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278B1 - 입체도작도방법 - Google Patents

입체도작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278B1
KR100232278B1 KR1019960041835A KR19960041835A KR100232278B1 KR 100232278 B1 KR100232278 B1 KR 100232278B1 KR 1019960041835 A KR1019960041835 A KR 1019960041835A KR 19960041835 A KR19960041835 A KR 19960041835A KR 100232278 B1 KR100232278 B1 KR 10023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plan
reference point
plan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880A (ko
Inventor
노부히로 세키
요시유키 오오츠카
Original Assignee
노부히로 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티. 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76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1433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부히로 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티. 피 filed Critical 노부히로 세키
Publication of KR98001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28Multiple view windows (top-side-front-sagittal-orthogo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입체도의 작도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평면도의 데이터를 이용한 입체도의 작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결수단]
디스플레이상에 입체도를 구성하는 3개의 모델투영면(1)을 표시하고, 투영하여야 할 평면도를 특정하여, 해당특정된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과 방향을 지정한다. 이어서, 상기 모델투영면의 특정면과 해당모델투영면상의 방향을 지시한다. 최후로, 디스플레이상의 임의의 위치로 표시기준점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연산수단(20)은, 상기 투영면상의 타원의 장축-단축좌표계에 상기 평면도의 45°회전좌표계를 겹쳐,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에 장축(a)과 단축(b)의 비율(a/b)를 곱셈하는 연산을 행하여 투영도를 얻고, 이렇게하여 얻어진 투영도를 상기 표시기준점에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을 합침과 동시에, 상기 평면도상의 방향과 모델투영면의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입체도가 표시된다.

Description

입체도작도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2도는 모델투영면과 그 투영각도의 입력화면의 개념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와 입체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평면도로부터 입체도를 작성하는 순서도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평면도로부터 입체도를 작성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6도는 평면도와 입체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개념도.
제7도는 제6도의 입체도를 작성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8도는 평면도의 방향과 입체도의 방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9도는 평면도와 입체도의 기본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10도는 종래의 방법의 개념도.
제11도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도를 작성하는 순서도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12도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도를 작성하는 순서도를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델투영면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체도의 작도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평면도의 데이터를 이용한 입체도의 작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제12도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CAD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종류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이하와 같은 직선, 원, 타원등을 그리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a)직선
I: 그릴려고 하는 직선의 시점과 종점을 마우스(12)와 커서로 지시한다.
II: 그릴려고 하는 직선의 시점을 지시하고, 각도와 길이를 조작보드(11)에 의해 입력한다.
(b)원
I: 중심점을 마우스(12)와 커서로 지시하고, 반경을 조작보드(11)에 의해 입력한다.
II: 직경에 대응하는 2점을 마우스(12)와 커서로 지시한다.
(c)타원
I: 중심점을 마우스(12)와 커서로 지시하고, 장경의 방향, 장경의 길이 및 단경의 길이를 입력한다.
더욱이, 이 CAD 시스템은 상기 한바와 같이 하여 그린 각각의 도형요소, 혹은 각각의 도형요소를 조합하여서 그린 도면을 이동, 복사할 수가 있다.
(d)이동
I: 이동대상도형 및 이동원기준점을 지시하고, 이동전기준점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형 또는 도형요소는 이동전기준점으로 이동한다.
II: 이동대상도형 및 이동방향을 지시(직선을 지시)하고, 이동거리를 입력한다.
(e)복사
I: 상기 이동과 조작순서는 완전히 같지만, 원래의 도형이 그대로 원래의 위치에 남는다.
더욱이, 본원 출원인은 미국특허 제5115494호(일본특허 제1883355호)로써 입체도의 기준방향과 기준길이 및 입체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투영면에 기준 크기의 타원을 그린 모델투영면(예컨대 제1도의 부호1참조)을 표시하여 놓고, 해당모델투영면을 매개로 입체도를 그리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표시장치에 상기 3개의 모델투영면을 표시하여 놓고, 기준방향의 선분을 그릴때에는 우선 선분의 시점을 지시하고, 그다음 방향을 지시하는 순서로 상기 기준축(x축, y축, z축)중 어느것인가를 지시한다. 그 다음으로 길이를 입력한다. 또한, 타원을 그릴때에는 타원의 중심을 지시하고, 상기 모델투영면의 특정 면에 그려진 타원을 지시하고, 또한 투영하고져 하는 평면도상의 원의 직경을 조작보드에 의해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예컨대 기준선의 방향)이 상기 타원의 원래의 원의 직경에 대응하는 타원을 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에 나타낸 모델투영면의 각각의 기준축은 아이소메트릭의 방향으로 그려져 있고, 타원도 당연히 아이소메트릭스의 방향, 장경, 단경의 비율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상기 CAD 시스템은 기억수단에 수납하고 있는 평면도의 데이터에 따라서 입체도를 그릴 수 있다. 제11도, 제12도는 그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10(a)도의 모식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도, 밑면도,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별개로 보아서 그려넣음과 동시에, 각각 보아서 그려진 평면도의 위치를 규정하여 놓는다. 이 상태로부터 다음에 평면도의 각각의 면과 그릴려고 하는 입체도의 각각의 투영면과의 대응을 관련짓는다.
즉,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도(PV), 정면도(B), 배면도(A), 우측면도(R), 좌측면도(L), 밑면도(C)가 각각 보아서 그려지고 있을 때, 메뉴화면에「우측면, 좌측면/정면, 배면/평면, 밑면」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것에 대응하여 오퍼레이터는 좌우 어느 하나의 측면, 전후 어느 하나의 면, 상하 어느 하나의 면을 선택하여, 제10(b)도의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다. 단지, 여기서는 상기 「우측면, 좌측면/정면, 배면/평면, 밑면」의 메뉴가 표시될 뿐이므로 제10(b)도에 나타낸 사이클로이드의 도형이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0(b)도의 상열의 예는 평면이 입체도상의 평면(하열의 예로서는 밑면이 입체도상의 밑면)에 배치되도록 초기 설정되어 있지만, 평면(밑면)이외의 다른 도면을 입체도상이 평면(밑면)에 배치시키기위한 지정도 별도로 되게 되어 있다.
제11(a)도에 구체적인 도면으로 각각의 도면을 그린 예를 예시하고 있고, 이하 이 도면에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 입체도를 작성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제11(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도상의 원점(Pa)을 평면도(이 경우 정면도)의 좌표계에서 지시하고, 또한 표시원점(Pb)을 지정하여 상기 평면도에 대응하는 투영도가 그려질 때, 해당평면도상의 원점(pa)이 표시원점(Pb)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스케일 등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여 놓는다.
이어서 제11(b)도에 굵은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투영하여야 할 요소(직선, 원) 또는 요소의 집합을 지시함과 동시에, 그 면에 대응하는 다른 투영관점에서 그려진 단면선(La)을 지시하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Pa)이 표시기준점(Pb)에 일치하도록 투영면이 표시된다. 더욱이, 제12(c)도에 굵은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별도의 투영하여야 할 요소 또는 요소의 집합을 지정함과 동시에, 단면선(Lb)을 지시한다. 더욱이, 우측면 좌상부(M)를 입체도로서 그리는 경우도 제12(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당 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를 지시하고 단면(Lc)을 지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순서로 순차 되풀이하는 것에 따라 입체도를 작성하게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평면도에 나타나는 요소의 대응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평면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도면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도면을 작성할 필요가 있고, 이때, 각각의 도면을 규정의 위치이외로 배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평면도의 각각의 도면과 입체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면과의 대응관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화면상에서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가 없어, 제10(b)도에 나타내는 매뉴얼의 기술에 의지하지 않을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면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화면상의 조작만으로 간단히 입체도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평면도의 데이터에 따라서 입체도를 그리는 경우,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영대상의 평면도의 45°회전좌표계(V,W)(제9(b)도, 원점(Pa)))를, 입체도를 구성하는 투영도(제9(a)도에 나타내는 X면, Y면, Z면)중의 특정면에 진원(眞圓)을 투영할때에 형성되는 타원의 장축, 단축좌표계(v,w)(제9(c)도, 원점(PO))과 맞추어 겹쳐서(제9(d)도), 상기 평면도에 대하여, 장축 방향과 단축방향으로 장축과 단축의 비율(a/b)을 곱셈하는 연산을 행한다(제9(d)도→제9(e)도). 한편, 제9도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상기 2개의 좌표계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표시하고 있지만,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같은 본 발명에서는 계산상에서 얻어진 투영면을 별도지정된 표시기준점(P10)과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 예컨대 상기 좌표원점(원점(Pa))을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전제에 따라서, 본원발명은 또한, 아래와 같은 모델투영도를 사용한다. 즉, 우선, 디스플레이상에 입체도를 구성하는 3개의 모델투영면(1)을 표시한다. 이 표시방법은 제1도 혹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3개의 모델투영면(1)을 사이클로이드상에 조합한 형상으로서 놓으면, 투영뒤의 입체도를 오퍼레이터가 상상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이어서, 투영하여야 할 평면도를 특정하여, 해당특정권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과 방향을 지정한다. 이어서, 상기 모델투영면의 특정면과 해당 모델투영면상의 방향을 지시한다. 최후로, 디스플레이상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기준점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1도에 도시된 연산수단(20)은, 상기 투영면상에 진원을 투영하여 형성된 타원의 장축-단축좌표계에 상기 평면도의 45°회전좌표계를 겹쳐서, 상기 투영면상에 형성되는 타원의 장경과 단경비를 한쪽을 1로 하고 다른쪽을 a로 할 때, 상기 평면도에 다른쪽의 지름(經)의 방향으로 a를 곱하는 연산을 행하여 투영도를 얻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투영도를 상기 표시기준점에 평면기준점을 맞춤과 동시에 상기 표시기준점에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을 합침과 동시에, 상기 평면도상의 방향과 모델투영면의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입체도가 표시된다.
상기 모델투영면상의 방향은, 상기 모델투영면의 특정면을 지시한 때에 초기설정된 방향이 자동적으로 결정되도록 하면, 조작순서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상기 모델투영면은, 해당 모델투영면을 구성하는 기본의 3축중 적어도 어느 한 개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표시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투영대상이 되는 평면도의 경사에 대응한 모델투영면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모델투영면을 복수조 표시하여, 기본의 3축중 어느 것인가를 서로 다른각도에 설정할 수가 있도록 하고, 동시에 복수의 평면도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실시예 1]
우선, 동측투영도법에 있어서의 모델투영도(1)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이 모델투영도(1)는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이 점에 관해서는 뒤에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는 x축, y축, z축이 아이소메트릭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억수단(10)의 소정의 구역에는 아이소메트릭에 있어서의 타원의 장경과 단경의 비가 X, Y, Z 각각의 면에 관해서 각각 기입되어 있다.
이 경우, 장경의 길이를 1이라고 하면 단경/장경은로 단경방향에의 축소율을 곱셈하는 것으로 된다. 반대로 단경을 1이라고 하면 장경/단경의 비율은으로 되어, 장경방향에의 확대율을 곱셈하는 것으로 된다.
그렇지만, 제1도에서 아이소메트릭스의 기준방향(x, y, z의 각각의 축방향)의 길이를 1로하고, 장축방향에/확대, 단축방향에축소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하에서, 실제로 제3(a)도 평면도로부터 제3(b)도의 입체도를 만드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4(a)도에 나타내는 평면도중 정면도의 최전면에 대응하는 직선군을 지시한다(이것에 의해서, 예컨대 지시된 직선군은 다른 선과 다른 색, 혹은 다른 선과 다른 명도로 표시되지만, 이하 명도가 높게 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어서, 제4(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해당정면도상의 평면기준점(P1)을 커서로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의 연산수단(20)은 상기 평면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 즉 선분의 시단, 길이방향, 원의 크기등의 각각의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를 기억하는 주기억수단(50)으로부터 취득한다. 이때 커서는 역 L자상으로 나타나. 해당역 L자의 커서의 방향으로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도면의 방향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어서 상기 모델투영도(1)의 특정면도(이 경우 Y면CY)을 지시하고 (제4(c)도), 또한, 상기 한 바와 같이 지정된 평면도가 하기와 같이 투영도의 특정면에 투영된 상태로 표시되어야할, 기준이 되는 표시기준점(P10)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지시된 평면도를 투영도의 Y면에 첩부하는 것이 지시된 것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연산수단(20)은 상기 한바와 같이 비율을 수납한 기억수단(10)으로부터 상기 지정된 면에 대응하는 비율 등, 계산상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입체도상의 기준점(투영기준점)(P0)을 Y면의 오른쪽 어깨코너에 초기 설정되어 있지만 이 투영기준점의 의미에 관하여는 뒤에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의 평면도에 대하여 연산수단(20)으로 상기 비율을 곱셈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평면도에 대응하는 투영도를 얻음과 동시에, 해당투영도상의 상기 기준점(P1) 대응위치가 표시기준점(P10)에 일치하여 표시됨(제4(c)도)과 동시에, 이렇게하여 얻어진 투영도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주기억수단(50)의 소정의 영역에 격납된다.
여기서, 상기 정면도를 Y면에 첩부하는 방향이 문제가 되지만, 상기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P1)을 지시할 때에 나타나는 L자의 커서의 저변(L1)과 다리(L2)의 방향에 대응하여 Y면을 표시할 때에 입체도상의 기준점(P0)을 정점으로 하는 2개의 축(여기서는 x축과 z축)이 색 또는 명도의 변화로 나타난다. 그리고, 여기서는 평면도로부터 입체도에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저변(L1)의 방향과 x축의 방향, 다리(L2)의 방향과 z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평면도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4(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면도를 구성하는 요소중, 최전면의 요소를 지시하여, 평면기준점(P2)과 투영면(이 경우 X면Cx), 또한, 표시기준점(P20)을 지시한다. 이때의 투영기준점(P0)은 모델투영면(1)의 X면을 지시함으로써 해당 X면의 우측어깨에 자동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해당투영기준점(P0)을 정점으로하여, y축과 z축의 명도가 높게되고, 제4(e)도에 나타내는 커서의 L때의 저변(L1)방향과 y축방향, 다리(L2)방향과 z축방향이 일치하는 방향에 상기 우측도면이 투영 된다.
더욱이, 표시기준점(P20)이 지시되지만, 이때의 표시기준점(P20)으로서는 입체도상에 존재하여야 할 점이고, 당연히 이미 Y면에 그려지고 있는 정면도에 대응하는 투영도에 존재하는 점을 선택하는 것이, 작도상 이해하기 쉽다. 그래서, 이 경우는 정면도의 오른쪽밑으로 대응하는 점으로서, 상기 정면도의 표시기준점(P10)과 같은 점이 잡힌다(제4(d)도→제4(e)도→제4(f)도).
이상의 순서가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연산이 연산수단(20)으로 이루어져 목적으로 하는 투영도를 얻어, 평면기준점(P2)과 표시기준점(P20)이 일치하도록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평면도의 전요소를 지시하여, 평면기준점(P4)과 투영면(이 경우 Z면Cz), 또한, 표시기준점(P40)을 지시하다. 이때의 투영기준점(P0)은 모델투영면(1)의 Z면을 지시함으로써 해당 Z면의 우측어깨에 자동설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때 해당 투영기준점(Po)를 정점으로서, x축과 y축의 명도가 높게 되어, 제4(h)도에 나타낸, 커서의 L때의 저변(L1)방향과 x축방향, 다리(L2)방향과 y축방향이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도가 투영된다.
더욱이, 이때의 표시기준점(P40)으로서는 입체도상의 앞쪽의 코너가 지정되어 있다. 이상의 순서가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연산이 연산수단(20)으로 이루어져 목적으로 하는 투영도를 얻어, 평면기준점(P4)과 표시기준점(P40)이 일치하도록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제4(g)도→제4(h)도→제4(i)도).
이어서, 우측도면에 나타나고 있지만, 우측면의 최전면으로 부터 깊은 위치에 있는 부착구멍부(M)을 구성하는 전요소를 지시하여, 소정의 위치에 투영하고(평면기준점(P6), 표시기준점(P60)(제4(j)도→제4(k)도→제4(l)도), 또한 상기 부착구멍부(M)의 우측면도의 코너부(R1)만을 지시하여,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P8)을 입체도상의 기준점(P80)에 합치는 것에 의해, 입체도에 상기 코너부(R1)를 투영한다(제5(m)도→제5(n)도→제5(o)도). 이후에 평면상의 사선(L11)을 입체도상의 사선(L12)으로서 빼는 작업(이 작업은 단지 직선(L12)을 빼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하고(제5(p)도→제5(q)도→제5(r)도) 혹은, 불필요부분을 소거함으로써 입체조를 완성시킨다(제5(s)도→제5(t)도).
[실시예 2]
이어서, 제6(a)도의 평면도로부터 제6(b)도의 입체도를 그리는 경우를 예로, 아이소메트릭 이외의 각도로 투영처리를 하는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관해서 기술한다. 제6(a)도의 평면도로부터 이 도면은 통상의 평면도에서 15° 회전되어 그려져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본원발명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순서의 맨 처음에 상기 모델투영면(1)과 함께, 회전각도를 입력하기 위한, 각도입력화면(40)이 나타난다. 이것에 의해서,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기준축(이 경우 z축)을 15° 회전시키도록 지시를 하면, 그 지시에 대응하여 제1도에 나타내는 각도연산수단(30)이 각각의 면에서의 장축과 단축의 비 및 기준선의 길이(아이소메트릭방향을 1로 할 때의 비)를 연산하여, 기억수단(10)에 그 결과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z축을 중심으로 15°회전되어, 또한 각각의 기준선이 상기의 비로 연산된 각각의 변의 길이를 가지는 모델투영면이 나타난다(제7도 참조).
이상의 상태에서, 우선 평면도의 전요소를 지시하고, 상기 동일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P101)을 지시한다. 이어서, 도면의 방향과 커서의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기준이되는 선(Ld)을 지시하면, 커서의 세로축(L2)이 기준선(Ld)와 일치하게 된다(이 기능은 본원이 적용되는 CAD 시스템이 원래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투영면(Z면) 및 표시기준점(P110)을 지시하면, 이것에 의해서, 평면도의 Z면으로의 투영도가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제7(a)도→제7(b)도→제7(c)도). 더욱이, 여기서도 입체도상의 기준점(P0)은 Z면의 우측끝코너에 초기 설정되고, 해당기준점(P0)을 정점으로하여 x축과 y축의 명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투영도의 방향은 L자의 커서의 밑바닥면(L1)이 x축방향에, 다리(L2)가 y축방향에 일치하도록 나타난다.
이어서, 측면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를 지시하여, 평면기준점(P102)을 지시하고, 이어서, 커서를 회전(직선(Lf)과 커서의 L자의 다리(L2)를 합친다)시키어 측면도의 하선과, 커서의 저변(L1)을 합치고, 또한 모델투영면의 X면Cx를 지시한다(제7(d)도→제7(e)도→제7(f)도).
여기서, X면의 투영기준점(P0)을 여기서는 오른쪽 어깨로서 있고, 이때로 투영을 지시하면, L자의 커서의 밑바닥면(L1)이 y축방향으로, 다리(L2)가 z축방향으로 향하고, 이 결과 상기 평면기준점(P102)은, 제7(c)도에 나타내는 오른쪽상어깨의 점(P111)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부적당하다.
이 경우, 상기 측면도상의 평면기준점(P102)은 X면에 투영될 때, 제7(c)도에 나타내는 표시기준점(P110)에 일치되어야 한다.
그래서, 측면도가 상하좌우대상인 것을 이용하여, 이하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기준점(P102)을 지시한 뒤에, X면의 지시를 행한다. 이어서, X면의 좌하각의 점(Pc)을 지시하면, 해당점(Pc)을 정점으로하여 상기 y축과 z축의 명도가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서, L자의 커서의 밑바닥편(L1)의 방향이 y축방향으로, 또한 다리(L2)방향이 z축방향으로 향하도록 지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또한, 표시기준점으로 하여 이미 투영된 평면도의 좌하각(투영도에서는 중앙앞에 나타남)(P110)를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P102)이 표시기준점(P110)에 포개여지는 것으로 된다(제7(d)도→제7(e)도→제7(f)도→제7(g)도).
다만, 이 경우 평면도의 우하점(P103)을 평면도상의 기준점으로 하여, 초기 설정된 투영기준점(P0)을 그대로 표시기준점으로 함과 동시에, 표시기준점을 투영된 평면도의 오른쪽 어깨점(P111)으로 하여 상기와 같은 결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Y면에 투영되어야할 평면도상의 도면은 정면도이지만, 정면도와 우측면이 같은 상태에 있는 것을 이용하여, 재차 우측면의 전체를 지시한다. 이어서, 평면기준점으로서 우하각의 점(P104)을 지시하고, 또한 모델투영면의 Y면을 지시하여, 이미 투영되어 있는 평면도의 우하각에 대응하는 표시기준점(P110)을 지시하고, 이것에 의해서 목적으로 하는 투영도는 그릴 수 있는 것으로 된다(제7(h)도→제7(i)도→제7(j)도). 상기의 순서로 처리하면 선(L10,L11,L12)은 2개가 겹쳐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1개가 되도록 소거처리하게 된다(제7(h)도).
상기 실시예는 모델투영면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평면도와 한쪽의 측면도만으로 입체도를 작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불완전한 평면도(평면의 6면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라도, 입체도를 그릴 수 있는 것을 뜻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제8도는 입체도상에 기준점(Pa~Pd)의 초기 설정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제8(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리 입체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면의 코너를 관련붙이어 놓는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점(Pa)를 선택하면 제8(c)도에 1-4에 굵은선으로 나타내여진 각각의 코너가 입체도상의 기준점(P0)으로되고, 여기서, 각각의 코너를 둘러싸는 2변(x, y, z축중 2축의 조합)이, 제8(b)도에 나타내는 평면도상에 나타났고, 커서의 2변(L20,L21)과 일치하여, 투영기준점(P0)이 평면도 위의 상기 2변의 정점인 평면기준점(Ps)과 일치하도록 투영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내는 요소와 제6도에 나타내는 요소가 1개의 평면도에 병존하는 경우와 같이, 1개의 평면도에 그려진 각각의 요소는 아이소메트릭에 대응하는 각도의 모델투영면만을 사용함으로써, 입체도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델투영면을 2개이상 사용하여, 쌍방의 모델투영면의 각각의 기준축(X, Y, Z)를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델투영면을 표시하여 놓고, 대상이 되는 평면도를 어떤면에 투영되는 가를 시각적으로 지시할 수가 있어, 완성 예상도를 머리의 속에둔 상태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상에 입체도를 구성하는 3개의 모델투영면을 표시하여 놓고, 투영하여야 할 평면도를 특정하고, 이 특정된 평면도상의 평면기준점과 방향을 지정하여, 상기 모델투영면의 특정면과 그 모델투영면상의 방향을 지시하고, 또한, 디스플레이상의 임의의 표시기준점을 지시함으로써, 상기 투영면상에 진원을 투영하여 형성되는 타원의 장축-단축좌표계에 상기 평면도의 45°회전좌표계를 겹쳐, 상기 투영면상에 형성되는 타원의 장경과 단경비를 한쪽을 1로, 다른쪽을 a로 할 때, 상기 평면도에 다른쪽의 지름의 방향으로 a를 곱하는 연산을 행하여 투영도를 얻고, 이렇게하여 얻어진 투영도를 상기 표시기준점에 평면기준점을 합침과 동시에, 상기 평면도상의 방향과 모델투영면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작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투영면상의 방향이, 초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작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투영대상이 되는 평면도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기 모델투영면이 입체도를 구성하는 기본의 3축중 적어도 어느 1개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작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투영면을 복수조 표시하고, 한쪽의 모델투영면의 기본 3축의 설정각도에 대하여 다른쪽의 모델투영면의 기본의 3축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이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도작도방법.
KR1019960041835A 1996-07-05 1996-09-24 입체도작도방법 KR100232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76675A JP2821433B2 (ja) 1995-07-05 1996-07-05 立体図作図方法
JP96-176675 1996-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880A KR980010880A (ko) 1998-04-30
KR100232278B1 true KR100232278B1 (ko) 1999-12-01

Family

ID=1601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835A KR100232278B1 (ko) 1996-07-05 1996-09-24 입체도작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32278B1 (ko)
GB (1) GB2316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2778B1 (en) * 1999-06-10 2004-07-13 Dassault Systemes Three dimensional graphical manipulator
US7502027B1 (en) * 1999-09-13 2009-03-10 Solidworks Corporation Electronic drawing view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070A (en) * 1984-08-03 1987-08-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vely excavating and examining a three dimensional volume
NL8600831A (nl) * 1986-04-02 1987-11-02 Oce Nederland Bv Werkwijze voor het opwekken en bewerken van modellen van twee- of driedimensionale objecten in een computer en voor het weergeven van die modellen op een display.
JP2892423B2 (ja) * 1990-02-28 1999-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046370B2 (ja) * 1996-01-12 2008-02-13 富士通株式会社 3次元形状の作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6591A (en) 1998-02-25
GB2316591B (en) 2000-11-08
KR980010880A (ko) 1998-04-30
GB9711465D0 (en) 199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78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digitiz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Neumann et al. Augmented virtual environments (ave): Dynamic fusion of imagery and 3d models
Bier Skitters and jacks: interactive 3D positioning tools
Johnson Sketchpad III: a computer program for drawing in three dimensions
US4766423A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US5790713A (en) Three-dimensional computer graphics image generator
US7746377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H0325026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N111339588B (zh) 一种二维图纸与三维模型检查方法、系统及存储介质
JPH07262412A (ja) 三次元モデル断面指示装置および指示方式
JP2853355B2 (ja) 3次元図形データ発生装置
KR100232278B1 (ko) 입체도작도방법
US5852442A (en) Method of draw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JP2001134633A (ja) 電子図面ビューア
US6683607B1 (en)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achieving the same
JP2821433B2 (ja) 立体図作図方法
JPH07234949A (ja) 透視図作成支援方法および透視図作成支援システム
US5867168A (en) Method of drawing a cubic view using a minor and a major axis of an ellipse
JPH0612560B2 (ja) 立体図製図方法
JP3853658B2 (ja) 画像測定装置及び画像測定用プログラム
Jeng et al. Moving cursor plane for interactive sculpting
CA1272313A (en) Three dimensional graphic display with user defined vanishing point
US5307453A (en) Graphic data processing system
JP3356552B2 (ja) 三次元画像処理装置及び三次元画像処理方法
Siedler et al. Data acquisi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stone conservation projects with digital m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