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259B1 -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 Google Patents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259B1
KR100234259B1 KR1019960005546A KR19960005546A KR100234259B1 KR 100234259 B1 KR100234259 B1 KR 100234259B1 KR 1019960005546 A KR1019960005546 A KR 1019960005546A KR 19960005546 A KR19960005546 A KR 19960005546A KR 100234259 B1 KR100234259 B1 KR 10023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ect ratio
image
data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575A (ko
Inventor
유영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259B1/ko
Publication of KR97006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레터 박스 방식을 사용하여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횡종비 변환회로는 16 : 9 횡종비의 화상에서 유효화상을 제외한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임의 데이타 발생부,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수직 압축시킨 데이타와 임의 데이타 발생부의 출력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기, 복합동기신호를 기입한 후, 기입된 복합동기신호를 리드리셋신호에 의해 독출하여 복합동기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메모리(FIFO), 수직동기신호 리셋신호에 의해 리셋되어 1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체 수평주사라인수를 계수하는 수평주사라인 카운터, 전체 수평주사라인 카운터의 출력과 임의 라인 설정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리드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메모리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다중화기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FIFO를 통해 지연된 복합동기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할 경우 디지탈 화상 데이타와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의 관계를 이용하여 레터 박스 방식의 경우 그림 이외의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다양하게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DLDP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제1도는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영상표시장치에 그대로 표시할 경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레터 박스 방식과 팬 & 스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레터 박스 방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종비 변환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a도 내지 4c도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팬 & 스캔 방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종비 변환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횡종비 변환시 다양한 화면을 얻기 위한 횡종비 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 이하 DVD라 약함)시스템에서는 기존의 4 : 3 횡종비(aspect ratio)를 갖는 신호 뿐만 아니라 16 : 9 횡종비를 갖는 와이드 영상신호가 처리된다. 이때, 4 : 3 횡종비의 영상신호나 16 : 9 횡종비의 와이드 영상신호가 같은 황종비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될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서로 다른 횡종비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될 경우에는 올바른 영상을 재현할 수 없다. 예로서, 16 : 9 횡종비를 갖는 와이드 화상을 4 : 3 횡종비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그대로 표시할 경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일그러져 보이게 된다. 이를 정상적인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횡종비 변환방식으로는 제2도의 a에 도시된 수직압축을 통한 변환방식인 레터 박스(letter box) 방식과 b 에 도시된 화면 결락을 통한 팬 & 스팬(PAN & SCAN)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레터 박스 방식의 유효 화상 부분과 팬 & 스캔 방식의 선택 부분이 정중앙으로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화면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레터 박스 방식의 경우 그림 상하가 검은 색으로 지정되어 있어 장시간 디스플레이할 경우 그림 부분과 그외 부분의 형광체 휘도감퇴의 차이(Difference of Luminenence Decay of a Phosphor)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할 경우, 디지탈 화상 데이타와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의 관계를 이용하여 레터 박스 방식과 팬 & 스캔 방식에서의 유효 화상 위치 설정을 다양하게 하며, 레터 박스 방식의 경우 그림 이외의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다양하게 지정하기 위한 횡종비 변환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레터 박스 방식을 사용하여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횡종비 변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에서 유효 화상을 제외한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임의 데이타 발생부 ;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상기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수직 압축시킨 데이타와 상기 임의 데이타 발생부의 출력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기 ; 복합동기신호를 매 프레임마다 발생되는 라이트 인에이블신호에 따라서 기입한 후, 기입된 복합동기신호를 리드 리셋신호에 의해 독출하여 상기 복합동기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메모리 ; 수직동기신호 리셋신호에 의해 리셋되어 1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체 수평주사라인수를 계수하는 수평주사라인 카운터 ; 전체 수평주사라인 중 유효화상이 시작되는 라인을 설정하는 임의 라인 설정부 ; 및 상기 수평주사라인 카운터의 출력과 상기 임의 라인 설정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리드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메모리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화기로부터의 데이타 출력을 상기 메모리를 통해 지연된 복합동기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팬 & 스캔 방식을 사용하여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횡종비 변환회로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 리셋신호에 의해 리셋되어 1라인을 구성하는 전체 비트수를 계수하는 비트 카운터 ;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 중 선택하려고 하는 화상의 시작점을 지정하는 임의 비트 설정부 ; 상기 비트 카운터의 출력과 상기 임의 비트 설정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라이트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 및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데이타를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신호에 따라서 기입한 후, 기입된 화상데이타를 매 라인마다 발생되는 리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독출하여 상기 선택된 화상을 수평으로 신장하는 수평신장 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신장 필터부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복합동기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a 내지 3c도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레터 박스 방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종비 변환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3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종비 변환회로의 구성도로서, 유효 화상 이외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임의 데이타 발생부(31), 입력되는 수직 압축된 데이타와 임의 데이타 발생부(31)의 출력 데이타를 다중화하는 다중화기 예컨대 멀티플레서(MUX : 32), 복합 동기신호(C.SYNC)를 지연시키는 선입선출 메모리(FIFO : 33), 수직동기신호 리셋신호(/V_RST)에 의해 리셋되어 1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체 수평주사라인수, 예를 들어 525를 계수하는 수평주사라인(H) 카운터(34), 525 라인 중 유효화상이 시작되는 라인을 설정하는 임의 라인 설정부(35)와, H 카운터(34)의 출력과 임의 라인 설정부(35)의 출력을 비교하여 FIFO(33)의 리드 리셋신호(/RSTR)로 출력하는 비교부(36)로 이루어진다.
제4a 내지 4c도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팬 & 스캔 방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종비 변환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종비 변환회로의 구성도로서, 수평동기신호 리셋신호(/H_RST)에 의해 리셋되어 1라인을 구성하는 전체 비트수, 예를 들어 858을 계수하는 비트 카운터(41), 16 : 9 횡종비의 화상중 선택하려고 하는 화상의 시작점을 지정하는 임의 비트 설정부(42), 비트 카운터(41)의 출력과 임의 비트 설정부(42)의 출력을 비교하여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를 출력하는 비교부(43)와, 선택된 화상을 수평으로 신장하는 수평신장 필터부(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신장 필터부(44)는 메모리(44a)와 필터(44b)로 구성된다.
그러면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횡종비 변환회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제 화상과 복합동기신호와의 관계는 NTSC 규격에 의해 설정되는데, 레터 박스 방식에서는 유효 화상이 전체 화면의 일부이므로 유효 화상 이외 부분만큼 융통성있게 복합동기신호와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유효 화상을 기준으로 하여 복합동기신호를 어느 정도 지연시키느냐에 따라서 전체 화면에서 유효 화상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 있어서, 임의 데이타 발생부(31)에서는 전체 화면에서 유효 화상 이외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발생시켜 MUX(32)로 출력하고, MUX(32)에서는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에 적합하도록 수직 압축시킨 데이타와 임의 데이타 발생부(31)의 출력 데이타를 선택신호에 따라 다중화하여 4 : 3 횡종비의 화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전체 화면에서 유효 화상 이외 부분이 다양한 휘도와 채도를 가지게 되어 화면 횡종비 변환시 다양한 화면을 얻도록 한다.
FIFO(33)는 C.SYNC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라이트 리셋신호(/RSTW : 제3b도 참조)는 /V_RST신호(제3b도 참조)와 마찬가지로 매 프레임마다 발생하여 C.SYNC 신호를 FIFO(33)에 라이트하기 시작하는 시작점을 지정한다.
H 카운터(34)는 /V_RST 신호에 의해 리셋되고, 1프레임을 구성하는 라인수, 예를 들어 525라인을 계수하고, 임의 라인 설정부(35)는 525란인 중 유효화상이 시작되는 라인을 설정한다.
비교부(36)는 H 카운터(34)의 출려과 임의 라인 설정부(35)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리드 리셋신호(/RSTR : 제3b도 참조)를 FIFO(33)로 인가하여 FIFO(33)로 부터 C.SYNC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MUX(32)를 통하여 4 : 3 횡종비로 구성된 화면은 FIFO(33)에 인가된 리드 리셋신호(/RSTR)에 의해 출력되는 C.SYNC 신호에 동기되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37)에 표시된다. 즉, C. SYNC 신호는 디지탈 화상데이타를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시간만큼 지연되어 출력됨으로써 전체 화면 중의 유효 화상의 위치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3a도에 도시된 횡종비 변환회로에 의해 횡종비 변환을 수행할 경우의 화면 형태는 제3c도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16 : 9 횡종비의 와이드 화상은 4 : 3 횡종비의 화상에 비해 횡축이 길기 때문에 팬 & 스캔 방식에서는 화면의 일부를 결락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결락 부분을 임의로 설정하여 화면의 다양성을 구현하였는데, 이를 제4도에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에 있어서, 비트 카운터(41)는 매 라인마다 발생하는 /H_RST신호(제4b도 참조)에 의해 리셋되며, 휘도신호일때 1라인을 구성하는 비트수, 예를 들어 858을 계수하고, 임의 비트 설정부(42)는 858비트내의 임의 시작점을 설정한다.
비교부(43)는 비트카운터(41)의 출력과 임의 비트 설정부(42)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 : 제4b도 참조)를 발생시켜 메모리(44a)로 인가한다.
수평신장 필터부(44)에서는 16 : 9 횡종비의 화상에서 1라인중 임의 비트에서 부터 4 : 3 횡종비의 화면으로 구성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데이타가 /WE 신호에 의해 메모리(44a)에 라이트된다. 메모리(44a)에 라이트된 데이타는 /H_RST 신호와 마찬가지로 매 라인마다 발생되는 리드 인에이블신호(/RE : 제4b도 참조)에 의해 매 라인마다 리드되어 필터(4b)에 의해 필터링되어 최종적으로 4 : 3 횡종비의 화상을 만든다. 이처럼 수평신장 필터부(44)를 통해 4 : 3 횡종비로 구성된 화상은 C.SYNC 신호에 동기되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45)에 표시된다. 따라서, 16 : 9 횡종비의 화상 중 임의의 부분을 4 : 3 횡종비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4a도에 도시된 횡종비 변환회로에 의해 횡종비 변환을 수행할 경우의 화면 형태는 제4c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횡종비 변환회로에서는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할 경우 디지털 화상 데이타와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의 관계를 이용하여 레터 박스 방식과 팬 & 스캔 방식에서의 유효 화상 위치 설정을 다양하게 하며, 레터 박스 방식의 경우 그림 이외의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다양하게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DLDP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레터 박스 방식을 사용하여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횡종비 변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에서 유효화상을 제외한 부분의 휘도와 채도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임의 데이타 발생부 ;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상기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수직 압축시킨 데이타와 상기 임의 데이타 발생부의 출력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기 ; 복합동기신호를 매 프레임마다 발생되는 라이트 인에이블신호에 따라서 기입한 후, 기입된 복합동기신호를 리드 리셋신호에 의해 독출하여 상기 복합동기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메모리 ; 수직동기신호 리셋신호에 의해 리셋되어 1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체 수평주사라인수를 계수하는 수평주사라인 카운터 ; 전체 수평주사라인 중 유효화상이 시작되는 라인을 설정하는 임의 라인 설정부 : 및
    상기 수평주사라인 카운터의 출력과 상기 임의 라인 설정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리드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메모리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화기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상기 메모리를 통해 지연된 복합동기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2. 팬 & 스캔 방식을 사용하여 16 : 9 횡종비의 화상을 4 : 3 횡종비의 화상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횡종비 변환회로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 리셋신호에 의해 리셋되어 1라인을 구성하는 전체 비트수를 계수하는 비트 카운터 ;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 중 선택하려고 하는 화상의 시작점을 지정하는 임의 비트 설정부 ; 상기 비트 카운터의 출력과 상기 임의 비트 설정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라이트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 및 상기 16 : 9 횡종비의 화상데이타를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신호에 따라서 기입한 후, 기입된 화상데이타를 매 라인마다 발생되는 리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독출하여 상기 선택된 화상을 수평으로 신장하는 수평신장 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신장 필터부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복합동기 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KR1019960005546A 1996-03-04 1996-03-04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KR10023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546A KR100234259B1 (ko) 1996-03-04 1996-03-04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546A KR100234259B1 (ko) 1996-03-04 1996-03-04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575A KR970068575A (ko) 1997-10-13
KR100234259B1 true KR100234259B1 (ko) 1999-12-15

Family

ID=1945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546A KR100234259B1 (ko) 1996-03-04 1996-03-04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2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57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090A (en) Method for a compatible increase in resolution in television systems
KR0146345B1 (ko) 수퍼임포즈장치
US8508610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4522365A (ja) 多チャンネル入力の高画質多重画面分割装置及び方法
US5412479A (en) Computer generated wipes for video editing systems
KR0161775B1 (ko) 와이드비전의 자막데이터 위치제어회로
KR950009698B1 (ko) 엔티에스씨/에치디티브이(ntsc/hdtvm) 듀얼 리시버의 라인 트리플러
KR100272447B1 (ko) 멀티화면 분할기
KR100234259B1 (ko)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횡종비 변환회로
JP3405208B2 (ja) 分割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3259627B2 (ja) 走査線変換装置
US5500682A (en) Memory equipment for writing/reading a defective video signal in a FIFO memory device consectively
TW312076B (ko)
KR0175459B1 (ko) 공통 중간 포멧의 형태를 갖는 에이치.261 영상 코덱을 아이티유-알 601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장치
KR200283945Y1 (ko) 화질 열화 방지가 가능한 다중 화면 분할기
JP3464229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におけるビデオ信号への制御機能の同期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0128684B1 (ko) 한 화면에 두 영상신호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08374B1 (ko)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JP3138148B2 (ja) 映像信号変換装置
JP2522193B2 (ja) 水平同期信号変換装置
KR100207700B1 (ko) 화상변환방법 및 장치
JP2545631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10257450A (ja) ビデオ信号の多重化方法および装置
KR0173738B1 (ko) 다중 화면표시용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온스크린 방법 및 장치
KR0132433Y1 (ko) 비데오 필드 메모리의 쓰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