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777B1 -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777B1
KR100228777B1 KR1019930032195A KR930032195A KR100228777B1 KR 100228777 B1 KR100228777 B1 KR 100228777B1 KR 1019930032195 A KR1019930032195 A KR 1019930032195A KR 930032195 A KR930032195 A KR 930032195A KR 100228777 B1 KR100228777 B1 KR 10022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ing
line
crt
gett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949A (ko
Inventor
박태옥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3003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777B1/ko
Publication of KR95002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4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e.g. by gettering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을 자동적으로 게터 플래싱하는 신규한 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이송라인으로부터 브라운관을 들어 장치로 이재시켰으므로 대형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작업상 많은 무리가 따르고 브라운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작업포지션이 일렬로 배열된 플래싱라인과 이송라인간을 이재수단으로 연결하여 복수의 브라운관이 연속적으로 자동 플래싱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게터 플래싱 과정을 보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 게터 플래싱 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이송라인(transfer line) B : 브라운관
1 : 플래싱 라인(flashing line) 2, 3 : 이재(移載)수단
4 : 팔레트(palette) 6 : 귀환라인
P1 : 로딩 포지션(loading position) P2 : 플래싱(flashing)포지션
P3 : 언로딩(unloading)포지션 P4 : 로케이팅(locating)포지션
본 발명은 브라운관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터(getter) 플래싱(flashing)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은 캐소드(cathode)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복수의 전극으로 가속 및 집속하여 전자빔을 형성하고, 이 전자빔을 편향요크등으로 화면상에 선택적으로 랜딩(landing)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열전자의 안정적 방출과 원활한 가속을 위해서는 브라운관의 내부가 고진공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브라운관은 진공펌프로 배기되어 밀봉된다.
그런데 기계적 방법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진공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배기후에도 전극등에 부착되거나 캐소드의 전자방출물질에 포함되었던 기체분자가 방출되므로, 배기된 브라운관을 게터에 의한 화학적 흡착으로 진공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터는 Ba화합물 등을 주성분으로 한 게터물질을 소정의 용기에 담아 브라운관 내부에 설치하고, 브라운관의 배기후 외부로부터 유도가열에 의해 플래싱시키게 된다.
제1도에는 이러한 게터 플래싱의 종래방법을 도시하였는데, 이송라인(transfer line: T)상의 행거(hanger)등에 실려 이동하는 브라운관(B)이 게터 플래싱 장치(F)전방에 도달하면 작업자(W)가 브라운관(B)을 행거에서 들어내어 게터 플래싱 장치(F)에 적재한다. 고주파 코일(R)이 작동되어 게터 플래싱이 이루어지고 나면 작업자(W)는 다시 장치(F)로부터 브라운관(B)을 들어내어 이송라인(T)상의 행거에 적재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소형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그다지 큰 문제가 없으나, 대형 브라운관은 그 무게가 수십 Kg에 달하므로 작업자(W)에게 큰 무리가 가해지고 브라운관(B)을 놓쳐 파손시킬 우려가 많다. 또한 고주파 코일(R)은 게터와 수mm이내의 오차로 정확히 정합되지 않으면 게터 플래싱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작업자(W)가 무거운 브라운관(B)을 이동시키며 이를 정합시키는 작업 역시 매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혀 인력을 소요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게터 플래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게터 플래싱 장치는 게터 플래싱될 브라운관이 로딩(loading)되는 로딩 포지션과, 브라운관이 게터 플래싱되는 플래싱 포지션과 게터 플래싱된 브라운관이 언로딩(unloading)되는 언로딩 포지션이 일렬(in-line)로 배열된 플래싱 라인(flashing line)과, 이 플래싱 라인상을 주행하며 브라운관을 각 포지션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로딩 포지션과 언로딩 포지션에는 각각 브라운관의 이송라인으로부터 플래싱 라인간에 브라운관을 이동 및 복귀 시키는 이재수단들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플래싱 라인의 이송수단은 컨베이어(conveyor)상을 주행하며 각각 브라운관을 지지하는 복수의 팔레트(palette)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플래싱 라인의 하부에는 이 팔레트들이 복귀하는 귀환라인이 구비되고, 플래싱라인의 양단에는 이 팔레트들을 플래싱라인과 귀환 라인간에 이동시키는 두 리프터(lifter)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로딩 포지션과 언로딩 포지션상의 이재수단은 각각 소정의 안내레일상을 주행하며 승강 가능한 진공패드(vacuum pad)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로딩 포지션의 일측에는 브라운관의 위치를 세팅(setting)하는 로케이팅(locating) 포지션이 구비되어, 이재수단은 이송라인으로부터 이 로케이팅 포지션상에 브라운관을 적재하여 그 위치를 세팅한 뒤 다시 로딩 포지션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로딩측 이재수단은 이송라인과 로케이팅 포지션간, 로케이팅 포지션과 로딩 포지션간을 각각 주행하는 두 이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로딩포지션(P1)과 플래싱 포지션(P2), 그리고 언로딩 포지션(P3)이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플래싱 라인(1)은, 행거(H)등 브라운관(B)의 이송라인(T)과 로딩포지션(P1)과 언로딩 포지션(P3)에서 각각 이재수단(2, 3)에 의해 연결된다. 로딩측 및 언로딩측 이재수단(2, 3)은 각각 안내레일(21, 31)상을 주행하는 진공패드(22, 32)들로 구성되어 이송라인(T)의 행거(H)로부터 플래싱 라인(1)의 로딩 포지션(P1)으로, 언로딩 포지션(P3)으로부터 다시 행거(H)상으로 브라운관(B)을 이재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로딩 포지션(P1)일측에는 브라운관(B)과 접촉하여 그 위치를 세팅하는 포인터(pointer; 11)들이 구비된 로케이팅 포지션(P4)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로딩측 이재수단(2)은 제3도에 잘 보이는 바와같이 두 진공패드(22a, 22b)를 구비하여, 한 진공패드(22a)는 브라운관(B)을 행거(H)로부터 로케이팅 포지션(P4)으로, 다른 한 진공패드(22b)는 로케이팅 포지션(P4)으로부터 로딩 포지션(P1)으로 순차적으로 브라운관(B)을 이재시키게 된다.
한편 플래싱 포지션(P2)에는 고주파 코일(R)이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기로 플래싱 포지션(P2)은 동시에 복수의 브라운관(B)을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포지션이 구비된다.
브라운관(B)은 이송수단에 의해 플래싱 라인(1)의 각 포지션(P1∼P3)간에 이송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이 이송수단은 컨베이어(5)상을 주행하는 복수의 팔레트(4)로 구성된다. 플래싱 라인(1) 상에는 각 소요위치에 스토퍼(stopper; 8)가 구비되어 이 팔레트(4)를 필요에 따라 진행 및 정지시키게 된다.
팔레트(4)에는 로딩 포지션(P1)에서 브라운관(B)이 로딩되어 언로딩 포지션(P3)에서 언로딩되는데, 사용이 완료된 팔레트(4)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플래싱 라인(1)의 하부에는 컨베이어등의 귀환 라인(6)이 설치되고, 플래싱 라인(1)과 귀환라인(6)을 그 양단에서 두 리프터(7a, 7b)가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이송라인(T)의 행거(H)상에 이송되어온 브라운관(B)이 로딩측 이재수단(2)에 도달하면 이재수단(2)의 한 진공패드(22a)가 이 브라운관(B)을 들어올려 로케이팅 포지션(P4)상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브라운관(B)은 포인터(11)들과 접촉하여 소정의 위치로 세팅된다. 그러면 이재수단(2)의 다른 진공패드(22b)가 이 브라운관(B)을 들어올려, 로딩포지션(P1)상에 도달하여 스토퍼(8)에 의해 정지하고 있는 팔레트(4)상에 로딩한다.
그러면 브라운관(B)은 팔레트(4)에 적재된 채 플래싱 포지션(P2)으로 이동되고 여기서 고주파 코일(R)에 의해 게터 플래싱된다. 게터 플래싱이 완료된 브라운관(B)은 언로딩 포지션(P3)에서 이재수단(3)의 진공패드(32)로 팔레트(4)로부터 들어 올려져 다시 이송라인(T)상의 행거(H)에 적재됨으로써 후속공정으로 이송된다.
브라운관(B)이 언로딩되고난 팔레트(4)는 언로딩측 리프터(7b)에 의해 귀환라인(6)측으로 하강하고, 귀환라인(6)을 따라 이동된 뒤 로딩측 리프터(7a)에 의해 다시 플래싱 라인(1)으로 복귀되어 다음 브라운관(B)을 로딩받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하면 전혀 인력이 소요되지 않고 복수의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을 자동적으로 연속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게터 플래싱 공정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브라운관의 정확한 게터 플래싱이 가능하며 그 손상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게터 플래싱될 브라운관이 로딩되는 로딩 포지션과, 상기 브라운관이 게터 플래싱되는 플래싱 포지션과, 게터 플래싱된 상기 브라운관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포지션이 일렬로 배열된 플래싱 라인과, 상기 플래싱 라인상을 주행하며 상기 브라운관을 상기 각 포지션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로딩 포지션과 언로딩 포지션에는 각각 상기 브라운관의 상기 이송라인으로부터 상기 플래싱 라인간에 상기 브라운관을 이동 및 복귀시키는 이재수단들이 구비되고, 상기 플래싱 라인의 이송수단은, 컨베이어상을 주행하며 각각 브라운관을 지지하는 복수의 팔레트를 구비하며, 상기 로딩 포지션의 일측에는 상기 브라운관의 위치를 세팅하는 로케이팅 포지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싱 라인의 하부에는 상기 팔레트들이 복귀하는 귀환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플래싱라인의 양단에는 상기 팔레트들을 상기 플래싱라인과 상기 귀환 라인간에 이동시키는 두 리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포지션과 언로딩 포지션상의 상기 이재수단은 각각 소정의 안내레일상을 주행하며 승강 가능한 진공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포지션측 이재수단이,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로케이팅 포지션간, 상기 로케이팅 포지션과 상기 로딩 포지션간을 각각 주행하는 두 이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KR1019930032195A 1993-12-31 1993-12-31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KR10022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195A KR100228777B1 (ko) 1993-12-31 1993-12-31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195A KR100228777B1 (ko) 1993-12-31 1993-12-31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949A KR950020949A (ko) 1995-07-26
KR100228777B1 true KR100228777B1 (ko) 1999-11-01

Family

ID=1937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195A KR100228777B1 (ko) 1993-12-31 1993-12-31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7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949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2810A (en) Article handling device
KR100228777B1 (ko) 브라운관의 게터 플래싱 장치
KR880000101B1 (ko) 컬러브라운관 제조용 팰리트
US2564839A (en) Vacuum tube assembly apparatus
KR920006159Y1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이송장치
KR200161409Y1 (ko) 섀도우 마스크의 이재장치
JPH0748573Y2 (ja) 移載装置の位置決め移載機構
JP3195218B2 (ja) 車体側面組立体の組立装置
KR950003474Y1 (ko) 브라운관 적재용 팔레트
JP3393667B2 (ja) 焼成用台車の棚板移載装置
KR200195083Y1 (ko) 섀도우마스크의 이재장치
JP3366870B2 (ja) フリットシール装置、移載装置及びフリットシール方法
KR200147976Y1 (ko) 패널 이재장치
JP7200810B2 (ja) 物品収納設備
JP3232028B2 (ja) 表示装置の分割搬送装置
KR0133647Y1 (ko) 전자총조립공정
JPH08261661A (ja) 詰出装置
JPH06298356A (ja) 製品自動積込装置
JPH1116493A (ja) 防爆形陰極線管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3510299B2 (ja) ガラス物品の移載装置
JPH03284542A (ja) パレタイズ装置
JPH065293Y2 (ja) パネルの積込み装置
KR200159650Y1 (ko) 브라운관의 불량여부 검사용 이송장치
KR940008369Y1 (ko) 작업용 팔레트
JP2001348104A (ja) 自動倉庫の出し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