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775A -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775A
KR20000013775A KR1019980032840A KR19980032840A KR20000013775A KR 20000013775 A KR20000013775 A KR 20000013775A KR 1019980032840 A KR1019980032840 A KR 1019980032840A KR 19980032840 A KR19980032840 A KR 19980032840A KR 20000013775 A KR20000013775 A KR 2000001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construction materials
design process
data
clas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호
임미숙
김계관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3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775A/ko
Publication of KR2000001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설계도면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에, 설계도면을 구성하고 있는 그래픽 정보와 관련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계공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공정 데이터베이스와 공사자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공사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제 1 단계; 설계도면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에 읽어들인 그래픽 데이터에서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분류해내는 제 2 단계; 및 분류해낸 모든 그래픽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해낸 요소에 대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도면으로부터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작업으로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나아가 설계와 그에 따른 공사비나 공사규모 측정과 같은 공사에 대한 모의실험도 가능하게 하는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도로를 건설할 때 설계도면이 필수적이며, 심지어 통신에 필요한 케이블, 전주의 설치에도 설계도면이 필요하다. 그러나, 설계도면에서 설계에 필요한 공정, 즉 건물로 따지면 벽돌쌓기 공정 등이고, 통신 케이블 설치에서는 케이블 포설, 케이블 접속 등과 같은 공정과 그에 따른 자재를 일일이 뽑아내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전문 기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대략적인 공사비와 공사자재의 산출과 같은 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캐드(CAD) 등이나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설계도면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에, 설계도면을 구성하고 있는 그래픽 정보와 관련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주므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인력 낭비, 시간 낭비 및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을 케이블 설계도면에 적용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주 기억장치
13 : 보조 기억장치 14 : 입출력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계공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공정 데이터베이스와 공사자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공사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제 1 단계; 설계도면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에 읽어들인 그래픽 데이터에서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분류해내는 제 2 단계; 및 분류해낸 모든 그래픽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해낸 요소에 대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의 사용자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14), 상기 입/출력 장치(14)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기억장치(13), 설계도면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주 기억장치(12) 및 상기 각 기억장치(12,13)와 입/출력 장치(14)를 제어하고,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검색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되는데, 후술되는 도 2 의 처리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계도면을 입력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상기 프로그램이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세 동작은 후술되는 도 3a 및 3b 의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설계도면에서 각각의 그래픽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에(21), 읽어들인 그래픽 데이터가 사용자가 설계를 위해 입력한 데이터인지, 즉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가 필요한 요소인지를 분류해낸다(22).
이후, 분류된 그래픽 데이터에 대하여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된 요소에 대한 설계공정을 추출하고(23), 분류된 요소에 대한 공사자재를 추출한다(24).
다음으로, 분류된 그래픽 데이터중에 처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25) 있으면, 즉 읽어들인 데이터중에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가 필요한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는 과정(23,24)부터 반복 수행하고, 없으면 바로 종료한다.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을 케이블 설계도면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3a 는 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된 기본적인 케이블 설계도면의 예시도로서, 케이블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전화국에서 가입자까지 배선을 주로 하게 되며, 신설은 점선, 철거는 x 표시선, 현재있는 시설은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래픽 데이터는 케이블처럼 라인 데이터, 전주 및 단자함처림 심볼 데이터로 구분되며, 각각의 그래픽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라인은 실선, 점선, 굵은선 및 가는선 등의 종류가 있을 수 있고, 전주와 같은 심볼에서도 원의 중심에 영문으로 IP, C로 구분하여 하나의 그래픽 심볼에 대하여 종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속성 정보도 가지게 된다. 이것은 어떤 한사람을 나타낼 때 외모 즉, 사진은 그래픽 데이터이고, 그 사람에 대한 이력,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등은 속성 정보에 해당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는 상기 도 3a 에 도시된 설계도면에서 그래픽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에 설계에 필요한 요소, 즉 신설, 철거 및 위치 이동 등의 요소를 분류해낸다.
이런 식으로 분류된 각각의 데이터를 시작으로 하여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에 대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게 된다.
즉,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공정 데이터베이스 및 공사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필요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가져오게 된다.
도 3b 의 (A) 요소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읽게 되면, 라인의 종류나 모양, 굵기 등으로부터 케이블, 철거시설, 0.5mm라는 정보와 라인의 길이 등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속성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속성으로부터 심선수는 900 쌍(Pair)이고, FS 케이블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공정 데이터베이스 및 공사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게 된다. (B) 요소에서도 (A) 요소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공정 데이터베이스 및 공사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에 전화국에서 가입자까지의 거리가 1km이고, 공장에서 생산되는 실제 케이블의 길이가 최고 250m라고 가정을 하면, 250m 케이블이 4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라인, 즉 케이블의 연속된 구간 길이의 합이 250m가 넘어가게 되면 두 개의 케이블을 연결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연결을 필요로 하는 지점에서는 사용자가 접속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접속의 공정과 접속 자재가 자동으로 추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기타 케이블 이외의 다른 데이터도 같은 방법으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분류되어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의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추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에 대한 분류 작업을 마치게 되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이나 도로,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다양한 설계도면으로부터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작업으로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설계와 그에 따른 공사비나 공사규모 측정과 같은 공사에 대한 모의실험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캐드(CAD) 등이나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설계도면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에, 설계도면을 구성하고 있는 그래픽 정보와 관련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주므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인력 낭비, 시간 낭비 및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계공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공정 데이터베이스와 공사자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공사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제 1 단계;
    설계도면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에 읽어들인 그래픽 데이터에서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분류해내는 제 2 단계; 및
    분류해낸 모든 그래픽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해낸 요소에 대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분류해낸 그래픽 데이터에 대하여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해낸 요소에 대한 설계공정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분류해낸 그래픽 데이터에 대하여 그래픽 정보와 그에 따른 속성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해낸 요소에 대한 공사자재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분류해낸 그래픽 데이터중에 처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남아 있으면 상기 제 4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없으면 바로 종료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 방법.
KR1019980032840A 1998-08-13 1998-08-13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KR20000013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840A KR20000013775A (ko) 1998-08-13 1998-08-13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840A KR20000013775A (ko) 1998-08-13 1998-08-13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775A true KR20000013775A (ko) 2000-03-06

Family

ID=1954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840A KR20000013775A (ko) 1998-08-13 1998-08-13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7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511B1 (ko) * 2000-08-22 2003-10-08 주식회사 모아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
KR100507238B1 (ko) * 2001-06-15 2005-08-10 (주) 엘콘시스템 비용/일정/공간 체계를 조합한 건설정보 처리방법
KR102415837B1 (ko) * 2021-06-02 2022-06-30 이지환 인공신경망 기반의 케이블 포설 비용 산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511B1 (ko) * 2000-08-22 2003-10-08 주식회사 모아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
KR100507238B1 (ko) * 2001-06-15 2005-08-10 (주) 엘콘시스템 비용/일정/공간 체계를 조합한 건설정보 처리방법
KR102415837B1 (ko) * 2021-06-02 2022-06-30 이지환 인공신경망 기반의 케이블 포설 비용 산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8811B (zh) 地址文本的匹配方法和装置
CN110019616B (zh) 一种poi现势状态获取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服务器
CN113872691B (zh) 光缆自动监测管理系统、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634987A (zh) 电网图数据库的查询方法及装置
CN109345628A (zh) 一种模型轻量化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949907A (zh) 一种工程造价的定额匹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68712A (zh) Bim族模型获取的方法、装置及系统
CN114780746A (zh) 基于知识图谱的文档检索方法及其相关设备
CN102968669B (zh) 对负荷进行预测的方法和装置
CN112926647B (zh) 模型训练方法、域名检测方法及装置
JP2015007955A (ja) 階層構造構築装置、階層構造構築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13775A (ko) 설계도면에서 설계공정 및 공사자재 자동 추출방법
CN112364187A (zh) 基于大数据的汽车配件数据库建库方法、装置及设备
CN116484826A (zh) 一种操作票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227003A (zh) 基于bim的变电工程设备材料属性信息数据结构构建方法
CN102592108B (zh) 图签信息提取方法和装置
KR101744539B1 (ko)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CN115171145A (zh) 图纸图元处理方法及装置
CN107748819A (zh) 一种基于自然语言处理的电气二次设备建模方法及系统
KR101927689B1 (ko) Cim 계통도 처리 방법
CN113360791A (zh) 电子地图的兴趣点查询方法、装置、路侧设备及车辆
CN113470145A (zh) 地图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0228547B1 (ko) 시내 케이블 직선도 자동생성 방법
CN108920749B (zh) 管线二三维数据更新方法、装置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01817A (zh) 一种电能质量数据中心构建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