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362B1 -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362B1
KR100230362B1 KR1019960023697A KR19960023697A KR100230362B1 KR 100230362 B1 KR100230362 B1 KR 100230362B1 KR 1019960023697 A KR1019960023697 A KR 1019960023697A KR 19960023697 A KR19960023697 A KR 19960023697A KR 100230362 B1 KR100230362 B1 KR 10023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ntroller
initialization
power supply
initialization signal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701A (ko
Inventor
나종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362B1/ko
Publication of KR98000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3Processor initi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1097Boot, Start, Initialis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icrocomputer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된 전원 전압이 소정의 지연회로를 통해 지연되고,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생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 정상적인 동작이 아니면, 공급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초기화 신호뿐 만 아니라 공급 전원 차단에 의해 초기화가 실행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전원 전압을 차단하여 초기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초기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초기화를 위한 외부 단자를 가지고 있어 외부에서 전기적으로 초기화시킬 수 있다.
전원이 처음 인가되거나 전원 상태가 불안정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이 불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안정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가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초기화시킨다.
그러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적인 충격이 너무 강할 경우, 이 충격으로 인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래치-업(Latch-Up)이 발생할 수 있고, 때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에는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RC 지연회로에 의해 초기화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만으로는 초기화가 확실하게 실행되지 않아 대부분 초기화 전용소자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초기화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일방적으로 공급하므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정상적인 초기화가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이 정상적인지를 판단하는 워치-독(WATCH-DOG)을 구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동작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되면 임의로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다.
첨부한 제1도는 종래에 있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초기화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은 입력된 전원을 소정의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RC 지연부(10), RC 지연부(1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입력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초기화 소자부(12), 마이크로 컨트롤러(14), 마이크로 컨트롤러(14)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워치-독(16), 초기화 소자부(12)와 워치-독(16)의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 컨트롤러(14)에 제공하는 논리합 게이트(18)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처음으로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면, RC 지연부(10)를 통해 소정의 지연이 일어나고, 이 지연 현상을 이용하여 초기화 소자부(12)를 통해 초기화 신호가 발생된다. 즉, 초기화 소자부(12)에서는 입력된 전원 전압(Vcc)이 감소하는 경우 내부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특정 전압 이하가 되면, 초기화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워치-독(16)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4)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검출하여 비정상 동작으로 판단되면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여 논리합 게이트(18)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4)에서는 이 논리 게이트(18)를 통해 출력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도 일반적으로 양호한 초기화 특성을 나타내지만 정전기 등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4) 자체에 문제가 발생되어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회복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 전압(Vcc)을 차단시켰다 재투입시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초기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된 전원 전압이 소정의 지연회로를 통해 지연되고,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생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 정상적인 동작이 아니면,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초기화 신호뿐 만 아니라 공급 전원 차단에 의해 초기화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된 전원 전압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에 의해 초기화 신호를 출력시키는 초기화 소자부 및 상기 초기화 소자부로부터 출력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워치-독; 및 상기 워치-독의 판단결과에 의해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투입시키는 전원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제어부는 상기 워치-독의 판단이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비정상적인 동작일 때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함으로써 초기화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입력된 전원 전압(Vcc)이 소정의 지연회로를 통해 지연되고,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생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정상적인 동작을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단계)
상기 20단계의 판단 결과, 정상적인 동작이 실행되지 않으면,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시킨다.(22단계)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초기화 소자에 의해 제공되는 초기화 신호뿐 만 아니라, 공급 전원 차단에 의해 초기화가 실행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시키는 전원 전압(Vcc) 제어부(30), 입력된 전원 전압(Vcc)을 지연시키는 RC 지연부(32), RC 지연부(32)로부터 소정의 지연된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초기화 소자부(34), 초기화 소자부(34)로부터 출력된 초기화 신호 및 전원 전압제어부(30)의 순간적인 전원 차단 후 재투입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6)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36)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 전압(Vcc) 제어부(30)를 제어하는 워치-독(38)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3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의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면, 초기화 소자부(34)에서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켜 마이크로 컨트롤러(36)를 동작시킨다.
동작하기 시작한 마이크로 컨트롤러(36)의 정상적인 동작시에는 전원 전압 제어부(30)의 동작이 제어되지 않으므로 초기화 소자부(34)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그러나, 초기화 소자(34)의 불안정적인 동작으로 인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6)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하면, 워치-독(38)에서는 전원 전압 제어부(3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전원 전압(Vcc)이 순간적으로 차단되었다가 재투입되게 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36)가 초기화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정전기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36)가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워치-독(38)이 마이크로 컨트롤러(36)의 동작이 비정상임을 인식하여 전원 전압(Vcc) 제어부(30)를 제어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36)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시킴으로써, 초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와 동일한 초기화 상태가 실현된다.
여기서, 워치-독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6)가 정상일 때 출력되는 신호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컨트롤러(36)의 정상 동작 및 비정상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초 이내에 소정의 펄스가 워치-독(38)으로 공급되는 상태가 정상적인 동작이라고 가정하면, 1초 이상의 시간이 지나도 워치-독(38)에 소정의 펄스가 나타내지 않으면 워치-독(38)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6)가 비정상적임을 알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초기화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전원 전압을 차단하여 초기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입력된 전원 전압이 소정의 지연회로를 통해 지연되고,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생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 정상적인 동작이 아니면,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초기화 신호뿐 만 아니라 공급 전원의 순간적인 차단 후 재투입에 의해 초기화가 실행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방법.
  2. 입력된 전원 전압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에 의해 초기화 신호를 출력시키는 초기화 소자부 및 상기 초기화 소자부로부터 출력되는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워치-독; 및 상기 워치-독의 판단결과,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비정상적인 동작이라고 판단되면, 공급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켰다 재투입시키는 전원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KR1019960023697A 1996-06-25 1996-06-25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KR10023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97A KR100230362B1 (ko) 1996-06-25 1996-06-25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97A KR100230362B1 (ko) 1996-06-25 1996-06-25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01A KR980006701A (ko) 1998-03-30
KR100230362B1 true KR100230362B1 (ko) 1999-11-15

Family

ID=1946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697A KR100230362B1 (ko) 1996-06-25 1996-06-25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85B1 (ko) * 2020-10-22 2021-04-21 (주)케이.브이.에이 내,외부노이즈 및 외란이 방지되는 역상계전방법 및 역상계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97B1 (ko) * 2000-07-19 2003-05-12 디이시스 주식회사 디지털 과전류 계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85B1 (ko) * 2020-10-22 2021-04-21 (주)케이.브이.에이 내,외부노이즈 및 외란이 방지되는 역상계전방법 및 역상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01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409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hutdown of a power supply
JP2541585B2 (ja) リセット信号発生回路
US6160392A (en) Start-up circuit for voltage reference generator
EP0419902A2 (en) Rush current prevention circuit
KR100230362B1 (ko) 전원 전압 제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초기화 장치
JP2002176143A (ja) 半導体装置
JPH0828017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1141787A (ja) 過電流遮断回路
TWM544730U (zh) 具有保護機制的電源裝置
US5786717A (en) System reset device having level controller for opportunely setting system reset status
JP4412141B2 (ja) 電源起動停止制御回路
KR100407569B1 (ko) 발진제어기능을구비한발진회로
JP2504502B2 (ja) 集積回路カ―ド
JPH08307225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初期化回路
KR19980086251A (ko) 파워다운 제어장치
KR930008064Y1 (ko) 마이컴의 리세트회로
KR0117779Y1 (ko) 과전압 감지 전원회로
JPH08116676A (ja) 可変周波数電源装置
KR20010056419A (ko) 컴퓨터용 전원제어회로
JP2697837B2 (ja) リセット回路
JP2534139Y2 (ja) 電子回路用入力端子回路
JP4746592B2 (ja) 複数の電源により動作する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起動方法
KR970069354A (ko) 프린터의 리모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44803B1 (ko) 티브이 시스템에서 주변 집적회로부의 리세트 방법
KR19980013450U (ko) 마이콤 래치업 동작에 대한 자동 리셋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19990210

Effective date: 1999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