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39B1 -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39B1
KR101744539B1 KR1020160155133A KR20160155133A KR101744539B1 KR 101744539 B1 KR101744539 B1 KR 101744539B1 KR 1020160155133 A KR1020160155133 A KR 1020160155133A KR 20160155133 A KR20160155133 A KR 20160155133A KR 101744539 B1 KR101744539 B1 KR 10174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wireless terminal
power facility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한우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테크 (주) filed Critical 한우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6015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입상점, 변압기, 개폐기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각 전력설비에 설치되어 해당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태그,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스캔하여 읽어들이기 위한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각 전력설비의 이력을 저장하고, 각 전력설비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로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 또는 보수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무선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설비에 대한 이력관리를 제공함으로써, 현장 출동 전 사전정보 파악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Real time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electric power equipm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핸드홀, 입상점, 분전함, 변압기, 개폐기 등과 같은 전력설비에 대해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기반으로 이력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핸드홀, 입상점, 분전함, 변압기, 개폐기 등과 같은 전력설비가 설치되면, 전력설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전력설비가 염분이 많은 해안가 지역, 부식성 가스가 많은 공단 및 도심 지역, 매년 태풍이 상륙하는 태풍 내습지역 등과 같은 상이한 환경에서 어느 정도 수명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고, 각각의 환경에서 오래 견딜 수 있는 보다 더 좋은 장수명의 전력설비를 연구하고 제조하기 위하기 위하여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이때, 전력설비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각각의 전력설비의 제조업체, 제작년월, 설치년월, 철거년월, 공사업체, 설치전주번호, 철거전주번호 등을 작성하여 공사부서의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공사부서의 감독자는 이를 확인한 후에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여 각각의 전력설비의 수명을 관리하고 있다.
학교 또는 집단거주시설 등의 건축물단위나 소지역단위로 설치되는 분전반, 수배전반, 모터제어반, 비상발전기 등과 같은 전력설비들은 각각 필요한 개소에 광범위한 지역에 독립적으로 산재 설치되고 있어 이들의 유지보수 및 관리에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특히, 이들 전력설비들은 고압 또는 특고압을 다루는 위험 시설물이지만, 상시 관리자를 배치할 수 있는 시설물이 아니므로, 안전 사고의 예방 측면과 건축물 공간의 이용효율 제고를 위해 일반적으로 지하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개별 수배전반 시설에 대한 유지보수와 관리도 매우 불편한 상황이다. 더구나 현재의 전력설비들의 시설 정비점검,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등에 관련한 일련의 관리정보의 생성 및 기록은 개별 관리자를 통해 중앙관리센터에서 취합되는 형태이므로, 총괄적인 관리정보의 통계와 현장 상황에 대한 인식에 상당한 시간이나 기일이 필요하게 되므로, 실시간 관리 점검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전력설비 현장의 정확한 상황정보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즉, 신배전정보시스템의 입력정보 확인 후, 현장에서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실시간 정보 파악에 한계가 있다. 또한, 신배전정보시스템의 경간 단위 생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케이블 구간 현황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구간단위(기기-기기, 기기-입상)의 정밀 관리체계 확립의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설비진단 및 이력관리 미흡으로 현장파악에 어려움이 있으며, 케이블 구간별, 세부경간별 상세정보가 부족하다.
이처럼, 기존 지중설비 정보 활용에 따른 작업에 불편함이 있으며, 각 분야 관리자(감독자)의 잦은 변경으로 인한 대상설비(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핸드홀, 입상점, 분전함, 변압기, 개폐기 등) 관리 체계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 진단실적 및 이력관리 미흡으로 인해 매년 중복구간을 진단하고, 여러 개의 설비대상 확인시 작업시간이 증가하며, 설비정보 데이터 변경 시 수정작업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설비이력 확인 가능한 장비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016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설비 관리에 있어서 IoT 기술을 기반으로, 용이하게 현장 관리를 할 수 있고,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을 예방하고, 고품질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설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인력 및 경제 비용을 절감하고, 실시간 데이터 지원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전력설비에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핸드홀, 입상점, 분전함, 변압기, 개폐기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각 전력설비에 설치되어 해당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태그,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스캔하여 읽어들이기 위한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각 전력설비의 이력을 저장하고, 각 전력설비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로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 또는 보수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무선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라이트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상기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 중에서, 1차 사업소, 2차 사업소, 설비명, 전산화 번호, 설비 종류, 설비 타입, 제작사, 제작년월, 기타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화면의 일부에 단자 번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상기 단자 번호가 선택되면, A, B, C 각 상에 대한 선로 구간 정보를 표시하고, A, B, C 상 중에서 어느 한 상이 선택되면, 해당 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변전소, 회선, 선종, 규격, 접속점, 긍장을 포함하는 해당 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해당 상에 대한 진단 구간의 경간 리스트를 표시하고, 경간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경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간에 대한 정보는 선종, 실측경간, 제작년도, 제작회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경간에 대한 진단일자를 표시하고, 표시된 진단일자 중에서 어느 진단일자가 선택되면, 해당 진단일자의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 전력설비 정보를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인 변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전력설비의 관련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원격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리더기 또는 상기 라이트기와의 통신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태그는 RFID 태그이고, 상기 리더기는 RFID 리더기이고, 상기 라이트기는 RFID 라이트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설비에 대한 이력관리를 제공함으로써, 현장 출동 전 사전정보 파악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wearable) RFID 스캐너를 이용한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독립된 전용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보안을 향상시키고, 정보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데이터 정보 입력 후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비위치 주소 찾기 기능을 제공하여, 전력설비가 위치한 현장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담당자 변경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수인계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향후, 본 발명의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은 지중 설비 및 가공 등 타 설비 데이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라이트기를 통해 RFID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드기의 실제 구현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실제 구현 예이다.
도 1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셀 형식 파일을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핸드홀, 입상점, 분전함, 변압기, 개폐기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라이트기를 통해 RFID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은 전자 태그(210), 리더(reader)기(200), 라이트(write)기(300), 무선 단말 장치(100)를 포함한다.
전자 태그(210)는 각 전력설비(10)에 설치되어 해당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태그(21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 태그(210)가 RFID 태그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실제 구현 예가 도시되어 있다.
리더기(200)는 무선 방식으로 전자 태그(210)에 저장된 정보를 스캔하여 읽어들이는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더기(200)는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더기(200)가 RFID 리더기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드기의 실제 구현 예가 도시되어 있다.
라이트기(300)는 무선 단말 장치(100)와 연결되어, 전자 태그(210)에 정보를 기입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이트기(300)는 RFID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는 RFID 라이트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라이트기(300)가 RFID 라이트기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단말 장치(100)는 리더기(200)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10)의 고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각 전력설비의 이력을 저장하고, 각 전력설비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로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 또는 보수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 랩탑(laptop)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 장치(100)는 리더기(200)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10)의 고유 정보 중에서, 1차 사업소, 2차 사업소, 설비명, 전산화 번호, 설비 종류, 설비 타입, 제작사, 제작년월, 기타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2에서 1차 사업소는 '000지역본부'이고, 2차 사업소는 '00지사'이고, 설비명은 '송파대로 S126-3-2'이고, 전산화번호는 '0522G421'이고, 설비종류는 '에폭시 개폐기'이고, 설비타입은 '수동'이고, 제작사는 'XX'이고, 제작년월은 '2006-05'이고, 기타사항은 '한국전력공사'의 해당 전력설비의 RFID 태그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 장치(100)는 화면의 일부에 해당 전력설비의 단자 번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3상의 경우, 무선 단말 장치(100)는 단자 번호가 선택되면, A, B, C 각 상에 대한 선로 구간 정보를 표시하고, A, B, C 상 중에서 어느 한 상이 선택되면, 해당 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무선 단말 장치(100)는 변전소, 회선, 선종, 규격, 접속점, 긍장을 포함하는 해당 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단말 장치(100)는 해당 상에 대한 진단 구간의 경간 리스트를 표시하고, 경간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경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경간에 대한 정보는 선종, 실측경간, 제작년도, 제작회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단말 장치(100)는 경간에 대한 진단일자를 표시하고, 표시된 진단일자 중에서 어느 진단일자가 선택되면, 해당 진단일자의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단말 장치(100)는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 전력설비 정보를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인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전력설비의 관련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 단말 장치(100)는 원격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주소를 설정하고, 리더기(200) 또는 라이트기(300)와의 통신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도 5에서 리더기(200)로 전자 태그(210)를 인식시키면, 해당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며, 단자 번호(501)가 하단에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 우측에 종료버튼(502)과, 환경설정 메뉴(503)를 제공한다.
도 5에서 단자번호(501)를 클릭하면, 해당 단자에 연결된 선로 구간 정보가 표시된다.
도 6에서 선로 구간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A, B, C 3상에서 하나의 상을 선택하면 해당 상에 대한 정보가 하단에 표시된다. 도 6에서 A 상이 선택된 예시도이며, A 상에 대한 정보는 변전소(S/S)가 '가락'이고, 회선(D/L)이 '가오'이고, 선종이 'CW'이고, 규격이 '60mm2'이고, 접속점이 '4'이고, 긍장이 '91m'로 예시되어 있다.
도 6에서 A 상을 선택한 후, '>'를 클릭하면, 해당 A 상에 대한 진단 구간이 표시되며,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진단 구간에 대한 경간 리스트가 표시되며, 그 중에서 하나의 경간을 클릭하면, 해당 경간에 대한 정보가 화면 하단에 표시된다. 도 7에서 해당 경간에 대한 정보는 선종이 'CW'이고, 실측경간이 '6m'이고, 제작년도가 '200308'이고, 제작회사가 '대일전선㈜' 이다. 도 7에서 '>'를 클릭하면 해당 경간에 대한 진단 결과가 표시된다.
도 8에서 경간에 대한 진단일자가 화면 좌측에 최근 일자 순으로 표시되고, 진단일자를 클릭하면 해당 진단일자의 진단결과가 화면 우측에 표시된다.
도 9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100)에서 RFID 리더기와의 통신포트를 설정하는 화면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4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100)에서의 전력설비 통합관리 화면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설비 정보는 트리 구조로 구현되어 있다.
도 10에서 000지역본부를 클릭하면, 도 11에서 00지사가 표시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00지사를 선택하면, 00지사의 선로 구간이 정렬되어 표시된다.
도 12에서 현대오일뱅크의 대산공장의 '오금로 A244-4-1'의 선로 구간이 선택된 화면예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선로 구간의 전산화번호, 설비명, 선로명, 선로번호 정보가 제공되며, 한 눈에 각 선로 구간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3은 단자#4의 A상의 경간#2가 선택된 화면예이며,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선로 구간의 변전소, 회선 정보도 표시된다.
도 1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셀 형식 파일을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도 17 및 도 18에서 '대상정보(엑셀)파일 불러오기' 메뉴를 클릭한 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파일 불러오기를 클릭하여 대상 파일을 로드(load)한다.
도 19는 '대상정보(데이터베이스) 저장하기'를 선택하여 대상 엑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여 저장한 화면예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데이터를 '설비정보로 변환하기'를 클릭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한 화면예이며, '1차 사업소명', '2차 사업소명'과 같이 설비정보를 편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도 21에서 엑셀 파일 형식의 설비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설비정보 통합관리'를 클릭한 화면예이다.
도 22에서 '펼쳐보기' 또는 '모아보기'를 클릭하거나, 특정 노드에 마우스를 위치시킨 후 (+) 기호를 클릭하는 방식으로 해당 전력 설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항목은 별도로 추가,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해당 노드의 내용을 상세히 열람하거나 편집하기 위하여 해당 항목을 더블클릭하면 편집창이 나타난다.
도 30은 최초로 데이터베이스화한 엑셀 자료 중에서 누락된 경간정보가 있으면 별도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한 화면예이다. 도 30에서 '대상자료 보이기'를 클릭하면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엑셀 정보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우측에 대상 자료 선택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도 31에서 조회된 자료 중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상(A, B, C) 레벨에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하면, 해당 경간 정보가 추가된다.
도 32에서 트리 구조로 표시된 내역에서 세부 항목을 컬럼으로 보여주고 잇으며, '컬럼보기 옵션'을 통해 해당 컬럼의 표시여부와 순서를 변경할 수 있고, 컬럼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예이다.
도 33에서 라이트기(300)를 무선 단말 장치(100)에 연결하고, 환경설정을 통해 통신 환경을 설정한다.
도 34에서 '환경설정'을 통해 원격지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고, 태그를 발급하거나 판독하기 위한 장치와의 통신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5에서 원하는 전력설비를 선택하여 RFID 태그 발급을 시도한다.
도 36 및 도 37에서 라이트기(300)에서 RFID 태그가 접촉될 때까지 대기하게 되며, 라이트기(300)에서 RFID 태그가 접촉되면, 해당 RFID 태그에 전력설비 정보가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무선 단말 장치 200 리더기
300 라이트기 210 전자 태그

Claims (14)

  1. 케이블, 지상기기, 전주, 맨홀, 접속함, 핸드홀, 입상점, 분전함, 변압기, 개폐기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각 전력설비에 설치되어 해당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태그;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스캔하여 읽어들이기 위한 리더기;
    상기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각 전력설비의 이력을 저장하고, 각 전력설비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로별 시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 또는 보수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무선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라이트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상기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전력설비의 고유 정보 중에서, 1차 사업소, 2차 사업소, 설비명, 전산화 번호, 설비 종류, 설비 타입, 제작사, 제작년월, 기타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때 화면의 일부에 단자 번호가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상기 단자 번호가 선택되면, A, B, C 각 상에 대한 선로 구간 정보를 표시하고, A, B, C 상 중에서 어느 한 상이 선택되면, 해당 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변전소, 회선, 선종, 규격, 접속점, 긍장을 포함하는 해당 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해당 상에 대한 진단 구간의 경간 리스트를 표시하고, 경간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경간에 대한 선종, 실측경간, 제작년도, 제작회사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경간에 대한 진단일자를 화면 좌측에 최근 일자 순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진단일자 중에서 어느 진단일자가 선택되면, 해당 진단일자의 진단 결과를 화면 우측에 표시하고,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전력 설비의 고유 정보를 트리 구조로 표시하되, 먼저 1차 사업소 리스트를 트리 구조로 표시하고, 표시된 1차 사업소 리스트 중에서 어느 1차 사업소가 클릭되면, 해당 1차 사업소에 포함된 2차 사업소 리스트를 트리 구조로 표시하고, 표시된 2차 사업소 리스트 중에서 어느 2차 사업소가 클릭되면, 해당 2차 사업소의 각 선로 구간의 전산화번호, 설비명, 선로명, 선로번호 정보가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 전력설비 정보를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인 변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전력설비의 관련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편집 기능으로 변경된 정보를 상기 라이트기를 통하여 해당 전력설비의 전자 태그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원격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리더기 또는 상기 라이트기와의 통신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태그는 RFID 태그이고, 상기 리더기는 RFID 리더기이고, 상기 라이트기는 RFID 라이트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이력관리 시스템.
KR1020160155133A 2016-11-21 2016-11-21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KR10174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133A KR101744539B1 (ko) 2016-11-21 2016-11-21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133A KR101744539B1 (ko) 2016-11-21 2016-11-21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539B1 true KR101744539B1 (ko) 2017-06-09

Family

ID=5921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133A KR101744539B1 (ko) 2016-11-21 2016-11-21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24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의 수명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CN114580583A (zh) * 2022-02-18 2022-06-03 工易(北京)云技术有限公司 信息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24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의 수명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CN114580583A (zh) * 2022-02-18 2022-06-03 工易(北京)云技术有限公司 信息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93536U (zh) 变电设备智能巡检系统
CN109217163A (zh) 基于地理位置的城市电力电缆综合监测及智能运维系统
US9164663B1 (en)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for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nd/or collection system
CN103310300A (zh) 电力资产的移动盘点管理方法和系统
JP2016189088A (ja) 設備管理支援システム
CN104899922A (zh) 一种智能电网可视化应用的三维全息生成方法
CN110046391B (zh) 基于监控信息表的变电站一次接线图自动生成方法
CN105606920A (zh) 确定电力变换器的健康的当前和将来状态的系统和方法
CN102804093A (zh) 太阳能发电厂监控系统
CN111585349B (zh) 一种电网模型管理及监视系统
CN103700032A (zh) 电网调控一体化全景数据平台的构建方法
KR101744539B1 (ko) IoT 기반 전력설비 실시간 이력관리 시스템
CN106251240A (zh) 基于大数据的输电网络预警方法
CN116451876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配电网故障预测和主动检修系统
US20200090881A1 (en) Smart circuit breaker box system
CN104463499A (zh) 一种基于cim的输变电设备全景信息建模方法
DE102017122283B3 (de) Überwachung eines Energieparameters in einer Verteilstation
KR100365238B1 (ko) 배전계통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Nandury et al. Big data for smart grid operation in smart cities
CN113553486A (zh) 输电线路运行状态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ddikov et al. Equipment and software for energy supply monitoring and control process
CN106845837B (zh) 基于大数据技术的输变电工程环境敏感区域监控系统及方法
JP2008299859A (ja) 機器接続管理システム
Meehan Empowering electric and gas utilities with GIS
CN116522746A (zh) 高耗能企业配电托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