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185B1 -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185B1
KR100231185B1 KR1019970051814A KR19970051814A KR100231185B1 KR 100231185 B1 KR100231185 B1 KR 100231185B1 KR 1019970051814 A KR1019970051814 A KR 1019970051814A KR 19970051814 A KR19970051814 A KR 19970051814A KR 100231185 B1 KR100231185 B1 KR 10023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fixing
display
cove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192A (ko
Inventor
조성인
Original Assignee
조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인 filed Critical 조성인
Priority to KR101997005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1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지역내에 자신의 주차지역임을 알리는 주차 표시부재를 설치하여 타인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방지하고, 만약 타인이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 주차 표시부재내에 설치된 경보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인의 불법주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에는 소정형상의 표지판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주차 표시부재와, 내측에는 가이드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노면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본 발명은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신의 주차지역내에 타인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방지하고, 만약 타인이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 경보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인의 불법주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생활에서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도구로서 취급되고 있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그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보유대수는 대략 1000만대를 넘고 있다.
자동차의 보유대수로는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으나 폭주하는 자동차의 보유대수에 비하여 주차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길가나 골목등에, 심지어는 타인의 주차지역에 불법으로 주차를 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주차지역에 타인의 차량이 불법으로 주차되지 못하도록 자신의 주차지역에 주차금지 표지판, 또는 바리케이드와 같은 장애물을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우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차지역내에 자신의 주차지역임을 알리는 주차 표시부재를 설치하여 타인의 불법주차를 사전에 방지하고, 만약 타인이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 주차 표시부재내에 설치된 경보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인의 불법주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부에는 소정형상의 표지판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주차 표시부재와, 내측에는 가이드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노면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표지부재의 전면에는 차량 인식표를 수납할 수 있는 투명커버가 부착되는 바, 투명커버는 차량 인식표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방이 개방된 상측커버와, 상측커버의 하측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차량 인식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방이 개방된 하측커버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는 커버에 차량 인식표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은 불법 주차시 경보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주차 표시부재 102: 주차 표시판
104: 가이드판 110: 고정부재
112: 가이드편 112a: 가이드홈
112b: 노출홀 112c: 배출홀
114: 고정편 132: 제 1걸고리
134: 제 2걸고리 136: 자물쇠
150: 커버 152: 상측커버
154: 하측커버 160: 노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 는 커버에 차량 인식표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는 상부에 소정형상의 표지판(10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판(104)이 형성된 주차 표시부재(100)와, 내측에는 가이드판(104)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홈(112a)을 갖는 가이드편(112)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주차지역의 노면에 고정되는 고정편(114)이 형성된 고정부재(110)와, 고정부재(1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고정수단과, 표시부재(100)를 고정부재(110)에 잠금하는 잠금수단과, 외부 차량의 주차를 알리는 경보수단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차 표시부재(100)의 상측에는 원뿔형상의 표시판(102)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표시판(102)의 하측에는 납작한 가이드판(10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차 표시부재(100)는 그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차량이 주차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충돌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판(102)의 전면 중간에는 차량 인식표(156)를 수납할 수 있는 투명커버(150)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명커버(150)는 차량 인식표(156)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방이 개방된 상측커버(152)가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측커버(152)의 하측에는 하측커버(154)가 중첩되게 위치되어 차량 인식표(15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방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10)의 외측에는 주차지역의 노면(160)에 통상의 고정수단, 예를 들면 볼트(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114)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전술한 주차 표시부재(100)의 가이드판(104)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2a)을 갖는 가이드편(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10)에 결합되어 있는 주차 표시부재(100)가 임의로 이탈, 다시 말해 분실되지 않기 위해서 가이드판(104)이 가이드홈(1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주차 표지부재(100)의 가이드판(104) 일측에 제 1 걸고리(132)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걸고리(132)와 관계하여 고정부재(110)의 고정편(114)에는 제 2 걸고리(1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걸고리(132)(134)를 상호 교차한 상태에서 자물쇠(136)로 잠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가이드편(112)의 일측에는 제 1걸고리(132)가 삽입되는 노출홀(112b)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편(112)의 타측에는 가이드홈(112a)내에 이물질, 예를 들면 흙등이 끼여서 가이드홈(112a)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출홀(11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주차 표시부재(100)의 내측에는 불법주차 차량일 경우에 표시부재(100)가 일측으로 기우러져 접히게되면서 접점이 접속되어 불법주차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와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통상의 경보음 발생부로 이루어진 경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은 상기 불법 주차시 경보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차 표시부재(100)를 고정부재(110)에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우선 고정부재(110)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편(114)의 볼트홀(114a)에 볼트(120)를 개재하여 주차지역의 노면(160)에 고정부재(1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 다음, 주차 표시부재(100)의 가이드판(104) 양측을 고정부재(110)의 가이드홈(112a)에 끼운상태에서 주차 표시부재(100)를 미끄럼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도 2와 같이, 주차 표시부재(100)는 고정부재(110)에 결합된다. 주차 표시부재(100)의 가이드판(104)이 미끄럼 이동되어 고정부재(110)의 소정위치에 이르게 되면, 가이드판(104)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걸고리(132)가 노출홀(112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제 1 걸고리(132)는 고정부재(110)의 제 2걸고리(134)에 중첩되게 위치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잠물쇠(136)를 이용하여 제 1걸고리(132)와 제 2걸고리(134)를 결합하여 주차 표시부재(100)를 고정부재(110)에 잠금함으로써 주차 표시부재(1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주차 표시부재(100)를 고정부재(110)에 결합하여 주차지역에 설치함으로써 타인의 불법주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주차 표시부재(100)는 주차지역 노면(160)중 눈에 잘 띠는 위치에 설치하여 타인의 불법주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차량(170)의 본넷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하는 바람직하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버(150)에 차량 인식표, 예를 들면 차량번호, 인적사항, 주소 또는 전화번호등을 적은 표지(156)를 삽입하는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방이 개방된 상측커버(152)의 내부에 차량 인식표(156)의 상단 일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차량 인식표(156)의 나머지 하단을 안쪽으로 살짝 밀어 올린 후, 상측커버(152)의 하측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있는 하측커버(154) 상측내로 살짝 집어 넣는다. 그에 따라 차량 인식표(156)가 커버(150)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와같이 상측커버(152)가 하측커버(154)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에 의해서 차량 인식표(156)가 젖어서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커버(150)에서 차량 인식표(156)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은 동작의 역순을 수행하면 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차지역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에는 주차표시부재(100)를 고정부재(110)에서 분리시킨 다음 자신의 차량을 주차시킨 다음 다시 주차표시부재(100)를 고정부재(110)에 고정시키게 되어 감지부가 감지를 하지 못하지만, 불법주차시에는 주차표시부재(100)를 분리하지 못하고 주차표시부재(100)를 밀면서 주차를 하므로서 주차표시부재(100)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누어지게 되므로 이때 주차표시부재(100)의 내측에 설치된 접점이 온되어 감지함에 따라 단계(200)에서는 감지부의 작동개시 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별한다.
단계(200)에서의 판별결과, 감지부의 작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신호입력이 대기된다. 그러나 단계(200)에서의 판별결과 감지부 작동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감지부가 작동됨에 따라 단계(210)으로 진행되어 감지부는 주차지역내에 불법차량의 유무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210)의 판별결과,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계속 감지부가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단계(210)에서의 판별결과, 불법주차 차량이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220)으로 진행하여 경보장치의 경보음 발생부가 작동되어 경보음이 발생한다.
단계(220)의 수행후에는 단계(230)으로 진행하여 경보음 발생시간이 기설정된 경보음 발생시간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230)의 판별결과, 경보음 발생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보다 작을 경우에는 단계(220)으로 진행되어 계속해서 경보음을 발생한다. 그러나 단계(230)의 판별결과, 경보음 발생시간이 기설정된 경보음 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단계(240)으로 진행되어 경보음 출력이 중단된다.
단계(240)의 수행후에는 단계(210)으로 진행되어 불법주차 차량의 유무를 계속 판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주차 표시부재의 형상을 원뿔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삼각판 또는 사각판 그리고 원통형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의 주차지역을 표시하여 둠으로써 타인의 주차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타인이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여 타인의 불법주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부에는 소정형상의 표지판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주차 표시부재;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노면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잠금하는 표시부재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표지부재의 가이드판 일측에 형성된 제 1 걸고리;
    상기 제 1 걸고리와 관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편에 형성된 제 2 걸고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걸고리를 상호 교차한 상태에서 잠금하는 자물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외부 차량의 주차를 알리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5.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내부에는 복원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재의 전면에는 차량 인식표를 수납할 수 있는 커버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7. 상기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차량 인식표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방이 개방된 상측커버와, 상기 상측커버의 하측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차량 인식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방이 개방된 이탈방지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KR1019970051814A 1997-10-09 1997-10-09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KR100231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814A KR100231185B1 (ko) 1997-10-09 1997-10-09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814A KR100231185B1 (ko) 1997-10-09 1997-10-09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192A KR19990031192A (ko) 1999-05-06
KR100231185B1 true KR100231185B1 (ko) 1999-11-15

Family

ID=1952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814A KR100231185B1 (ko) 1997-10-09 1997-10-09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836B1 (ko) * 2018-03-23 2018-11-13 주식회사 해광 부품 간소화로 생산성 향상과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선한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753B1 (ko) * 1999-11-19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 히스토그램의 빈값 양자화 방법
KR100773111B1 (ko) * 2004-12-30 2007-11-02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주차제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836B1 (ko) * 2018-03-23 2018-11-13 주식회사 해광 부품 간소화로 생산성 향상과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선한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192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135A (en) Vehicle security device and alarm
KR100231185B1 (ko)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CA2272673C (en) Anti-theft seat belt
FR2773244B1 (fr) Commutateur de detection de la presence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dans un dispositif de lecture-ecriture
KR20150120677A (ko) 장애인 주차공간 전용 볼라드
JP5850606B2 (ja) ゲート
GB2350741A (en) Blind spot sensor
KR100762789B1 (ko)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FR2703641A1 (fr) Dispositif antivol pour véhicule à moteur engendrant blocage de la direction et diverses manifestations d'ordre technique, sonore, visuel ou radio commandé en cas de tentative d'effraction ou de vol.
EP0853298A2 (en) A warning device for motor cars exiting garages and the like
GB2228605A (en) Car park security device
GB240383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venting unauthorised parking in a parking space
KR200353240Y1 (ko) 차량 진입방지대
JP3094077U (ja) 障害者専用駐車場における不正駐車防止装置
US5314040A (en) Automobile anti-theft device
FR2721882B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presence de cle et systeme antivol utilisant un tel dispositif
KR940002745Y1 (ko) 주차금지용 간이 표시판
US20020069564A1 (en) Tamper proof license plate
KR200196486Y1 (ko) 주차 및 도로 경계 표시장치
KR19980074151A (ko)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KR970001982Y1 (ko) 자동차에 설치되는 바코드판 분리장치
KR19990084510A (ko) 자동차의 인식장치
JP4954106B2 (ja) チェーンゲート用チェーン視認具
FR2815134B1 (fr) Dispositif permettant la detection de l'occupation d'un habitacle d'une automobile
KR200219217Y1 (ko) 차량단속 스티커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