널(42b)을 통과하면, 테이퍼 붙은 각(82, 84)이 후방 디텐트(74)의 테이퍼면(96, 98)과 작용하여 비임(122, 120)을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실효비임길이(146)로 탄성적으로 다시 휘게 된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인 벽면을 가지는 채널(42b)의 제2영역(150)에 들어가고, 여기를 통과한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그 삽입방향으로 넓어지는 채널(42b)의 제1과도영역(152)을 통과한다. 여기서, 비임(122 및 120)은 다시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납땜 접속부(40)는 그후 거의 평행한 벽면을 가지는 채널(42b)의 제3영역(154)에 들어가고 또한 이것을 통과한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를 그 삽입방향으로 좁게 되는 채널(42b)의 제2과도영역(156)을 통과시킨다. 테이퍼 붙은 각(82, 84)과 제2과도영역(156)의 측벽간의 작용에 의하여, 비임(120, 122)을 각각 실효비임길이(146)로 좌측 및 우측으로 탄성적으로 다시 휘게 한다.
다음에, 납땜 접속부(40)는 거의 평행인 벽면을 가지는 채널(42b)의 제4영역(158)에 들어가고 통과한다. 콘택트(34b)의 납땜 접속부(40)는 채널(42b)의 전방 디텐트(72)에 들어가고, 비임(122, 120)은 휘는 일이 없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복귀하고, 납땜 접속부(40)를 전방 디텐트(72)내에 유지한다.
하우징(24)내에 삽입되는 다음의 콘택트는 콘택트(34c)이며, 채널(42a)에 삽입된다. 제2도, 9도 및 제12도를 참조하면, 콘택트(34c)가 채널(42a)에 삽입될 때, 비임(122)은 좌로, 다른쪽 비임(120)은 우측에 있다.
납땜 접속부(40)가 입구의 테이퍼면(144)사이를 통과하면, 채널(42a)에 인접하는 채널(42b)의 전방 디텐트(72)내에는 이미 콘택트(34b)의 납땜 접속부(40)가 있기 때문에, 비임(122 및 120)은 실효비임길이(166)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탄성적으로 휘게 된다. 납땜 접속부(40)는 채널(42a)의 제1영역(128)에 들어가고, 전방 디텐트(74)내에 삽통되고, 여기서 비임(120, 122)은 공히 휘는 일이 없는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42a)의 후방 디텐트(74)내에 유지한다.
하우징(24)내에 최후로 삽입되는 콘택트는 콘택트(34d)이며, 채널(42b)내에 삽입된다. 제2도, 9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콘택트(34b)가 채널(42b)에 삽입될 때, 비임(120)은 좌측으로, 다른쪽 비임(122)은 우측에 있다. 납땜 접속부(40)가 입구의 테이퍼면(144)사이를 통과함에 따라서, 실효비임 길이(176)로 비임(120 및 122)은 휘지 않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42b)의 후방 디텐트(74)내에 유지한다.
제2도에 잘 가리키는 바와 같이, 채널(42a)의 전방 디텐트(72)는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고 열(60)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채널(42b)의 전방 디텐트(72)는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고 열(60)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채널(42b)의 후방 디텐트(74)도 가로방향으로 정렬되고 열(64)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콘택트(34)의 결합부의 2열(54, 56)은 납땜 접속부(40)는 엇갈림이 배열되어서, 4열로 변경된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판(22)은 최종(양단의) 가로채널(42)과 실질적으로 경질(硬質)의 플랜지(202)간에 슬롯(200)을 가진다. 플랜지와 일체적이면서도 수직한 단벽(198)이 있으면 플랜지(202)의 강도를 강화한다. 슬롯(200)은 그 인접의 채널이 채널(42a)또는 (42b)인가에 의하여 상술한 비임(120 또는 122)으로 간주되는 비임(204)을 형성한다. 제2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채널(42b)이 슬롯(200)에 인접하여 그 사이에 비임(204)을 형성한다. 비임(204)은 비임(122)의 특성을 갖는다. 슬롯(200)이 없으면, 비임(204)은 플랜지(202)의 일부로 되고, 플랜지(202)와 동일하게 실질적으로 경질로 되어버린다.
비임(204)은 가교부재(연결부)(206)로 플랜지(202)에 가교되어서, 슬롯(200)을 전방 슬롯(208)을 전방 슬롯(208)과 후방 슬롯(210)으로 분할하고 또한 비임(204)을 전방 비임(212)과 후방 비임(214)으로 분할한다. 가교부재(206)는 슬롯(200)에 따라서 인접하는 채널(42)의 전방 디텐트(74)의 전방에 배치되고, 슬롯(200)에 인접하는 채널(42)의 근방의 채널(42)내의 후방 디텐트(74)와 가로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설명의 편이상, 슬롯(200)에 인접한 채널(42)은 채널(242)로 한다. 이 채널(242)에 인접한 채널은(244)이라 한다. 따라서, 가교부재(206)는 슬롯(200)에 따라서 채널(242)의 후방 디텐트(74)의 전방에 있고, 채널(244)의 후방 디텐트(74)와 가로방향으로 정렬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교부재(206)는 슬롯(200)에 따라서 채널의 하나가 디텐트내로 받아들이고, 납땜 접속부(40)의 두께와 거의 같은 폭을 가진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슬롯(200)은 스페이서판(22)중에 후면(52)에서 채널(42)과 거의 평행하고 또한 거의 동일거리까지 뻗는다. 비임(204)은 비임(122)과 같은 체적을 갖고, 또한 비임(204)은 스페이서판(22)에 콘택트(34c, 34d)의 납땜 접속부(40)를 삽입할 때 비임(122)과 동일 특성을 나타낸다.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40)를 슬롯(242)내에 삽입할 때, 비임(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한다. 납땜 접속부(40)가 입구의 테이퍼면(124)과 제1영역(128)을 통과하는 동안 비임(204) 및 특히 후방 비임(214)은, 비임(204)이 가교부재(206)에 의하여 플랜지(202)에 브릿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효비임길이(166)로 좌측으로 탄성적으로 휘게 된다. 납땜 접속부(40)는 후방 디텐트(74)내로 받아들이고, 후방 비임(214)은 탄성에 의하여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복귀한다. 납땜 접속부(40)가 다시 채널(242)내로부터 제2영역(130) 및 제1과도영역(132)에 이동하면, 후방 비임(214)은 실효비임길이(166)로 좌측으로 휘고, 그후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채널(242)의 전방 디텐트(70)내에는 콘택트가 없기 때문에, 전방 비임(212)은 채널(242)로 향하여 휘어도 무방하다. 납땜 접속부(40)가 다시 채널(242)내로 이동하면, 납땜 접속부(40)는 영역(134)을 자유롭게 통과한다.
납땜 접속부(40)가 제2과도영역(136) 및 제4영역(138)에 들어가고, 이것을 통과하면 전방 비임(212)은 전방 슬롯내에 탄성적으로 뒤로 젖힌다.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가 채널(242)의 전방 디텐트(72)내에 이동하면, 전방 비임(212)는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복귀하여, 납땜 접속부(40)를 디텐트(72)내에 유지한다. 작은 가로방향 힘을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에 유지하여 납땜 접속부(40)가 디텐트(72)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증한다.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242)에 삽입중에, 채널(242)의 한측의 비임(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고, 채널(242)의 다른쪽의 비임(204)은 채널(244)의 전방 디텐트(72)에 콘택트(34b)의 납땜 접속부(40)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비임(122)과 같이 작용한다. 비임(204)은 같은 체적 및 형상인 것 및 슬롯(200)중에 가교부재(206)가 소정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비임(122)과 동일한 탄성 특성을 갖는다. 제12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가 입구부의 테이퍼면(124)간에 받아들이고, 제1영역(128)을 통과하면, 비임(120)은 실효비임길이(160)로 우측에 탄성적으로 휘게 된다. 동시에, 비임(120)은 실효비임길이(166)로 좌측에 탄성적으로 휘게 된다. 전방 비임(212)은 콘택트(34a)의 납땜 접속부(40) 및 채널(242)의 전방 디텐트(72)의 존재 때문에 뒤로 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따라서, 채널(242)의 한측의 비임(204)은 채널(242)의 다른쪽의 비임(120)과 같은 비임길이로 휘게 된다. 여기서 비임(204)의 실효비임길이는 가교부재(206)의 위치 및 존재에 의하여 결정된다.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가 채널(242)의 디텐트(74)내에 받아들이면, 비임(120, 240)이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복귀하여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242)의 후방 디텐트(74)내에 유지시킨다.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를 소정위치에 유지하는 비임(204)의 실효길이는 다른쪽의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의 어느 것인가를 채널(42a)의 후방 디텐트(74)에 유지하는 비임(120, 122)의 실효길이와 똑같기 때문에, 각 납땜 접속부를 열(62)의 디텐트(74)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법선력은 실질적으로 동등한다.
이것에 의하여, 슬롯(200)내에 가교부재(206)는 후부 납땜 접속부(40)에 관하여는 인접 채널간에 삽입되고, 또 납땜 접속부의 유지에 관하여는 스페이서판(22)의 인접채널(242)의 가교부재(206)의 후방의 디텐트에 유지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가능하다. 여기서 인접채널은 슬롯(200)에 인접한다. 그리고 가교부재(206)의 존재에 의하여, 스페이서판(22)에 유지될 때, 납땜 접속부의 열내의 각 납땜 접속부에 동등한 법선력이 작용하도록 보증한다.
이상, 플랜지(202)에 가교하여 슬롯(200)을 분단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비임(204)을 설명하였지만, 플랜지(202)로부터 비임(204)을 향한 돌출부 또는 비임(204)으로부터 플랜지(202)를 향한 돌출부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콘택트가 존재하는 것과 같이 기능을 시키고, 비임(204)과 플랜지(202)간의 돌출부에 의한 비임에의 실질적인 가로방향이동을 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판(22)은 단부의 채널(42)과 실질적으로 경질인 플랜지(302)간의 슬롯(300)을 가진다. 이 플랜지(302)에 일체 또한 수직인 단벽(298)의 존재에 의하여, 플랜지(302)의 강도를 강화한다. 슬롯(300)은 이에 인접하는 채널(42)이 채널(42a) 또는 (42b) 어느 것인가에 따라서 상술한 비임(120) 또는 (122)으로서 작용한다. 제2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채널(42a)이 슬롯(300)에 인접하기 때문에, 이 특정실시예에서는 비임(304)은 비임(120)의 특성을 갖는다. 슬롯(300)이 없으면, 비임(304)은 플랜지(302)의 일부가 되고 실질적으로는 경질의 플랜지(302)와 동일하게 된다.
비임(304)은, 슬롯(300)을 전방 슬롯(308)과 후방 슬롯(310)으로 분담함과 동시에 비임(304)을 전방 비임(312) 및 후방 비임(314)으로 분할하는 가교부재에 의하여 플랜지(302)에 가교되어 있다. 후면(52)으로부터 인접채널(42)내에 결합면(26)을 향하여 후면(52)에서 이간하여 있고, 슬롯(300)에 인접하는 채널(42)의 후방 디텐트(74)와 가로로 정렬되어 있다. 설명상의 편의상, 슬롯(300)에 인접하는 채널(42)을 채널(342)로 하고, 다시 이것에 인접하는 채널(42)을 채널(344)로 한다. 채널(342)은 채널(42b)과 유사하고, 채널(344)은 채널(42a)에 유사하다. 따라서, 가교부재(306)는 슬롯(300)에 따라서 채널(342)의 후방 디텐트(74)의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채널(344)의 후방 디텐트(74)와 가로방향으로 정렬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교부재(306)의 슬롯(300)에 따르는 폭은 채널의 하나의 디텐트에 받아들이는 납땜 접속부(40)의 두께와 거의 같다. 실시예에서는 슬롯(300)은 후면(52)에서 채널(42)과 거의 평행, 또한 거의 등거리로 스페이서판(22)내에 뻗고 있다. 비임(304)은 비임(120)과 같은 체적을 갖고, 이것에 의하여 채널(342)내에 콘택트(34c, 34d)의 납땜 접속부(40)의 삽입중 및 채널(342)의 디텐트(70)에 콘택트(34c, 34d)의 납땜 접속부(40)의 유지중에 비임(120)과 같은 탄성특성을 나타낸다.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342)에 삽입중에 비임(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한다. 한편 납땜 접속부(40)가 입구의 테이퍼면(144)간 및 제1영역(148)을 통과할 때, 비임(304), 특히 후방 비임(314)은, 비임(304)이 가교부재(306)에 의하여 플랜지(302)에 가교되어 있기 때문에, 실효비임길이(176)로 우측으로 탄성적으로 휘게 된다. 납땜 접속부(40)가 후방 디텐트(74)내에 받아들여지면, 후방 비임(314)은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복귀한다. 납땜 접속부(40)가 채널(342)내에서 제2영역(150) 및 제1과도영역(152)내에 더욱 이동하면, 후방 비임(314)은 실효길이(176)로 다시 우측에 탄성적으로 휘게되고, 그후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복귀한다. 또, 납땜 접속부(40)가 제2영역(150) 및 제1과도영역(152)을 통과할 때, 채널(342)의 전방 디텐트(72)내에는 납땜 접속부(40)가 없기 때문에, 전방 비임(312)은 채널(342)에 향하여 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납땜 접속부(40)가 채널(342)내에 다시 이동하면, 납땜 접속부(40)는 제3영역(154)을 자유로이 통과한다.
납땜 접속부(40)가 채널(352)의 제2과도영역(156) 및 제4영역(158)에 들어가고, 이것을 통과할 때, 전방 비임(312)은 슬롯(308)내에 탄성적으로 뒤로 휜다. 콘택트(345)의 납땜 접속부(40)가 채널(342)의 전방 디텐트(72)내에 이동하면, 전방 비임(312)은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 복귀하여 납땜 접속부(346)를 디텐트(72)내에 유지한다. 작은 가로방향의 힘을 콘택트(346)의 납땜 접속부(40)에 유지하여 납땜 접속부(40)가 디텐트(70)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증한다.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342)에 삽입하는 중에, 채널(342)의 한측의 비임(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며, 또한 다른쪽 채널(342)의 비임(304)은 채널(344)의 후방 디텐트(74)내에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가 들어있기 때문에, 상술한 비임(122)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비임(304)은 비임(122)과 같은 체적 및 스프링 특성을 가지도록 슬롯(300)내의 가교부재(306)를 소정위치 및 형상으로 설계한다. 제13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가 입구 테이퍼면(144)에 넣어져서, 제1영역(148)을 통과하면, 비임(120)은 실효비임길이(176)로 우측으로 휜다. 콘택트(346)의 납땜 접속부(40)가 채널(342)의 전방 디텐트(72)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방 비임(312)이 실질적으로 뒷면으로 휘는 것을 지지한다. 따라서, 채널(342)의 한쪽의 비임(304)은 동채널(342)의 다른쪽의 비임(122)과 같은 실효 비임길이로 휜다. 여기서, 비임(304)의 실효비임길이는 가교부재(306)의 존재 및 위치에 의하여 결정한다.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가 채널(342)의 후방 디텐트(74)에 받아들여지며, 비임(120) 및 (304)은 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탄성복귀하고,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를 채널(342)의 후방 디텐트(74)내에 유지한다.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에 작은 가로방향의 힘을 유지하고, 납땜 접속부(40)를 디텐트(74)내에 유지하도록 보증한다. 콘택트(34)의 납땜 접속부(40)를 디텐트(74)내에 유지하는 비임(304)의 실효길이는 콘택트(34d)의 다른 납땜 접속부(40)를 채널(426)의 후방 디텐트내에 유지하는 비임(12) 또는 (122)의 실효길이와 같기 때문에, 각 납땜 접속부(40)를 후방 디텐트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비임에 인가되는 법선력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이것에 의하여, 슬롯(300)내의 가교부재(306)는 슬롯(300)에 인접하는 스페이서판(22)의 채널의 가교부 후방의 후방 디텐트에 납땜 접속부(40)를 유지하는 점에서 납땜 접속부(40)가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다시, 가교부재(306)의 존재에 의하여, 스페이서판(22)내에 유지되고 있는 납땜 접속부의 열내의 각 납땜 접속부에 동등한 법선력을 보증한다.
이상, 비임(304)은 플랜지(302)에 가교되고 슬롯(300)을 분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플랜지(302)에의 돌기 혹은 이들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콘택트가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방생하게 하고, 비임(304)과 플랜지(302)간에 돌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비임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저지한다.
비임(204, 304)은 스페이서판(22)내의 비임(120) 또는 (122)과 같은 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임(204, 304)은 슬롯(200) 또는 (300)을 형성하는 그 측부에 비임(120) 또는 (122)과 같은 복잡한 단면(Profile)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그와 같은 단면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비임(120) 또는 (122)과 같은 체적 및 스프링 특성을 갖도록 하여도 좋다. 같은 체적을 얻기 위하여 비임(204, 304)을 형성하는 슬롯의 측벽은 대응하는 비임(204) 또는 (304)의 체적이 그것에 대치하는 비임(120) 또는 (122)의 체적과 동등하게 되도록 이동시켜도 좋다.
제14도는 스페이서판(22)내에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의 모든 것을 가지는 코넥터의 상면도(단 콘택트는 단면도로 가리킴)를 가리킨다.
그리고, 스페이서판(22)의 실시예를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제2도와 동일한 코넥터(20')의 상면도이다. 슬롯(200')는 후방 비임(214')을 플랜지(214')을 플랜지(202')에 가교하는 가교부재(206')에 의하여 전방 슬롯(208')과 후방 슬롯(210')으로 분할된다. 이외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비임(212') 은 후방 비임(214')과 일체 형성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제15도는 후방 비임(310')을 플랜지(302')에 가교하는 가교부재(306')에 의하여 전방 슬롯(308')과 후방 슬롯(310')으로 2분할된 슬롯(300')을 가리킨다. 기타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비임(312')도 후방 비임(314')과 일체형성은 아니다.
제16도는 제2도중의 16-16선에 따른 디텐트(70)로부터 채널(42)을 후방으로 본 채널(42)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채널(42)의 측벽(400, 402)은 상면(76)에서 하면(404)에 걸쳐 두께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400) 또는 (402)과 제16도중의 수직선과의 이루고 각(406)은 5°이다.
디텐트(70)의 측벽(100, 102)은 측벽(400, 402)과 반드시 동일한 각도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제16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디텐트 영역을 통과하는 측벽(100,102)은 종선(縱線)에 대하여 2.5°의 각도(410)를 형성한다.
제17도는 중앙부를 제외하고, 납땜 접속부(40)가 선(412) 근방에서 결합부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기 전의 전형적인 콘택트(34a, 34b)를 가리킨다. 구부러져서 가공된 콘택트(34a, 34b)는 제1도에서 가리키고, 제17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지면(紙面)으로부터 앞으로 납땜 접속부(40)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콘택트(34a, 34b)는 말단(418)에서 떨어지는 정지돌기(스토퍼)(414, 416)를 가진다. 정지돌기(414, 416)는 각각 측부(90, 92)에서 가로방향으로 뻗고 첨단의 폭이 측벽으로 규정되는 채널(42)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진다. 측벽은 디텐트가 있으면 측벽(100, 102)이며, 디텐트가 없으면 측벽(400, 402)이다. 여기서 납땜 접속부(40)는 조립된 코넥터(20)내에 배치된다. 이와같이 하여, 각 돌기는 잘 가리키는 바와 같이 디텐트 대응하는 측벽(100, 102)을 넘어서 돌출한다. 제17도 및 제18도를 참조하여, 납땜 접속부(40)는 스페이서판(22)의 채널(42)에 받아들이는 영역(420)에 있어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제18도에 가리키는 조립된 코넥터에 있어서, 영역(420)은 콘택트(34a, 34b)가 하우징내에 삽입될 때 저면(404)의 하방에 위치하는 정지돌기(414, 416)의 상방이다. 영역(420)의 납땜 접속부(40)의 측부테이퍼(90, 92)는 납땜 접속부가 받아들이는 디텍트의 측벽(100, 102)의 테이퍼와 일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영역(420)의 측부(90, 92)는 스페이서판(22)의 전판(全板) 두께에 걸쳐 각각 측벽(100, 102)과 결합한다. 다시 채널(42), 특히 그중의 디텐트 측벽(100, 102)에 대해 스페이서판(22)의 저면(404)에 스페이서(424)를 가지고 그 상면(76)에 작은 스페이스(426)의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콘택트(34a, 34b)의 납땜 접속부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납땜 접속부(40)를 디텐트내에서 멈추게 된다. 납땜 접속부(40)가 상방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측부(90, 92)는 측벽(100, 102)에 의하여 큰 법선력으로 결합하게 되고, 납땜 접속부(40)가 다시 상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하튼간에 정지돌기(416, 418)는 미국특허 제4,842,528호에 의한 상방으로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저지한다.
제19도는 전형적인 콘택트(34c, 34d)를 가리킨다. 이 도면에서는 콘택트의 중단부를 생략하고, 납땜 접속부(40)가 결합부(36)에 거의 직각으로 선(436)의 근방에서 구부려 가공되는 앞의 도면과 같다. 구부려서 가공된 콘택트(34c, 34d)는 제1도에 가리키고, 제19도중 지면에서 앞으로 납땜 접속부(40)가 구부려져서 가공된다.
콘택트(34c, 34d)에는 하측 정지돌기(438, 440)가 말단(442)에서 떨어져서 형성된다. 하측 정지돌기는 콘택트(34c, 34d)의 납땜 접속부 측부(90, 92)에서 거의 상방 정지돌기(414, 416)가 콘택트(34a, 34b)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가로방향으로 돌출하고, 콘택트(34c, 34d)에 대해 동일한 기능을 완수한다.
납땜 접속부(34c, 34d)는 하측 정지돌기에서 납땜 접속부에 따라 적어도 스페이서판(22)의 두께만큼만 상방으로 이간하고 있는 상측 정지돌기(444, 446)를 가지고 있다. 상방 정지돌기(444, 446)는 측면(90, 92)에서 각각 가로방향으로 뻗고, 돌기첨단부간의 폭은, 납땜 접속부(40)가 조립된 코넥터 내에 배치된 측벽으로 정해지는 채널의 간격을 넘도록 한다. 상방 정지돌기(444, 446)는 납땜 접속부(40)가 스페이서판(22)내에서 하방의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한다. 콘택트(34a, 34b)는 하우징 후면(28)의 후방에 노출될 때 콘택트(34a, 34b)보다도 스페이서판(22)내에서 하방에 이동하려고 한다.
제3도 및 제20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하측 정지돌기(438, 440)는 스페이서판(22) 저면(404)의 하방에 배치되고, 다른쪽 상방 정지돌기(444, 446)는 콘택트(34a, 34b)가 코넥터에 삽입되고 유지될 때 스페이서판(22)의 상면(76)의 상방에 배치된다.
콘택트(34c, 34d)의 측면(90, 92)은 영역(448) 전체로서 스페이서판(22)의 거의 전판두께에 걸쳐 각각 측벽(100, 102)과 결합한다. 테이퍼 붙은 채널(42), 특히 2중의 디텐트의 측벽(100, 102)이 스페이서판(22)의 저면(404)에 큰 간격(424)을 가지고, 상면(76)으로 작은 간격(426)을 가지므로써 콘택트(34c, 34d)의 납땜 접속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디텐트내에 납땜 접속부(40)를 내려 밀도록 작용한다. 또, 납땜 접속부(40)가 상방에 이동하려고 하면, 측부(90, 92)는 측벽(100, 102)과 결합하여 법선력을 증가시키고, 납땜 접속부(40)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여하튼간에, 하측 정지돌기(438, 446)는 스페이서판(22)을 통하여 납땜 접속부(40)가 상방에 대폭 이동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는 보조 스토퍼(back-up stopper)로서 작용한다. 한편, 상측 정지돌기(444, 446)는 미국특허 제4,842,528호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납땜 접속부(40)가 스페이서판(22)을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한다.
스페이서판(22)의 비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한계내에서 작용한다. 납땜 접속부(40)가 스페이서판(22)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비임이 휘지 않으면, 상면(76)의 디텐트(70)의 측벽(100, 102)간의 작은 간격(426)은 열(58, 60, 62 및 64) 모든 것에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스페이서판(22)은 각 디텐트의 폭이 동일하게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제20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채널(426)의 적어도 후방 디텐트(74) 즉 디텐트(64)의 최후열을 받아들여진 콘택트(34')의 납땜 접속부(40')는 테이퍼영역(448) 전체에 걸쳐서 폭넓게 비임이 휘지 않은 위치로 그리고 디텐트(62, 60 및 58)의 전열에 받아들인 납땜 접속부보다도 더 폭이 넓은 것이다.
열(64)의 디텐트(74)에 납땜 접속부(40')를 유지하는 각 비임은 약간만 변형가능하고, 채널(426)의 후방 디텐트(74)에 받아들이는 납땜 접속부(40)가 디텐트와 같은 폭이거나, 디텐트의 다른 열에 받아들인 실효비임길이(176)으로 보다 휘게 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34')의 납땜 접속부(40')는 마찰결합에 의하여 대응하는 디텐트내에 받아 들이게 되고, 여기서 측면(90, 92)에의 가로방향의 힘은 콘택트(34c, 34b 또는 34a)의 납땜 접속부의 측면에의 가로방향의 힘보다 크다. 이와 같이 최후방열(64)의 납땜 접속부(40)에 의하여 큰 가로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운송중 또는 취급중에 납땜 접속부가 디텐트 또는 채널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열(64)의 디텐트내의 납땜 접속부에 강한 유지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의 힘이 크면, 열(64)의 납땜 접속부(40)의 모든 것을 동등하게 압압하여 말단(442)을 진정한 위치에 유지한다.
납땜 접속부를 디텐트내에 유지하고 그 말단을 진정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납땜 접속부(40)에 의하여 큰 가로방향의 힘을 가하는 효과는 디텐트(62)의 열내의 채널(42a)의 후방 디텐트(74)내의 콘택트에 비임이 휘는 일이 없는 위치에서 디텐트보다도 폭넓은 것을 사용하고, 또한 디텐트(60, 58)의 것보다 전열에 받아들인 납땜 접속부(40)보다 폭넓은 것으로 함으로써 일층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34c')의 납땜 접속부(40')가 채널(42)내에 삽입되고 또한 채널(42a) 후방 디텐트(74)내에 착좌(着座)시키면, 비임은 실효비임길이(166)로 휜다. 열(62)내의 디텐트에 납땜 접속부를 착좌시켜, 납땜 접속부가 그 삽입전보다도 폭이 넓으면, 비임은 약간만 변형하고, 열(62)내에서 납땜 접속부(40')를 구부린다.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의 삽입직접의 열(64)내의 디텐트(74)의 폭이 비임이 휘지 않은 위치에서 디텐트의 폭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40')가 채널(426)내를 통과하고, 후방 디텐트(74)내에 착좌될 때, 열(64)의 디텐트(74)내에 콘택트(34d')의 납땜 접속부가 유지되는 각 비임은 채널(42a)의 디텐트(74)내에 착좌되는 콘택트(34')의 폭넓은 납땜 접속부(40')의 존재에 의하여, 상술한 것보다도 변형이 크게 된다. 받아들이는 디텐트내의 열(62, 64)의 납땜 접속부(40)간의 마찰결합에 의하여 비임을 탄성한계내에서 탄성 변형시켜서 열(62, 64)내의 디텐트의 납땜 접속부의 양측에 가로방향의 힘을 증대하게 된다. 그것에 납땜 접속부가 유지된 비임구조에 의하여 경질 또는 고체부재로 되고, 납땜 접속부(40)의 말단을 진정위치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의 힘이 증가하면 디텐트가 존재할 때, 디텐트영역의 채널의 측벽과 내부에 받아들인 납땜 접속부의 측연(側緣)을 확실히 결합시키게 된다. 증가한 가로방향의 힘은 열내의 모든 납땜 접속부에 동등하게 작용하고, 납땜 접속부를 유지하며, 그들의 말단을 진정위치로 유지한다.
스페이서판(22)의 전방열의 디텐트와 거의 동일 폭이며, 스페이서판(22)의 후방 2열의 납땜 접속부에 폭넓은 납땜 접속부의 균일인 폭의 디텐트를 사용하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납땜 접속부는 스페이서판의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순차적으로 넓게 하여도 좋다. 혹은 보다 전방열에 받아들이는 납땜 접속부와 같은 폭의 납땜 접속부와 협동하는 스페이서판의 1 이상의 열의 보다 좁은 디텐트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판내에 배치되면 최후열의 납땜 접속부에 의하여 큰 가로방향의 힘이 생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판(22)의 상면(76)의 디텐트(70)의 측벽(100, 102)간의 작은 간격(426)은 0.58㎜이다. 채널(42)는 스페이서판(22)의 상면(76) 또는 저면(404)의 수직에 대하여 5°의 각도로 테이퍼를 부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면(76, 404)은 거의 평행이다. 디텐트(70)는 상면(76)의 수직선에 대해 2.5°이다. 채널(42)과 디텐트(74)는 상면(76)에서 저면(404)에 걸쳐 스페이서판(22)의 판두께 1.19㎜전체에 걸쳐서 폭이 넓혀져 있다. 콘택트(34a, 34b)의 납땜 접속부(40)의 측면(90, 92)은 길이 1.55㎜, 최대 폭 0.61㎜, 최소폭 0.51㎜의 상측 정지돌기(414)의 영역(420)의 납땜 접속부의 중심선에 평행으로 2.5°의 각도의 테이퍼를 갖춘다. 이 테이퍼는 디텐트벽면의 테이퍼와 일치한다. 콘택트(34c', 34d')의 납땜 접속부의 측면(90, 92)의 테이퍼는 하측 정지돌기(348, 440) 및 상벽 정지돌기(444, 446)간의 길이 1.55㎜, 폭 0.71㎜ 내지 0.61㎜인 영역(448)에 걸쳐 2.5°의 각도이다. 이 테이퍼는 디텐트와 벽면의 테이퍼와 일치한다.
이상, 본 발명의 콘택트 스페이서판 부착 전기 코넥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제1발명의 전기 코넥터에 의하면, 결합면에서 예를들면 2열로 배치된 콘택트의 직각으로 구부러지게한 납땜 접속부를 스페이서판의 복수의 평행 채널내의 예를들면 4열로 스태거를 배치한 디텐트에 정확히 위치를 경정시키고 조립 작업성을 잘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발명의 전기 코넥터에 의하면, 스페이서판의 복수의 채널의 양단부에 있어서도, 가교부재를 가지는 슬롯의 형성에 의하여, 채널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콘택트 삽입작업성 및 스프링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제3발명의 전기 코넥터에 의하면, 스페이서판의 각 채널측벽 및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에 대응하는 테이퍼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하 양쪽에 정지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를 상시 진정위치에 위치를 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절연하우징의 결합면에 적어도 2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를 가지며, 상기 절연하우징의 후부에서 상기 콘택트가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납땜 접속부를 가지는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후부에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상기 납땜 접속부들을 삽입하여 유지하는 복수의 평행 채널들이 형성된 스페이서판을 포함하고, 상기 각 채널에 삽입되는 상기 복수의 납땜 접속부중 삽입단에 가까운 납땜 접속부를 삽입단으로부터 멀리 있는 납땜 접속부보다 폭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 코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판은 각 채널에 따라 디텐트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판의 상기 채널의 양단에는 채널과 거의 평행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이 슬롯은 그 긴 방향으로 연결부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 코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각 콘택트의 납땜 접속부는, 상기 스페이서판의 채널과의 대응부분의 상하 양측에 광폭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 코넥터.
KR1019910021801A 1990-11-30 1991-11-29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코넥터 KR100234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20,602 1990-11-30
US07/620,602 1990-11-30
US07/620,605 1990-11-30
US07/620,976 US5037334A (en) 1990-11-30 1990-11-30 Connector with equal lateral force contact spacer plate
US07/620,602 US5080596A (en) 1990-11-30 1990-11-30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providing greater lateral force on rear contacts
US07/620,976 1990-11-30
US07/620,605 US5071372A (en) 1990-11-30 1990-11-30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having tapered cha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993A KR920010993A (ko) 1992-06-27
KR100234523B1 true KR100234523B1 (ko) 1999-12-15

Family

ID=2741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801A KR100234523B1 (ko) 1990-11-30 1991-11-29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코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16435B2 (ko)
KR (1) KR100234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338B1 (ko) 2006-07-31 2009-12-16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직각 단자 핀을 갖춘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35619A1 (en) * 1995-03-30 1996-10-02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retention means
JP3681044B2 (ja) 1999-06-02 2005-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755568B2 (ja) * 2006-11-02 2011-08-24 日本モレックス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390Y2 (ko) * 1986-04-30 1992-04-13
US4789346A (en) * 1987-03-27 1988-12-06 Amp Incorporated Solder post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US4842528A (en) * 1987-03-27 1989-06-27 Amp Incorporated Solder post retention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338B1 (ko) 2006-07-31 2009-12-16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직각 단자 핀을 갖춘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16435B2 (ja) 1998-10-27
KR920010993A (ko) 1992-06-27
JPH04269473A (ja) 199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9893B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4708415A (en) Electrical connectors
US696251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tructure regarding terminals
US5244412A (en) Electrical device for surface mounting on a circuit board and mounting component thereof
US5037334A (en) Connector with equal lateral force contact spacer plate
EP056164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855197B2 (ja) 電気コネクタ
US4789346A (en) Solder post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US5080596A (en)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providing greater lateral force on rear contacts
EP0664581A2 (en) Low profile board to board connector
US5993263A (en) Reduced mating force electrical connector
EP0543278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EP1248325B1 (en) Insulator coring and contact configuration to prevent pin stubbing in the throat of tuning fork socket connector contacts
JP2869027B2 (ja) 接続ピンのアラインメント装置及びこれと電気コネクタとの組み合わせ
EP099619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4294079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タインプレート
US5938456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EP0423971B1 (en) High deflection, high density single sided electrical connector
US5071372A (en)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having tapered channels
JPH11502053A (ja) 電気リセプタクル組立体及びそのためのばねコンタクト
US6227898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removable rail guide
KR100234523B1 (ko) 콘택트 스페이서 부착형 전기코넥터
EP080681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EP0969566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or
JPH05205831A (ja) Smt型din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