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016B1 -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016B1
KR100207016B1 KR1019960058619A KR19960058619A KR100207016B1 KR 100207016 B1 KR100207016 B1 KR 100207016B1 KR 1019960058619 A KR1019960058619 A KR 1019960058619A KR 19960058619 A KR19960058619 A KR 19960058619A KR 100207016 B1 KR100207016 B1 KR 100207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web page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586A (ko
Inventor
송명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5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0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웹데이타 전송량을 계속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데이타 전송량이 전송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100%에 도달한 때에 비로서 녹화를 시작하고 웹 페이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녹화를 하지 않음으로써, 실질적으로 필요한 완성된 웹 페이지의 화면만 녹화하게 하여 재생시에 완성된 웹 페이지 화면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웹 페이지의 화면크기가 클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화면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망(20)을 매개로 인터넷상의 웹 서버(10)에 연결되어 인터넷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30); 상기 모뎀(30)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주 메모리(40); 영상 화면의 화소(畵素)와 일대일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메모리(50); 상기 화상 메모리(50)내의 각각의 화상데이타를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부(60);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6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녹화하기 위한 녹화부(300); 및 상기 모뎀(30) 및 녹화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모뎀(3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량을 추적·감시하는 마이콤(MICOM)(1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불필요한 녹화기기의 동작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녹화 테이프도 절약할 수 있으며, 재생시에도 사용자가 필요한 완성된 부분만을 즉시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크기가 큰 웹 페이지 화면도 놓치는 부분없이 모두 재생하여 검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월드와이드 웹(WWW:World Wide Web, 이하 웹이라고 함) 사이트를 검색한 후 이를 녹화할 수 있는 인터넷 녹화 장치 및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웹 사이트의 데이타 전송량을 계속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데이타 전송량이 전송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 데이타의 100%에 도달한 때 즉, 웹 페이지의 전체 화면에 대한 수신이 완료됐을 때에 비로서 녹화를 시작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녹화를 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완성된 웹 페이지의 화면만 녹화하게 하여, 데이타 수신과정 동안의 불필요한 녹화를 위한 전력손실 및 녹화 테이프의 손실을 줄이고, 녹화 후 재생시에도 완성된 웹 페이지 화면만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웹 페이지의 화면크기가 클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모든 웹페이지를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정보의 시대로 불리워 질 만큼 정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정보의 바다로 비유되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오락을 즐기는 일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문자이외에 영상, 음악 또는 동영상을 지원하는 웹에 대한 접속과 이용이 폭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웹을 포함하는 인터넷의 이용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Client-Server Model)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바, 클라이언트라는 것은 문서를 요구하는 사용자측의 컴퓨터를 의미하고, 서버라는 것은 통신만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문서를 제공해주는 컴퓨터를 말하는 것으로서, 웹서비스에 있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서버간에 주고 받는 문서가 에이치 티 엠 엘(이하, HTML이라 함, 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라고 일컬어지는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문서이며, 웹을 통해 전달되는 문서이므로 웹 문서라고도 하는데, 웹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웹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사용하여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서버중에서 관심있는 서버(웹 사이트(site))의 주소 즉, 유알엘(이하, URL이라 함, Uniform Resource Locator)를 지정하여야 한다. 웹 사이트의 지정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지정 웹 사이트를 해당하는 서버와 접속하고, 서버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서버에 HTML 문서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구하게 된다. 서버가 클라이언트 측의 요구에 따라 HTML 문서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프로그램(웹 브라우저(Browser)을 이용하여 수신된 HTML문서를 검색하고, 필요한 경우 그 문서내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관심있는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선택하게 된다. 하이퍼링크란 웹의 다른 HTML 문서의 URL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이것이 선택되면 소유하고 있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웹 문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최초의 URL 지정을 통하여 웹검색을 시작하고, 계속하여 하이퍼링크 선택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궁극적인 정보를 향하여 웹상을 향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서버로부터 최초의 HTML 문서를 완전하게 전송받기 위해서는, 통신망 상황이나 서버측 혹은 클라이언트측의 사정에 따라 짧게는 수분에서 길게는 십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현재, 상기와 같은 인터넷 이용은, 주로 개인용 컴퓨터(PC)나 최근에 개발된 인터넷 텔레비젼(TV)등을 이용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인터넷상에서 인터넷데이타를 검색하는 과정은 사용하는 시간대에 따라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특히 웹을 접속해 정보검색을 하는 경우에는 하이퍼미디어로 인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데이타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원하는 정보나 영상을 찾지 못한 경우에는 검색한 내용을 재검색하여 보다 더 상세히 수신된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당한 통신비용을 감수해야 하며, 또한 웹상에서 제공되는 언어가 한국어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타의 송수신이 없는 상태에서도 수신된 데이타를 읽기 위하여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함으로써, 불 필요한 통신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통신량이 없는 상태에서의 인터넷 데이타의 판독시간을 줄이기 위해 통신접속상태에서 데이타를 판독하지 않고 이를 수신된 디지탈 데이타의 형태 그대로 저장만 한 후, 원하는 사이트(site)들을 모두 검색한 후에 통신접속을 끊고 저장된 데이타를 판독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방대한 디지탈 데이타를 저장해야 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간헐적으로 참고로 하는 데이타의 경우와 같이 장기적인 저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디지탈 데이타의 저장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점유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인터넷상의 다른 데이타의 검색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웹상에서 제공되는 데이타를 아날로그 영상으로 녹화하는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제공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그대로 녹화하는 경우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웹 페이지의 최초 전송 시부터 웹 페이지의 전체 화면 완성시까지의 전 과정을 전부 녹화하게 되고, 결국, 이 과정에서 녹화기기의 동작을 위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녹화용 테이프도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은 물론, 녹화된 화면을 재생할 경우에도 완성된 전체화면만 볼 수 없고 불필요한 부분까지 보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녹화 테이프의 소모량도 줄일 수 있으며, 재생시에도 시간 낭비없이 완성된 전체 화면만 볼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된 웹페이지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상의 영역보다 클 경우에도 모든 웹페이지를 재생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녹화 테이프의 소모량도 줄일 수 있으며, 재생시에도 시간 낭비없이 완성된 전체 화면만 볼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된 웹페이지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상의 영역보다 클 경우에도 모든 웹페이지를 재생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괄적인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방법의 흐름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에 웹페이지가 녹화되는 시간이 축소되는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고,
제4도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서비스가 수행되는 개념을 도시한 개괄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의 실시예
10 : 서버(Server) 20 : 통신망
30 : 모뎀(Modem) 40 : 주 메모리
50 : 화상 메모리(VRAM) 60 : 방송신호 변환부
61 : 램댁(RAM DAC) 62 : 엔티에스씨 엔코더(NTSC Encoder)
90 : 데크부 100 : 마이콤(MICOM)
110 : 서보부 120 : 휘도/색도 신호처리부
130 : 영상표시장치 300 : 녹화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녹화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영상 화면의 화소(畵素)와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기억수단,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판독하면서 판독된 데이타를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방송신호를 기록매체에 녹화하는 녹화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의 통신망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화면상에 출력될 화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하고,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완성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녹화수단이 녹화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주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는,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초과하는 페이지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주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 제어수단은 페이지를 일정영역별로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녹화수단을 제어하여 녹화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녹화 방법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데이타 전송량이 페이지의 100%에 도달하면 녹화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녹화 방법중 상기 녹화를 시작하는 단계는, 웹페이지를 일정영역별로 나누고, 나누어진 각각의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고 녹화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녹화장치에서는, 인터넷 검색장치를 사용한 검색 시작시나,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해 필요한 데이타를 전송받는 도중 또는 예약된 시각에 녹화를 시작하게 되면, 상기 주 제어수단은 녹화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곧바로 상기 녹화수단이 녹화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데크부를 제어하여 일단 녹화대기상태로 있다가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되면서 상기 방송신호 변환수단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으로 변환되는 웹 페이지의 전송 데이타량을 계속적으로 추적하여 그 전송량이 수신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100%에 도달하는 경우 즉, 해당 웹 페이지 화면의 수신이 완료된 후에야 비로서 상기 녹화수단에 녹화시작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휘도/색도 신호처리부, 서보부에 의해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필요로 하는 완성된 웹 페이지 화면만 녹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신되는 웹페이지의 데이타를 상기 주 기억수단에 저장하여, 전송완료된 상기 주 기억수단내의 웹 페이지의 화면 크기와 영상표시장치에 설정된 표시영역의 크기를 비교한 뒤, 웹 페이지의 화면 크기가 클 경우에는, 상기 주 제어수단은 상기 녹화수단에 녹화시작 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주 기억수단내의 데이타를 일정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일정영역을 일정시간간격으로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모두 녹화하게 하여 재생시에 영상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전부 표시되지 않는 웹 페이지 화면을 모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기능별로 크게 구분하여 보면, 통신망(20)을 매개로 인터넷상의 웹 서버(10)에 연결되어 인터넷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데(30); 상기 모뎀(30)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주 메모리(40); 영상 화면의 화소(畵素)와 일대일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메모리(50); 상기 화상 메모리(50)내의 각각의 화상데이타를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부(60);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6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녹화하기 위한 녹화부(300); 및 상기 모뎀(30) 및 녹화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모뎀(3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수신량을 추적·감시하기 위한 마이콤(MICOM)(1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송신호 변환부(60)는, 상기 화상 메모리(50)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스캐닝(scanning)하면서 각각의 데이타를 3원색(RGB)신호로 변환하는 램댁(RAM DAC(Digital/Analog Converter))(61); 상기 램댁(61)에서 출력되는 3원색신호를 방송신호의 하나인 엔티에스씨(NTSC)(이하 NTSC라고 함)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NTSC 엔코더(NTSC Encoder)(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녹화부(300)는, 비디오 테이프의 안착, 로딩(Loading), 구동, 배출(Eject)등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데크부(90); 보다 정확한 녹화를 위하여 헤드(Head) 및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서보부(110); 및 상기 NTSC 엔코더(6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자기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도록 색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신호에 대해 저역주파수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변조를 행하는 휘도/색도 신호처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기 도 2의 제어흐름도와 병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를 사용하여 인터넷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경우(S11), 웹 사이트 검색도중 사용자로부터 녹화키가 입력되면(S12), 상기 마이콤(100)은 상기 녹화부(300)를 제어하여 곧바로 녹화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상기 데크부(90)를 제어하여 비디오 테이프가 녹화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S13) 이어서 상기 마이콤(100)은 서버(10)에서 상기 모뎀(30)으로 전송하어 오는 웹 페이지 데이타를 상기 화상 메모리(50)상의 적절한 위치에 기록하면서 기록되는 데이타 수신량을 계속적으로 판독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데이타가 수신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
녹화부(300)의 녹화여부에 관계없이,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기 화상 메모리(50)내의 화상데이타들은 상기 램댁(61)에 의해 화면의 화소위치와 동기하기 위한 픽셀클럭에 동기되어 연속적으로 계속하여 3원색신호로 변환 출력되고, 상기 변환된 3원색신호는 최종적으로 상기 NTSC 엔코더(62)에 의해 방송수신장치(TV등)에 적합한 아날로그의 NTSC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휘도/색도 신호처리부(120)에 입력된다. 상기 변환된 NTSC 신호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30)에 전송되면 영상표시장치(130)의 화면상에 해당 웹 페이지의 화면이 전송되는(완성되는) 모습이 표시되게 된다.
상기 마이콤(100)은 상기 화상 메모리(50)상에 기록되는 웹 페이지의 데이타 수신량을 계속 판독하다가, 수신량이 최종적으로 해당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데이타량의 100%에 도달되었음을 판단하게 되면(S14), 상기 마이콤(100)은 비로서 데크부(80) 및 서보부(11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NTSC 엔코더(62)에서 출력되어 상기 휘도/색도 신호처리부(120)에서 색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된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녹화테이프 등 별도의 기록매체에 영상으로 녹화되게 되고, 따라서 원하는 웹 페이지를 완성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녹화(S16)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콤(100)은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데이타를 상기 화상메모리(50)에 직접 기록하는 동작외에 상기 모뎀(3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상기 주 메모리(40)에 임시 저장하게 되는 데, 하나의 웹페이지를 수신완료한 다음, 상기 전송완료되어 상기 주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웹 페이지의 크기와 외부 영상표시장치(130)의 웹데이타 표시영역의 크기를 비교하게 된다.(S15) 만일 전체 웹 페이지의 크기가 영상표시장치(130)의 표시영역보다 클 경우에는, 전체 웹 페이지의 크기를 일정영역의 크기로 분할한 뒤 분할된 한 영역에 대해 상기 데크부(90)와 서보부(110)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녹화를 진행(S20)하고, 분할된 모든 영역에 대해 녹화가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21) 녹화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마이콤(100)은 녹화를 종료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주 메모리(40)내의 분할된 다른 영역의 데이타를 상기 화상메모리(50)에 기록함으로써(S22), 녹화가 진행중인 녹화부(300)에 다른 영상이 입력되도록 하여 웹페이지의 다른 영역이 녹화가 되도록 한다.(S20) 이와 같은 반복적인 녹화동작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30)의 웹데이타 표시영역보다 큰 웹페이지의 모든 부분을 기록매체에 영상으로 녹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이콤(100)이 웹페이지를 일정역영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분할되는 각각의 데이타영역이 인접되는 데이타영역과 많은 부분이 중첩되도록 하고, 분할된 하나의 영역에 대한 녹화시간을 상기에서 보다 훨씬 더 짧게 하여 녹화함으로써, 재생시에 검색되는 웹 페이지 화면이 시각적으로 부드럽게 스크롤(Scroll)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검색과정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의 효과를 도시하기 위한 대비 그래프로서, 각각의 웹 페이지에 대한 데이타를 100% 전송받는 데에는 긴 소정의 시간(T1)이 걸리지만,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그 과정을 전부 녹화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데이타 전송량의 100%인 시점에서 녹화를 시작하여 완성된 웹 페이지만을 일정시간(t0)녹화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녹화하는 시간(T2), 즉 녹화테이프의 양은 훨씬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은, 불필요한 녹화기기의 동작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녹화 테이프도 절약할 수 있으며, 재생시에도 사용자가 필요한 완성된 부분만을 즉시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크기가 큰 웹 페이지 화면도 놓치는 부분없이 모두 재생하여 검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경제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영상 화면의 화소(畵素)와 대응되는 기억공간을 가지는 화상 기억수단;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판독하면서 판독된 데이타를 방송신호로 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방송신호를 기록매체에 녹화하는 녹화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의 통신망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화면상에 출력될 화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저장하고, 수신되는 데이타의 페이지완성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녹화수단이 녹화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주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임시 저장하는 주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 제어수단은 상기 주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영역별로 나누어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녹화수단이 녹화를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3.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서버에서 전송하는 데이타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데이타 전송량이 웹페이지의 100%에 도달하면 녹화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터넷 페이지의 페이지단위 녹화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를 시작하는 단계는, 데이타 전송이 완료된 상기 웹 페이지의 크기와 외부 영상표시장치의 웹 데이타 표시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웹 페이지내의 영역을 이동시켜 표시영역에 출력하고 녹화하는 단계; 및 웹페이지내의 모든 영역에 대해 녹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이동 및 녹화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방법.
KR1019960058619A 1996-11-25 1996-11-25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207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619A KR100207016B1 (ko) 1996-11-25 1996-11-25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619A KR100207016B1 (ko) 1996-11-25 1996-11-25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86A KR19980039586A (ko) 1998-08-17
KR100207016B1 true KR100207016B1 (ko) 1999-07-01

Family

ID=1948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619A KR100207016B1 (ko) 1996-11-25 1996-11-25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3619B2 (ja) * 2000-05-26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86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210E1 (en)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multi-contents fil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using the same
US8671430B2 (en) Linking to video information
US54793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search control of digital video files
CN100511208C (zh) 基于用户偏爱提供多媒体内容服务的系统和方法
KR100591903B1 (ko) 확장 텔레비전에 대한 방송 포즈 및 리줌
JP4311194B2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方法
KR20050121356A (ko) 웹페이지상의 링크에 링크번호를 부가적으로 표시하는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EP11939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c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KR100207016B1 (ko) 인터넷 데이타의 페이지단위 녹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0295578A (ja) 映像情報再生装置及び映像情報再生方法
KR100207018B1 (ko) 인터넷 데이타의 녹화장치
JP3060877B2 (ja) マルチメディアシナリオ再生装置
JP3309316B2 (ja) サービス紹介情報転送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207017B1 (ko) 웹데이타의 계층적 지도 작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웹데이타 녹화방법
KR100207019B1 (ko) 예약이 가능한 주소지정 방식의 인터넷 데이타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KR100231943B1 (ko) 데이타 수신상태에 따라 출력영상이 전환되는 인터넷 데이타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KR19980062001A (ko) 색인처리되는 인터넷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JP4274059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端末
JP2008060945A (ja) 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KR100213066B1 (ko) 하이퍼링크 기능을 갖는 동영상 재생장치
JP2007228206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JPH04259069A (ja) 情報検索システム
JP20063398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H10327391A (ja) ビデオサーバ、ビデオデータ蓄積方法及びビデオデータを蓄積した記録媒体
JP2000003369A (ja) シナリオ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リソース表示装置および方法とシナリオ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リソース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