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268B1 -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268B1
KR100228268B1 KR1019920014951A KR920014951A KR100228268B1 KR 100228268 B1 KR100228268 B1 KR 100228268B1 KR 1019920014951 A KR1019920014951 A KR 1019920014951A KR 920014951 A KR920014951 A KR 920014951A KR 100228268 B1 KR100228268 B1 KR 100228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detection circuit
starting
breath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201A (ko
Inventor
정석영
Original Assignee
정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영 filed Critical 정석영
Priority to KR101992001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268B1/ko
Publication of KR94000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차량의 시동장치에 부가하는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사전에 음주측정을 하고 난 후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시동 제어장치이며, 야간의 음주운전 우려가 높은 시간대에 한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동작토록 하고 음주측정에 있어서도 비접촉에 의하여 호흡공기 중에 포함되는 알콜농도를 선택측정하도록 하는 등 운전의 편이성을 확보함은 물론 특히 간단한 센서로 되는 검출회로를 종래 시동장치의 마이넷스윗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극히 간단한 구조의 발명으로 단속에 소요되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

Description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실시 일례의 블록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일례의 블록다이어그램.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호흡공기검출회로 실시 일례의 블록다이어그램.
제6도는 음주상태검출회로 실시 일례의 블록다이어그램.
제7도 내지 제11도는 작동제어회로 실시 일례의 블록다이어그램.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일례의 블록다이어그램.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시동제어방법을 논리적으로 표현한 계층구조도 및 흐름도.
본 발명은 음주운전을 예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감지하여 기관의 시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다.
음주운전 행위는 유사시 본인은 물론 사회적으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극히 위험한 행위이므로 여러 차원에서 단속이 강화되고 있으나 그 사고 건수는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는 실정이다.
음주운전 행위를 유형별로 대별하면 ①운전자 자신의 고의적 의도에 의한 것과 ②만취되어 자각능력이 상실된 상태에서의 무의식적 평소 습관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 중 특히 만취상태의 음주운전 사고가 치명적인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됨은 두말할 여지가 없으나 상기의 만취 운전행위는 본인의 이성으로 자제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타의에 의한 단속 이외 사전 예방법이 없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음주운전을 단속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 단속자가 휴대하는 음주측정기가 있으며 이와 같은 음주측정기는 임의 장소에서 임의 차량을 불시 검문하여 음주운전 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하므로 음주운전 단속이 용이토록 할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단속이 운전자에 대한 경각심 고취로 작용하여 심리적 자제력을 유발시킴으로써 그 파급효과로 음주운전이 사전 예방되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어 상당히 효과적인 장치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음주측정기에 의한 단속 시행에는 인적 및 물적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어 무한정 확대가 곤란하며 특히 많은 차량을 일일이 단속할 때는 도심지의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게 되는 바 극히 짧은 시간에 한하여 소규모 검문의 음주단속으로 시행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음주측정기에서 부수적 효과로 되었던 운전자 자신의 자제력에서 기대되는 사전예방 효과도 만취되어 자기통제력이 상실된 운전자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어지므로 이와 같은 단속방법으로는 음주운전에 대한 대형사고의 근원적 예방을 기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운전자의 음주상태는 차량이 자동적으로 시동되지 않도록 하여 그 운행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의식 만취상태의 음주운전은 물론이며 고의적의도의 음주운전까지도 적극적으로 사전예방 할 수 있도록 하고, 저렴한 가격구조로하여 많은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를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특히 편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확도 높은 기능을 가지며, 시공을 용이토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단속에 소요되는 인적 비용을 절감하고, 운전자의 인명보호는 물론 야간운행 차량 상호간의 불신감을 해소하여 교통 흐름의 원활을 도모코자 함에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주 전원스윗치(8)을 경유하여 전원에 연결되고 호흡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호흡공기가 유입되었을 때만 출력이 발생되는 수단의 호흡공기검출회로(1); 주 전원스윗치(8)을 경유하여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되는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를 감지하여 일정 농도 이하일 때 출력을 발생하고 일정농도 이상일 때 출력이 정지되는 수단의 음주상태검출회로(2); 전원에 연결되고 설정되는 소정의 시점을 기준으로 출력이 "ON"→"OFF" 또는 "OFF" →"ON"상태로 전환되는 수단의 작동제어회로(3); 상기 호흡공기검출회로(1)의 출력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출력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어 그 입력단에 신호가 함께 공급되었을 때 출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AND논리회로(4); 상기 AND논리회로(4)의 출력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작동제어회로(3)의 출력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어 그 어느 쪽 입력단에라도 신호가 공급될 때 출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OR논리회로(5); 상기 OR논리회로(5)의 출력에 연결되어 소정의 기간동안 OR논리회로(5)의 출력(ON)상태를 기억하는 수단의 랫치회로(6); 상기 랫치회로(6)의 출력에 연결되어 그 출력전원을 시동스윗치(7-1)로 단속 조작함에 따라 기관을 시동시키는 시동회로(7)에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LED)는 해당되는 회로의 출력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이고, (7-2)는 시동 전원기를 구동하기 위한 계전기(릴레이) 구동코일이며, (8)은 차량의 주 전원(ACC) 또는 이그니션(ON) 스윗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술하면 운전자가 주 전원스윗치(8)을 "ON"하면, 음주상태검출회로(2)는 평상시의 상태 즉, 상시 출력을 발생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AND논리회로(4)의 제2입력단을 "H레벨"로 구동하게 되지만 호흡공기검출회로(1)는 운전자의 호흡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한 "L레벨"로 출력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AND논리회로(4)는 출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운전자가 호흡공기를 불어넣어 음주측정을 하지 않는 한 차량은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운전석 인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하여 운전자의 호흡공기 유입여부를 감지토록 구성되는 호흡공기검출회로(1)는 운전자의 호흡공기에 닿았을 때 출력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하여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음주상태검출회로(2)는 유입되는 호흡공기를 감지하여 두 가지의 출력상태를 갖는 것인데 상기 운전자의 호흡공기 중에서 일정량 이상 즉, 운전을 금하여야할 음주상태로 알콜성분이 검출되었다면 음주상태검출회로는 출력을 정지하여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여부와 무관하게 AND논리회로(4)가 출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와는 달리 운전자의 호흡공기 중에서 일정 이하의 알콜성분이나 알콜성분 자체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처음과 같이 음주상태검출회로는 출력이 발생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게 되어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 발생과 동시 AND논리회로(4)가 출력을 발생하고 그 출력은 OR논리회로(5)를 경유하여 랫치회로(6)을 구동함으로서 시동회로(7)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시동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차량은 종래와 같이 운전자의 시동스윗치(7-1) 조작에 따라 시동 전동기가 구동되어 운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여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주간의 일정 기간 등으로 미리 설정되는 시간동안에는 작동제어회로(3)가 출력을 발생하고 그 출력이 OR논리회로(5)를 경유하여 시동회로부(7)에 무조건 전원을 공급하므로 미리 설정하는 낮 동안에는 차량의 시동을 위하여 상기의 음주측정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상의 작용을 요약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운전조작 전에 운전자가 음주측정을 필하여야만 차량의 시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써 음주측정을 하지 않았을 때 호흡공기검출회로가 출력을 정지하여 시동불능 되도록 작용하며, 음주측정을 필하였을 때라도 호흡공기 중 알콜농도가 일정 이상으로 되는 음주상태에서는 음주상태검출회로가 출력을 정지하므로 역시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양자의 조건 만족 즉, 음주측정을 하여 음주상태가 아니었을 때만 차량이 시동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다만, 시동을 위한 조작이나 시동 불발시 시동스윗치(7-1)를 재차 조작할 때는 랫치회로(6)가 직전의 음주측정 결과를 기억하여 출력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반복하여 측정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음주의 기회가 적은 예를 들면 낮 동안의 기간에는 작동제어회로(3)가 출력을 발생하여 상기의 음주측정을 하지 않아도 시동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무조건 시동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자의 조작상 편이성에 변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중 OR논리회로(5) 또는 랫치회로(6)는 그 출력 발생시 시동회로(7)에 소정의 구동전류를 공급토록 계전기(릴레이)등으로 구성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호흡공기검출회로(1)의 출력을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입력단에 직렬 연결하고 그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과 작동제어회로의 출력(3)을 함께 랫치회로(6)의 입력단에 병렬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며 그 이외의 구성은 제1도와 유사한 것으로 그 작용은 호흡공기검출회로와 음주상태검출회로가 동시에 출력 발생되는 것을 이용토록 하는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도 실시예의 다른 점은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이 발생되어야만 음주상태검출회로가 출력을 발생할 수 있어 제1도에서 음주상태검출회로의 상시 출력을 발생하는 작용과 OR논리회로를 다이오드로 표시한 구성이 다를 뿐이다.
제3도는 호흡공기검출회로(1)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제1전압비교기(1-5)의 제1입력단에 저항(1-3)에 의하여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는 습도센서(1-2)를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1-5)의 제2입력단에는 기준전압(V ref)을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호흡공기에 직접 닿는 습도센서(1-2)의 내부저항은 그 호흡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으로 인하여 호흡공기의 유입 때 저항값이 감소하게 되며, 그 저항값의 감소가 제1전압비교기(1-5)의 제1입력단 전압을 상승시키므로 제1전압비교기는 호흡공기가 일정량이상 유입되었을 때 출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회로는 평상시 출력정지 상태를 유지토록 되어 있는것이며, 미 설명부호(1-1)와 (1-4)는 센서와의 정합을 위한 교류 발진기와 정류기이나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제4도는 호흡공기검출회로(1)의 다른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한 제1전압비교기(1-5) 회로에 부가하여 제2전압비교기(1-7)의 제1입력단에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는 온도센서(1-6)를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의 제2입력단에는 기준전압(V ref1)을 연결하며,
제3전압비교기(1-8)의 제2입력단에 상기 온도센서를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의 제1입력단에 기준전압(V ref2)을 연결하여 특정온도(예를 들면 30℃∼40℃의 사이)에서만 제2전압비교기(1-7)와 제3전압비교기(1-8)가 동시에 출력을 발생하도록 하고, 그들 전압비교기(1-5, 1-7 및 1-8)의 동시에 발생되는 출력을 검출하는 것으로 호흡공기검출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제2전압비교기(1-7)는 제1입력단(+)에 온도센서(1-6)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 출력을 정지하며, 제3전압비교기(1-8)는 제2입력단(-)에 온도센서(1-6)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온도가 하강하면 출력을 정지하게 되므로 이들의 기준전압을 서로 다르게 즉 기준점을 중심으로 위 아래로 약간 벗어나도록 설정하면 특정한 온도의 기준점에서만 양측의 전압비교기(1-7, 1-8)가 동시에 출력을 발생하게 되어 인체의 온도범위만을 선별 감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정온도 검출회로는 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회로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4도의 전체적인 작용을 다시 한번 설명하면
호흡공기가 유입되면 제1전압비교기(1-5)가 출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때 제2전압비교기(1-7)와 제3전압비교기(1-8) 회로가 인체로부터 방산되는 공기 즉, 호흡공기가 맞는가를 온도측정으로 확인한 후 맞을 때에만 논리합을 구하는 전체적인 회로의 출력으로 호흡공기검출회로(1)가 출력을 발생하므로 그들 회로 모두가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제5도는 호흡공기검출회로의 또 다른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서의 습도센서(1-2)를 호흡공기 유입시 도통되도록 되는 포트-인터럽터(PHOTO INTER-RUPTER)에 의한 광센서(1-9)로서 대치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제4도와 동일한 유사 실시의 회로이며,
다만 제4도에서는 호흡공기 유입 때의 습도를 이용하였으나 본도 실시예에서는 호흡공기 유입 때의 공기 압력으로 광차단기(1-10)가 젖혀 닫혀짐으로써 포토 인터럽터가 출력을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광차단기를 쉽게 설치하는 한가지 방안으로는 제5도의 상세 도면과 같이 호흡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되는 취관(吹管, 1-12)내에 호흡공기 흐름(1-10-1)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서 평상시에는 스프링 등으로 광차단기가 열리도록(빛이 통과하는 작용의 방향 1-10-2) 작용하고 호흡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취관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광차단기가 닫혀지도록(빛을 차단하는 방향, 1-10-3) 구성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이 때 유입되는 호흡공기는 알콜센서에 함께 접촉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본도 실시의 포토 인터럽터는 광차단기에 의하여 "ON-OFF"특성이 분명하게 이루어지므로 경우에 따라서 제1전압비교기(1-5)를 배제하고 직접출력으로 하여도 무방한것이며, 또한 본도 실시예의 출력단에는 음주상태검출회로(2)와의 응답속도 정합을 감안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출력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9)의 연결을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지연회로는 정(+) 또는 부(-) 진행 지연특성의 회로로 혼합 구성하여 출력의 상승 또는 하강엣지(Edge)에서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출력과 크로스(Cross)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어느 회로의 출력이든지 응답속도의 정합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센서의 종류에 있어서, 습도센서는 결로센서로 구성하여도 동일 유사한 회로와 작용으로 되는 것이고 광차단기와 포토 인터럽터는 광차단기와 유사한 곳에 부착되는 자석과 리-드 스윗치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동일 유사한 작용으로 되는 것이나 부재의 취사선택으로 결정되는 사안에 불과하므로 세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6도는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실시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제4전압비교기(2-4)의 제1입력단에 저항(2-3)에 의하여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는 알콜센서(2-2)를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의 제2입력단에는 기준전압(V ref)을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평상시 알콜센서(2-2)의 내부저항은 높은 값을 유지하여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출력은 상시 발생토록 되어 있으나 음주상태의 호흡공기에 닿았을 때 알콜센서(2-2)의 내부저항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제4전압비교기(2-4)의 제1입력단 전압을 떨어뜨려 제4전압비교기(2-4)의 출력 즉,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제7도는 작동제어회로(3)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제5전압비교기(3-2)의 제1입력단에 저항(3-3)에 의하여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는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ER, 3-1)를 연결하고 제2입력단은 기준전압(V ref)을 연결하며 그 전압비교기의 출력으로 시동회로의 경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빛이 밝은 주간에는 포토 트랜지스터(3-1)의 내부저항이 극히 적어지므로 제1입력단 전압은 제2입력단의 기준전압 보다도 상승하여 제5전압비교기(3-2)는 출력을 발생하게 되며, 빛이 어두워진 야간에는 포토-트랜지스터(3-1)의 내부저항이 매우 높아 제1입력단의 전압이 제2입력단의 기준전압 보다도 낮게되므로 제5전압비교기(3-2)는 출력을 정지하게 된다.
제8도는 제7도 포토-트랜지스터(3-1)와 거의 동일한 특성으로 빛의 밝기에 따라 내부저항이 변화하는 CDS(3-1)로 대치 구성한 것이며, 그 작용은 그대로 동일한 유사실시 일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는 포트-트랜지스터에 의한 제5전압비교기(3-2)의 출력이 정지되었을 때라도 소정의 기간동안 그 출력을 유지하는 수단의 제1타이머(3-4)를 제5전압비교기(3-2)의 출력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1타이머(3-4)의 출력이 정지되었을 때를 기점으로 소정의 기간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전원 출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2타이머(3-5)를 제1타이머의 출력에 연결하며, 그들 제1타이머 및 제2타이머의 출력이 함께 시동회로의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연결하여서 구성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주간에 제5전압비교기(3-2)의 출력이 발생되고 그 출력은 제1타이머를 경유하는 전류통로로서 출력을 발생하게 되며 야간으로 전환되어 제5전압비교기(3-2)의 출력이 없어지더라도 제1타이머(3-4)는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2시간)동안 직전의 출력상태를 유지한 후 출력을 정지하고, 제2타이머(3-5)는 상기 제1타이머의 출력정지를 입력신호로 하여 소정의 기간 이후 자동적으로 출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일종의 멀티바이브레이터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9도의 실시예는 제1타이머 및 제2타이머의 반복주기를 적절히 설정함에 따라 일몰 후∼일출전 기간중의 특정한 시간 예를 들면 오후 9시∼새벽 3시 등 음주의 우려가 가장 높은 시간대만을 임의 설정하여 출력을 정지하도록 하여 그 시간대에 한하여 강제적으로 음주측정을 이행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타이머 및 제2타이머는 예를 들면 디바이더나 카운터 등으로 구성되는 장시간 타이머를 지칭하고 있으며, ENABLE입력과 DISABLE 입력단을 적절히 연결 구사하여 구성된다.
제10도는 작동제어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주간과 야간의 신호 발생 전환 수단으로 1일 2회의 소정의 설정 시간대에 알람 출력을 발생하는 시계(3-6)의 출력에 랫치회로(3-7)를 연결하고 그 출력에 제5전압비교기(3-2)의 입력단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아침 시간대에 시계(3-6)의 알람(ALI)출력이 발생되면 그 출력은 랫치(3-7)의 (DI)을 구동하여 (Q1)이 "H"출력, (Q2)가 "L"출력을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제5전압 비교기는 출력을 발생하게 된다.
저녁 시간대에 시계(3-6)의 알람(AL2) 출력이 발생되면 그 출력은 랫치(3-7)의 (D2)를 구동하여 (QI)이 "L"출력, (Q2)가 "H"출력을 발생하므로 제5전압비교기는 출력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시계의 알람 시각은 임의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심야의 일정기간 또는 주간의 특정기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대에만 출력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람"에는 음향뿐만 아니라 소정의 디지털 Display 출력 신호 발생 수단이 포함된다.
이 경우 제5전압비교기(3-2)는 제외하고 랫치(3-7)의 (Q1)출력을 직접 OR논리회로(5)에 연결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게 됨에 물론이다.
제11도는 작동제어회로의 또 다른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제5전압비교기(3-2)에 제10도와 같은 수단으로 알람 출력(Q1, Q2)을 연결하되 그 알람 출력은 기준 클럭발생기(3-8)의 출력을 받아 시각설정(TIME SET)과 날짜설정(DAY SET)의 DATA입력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더(3-9)를 게재하여 제5전압비교기(3-2)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기준 클럭(Clock)에 의한 현재 시각정보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더(3-9)에 지령된 각종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디코더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회로(3-10)를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더(3-9)의 DATA 입력부에 부가되는 시각설정 조작(TIME SET)으로 주간과 야간, 소정의 시간대에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더의 (Q1)과 (Q2)가 교호로 출력 발생하여 제5전압비교기(3-2)의 출력은 제10도와 같이 작용하고 그 DATA에 부가되는 날짜설정 조작(DAY SET)으로 작동개시 날짜와 작동중지 날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며, 현재 시각과 그들의 조작 정보 등을 표시장치회로(3-10)애서 읽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더는 사실상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랫치회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회로이다.
제12도는 상기의 실시예에 부가되는 기능으로 되는 또 다른 작동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본 발명 제어장치의 전원 입력단에 주 전원스윗치를 끊어도 소정의 기간 전원출력이 지속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3타이머(10)의 출력을 랫치회로(6)의 전원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제12도의 작용은 운전중의 휴식이나 용무를 위하여 시동을 끈 후에라도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1시간)이내에는 그대로 재차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3타이머(10)가 전원출력을 지속 유지하여 랫치회로(6)의 출력이 소정기간 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중 스윗치(8)와 제3타이머(10)의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OR논리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제3타이머(10)의 Reset 입력단에 스윗치(8)의 출력을 연결하는 회로는 음주상태검출회로(2)의 출력과 제3타이머(10)의 Reset입력을 연결하였을 때 음주측정 이후 소정의 기간 이내에는 재차 시동이 가능토록 변경 구성되는 것으로 이로부터 용이 실시할 수 있는 동일 범주의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랫치회로(6)의 출력은 계전기를 경유하여 시동회로(7)에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랫치회로 등의 출력이라 함은 이러한 출력전류 증폭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각 회로의 전원은 사실상 정전압 또는 정전류회로를 통하여 안정화된 전원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나 이는 당업자라면 익히 알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의 호흡공기검출회로는 습도센서(1-2) 또는 포토 인터럽터(1-9)를 호흡공기가 유입될 때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서 대치하여도 동일한 작용으로 되는 것이며 그에 따른 회로는 센서만 다른 뿐 동일 유사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으며, 이미 상술한 전압비교기의 기준전압들은 각종 회로의 정합을 위하여 그 설정치를 임의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AND논리회로(4)와 OR논리회로(5)는 논리회로를 원리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므로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 또는 마이컴으로 구성하였을 때의 논리함수를 포함하는 등 본 발명은 블록다이어 그램으로 도시한 표현에 구체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음주상태 검출회로 및 호흡기 검출회로 등의 출력에는 음주측정 지시 또는 그 결과 등의 정보 표시장치를 부가적으로 구성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의 랫치회로 출력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고자 할 경우 음주측정을 먼저 이행할 것을 음성 또는 경보 표시로 나타낼 수 있으나 모두가 이로부터 용이 실시할 수 있는 범주의 기술에 속하므로 구체적인 회로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호흡공기검출회로(1)의 센서는 특정한 각도범위 이내에 방산되는 CO2가스 농도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장치로서 연결 구성할 수 있으며, 음주 상태검출회로(2)의 센서 역시 동일한 특성으로서 알콜가스 농도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장치로서 연결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적외선 가스 센서를 이용하는 회로 구성에서는 운전자의 입김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를 비 접촉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운전자의 구강(입)을 센서에 밀착 또는 가까이 하여 호흡공기를 불어넣는 불편함이 해소되므로 전체적인 제어장치 회로 구성에서 운전자 편의를 위하여 배치하였던 작동제어회로를 배제할 수도 있게 된다.
적외선을 이용하는 CO2가스센서의 구성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인체의 호흡작용에 의하여 변화되는 성분 즉, 흡입할 때의 공기 성분은 질소80%와 산소 20%이지만 호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성분은 질소80%와 산소 10%15% 및 탄산가스 5%10%를 포함하므로 이들 중 탄산가스를 선별 검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의 초전형 적외선 가스센서는 적외선의 특정 파장이 해당 매질(가스)을 통과할 때 굴절, 산란, 속도지연 등의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비교부가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원리로서 One chip화되는 센서장치이며, 입출력 구성이 다른 센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연결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기초 센서 기술 개발에 의하여 세부적인 구조가 점차 고성능의 통합된 기능으로 개발되고 있는 바 이는 사실상 차세대 센서기술에 속하는 분야이며 금후 이를 이용할 때 더욱 효율적인 장치가 구현된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이제까지 설명한 제1도, 제2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의 제어장치를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단일화하여 통합 구성한 실시 일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마이컴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제13도 Hardware적 구성체계와 제14도 및 제15도 Software적 구성체계를 명확히 설명함으로써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가 용이하게 실시하 수 있도록 하고, 발명의 권리체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제13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심으로 제어장치를 구성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호흡공기가 유입되었을 때만 출력이 발생되는 수단의 호흡공기검출회로(1); 유입되는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를 감지하여 출력을 변화하는 수단의 음주상태검출회로(2); 주·야간빛의 명암을 감지하여 출력을 변화하는 광센서(3); 센서입력단에 호흡공기검출회로(1) 및 음주상태검출회로(2)가 연결되어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만 선별적으로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고, 데이터 입력단에 연결되는 동작조건설정부(11-2)의 설정조작 또는 센서입력단에 연결되는 광센서(3-1)의 출력에 따라 주·야간특정시간대로 음주측정시간이 지정되며, 음주측정 후 출력단을 제어하는 랫치 수단 및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고, 그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 작동중인 프로그램 실행상황을 표시장치(11-1)를 구동하여 표시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출력단에 시동회로(7)를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제13도의 작용 설명에 있어서, 호흡공기검출회로(1), 음주상태검출회로(2), 광센서(3-1) 및 시동회로(7)는 이미 전도까지의 설명에서 충분히 이해하였을 것이므로 이제부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외형구조는 일반적으로 One chip화된 Black Box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작용을 제14도 및 제15도와 같은 Software 구조의 제어방법으로 설명하여야 하므로 이제부터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이미 설명한 바 있는 제1도, 제2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까지의 제어기능을 하나의 마이컴에 의한 통합 프로그램으로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제14도의 계층구조도 및 제15도의 그 흐름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논리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 전원을 인가하면 제어장치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100, 101)
이 과정에서는 불확실한 출력상태를 Clear하여 제어장치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자장치에서 볼 수 있는 Reset과정이다.
이어서 제어장치는 음주측정을 해야될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시동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02, 103)
이 과정에서는 현재시간이 음주측정시간대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음주측정이 필요한 시간대라면 표시장치로 그 측정을 이행할 것을 지시하게 된다.
현재시간이 음주측정시간대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판단은 광센서(3-1)에 의한 주·야검출 또는 주·야검출이후 일정기간 경과된 특정한 시간(예를 들면 21:00∼03:00) 또는 동작조건설정부(111-2)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대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데이터 입력단에 연결하여 1일 중 음주측정이 필요한 기간을 미리 설정하는 동작조건설정부(11-2)의 설정조작 또는 센서입력단에 연결되는 광센서(3-1)의 출력을 포함하여 야간의 특정한 시간대에 음주측정 동작을 하도록 지정되는 시간 범위를 본 명세서에서는 "지정된 음주측정시간대"라 칭한다.
이어서 제어장치는 유입되는 호흡공기를 검출하고, 알콜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이 가능한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04, 105, 106, 107)
이 과정에서는 호흡공기를 감지하는 수단과 더불어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수단이 사실상 한꺼번에 수행되는데 알콜농도가 설정된 규정치 이하라면 랫치(110) 기능을 수행하여 시동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상태로 일정기간 유지시키고, 알콜농도가 설정된 규정치 이상이라면 표시장치로 "운전불가"라는 알람표시를 하게된다.(107)
이어서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스타트 조작 및 앞 단계의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08, 109 또는 111, 112)
이 과정에서는 두 가지의 시동장치 제어과정이 수행되는데 만약 상기 과정에서 시동불가 상태이었다면 키 조작시 "시동불가"라는 요지의 알람표시를 하게 되고(108, 109), 랫치(110) 기능이 수행된 상태라면 시동장치를 구동하는 종래의 운전작동을 수행하게 된다.(111, 112)
여기에서 말하는 종래의 운전작동을 수행하는 시동장치 구동(112)라 함은 스타트-키에 의하여 엔진이 시동되고, 스타트-키를 놓았을 때 엔진이 시동상태로 유지되는 기능을 말한다.
부수적으로 부가되는 과정으로 제어장치는 시동이 꺼진 때를 기점으로 구동되는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기간 이내 다시 운전하고자 할 때 상기 음정측정 과정을 배제하여 시동장치를 기동할 수 있는 과정을 부가적으로 제공한다.(113, 114)
이 과정은 음주가능성을 검사하여 운전자의 시동조작 편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시동을 끈 후 1∼2시간 이내에 다시 시동을 걸고자 할 때는 종래와 같이 그대로 시동조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 타이머 과정을 상기 랫치 기능과 비교하면 랫치 기능은 시동키를 꽂아 둔 주 전원공급상태에서 수행되는 알고리즘이며, 타이머 기능은 키를 뺀 상태에서 수행되는 알고리즘으로서 이들을 통합하여도 기능상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시동 후 장시간 운전하게 되는 점을 감안할 때 그 기능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제어함수는 음주시간대 여부를 판단 예를 들면 자체적인 시각계수 능력에 의하여 미리 설정한 야간의 음주확률이 높은 시간대 여부를 판단하고 이때 제어장치를 제어함은 물론, 이를 표시장치로 지시하는 함수로서 측정방법이나 음주운전에 대한 경고·안내 등을 표시장치로 나타낼 수 있다.
음주시간대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차량을 종래의 시동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하는 기능이나 특정한 날짜에만 음주시간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예약기능도 이 동작제어함수에 포함된다.
호흡공기검출함수와 알콜농도검출함수는 호흡공기가 유입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그 호흡공기 중에 알콜농도가 어느 정도 함유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운전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함수로서 호흡공기를 재차 불어넣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알콜농도가 과다하게 검출되었을 때 "운전금지"등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출력제어함수는 상기 알콜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을 때 시동장치를 시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알콜농도가 일정이하로 되었을 때 랫치 기능을 포함하여 시동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함수이다.
시동제어함수는 스타트-키에 의한 구동모터 제어 또는 연료분사기 제어 또는 이그니션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 또는 자동변속기의 구동기구 등을 제어하여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수단을 말하며, 운행도중의 안전성을 감안할 때 구동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 시동제어함수에는 만취상태에서 타인이 시동을 보조하는 등의 고의적 의도를 가능한 한 예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때 시동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제15도의 (115)과정}
타이머구동함수는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었을 때부터 작동되는 타이머로서 일정기간 이내에는 재차 음주측정 없이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함수이며, 특히 잦은 정차 또는 주차로 물건을 배달하거나 운전도중 휴식을 취할 때 유익하게 활용된다.
이 타이머구동함수에는 광센서의 출력 변화를 기점으로 일몰 후 일정시간을 계수하여 음주가능성이 높은 시각을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이 기능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광센서를 연결하였을 때 동작제어함수와 연계되어 작용하게 된다.
Display함수는 각 과정마다 발생되는 표시정보를 표시창(11-1)에 운전정보로 나타내거나 알람신호로 발생하기 위한 함수이다.
이와 같은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주상태의 측정 및 음주운전 예방조치가 자신의 차량에서 직접 이행할 수 있게 되므로 능동적인 조치로 음주사고를 미연 방지할 수 있으며, 음주운전의 기회가 높은 야간에만 선택적으로 측정을 행하도록 하고 주간에는 종래의 방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이나 비 접촉으로 알콜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비교적 쉽게 실현할 수 있어 음주측정 기능추가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등 안전운행에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편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단속에 소요되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책수립 기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극히 적은 비용과 콤팩트한 구성으로 실현되는 특징이 있어 차량에 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차량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의 시동장치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을 계기로 적외선을 이용하는 특정온도 검출, 특정가스 검출 등의 기능이 One chip으로 통합되는 기초 센서의 개발을 유도할 수 있어 다른 분야까지도 더욱 간단한 구성과 더욱 편리한 구조의 센서가 개발될 여건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전원과 시동회로의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전원에 연결되어 호흡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호흡공기가 유입되었을 때만 출력이 발생되는 수단의 호흡공기검출회로;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알콜농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알콜농도 이하에서 출력이 발생되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출력이 정지되는 수단의 음주상태검출회로; 전원과 연결되고 설정되는 소정의 시점을 기준으로 출력이 "ON" 및 "OFF"로 전환되는 수단의 작동제어회로; 상기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음주상태검출회로의 출력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어 그 입력단에 신호가 함께 공급되었을 때 출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AND논리회로; 입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출력을 시동스윗치로 단속 조작함에 따라 기관을 가동시키는 시동회로; 상기 AND논리회로 및 작동제어회로의 출력단을 시동회로에 함께 연결하여서 작동제어회로의 출력이 발생되는 기간에는 시동회로의 전원출력이 상시 공급되고, 작동제어회로의 출력이 정지되는 기간에는 호흡공기검출회로와 음주상태검출회로에서 제어되는 출력이 시동회로에 전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2. 전원과 시동회로의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원에 연결되어 호흡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호흡공기가 유입되었을 때만 출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호흡공기검출회로;상기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에 직렬로 연결되며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농도 이하일 때 출력을 발생하고 소정의 농도 이상일 때 그 출력을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음주상태검출회로; 전원과 연결되고 설정되는 소정의 시점을 기준으로 출력이 "ON" 및 "OFF"로 전환되는 수단의 작동 제어회로; 입력단에 공급되는 전원출력을 시동스윗치로 단속 조작함에 따라 기관을 가동시키는 시동회로; 상기 음주상태검출회로 및 작동제어회로의 출력단을 시동회로에 함께 연결하여서 작동제어회로의 출력이 발생되는 기간에는 시동회로에 전원이 상시 공급되고 작동제어회로의 출력이 정지되는 기간에는 호흡공기검출회로와 음주상태회로에서 제어되는 출력이 시동회로에 전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흡공기검출회로는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으며 호흡공기가 유입될 때의 습도에 따라 내부저항이 변화하는 센서를 전압비교기의 제1입력단에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의 제2입력단에는 기준전압을 연결하여서 구성하며, 음주상태검출회로는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으며 호흡공기 중 알콜농도에 따라 내부저항이 변화하는 센서를 전압비교기의 제1입력단에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의 제2입력단에는 기준전압을 연결하여서 구성하며, 작동제어회로는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으며 주·야간의 조도에 따라 내부저항이 변화하는 센서를 전압비교기의 제1입력단에 연결하고 그 전압비교기의 제2입력단에는 기준전압을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작동제어회로는 센서의 출력에 연결되어 센서의 출력이 정지된 이후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을 연속하여 유지하는 수단의 제1타이머; 제1타이머의 출력에 연결되어 제1타이머의 출력이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후에는 출력이 자동적으로 발생되는 수단의 제2타이머; 상기 제1타이머 및 제2타이머의 출력을 시동회로에 함께 연결하여서 일출에서부터 일몰까지의 특정기간에 출력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흡공기검출회로는 호흡공기 유입시 차단기의 형상이 변화하여 출력이 "ON"되는 스윗칭 부재의 "ON-OFF" 출력으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흡공기검출회로 및 음주상태검출회로는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방산되는 운전자 호흡공기 중의 CO2및 알콜농도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서 방산되는 호흡공기중 알콜농도가 소정의 설정치 이하일 때 출력을 발생하고, 호흡공기가 방산되지 않을 때 및 호흡공기 중 알콜농도가 소정의 설정치 이상일 때 출력을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흡공기검출회로에는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분배받으며 유입되는 공기중의 온도에 따라 내부저항이 변화는 센서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압비교기의 일측방 입력단에 연결하고 그들 전압비교기의 다른 일측방 입력단에는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연결하여서 그들 전압비교기의 혼성 출력에 의하여 호흡공기검출회로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특정한 호흡공기 온도범위에서만 호흡공기검출회로가 출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제어회로는 적어도 2회 이상이 시간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시간을 기점으로 "ON" 에서 "OFF" 및 "ON"으로 출력상태가 전환되는 시계의 출력단을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 전원이 차단되어도 소정의 기간 전원공급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타이머의 출력을 제어장치의 전원 입력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출력상태를 소정기간 기억하는 랫치회로의 입출력단을 경유하여 시동회로에 출력전원을 연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11. 전원과 시동회로의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호흡공기가 유입되었을 때만 출력이 발생되는 수단의 호흡공기검출회로; 유입되는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를 감지하여 출력을 변화하는 수단의 음주상태 검출회로; 센서입력단에 호흡공기검출회로 및 음주상태검출회로가 연결되어 호흡공기중의 알콜농도만 선별적으로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고, 지정된 음주측정시간대를 판단하며, 음주측정 후 출력단을 제어하는 랫치 수단 및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고, 내부에서 작동중인 프로그램 실행상황을 표시장치로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단에 시동회로를 연결하여서 평상시에는 종래 시동방법으로 시동회로가 구동되며, 지정된 음주측정시간대에는 호흡공기검출회로와 음주상태검출회로의 출력을 판단하여 시동회로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장치.
  12. 전원과 시동회로의 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1)차량의 주 전원을 인가하면 출력상태를 Clear하여 제어장치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 (2)동작제어함수에 의하여 음주측정을 해야될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시동기능을 제어하는 제2단계; (3)호흡공기검출함수와 알콜농도검출함수에 의하여 유입되는 호흡공기를 검출하고, 알콜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이 가능한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4)출력제어함수 및 시동제어함수에 의하여 운전자의 스타트 조작 및 앞 단계의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어서 평상시에 종래 시동방법으로 시동회로가 구동되며, 지정된 음주측정시간대에는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검사 후 그 결과에 의하여 시동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는 타이머함수에 의하여 시동을 끈 후 소정의 기간이내에서는 무조건 평상시의 시동방법으로 시동회로를 제어토록 구성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제어방법.
KR1019920014951A 1992-08-20 1992-08-20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KR100228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951A KR100228268B1 (ko) 1992-08-20 1992-08-20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951A KR100228268B1 (ko) 1992-08-20 1992-08-20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01A KR940004201A (ko) 1994-03-14
KR100228268B1 true KR100228268B1 (ko) 1999-11-01

Family

ID=1933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951A KR100228268B1 (ko) 1992-08-20 1992-08-20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92B1 (ko) * 2013-02-27 2014-10-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안전 스마트키 시스템
KR101535296B1 (ko) * 2014-02-25 2015-07-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차량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92B1 (ko) * 2013-02-27 2014-10-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안전 스마트키 시스템
KR101535296B1 (ko) * 2014-02-25 2015-07-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차량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01A (ko) 199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7636B (zh) 一种防醉驾系统
US20220055478A1 (en) Sensor system for passive in-vehicle breath alcohol estimation
US8370027B2 (en) Preventive and persuasive actions against drunk driving
CA131658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circumvention of an identity confirming breath tester
EP1874595B1 (en) Vehicle ignition interlock systems with mouth alcohol contamination sensor
JP5382724B2 (ja) 対話型アルコール検出
US5055268A (en) Air-borne alcohol sensor
KR100228268B1 (ko)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WO1992012416A1 (en) Alcohol sensing device
KR100201621B1 (ko) 음주운전 예방 제어장치
JP2002304683A (ja) 電池式co警報器
CN109814471A (zh) 一种空气净化器的智能自检控制系统
JPH05126449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JP2005242487A (ja) スイッチ器具
JPS6148788A (ja) アラ−ム時計
US20230041464A1 (en)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940007458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920000728Y1 (ko) 공기청정기의 모터속도 자동 제어장치
KR0139234B1 (ko) 자동차의 키홀 조광장치
Negash et al. Design and Simulation of Vehicle Engine Lock System by Alcohol Detection Sensor for Ethiopia Driver
KR850002612Y1 (ko) 가스누설 감지밸브 개폐 제어회로
KR920007975Y1 (ko) 차량용 히팅시스템의 오픈도어 경보회로
JP2004130904A (ja) 車両用照明灯の制御装置
JPH0115976Y2 (ko)
CN111731098A (zh) 一种车载酒精检测装置及其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