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943B1 -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943B1
KR100231943B1 KR1019960081390A KR19960081390A KR100231943B1 KR 100231943 B1 KR100231943 B1 KR 100231943B1 KR 1019960081390 A KR1019960081390 A KR 1019960081390A KR 19960081390 A KR19960081390 A KR 19960081390A KR 100231943 B1 KR100231943 B1 KR 10023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screen
imag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002A (ko
Inventor
최무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8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94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되는 웹 데이타의 전송완료에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판단, 사전에 설정한 시간보다 장시간일 경우, 외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제공되는 다른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전송화면은 부화면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전송이 완료되면 다시 웹 데이타 화면을 주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10); 외부 영상표시장치(110) 화면의 화소(畵素)와 일대일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메모리(30); 상기 화상 메모리(30)내의 화상데이타를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부(40);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타 영상신호를 각각 선택하여 구분출력하는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의 출력신호에 아이콘 신호를 생성하여 합성시키는 아이콘신호 생성부(60); 및 상기 모뎀(10)의 통신망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모뎀(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 완료 예정시간을 판단하며,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와 상기 아이콘신호 생성부(60)를 제어하는 마이콤(MICOM)(50);포함하여 구성되어, 웹 페이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시간동안 사용자가 비디오시청이나 TV시청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어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송완료시에는 사용자의 별도 동작없이 자동으로 인터넷 환경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본 발명은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 이하“웹”이라 함)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웹 데이타의 전송완료에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시간보다 오래 걸릴 경우에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제공되는 다른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타 전송화면은 부화면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인터넷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면 다시 인터넷 데이타 전송화면을 주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시간동안 사용자가 비디오시청이나 TV시청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어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송완료시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자동으로 인터넷 환경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정보의 시대로 불리워 질 만큼 정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정보의 바다로 비유되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오락을 즐기는 일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문자이외에 영상, 음악 또는 동영상을 지원하는 웹에 대한 접속과 이용이 폭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웹을 포함하는 인터넷의 이용은,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Client - Sever Model)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바, 클라이언트라는 것은 문서를 요구하는 사용자측의 컴퓨터를 의미하고, 서버라는 것은 통신망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문서를 제공해 주는 컴퓨터를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하여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서버중에서 관심있는 서버(웹 사이트(site))의 주소 즉, 유알엘(이하,“URL”이라 함, Uniform Resource Locator)를 지정하여 지정 웹 사이트에 해당하는 서버와 접속하고, 클라이언트 측의 요구에 따라 서버로부터 인터넷 데이타를 전송받게 되는 데, 한 문서의 웹데이타를 완전하게 전송받기 위해서는, 통신망 상황이나 서버측 혹은 클라이언트측의 사정에 따라 짧게는 수분에서 길게는 십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현재, 상기와 같은 인터넷 이용은, 주로 개인용 컴퓨터(PC)나 최근에 개발된 인터넷 텔레비젼(TV)등을 이용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인터넷상에서 인터넷 데이타를 검색하는 과정은 이용하는 시간대에 따라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특히 웹을 접속해 정보검색을 하는 경우에는 하이퍼미디어(Hypermedia)로 인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양의 데이타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한 페이지의 문서를 수신받는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인터넷 검색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웹 문서의 수신중에 사용자는 완성되지 않은 무익한 데이타를 지켜보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무익한 시간을, 사용자 개인이 인터넷 검색과는 무관한 다른 일을 함으로써 보상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웹 문서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즉시 알지 못하여 전송되는 데이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접속된 시간동안 통신비를 부담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필요한 시간과 돈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인터넷 데이타 수신시 사용자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인터넷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데이타 전송시 사용자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괄적인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제3도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5도는 분할되는 화면중 자화면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을 축소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의 일 실시에
10 : 모뎀(Modem) 30 : 화상 메모리(VRAM)
40 : 방송신호 변환부 41 : 램댁(RAM DAC)
42 : 엔티에스씨 엔코더(NTSC Encoder) 50 : 마이콤(MICOM)
60 : 아이콘신호 재생기 80 : 비디오 테이프 재생부
81 : 휘도/색도 신호처리부 82 : 데크부
83 : 서보부 90 : 튜너부
100 :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 110 : 영상표시장치
300 : 동기분리부 310 : 화면분할 제어기
320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330 : 메모리
340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350 :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영상 화면의 화소(畵素)와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기억수단;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판독하면서 판독된 데이타를 텔레비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수단; 입력되는 제2의 텔레비젼 영상신호와 상기 변환된 텔레비젼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 신호로 각각 구분·선택하여 출력하는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의 통신망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화면상에 출력될 화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완료 예상시간에 따라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의 주화면 및 부화면 신호의 선택을 제어하는 주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아이콘(Icon) 영상신호를 생성하야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의 출력영상과 합성하는 아이콘신호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 제어수단은 부화면신호를 상기 아이콘 영상신호로 출력하도록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아이콘신호 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는, 상기 주 제어수단이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변환된 방송신호가 주화면신호가 되도록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방법은,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데이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데이타의 수신완료 예정시간과 사전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화면과 타 영상신호를 절환하고, 인터넷 데이타가 수신중임을 식별할 수 있는 영상신호를 상기 타 영상신호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검색장치에서는, 상기 주 제어수단에 의하여 먼저 웹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필요한 웹 데이타를 전송받아 상기 화상기억수단내에 기록한다. 기록된 데이타는 방송신호 변환수단에 의해 방송신호에 적합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에 인가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주 제어수단은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율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데이타를 완전히 전송받는데 소요되는 예정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예정 소요시간과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시간을 비교한다. 만일, 예정 소요시간이 사전 설정시간보다 더 긴 경우에는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을 제어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신호 또는 TV신호와 같은 타 영상신호를 주화면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방송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인 인터넷 데이타 전송화면 신호는 부화면 신호로 출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인터넷 데이타 수신 도중이라도 주화면으로 출력된 비디오신호 또는 TV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화면 신호는 화면상에 작은 영역의 자화면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넷 데이타가 수신중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 제어수단은 수신되는 데이타의 전송완료여부를 계속 판단하고, 데이타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인터넷 전송화면은 다시 주화면으로, 상기 타 영상신호는 부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인터넷 화면만을 화면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웹데이타의 수신완료 여부를 즉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녹화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기능별로 크게 구분하여 보면,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10); 외부 영상표시장치(110) 화면의 화소(畵素)와 일대일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메모리(30); 상기 화상 메모리(30)내의 각각의 화상데이타를 연속적으로 판독하면서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부(40);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타 영상신호를 각각 선택하여 구분출력하는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의 출력신호에 아이콘 신호를 생성하여 합성시키는 아이콘 신호 생성부(60); 및 상기 모뎀(10)의 통신망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모뎀(10)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 수신율로부터 수신완료 예정시간을 판단하며,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와 상기 아이콘신호 생성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10)의 화면상에 적절히 분할하여 표시하는 마이콤(MICOM)(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외에 제1도에는 TV신호를 선국하여 출력하는 튜너부(90); 휘도/색도신호 처리부(81), 데크부(82)와 서보부(83)를 포함하여, 녹화테이프를 재생하여 영상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재생부(80);가 더 포함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40)는, 상기 화상 메모리(30)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스캐닝(scanning)하면서 각각의 데이타를 3원색(RGB)신호로 변환하는 램댁(RAM DAC(Digital/Analog Converter))(41); 상기 램댁(41)에서 출력되는 3원색신호를 방송신호의 하나인 엔티에스씨(NTSC)(이하“NTSC”라고 함)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NTSC 엔코더(NTSC Encoder)(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콘신호 생성부(60)는, 입력 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를 추출하여 아이콘이 표시될 지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구간에 휘도 및 색상신호를 출력하는 아이콘신호 발생기(61); 및 입력 영상신호와 상기 아이콘신호 발생기(61)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영상합성기(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두 영상신호(변환된 방송신호 및 타 영상신호)가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 신호가 되도록 선택하는 신호 선택기(360); 상기 신호선택기(36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 및 타 영상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분리부(300); 부화면신호로 선택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0); 상기 변환된 디지탈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30); 상기 메모리(330) 내의 디지탈 신호를 외부 영상표시장치(110)에 인가하기 위하여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재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40); 상기 신호 선택기(360)에서 주화면 신호로 선택된 신호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외부 영상표시장치(110)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350); 및 상기 신호 선택기(360)의 주화면과 부화면 신호선택을 제어하고, 상기 동기분리부(300)에서 출력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50)를 제어하여, 상기 주화면 신호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40)에서 출력되는 부화면 신호를 외부 영상표시장치(110)의 화면상에 적절히 분할하여 표시하기 위한 화면분할 제어기(3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기 제2도의 제어흐름도와 병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를 사용하여 인터넷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접속요구가 있게되면,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모뎀(10)을 제어하여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Server)(도면 미도시)에 접속을 요구하며,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의 접속이 완료되면(S10) 이어서 원하는 정보가 있는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원하는 데이타가 상기 모뎀(10)으로 전송된다(S11). 모뎀(10)에서 수신되는 데이타는 상기 마이콤(50)에 의해 각각 판독되어 현재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10)의 출력해상도와 색상수에 의거한 화소데이타로 변환된 후, 영상표시장치(110)의 화면상에 표시될 위치에 대응되는 메모리주소를 지정하여 상기 화상메모리(30)내에 기록된다.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기 화상 메모리(30)내의 화상데이타들은 상기 램댁(41)에 의해 화면의 화소위치와 동기하기 위한 픽셀클럭에 동기되어 연속적으로 계속하여 3원색신호로 변환출력되고, 상기 변환된 3원색신호는 최종적으로 상기 NTSC 엔코더(42)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10)(TV등)에 적합한 아날로그의 NTSC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는 주화면 신호가 상기 NTSC엔코더(42)의 출력신호가 되도록 하고, 부화면 신호는 상기 마이콤(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상에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게 되어 영상표시장치(110)상에는 인터넷 데이타 수신화면이 단독으로 또는 주로 표시되게 된다.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모뎀(10)으로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율(= 현재 수신된 데이타량/수신해야 할 총 데이타량)과 진행된 시간으로부터 수신받고자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완료에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판단하여(S12), 상기 수신완료 예상시간과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소정의 시간을 비교하고(S13), 만일, 사전 설정시간보다 짧게 걸릴 경우에는 인터넷 데이타가 수신되는 화면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S14)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에 별다른 제어신호로 인가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NTSC엔코더(42)의 아날로그 출력인 NTSC신호가 별도의 처리과정없이 직접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110)에 계속하여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수신완료 예상시간이 사전 설정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를 제어하여 별도로 입력되는 타 영상 신호와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40)를 통과한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 화면신호의 주화면과 부화면 신호지정을 변경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분할처리(S16)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10)의 화면상에는 별도로 입력되는 타 영상신호가 전체 화면상에 출력되는 주화면(이하,“모화면”이라 함)과 인터넷 데이타 전송화면이 출력되는 작은 박스의 부화면(이하,“자화면”이라 함)이 표시된다. 이때, 자화면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상신호에서 일정시간간격을 두고 신호를 읽고(O) 건너뛰는(X) 방식을 사용하되, 3H의 수평신호중 하나의 수평신호에 대해서만 상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원 화면이 적당한 비율로 축소된 형태로 얻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체 화면신호의 축소과정은, 입력되는 자화면신호로 부터 동기분리부(300)에 의해 분리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화면분할 제어기(31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자화면신호의 수직 동기신호로 부터 2개의 수평 동기신호를 건너뛴 후, 3번째 수평 동기신호부터 소정의 시간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0)로 하여금 신호 샘플링을 하도록 하고, 다시 2개의 수평동기신호를 건너뛴 후 상기의 샘플링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3:1로 축소된 영상데이타가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화면분할 처리과정을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의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제4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면분할 제어기(310)는 상기 마이콤(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환된 방송신호와 타 영상신호를 모화면신호와 자화면신호로 선택하게 된다. 모화면신호로 선택된 신호는 상기 스위치(350)의 일단에 직접 입력되고 자화면신호로 선택된 신호는 앞서 설명한 화면축소 방식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0)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어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되는데, 이때 저장되는 데이타는 제5도의“O”표시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타, 즉 축소된 영상데이타가 된다. 한편, 저장된 데이타는 상기 화면분할 제어기(310)에 의해 계속적으로 판독되면서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40)에 입력되어 축소된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스위치(350)에 입력되게 된다. 모화면신호와 자화면신호는 상기 동기분리부(300)에 의해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로 각각 분리되어 상기 화면분할 제어기(310)로 입력되고, 상기 화면분할 제어기(310)는 모화면신호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50)를 제어하여 분할된 화면을 생성하게 된다. 즉, 수직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일정 구간내의 수평신호수이면 그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일정시간(t0)후에 상기 스위치(350)의 출력단을 자화면신호 입력측으로 소정의 시간(t1)동안만 연결한 후, 다시 출력단을 모화면신호 입력측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에 따라 모화면과 자화면이 영상표시장치(110)상에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인터넷 데이타 수신화면을 자화면으로 표시하는 대신,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를 제어하여 별도로 입력되는 타 영상신호만을 주화면신호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신호 발생기(61)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되는 타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동기된 아이콘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하여 타 영상신호와 중첩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부화면(자화면)신호를 대신하여 현재 인터넷 데이타가 수신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인터넷 데이타 수신화면이 자화면으로 분할된 화면상태에서, 상기 마이콤(50)은 모뎀(50)을 통해 계속해서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타의 전송량을 계속 판독하여 데이타 수신이 완료되면(S17),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를 제어하여 인터넷 데이타 수신화면을 다시 모화면으로 전환시키고, 타 영상신호는 자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상에 아예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S18).
자화면의 인터넷 데이타 수신화면 대신 아이콘으로 화면에 수신중임을 표시한 경우에는, 상기 마이콤(50)은 상기 아이콘신호 생성부(60)를 제어하여 아이콘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부(100)를 제어하여 부화면신호를 타 영상신호에서 상기 NTSC엔코더(42)에서 출력되는 인터넷 데이타 수신완성 화면으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사용자는 무익한 데이타 수신 과정을 피하여 완성된 인터넷 데이타 화면만을 지체없이 즉각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녹화방법은, 사용자기 인터넷 데이타를 완전히 전송받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수신완료여부를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할 필요도 없이 즉각 알 수가 있어 통신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영상 화면의 화소(畵素)와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기억수단;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판독하면서 판독된 데이타를 텔레비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수단; 입력되는 제2의 텔레비젼 영상신호와 상기 변환된 텔레비젼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 신호로 각각 선택하여 구분출력하는 다중 영상신호 처리 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의 통신망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화면상에 출력될 화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완료 예상시간에 따라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의 주화면 및 부화면 신호의 선택을 제어하는 주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아이콘(Icon)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의 출력영상과 합성하는 아이콘신호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 제어수단은 부화면신호를 상기 아이콘 영상신호로 출력하도록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아이콘신호 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수단은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전환된 방송 신호가 주화면신호가 되도록 상기 다중 영상신호 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4.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데이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데이타의 수신완료 예정시간과 사전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인터넷 데이타의 수신화면을 타 영상신호로 절환하고, 인터넷 데이타가 수신중임을 식별할 수 있는 영상신호를 상기 타 영상신호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방법.
KR1019960081390A 1996-12-26 1996-12-26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KR10023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390A KR100231943B1 (ko) 1996-12-26 1996-12-26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390A KR100231943B1 (ko) 1996-12-26 1996-12-26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002A KR19980062002A (ko) 1998-10-07
KR100231943B1 true KR100231943B1 (ko) 1999-12-01

Family

ID=1949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390A KR100231943B1 (ko) 1996-12-26 1996-12-26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03B1 (ko) * 1997-03-05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모드자동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002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0916A (en) Apparatus for control of images from multiple sources
US4821121A (en) Electronic still store with high speed sorting and method of operation
EP1185093A2 (en) Television signal reception apparatus
JP2010119151A (ja) ビデオクリッププログラムガイド
GB2232552A (en) Picture-in-picture circuitry for movable inlaid picture
RU96124089A (ru) Видеоклип программы передач
US6151079A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circuit for magnifying and processing a pictur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image signal
US5389974A (en) Automatic converting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mode
US20020138835A1 (en) Decimation method for providing pig windows
JPH05219487A (ja) テレテキスト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779458B (zh) 视频配送装置以及视频配送程序
KR100231943B1 (ko)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JPH0743755Y2 (ja) テレテキスト受信システムのマルチページ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16916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reservation recording method thereof
KR100207018B1 (ko) 인터넷 데이타의 녹화장치
KR20020032802A (ko) 다중 매체를 통한 동일방송 수신 방법
KR0123756B1 (ko) 이전화면탐색기능을 갖는 영상신호수신장치
JP2001177781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受信装置並びに情報表示方法
JP3128034B2 (ja) 画像合成装置
KR19980039585A (ko) 예약이 가능한 주소지정 방식의 인터넷 데이타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KR100213872B1 (ko) 정보 pip 화면의 표시위치 가변 장치
KR100207016B1 (ko)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JP3007634B2 (ja) 文字放送受信装置
KR960011736B1 (ko) 영상신호 저장 및 기록장치
KR970001498Y1 (ko) 티브이(tv) 자막의 확대 /축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