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164B1 -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164B1
KR100229164B1 KR1019920014742A KR920014742A KR100229164B1 KR 100229164 B1 KR100229164 B1 KR 100229164B1 KR 1019920014742 A KR1019920014742 A KR 1019920014742A KR 920014742 A KR920014742 A KR 920014742A KR 100229164 B1 KR100229164 B1 KR 10022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rap
pedestal
plate
electrod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277A (ko
Inventor
마사가즈 사도오
Original Assignee
세끼구찌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사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구찌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사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끼구찌 기요시
Publication of KR93000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006Gas flame weld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8/00Metal fusion bonding
    • Y10S228/901Process of bond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4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adhesively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35Storage cell or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판을 옆으로 누인 상태로 하여 두어 극판의 옆으로 위치하는 스트랩의 노치부에 수지피복전극기둥의 받침대를 끼워 맞추고 받침대와 노치부의 접촉부와 수지피복 전극기둥의 수지부의 사이에 양자를 차단하는 제1보호판을 설치하여 접촉부와 극판 사이에 제2보호판을 설치하므로서 양쪽 보호판 사이에서 접촉부에 상방으로 부터 버어너의 화염을 가하여 받침대와 스트랩을 용접한다.

Description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지피복 전국기둥이 용접되어 있는 스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다라 스트랩에 용접된 수지 피복 전극기둥을 나타낸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한 작업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수지 피복 전극기둥을 스트랩에 용접하는 종래의 방법의 한 작업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pedestal) 2 : 전극기둥 본체
4 : 수지피복 전극기둥 5 : 스트랩 (strap)
5a : 노치부 6a : 제1보호판
6b : 제2보호판 7 : 접촉부
8 : 버어너 10 : 극판
10a : 돌기
본 발명은 수지로 뚜껑의 뒤에 용착시켜서 단자부를 구성하는 수지 피복 전극기둥을 스트랩(strap)에 용접하는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수지 피복 전극기둥을 스트랩에 용접하는 종래의 제조방법의 한 작업공정을 나탄낸 단면도이다. (4)는 수지피복 전극기둥, (5)는 스트랩이다. 수지피복 전극기둥(4)은 전극기둥 본체(2)와 받침대 (pedestal) (1)가 L자형으로 일체로 된 것이다. 전극 기둥본체(2)는 밀착성을 도모하기 위한 수지가 사출성형으로 감겨져 있고, 수지부(3)를 구성하고 있다.
스트랩(5)는 여러개의 극판(10)의 돌기(10a)를 연결하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공정에서는 보호판(6)을 하방으로 부터 덧붙임에 따라 받침대 (1)를 수평상태로 스트랩(5)에 맞대게 하고, 접촉부(7)에 버어너(8)의 화염을 상방으로 부터 덧붙여서 받침대(1)와 스트랩(5)를 용접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방법에서는 제4도의 거리(a)가 2mm정도이고, 거리(b)가 3mm정도인 것과 같은 작을 경우에는 다음의 (1) ~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더우기 거리 (a)는 수지부 (3)의 하단에서 받침대(1)의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거리(b)는 전극기둥본체(2)의 중심에서 받침대(1)의 선단까지의 거리이다. (1)수지부 (3)의 하단이 버어너(8)의 화염에 의하여 용융하여 버려서 수지피복 전극기둥(4)으로 구성하는 단자부의 밀착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2)수지부 (3)의 용융을 피하려하면 받침대(1)와 스트랩(5)의 용접을 충분히 할 수 없다.
(3)버어너 (8)의 화염이 맞닿는 받침대(1)의 부분의 면적이 크므로 받침대(1)가 곧 녹아서 형태가 무너져 버린다. 이 때문에 용접을 완전히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성취한 것으로 수지피복 전극기둥의 수지부가 용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지피복 전극기둥의 받침대와 스트랩을 완전하게 용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은 스트랩에 스트랩가 가로로 위치하도록 극판을 높였을 경우의 상면측으로 부터 극판과는 반대의 측면쪽에 걸쳐서 노치된 노치부를 형성하여 두어 수지피복 전극기둥의 상기 받침대를 상기의 전극기둥본체가 스트랩에 대하여 직각으로 극판과는 반대측으로 뻗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의 노치부에 맞물리게 하고 받침대와 노치부의 접촉부와 수지 피복 전극 기둥의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양자를 차단하는 제1보호판을 설치하여 접촉부와 극판의 사이에 제2보호판을 설치하였고 양 보호판의 사이에서 상기 접촉부에 상방으로 부터 버어어늬 화염을 쬐어서 상기한 받침대와 스트랩을 용접하느 것으로 용접하는 경우 또는 그때까지의 작업단게의 어느편에서 극판을 스트랩이 가로로 위치하도록 넘어뜨려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용접을 하는 접촉부와 수지부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더우기 수지부는 제1보호판에 의하여 접촉부로 부터 차단되어 있다. 또한 버어너의 화염은 상방으로 부터 쬐이므로 양측으로의 화염의 확산은 작다. 따라서 수지부는 버어너의 화염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는다. 또 버어너의 화염이 닿는 받침대의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므로 용접은 받침대가 녹아서 형태가 망가져 버리지 않는중에 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와 스트랩은 확실하게 용접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지 피복전극기둥이 용접되는 스트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스트랩(5)은 여러개의 극판(10)의 돌기(10a)를 연결하여 설치되어있고, 판상으로 되어 있다. 극판(10)은 분리기(11)와 번갈아 적층되어서 극판군(9)을 구성하고 있다. 스트랩(5)에서 제1도와 같이 극판(10)을 스트랩(5)이 가로로 놓이도록 높여졌을경우의 상면(52)측으로 부터 극판(10)과는 반대의 측면(51)쪽에 걸쳐서 잘린 노치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5a)는 나중에 설명하는 수지 피복 전극기둥(4)의 받침대(1)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였고 또한 받침대(1)를 끼워 맞추면 수지 피복 전극기둥(4)의 전극기둥 본체(2)가 스트랩(5)에 대하여 직각으로 극판군(9)과는 반대측에 뻗은 상태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3)은 극판군(9)을 수용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된 전지케이스이다. 제1도에서는 극판군(9)은 스트랩(5)이 가로로 놓이도록 옆으로 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스트랩(5)에 용접되는 수지피복 전극기둥(4)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수지피복 전극기둥(4)은 제4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며, 제4도와 동일한 부호는 같다는 것을 뜻한다. 제2도에서는 수지피복 전극기둥(4)은 옆으로 누운 상태로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 방법의 한 작업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1도에 나타낸 스트랩(5)에 제2도에 나타낸 수지 피복 전극기둥(4)을 버어너(8)에 따라 용접하는 작업공정을 뜻한다. 이 작업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먼저 제1도의 상태 즉 극판군(9)이 옆으로 누운 상태에 있는 스트랩(5)의 노치부(5a)에 제2도의 상태 즉 옆으로 누운 상태에 있는 수지피복 전극기둥(4)의 받침대(1)를 끼워 맞춘다. 더우기 이때 수지 피복 전극기둥(4)의 전극기둥본체(2)는 스트랩(5)에 대하여 직각으로 극판군(9)과는 반대측으로 뻗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받침대(1)와 노치부(5a)의 접촉부(7a)와 수지부(3) 사이에 양자를 차단하는 보호판(6a)를 설치하고 또 접촉부(7a)와 극판군(9)사이에 보호판(6b)을 설치한다. 보호판(6a)은 스트랩(5)의 측면 (51)에 잇따라서 상하로 뻗어 있고 보호판(6b)은 스트랩(5)의 측면 (51)과는 반대측의 측면(53)에 잇따라서 상방으로 뻗어 있고, 보호판(6a)과 보호판(6b) 사이에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확대되어 있다. 다음에 양 보호판 (6a), (6b)사이에서 접촉부(7a)에 상방으로 부터 버어너(8)의 화염을 가하여 받침대(1)와 스트랩(5)을 용접한다. 용접종료후는 양 보호판(6a), (6b)를 떼어내고 극판군(9)을 가로 누운 상태에서 정립상태로 복귀하여 용접된 수지피복 전극기둥(4)을 수지부(3)에서 뚜껑의 뒤에 용착하여 단자부를 구성한다.
상기의 작업공정에 있어서는 제3도의 거리(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부(3)와 접촉부(7a)의 거리가 길어진다. 더우기 거리(a')는 수지부(3)의 하단에서 접촉부(7a)까지의 제3도에 있어서의 수평거리이다.
더우기 수지부(3)는 보호판(6a)에 의하여 접촉부(7a)로 부터 차단되어 있다. 또한 버어너(8)의 화염은 상방으로 부터 쬐이므로 양측으로의 화염의 확대는 작다. 따라서 수지부(3)는 버어너(8)의 화염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는다. 또, 버어너(8)의 화염이 닿는 받침대(1)의 부분은 스트랩(5)의 상면(52)에 잇따른 부분(1a)만으로 되어 부분(1a)의 면적은 작으므로 용접은 받침대(1)가 녹아서 형태가 망가져 버리기전에 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1)와 스트랩(5)는 확실하게 용접된다. 또 보호판(6a)과 보호판(6b)사이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넓어져 있으므로 버어너(8)의 화염은 상방으로 부터 용이하게 열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부(3)가 버어너(8)의 화염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으므로 수지피복 전극기둥(4)이 작은 것이였어도 단자부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받침대(1)와 스트랩(5)은 확실하게 용접되므로 안정한 단자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우기 상술한 작업에서는 극판군(9)을 수지 피복 전극기둥(4)의 받침대(1)를 스트랩(5)의 노치부(5a)에 끼워맞추기전에 옆으로 누인 상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극판군(9)은 버어버(8)의 화염을 가하는 경우에 옆으로 누운 상태로 되어 있으면 좋고, 상술한 작업공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스트랩(5)은 상기한 바 판상(板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전극기둥 본체와 받침대가 L자형으로 일체로 되어 있고 전극기둥 본체에 밀착을 도모하기 위한 수지가 감겨져 있고 그 수지부에서 뚜껑의 뒤에 용착되어서 단자부를 구성하는 수지피복 전극기둥을 여러개의 극판의 돌기를 연결한 스트랩에 상기의 받침대에서 용접하는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스트랩에 스트랩이 옆으로 위치하도록 극판을 옆으로 누였을 경우의 상면측으로부터 극판과는 반대의 측면쪽으로 걸쳐서 잘라진 노치부를 형성하여 두어 수지피복 전극기둥의 상기한 받침대를 상기한 전극기둥본체가 스트랩에 대하여 직각으로 극판과는 반대쪽으로 뻗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한 노치부에 끼워 맞추고 상기한 받침대와 노치부의 접촉부와 수지 피복 전극기둥의 수지부와의 사이에 양자를 차단하는 제1보호판을 설치하고 상기한 접촉부와 극판사이에 제2보호판을 설치하여 양쪽 보호판의 사이에서 접촉부에 상방으로 부터 버어너의 화염을 가하여 받침대와 스트랩을 용접하는 것으로 용접하는 경우 또는 그때가지의 작업단계의 어느경우에 있어서 극판을 스트랩이 옆으로 위치하도록 높혀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
KR1019920014742A 1991-08-20 1992-08-17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 KR100229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33883 1991-08-20
JP3233883A JP2560575B2 (ja) 1991-08-20 1991-08-20 蓄電池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277A KR930005277A (ko) 1993-03-23
KR100229164B1 true KR100229164B1 (ko) 1999-11-01

Family

ID=1696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742A KR100229164B1 (ko) 1991-08-20 1992-08-17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53795A (ko)
JP (1) JP2560575B2 (ko)
KR (1) KR100229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744A (en) * 1994-08-09 1996-04-09 Eberle; William J.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straps and terminals on lugs of storage battery plates
US5836371A (en) * 1996-12-30 1998-11-17 Gnb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terminal post straps to a battery plate group
WO2012063486A1 (ja) 2010-11-09 2012-05-18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EP2728647B1 (en) 2011-06-28 2018-10-10 Nippon Chemi-Con Corporation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12144B2 (ja) * 2015-06-17 2017-04-12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4216A (en) * 1927-04-05 1930-12-09 Wubco Battery Corp Process and means for sealing storage batteries
JPS59694Y2 (ja) * 1978-06-27 1984-01-10 宮川化成工業株式会社 蓄電池
JPS5923455A (ja) * 1982-07-28 1984-02-06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
JPS5986154A (ja) * 1982-11-08 1984-05-18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53795A (en) 1993-10-19
JPH0547367A (ja) 1993-02-26
JP2560575B2 (ja) 1996-12-04
KR930005277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9322B (zh) 电池盒
JP3343889B2 (ja)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
KR100229164B1 (ko) 축전지용 단자부의 제조 방법
JP3343888B2 (ja)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99686B1 (ko) 보호회로 모듈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
ES8705295A1 (es) Un metodo de fabricar un recipiente.
AU2005211526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conductor fuse
BR9505849A (pt) Circuito elétrico de proteção
US6936785B2 (en) Welding construction and a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FR2772887B1 (fr) Bruleur a faible emission d'oxyde d'azote avec circuit de gaz recycle
CN203751548U (zh) 焊接件
CA3076245A1 (en)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JPS6051779B2 (ja) 蓄電池
KR20000016900U (ko) 차량용 배전기의 하이브리드 아이씨 용접구조
KR200192611Y1 (ko) 배선연결 터미널 장치
CN218471883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熔断器
SK278460B6 (en) Protective inlet terminal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bars of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cs
CA2128428C (en) Protective device
JP3697968B2 (ja) 鉛蓄電池
JPS59224055A (ja) 電池接続装置
JPH0740825Y2 (ja) 製鋼用酸素−燃料バーナ
JPH06260163A (ja) 蓄電池の製造法
JPS6310219Y2 (ko)
JP2550069Y2 (ja) サージ電圧吸収装置
JPS5814564Y2 (ja) 電圧非直線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