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547B1 -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547B1
KR100228547B1 KR1019970019786A KR19970019786A KR100228547B1 KR 100228547 B1 KR100228547 B1 KR 100228547B1 KR 1019970019786 A KR1019970019786 A KR 1019970019786A KR 19970019786 A KR19970019786 A KR 19970019786A KR 100228547 B1 KR100228547 B1 KR 10022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traight line
data
generation method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118A (ko
Inventor
김성룡
김건호
임미숙
황인석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1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54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5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내 전체 케이블 회선내역이 포함되어 있는 도면에서 너무 데이타가 많아 육안으로 판단하기 힘든 부분을 자동으로 직선도로 생성하여 주므로써, 기존 수작업으로 행할때 소요되던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설계업무나 대개체공사등에 활용 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시스템의 자동적인 직선도 생성으로 인해 직선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본 발명은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내 케이블의 회선정보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분포상황 파악과 설계업무에 필요한 케이블 직선도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수작업으로 인해 직선도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 케이블은 전화국에서 가입자까지 케이블이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구간당(인수공-인수공) 케이블이 한조에서 많게는 수십조에 이르며 설치되어 있는 양도 방대하다.
이처럼 많은 시설을 실제 지형도에 표기하여 판독하기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전화국에서 일정 구간까지 거리, 방향, 지형조건 및 케이블의 설치내역을 직선형태로 간략하게 그린 직선도라는 도면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시내 케이블의 전체 분포상황 또는 회선내역을 그래픽 화면에 나타내어 검색하는 도중 어떠한 구간에 설치된 케이블이 너무 많거나 또는 주석때문에 그래픽 라인이 겹쳐져 그 구간을 검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무자가 수작업으로 먼저 그 구간의 케이블 데이타를 분류하여 직선도를 생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생성한 직선도를 그래픽 화면 상에 입력하여 나중에는 그 화면을 이용해 케이블 상황을 검색한다.
그리고 직선도 생성 후에 그 구간의 케이블 설치 상황이 변경될 경우에는 다시 변경된 내용을 수작업으로 그려 넣어 직선도를 갱신한다.
그러나 상기처럼 케이블이 너무 많아 검색하기 어려운 부분을 수작업으로 생성한다는 것은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내 케이블 시설 데이타에서 직선도에 관련되는 데이타만 분류해낸 다음 이를 케이블 방향 및 배열 상태에 따라 직선도로 자동으로 생성되게 하여 수작업으로 인한 인력 낭비 또는 시간 낭비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조기억 장치 2 : 주기억 장치
3 :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시내 케이블 회선내역을 나타내는 직선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시내 케이블 시설 데이타의 회선내역을 읽어들인 후 직선도로 생성할 데이타만 분류해 내는 데이타 분류과정과; 상기 과정을 통해 분류된 케이블 데이타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일정한 크기의 도면에 맞게 데이타를 배열하여 현재의 도면에 기록할 내용인지 아니면 다음 도면으로 분류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배열과정을 거친 후 현재의 데이타를 별도로 저장하여 직선도로 생성하며, 현재 직선도로 생성되지 않은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 다음 구간이 남아있으면 상기 기본방향 설정 과정부터 다시 반복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직선도 생성 과정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의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로, 시내 케이블 시설 데이타의 회선내역을 읽어들인 후 직선도로 생성할 데이타만 분류해 내는 데이타 분류과정(S1)과; 상기 과정(S1)을 통해 분류된 케이블 데이타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과정(S2)과; 상기 설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일정한 크기의 도면에 맞게 데이타를 배열하여 현재의 도면에 기록할 내용인지 아니면 다음 도면으로 분류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3); 및 상기 배열과정(S3)을 거친 후 현재의 데이타를 별도로 저장하여 직선도로 생성하며, 현재 직선도로 생성되지 않은 구간이 있을 경우 상기 각 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과정(S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 과정(S1∼S4)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직선도의 자동 생성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입/출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1)와; 케이블의 회선내역을 저장하는 주기억 장치(2); 및 상기 각 기억장치(1, 2)를 제어하고, 케이블 정보를 분류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본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한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을 실행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작성된 프로그램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내 케이블 시설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시내 케이블의 회선 내역을 이용하여 일정 구간에 대한 직선도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생성 과정을 간단한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3(a) ∼ (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3(a)도는 기본적으로 관리되는 케이블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와 같은 회선내역 데이타를 주기억 장치(2)에 입력한다.
주기억 장치(2)에서는 상기 입력된 데이타에서 직선도에 관련되는 데이타만 추출해내는 바, 상기 데이타에는 구간별로 설치된 케이블의 종류라든지 설치된 위치, 또는 케이블의 설치 길이 등등의 속성정보들이 합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타에서 직선도에 관련되는 데이타를 추출해내는 기본적인 방법은 사용자가 일정수 이상의 케이블이 한꺼번에 매설된 부분을 직선으로 나타내기 위해 기준 갯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10개 이상의 케이블이 몰려있는 부분이면 직선도 데이타로 나타내기 위해 추출해내고, 그 이하일 경우에는 무시하는 것이다. --- S1 과정
이러한 식으로 추출된 데이타는 케이블이 설치된 방향에 따라 기본 방향(0°, 90°, 180°, 270°)이 정해지는 바, 케이블의 기울기에 의하여 1차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그 다음은 이전 구간의 케이블 방향과 자신의 케이블 방향을 이용하여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S2 과정
이처럼 케이블의 방향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일정한 크기의 도면에 맞게 데이타를 배열하여 현재의 도면에 기록할 것인지, 아니면 다음 도면으로 분류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바, 이는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도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케이블의 방향이 다방향으로 향하면 소수의 방향 쪽으로만 현 도면에 작성하고 다음 도면으로 넘기기도 한다. ---S3 과정
상기와 같은 모든 과정이 완료되면 현재 작성된 주기억 장치(2) 내의 모든 데이타를 보조기억 장치(1)에 저장하여 직선도를 생성하며, 아직까지 직선도로 생성되지 않은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 다음 구간이 남아 있으면 상기 제2과정(S2)부터 다시 반복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직선도 생성 과정을 중단한다.
이상고 같이 설명한 각 과정에 의해 실제 생성되는 직선도의 일예를 제3(a) ∼ 제3(d)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3(a)도는 직선도로 생성되기 이전의 모든 시내 케이블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본적인 케이블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와 같은 데이타가 본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입력되면, 제3(b)도와 같은 형태의 직선도에 관계되는 데이타만 추출되어진 다음 케이블의 방향이 설정되어 출력된다.
즉, 이는 제3(a)도에서 'a'라 표기된 부분의 케이블의 기울기를 기본으로 설정하고, 이의 케이블을 중심으로 나머지 케이블들이 좌측이나 우측 혹은 직선방향으로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90°에 맞추어 배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향이 설정된 도면에서 도면의 크기와 배열을 고려하여 작성한 도면이 제3(c)도의 도면으로, 이 케이블은 기본'a' 방향에서 시작하여 앞, 우측으로 향하고 있다.
다시 앞으로 진행하던 케이블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다른 케이블이 좌측으로 향하게 되고, 우측으로 진행하던 케이블을 기준하여 보면 다른 케이블이 좌측으로 향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방향의 케이블을 배열한다.
그런다음 도면의 크기에서 벗어난다거나, 혹은 너무 다방향으로 현재 도면에 도식하기 복잡한 케이블의 진행은 다음 도면으로 넘겨 다음 도면에서 작성할 수 있도록 표시(도면상에 '다음도면' 이라 표기되어 있는 부분) 한다.
상기처럼 도면의 크기 및 케이블의 지행방향에 따라 배열이 완료된 도면에서 다음으로 넘길 도면의 케이블을 삭제하고서 최종적으로 완성한 직선도가 제3(d)에 도시된 도면이며, 이 데이타를 보조기억 장치(1)에 별도로 저장한다.
그리고 이어 처음에 입력된 시내 케이블 데이타 중 직선도로 생성되지 않은 구간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존재하면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직선도로 형성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직선도 생성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내 전체 케이블 회선내역이 포함되어 있는 도면에서 너무 데이타가 많아 육안으로 판단하기 힘든 부분을 자동으로 직선도로 생성하여 주므로써, 기존 수작업으로 행할때 소요되던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설계업무나 대개체공사등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시스템의 자동적인 직선도 생성으로 인해 직선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시내 케이블 회선내역을 나타내는 직선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시내 케이블 시설 데이타의 회선내역을 읽어들인 후 직선도로 생성할 데이타만 분류해 내는 데이타 분류과정과; 상기 과정을 통해 분류된 케이블 데이타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일정한 크기의 도면에 맞게 데이타를 배열하여 현재의 도면에 기록할 내용인지 아니면 다음 도면으로 분류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배열과정을 거친 후 현재의 데이타를 별도로 저장하여 직선도로 생성하며, 현재 직선도로 생성되지 않은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 다음 구간이 남아있으면 상기 기본방향 설정 과정부터 다시 반복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은 경우 직선도 생성과정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류 과정은 동일한 위치에 한꺼번에 매설된 케이블 수의 특정 설정 값을 정하고, 현재 읽어들인 데이타에서 케이블의 수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직선도 데이타로 분류하고, 이하이면 무시하는 방식으로 데이타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방향 설정 과정은 현재 선택한 케이블의 기울기에 의하여 1차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그 다음은 이전 구간의 케이블 방향과 현재 선택된 케이블의 방향을 이용하여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배열 과정은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도면의 크기에 따라 또는 케이블의 방향이 다방향으로 향하면 소수의 방향 쪽으로만 현 도면에 작성하고 다음 도면으로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KR1019970019786A 1997-05-21 1997-05-21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KR10022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786A KR100228547B1 (ko) 1997-05-21 1997-05-21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786A KR100228547B1 (ko) 1997-05-21 1997-05-21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118A KR19980084118A (ko) 1998-12-05
KR100228547B1 true KR100228547B1 (ko) 1999-11-01

Family

ID=1950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786A KR100228547B1 (ko) 1997-05-21 1997-05-21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66B1 (ko) 2004-01-30 2011-10-18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추적에 의한 개황도 생성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292B1 (ko) * 1999-12-14 200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상속화를 이용한 객체구현을 통한 위상정보 생성방법
KR20030050539A (ko) * 2001-12-19 2003-06-25 주식회사 케이티 맨홀정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66B1 (ko) 2004-01-30 2011-10-18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추적에 의한 개황도 생성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118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05611A1 (en) Database auto-building method for link of search data in gis system using cad drawings
US6728730B1 (en) Figure management system and figure modifying method by using figure management system
KR100228547B1 (ko)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CN112861382A (zh) 一种在电力系统中绘制电力线路图的方法及装置
CN112150584A (zh) 一种基于数据分析结果的厂站接线图智能编辑方法及装置
Howie et al. Computer interpretation of process and instrumentation drawings
JPH04205170A (ja) 図面管理装置
JP2906826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Asquith et al. An ILP for the metro-line crossing problem
JP2753245B2 (ja) 図面管理方法及び装置
CN113805861A (zh) 基于机器学习的代码生成方法、代码编辑系统及存储介质
JP3146302B2 (ja) 図面管理装置
JP3356541B2 (ja) 手書きストローク編集装置及び手書きストローク編集方法
CN116050036B (zh) 一种电网图构建方法、装置及设备
JP3284721B2 (ja) 図面管理装置
KR20000013775A (ko)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JP3353212B2 (ja) 引出線自動作成方法および引出線自動作成システム
JPH06325113A (ja) 設備管理図作成方法
JP2535823B2 (ja) 階層的パタ―ンレイアウト方法
KR0151927B1 (ko) 광통신망 중계계통도 자동생성방법
KR100731477B1 (ko) 선로시설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
JP3284632B2 (ja) 設備図面入力装置
JPH05108729A (ja) 線画デ−タ検索方式および線画デ−タフオーマツト
JP2001117486A (ja) 地図情報システム
KR100681120B1 (ko) 시설정보를 이용한 접속점 자동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