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19B1 -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19B1
KR100228019B1 KR1019970024671A KR19970024671A KR100228019B1 KR 100228019 B1 KR100228019 B1 KR 100228019B1 KR 1019970024671 A KR1019970024671 A KR 1019970024671A KR 19970024671 A KR19970024671 A KR 19970024671A KR 100228019 B1 KR100228019 B1 KR 10022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ubscriber
voice recognition
mobil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370A (ko
Inventor
김수일
이운재
김석범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7002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전화 부가서비스인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호출을 하는 경우에 무선호출 시스템의 초기메뉴에 단순히 접속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음성으로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통해 무선호출할 때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가를 물어본 후에 가입자가 "네"라고 말하면 자동으로 무선호출을 하여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겨주므로써, 가입자가 차량운행중인 경우나 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을 때 편리하게 무선호출을 할 수 있게 하고, 차량운행중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VOICE PAGING SERVICE METHOD USING 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본 발명은 이동전화 부가서비스인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호출을 하는 경우에 무선호출 시스템의 초기메뉴에 단순히 접속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음성으로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망은 셀룰라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 및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 등을 포함한다.
먼저, 이동전화 부가서비스인 음성인식 다이얼링서비스(VAD : 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는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에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연결하여 가입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에 가입자가 원할 때 음성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휴대용 이동단말기 또는 차량용 이동단말기와 차량용 핸즈프리)를 이용하여 "* + 센드(SEND)"를 누르면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으로 통화가 연결되고, 이후에 가입자는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과 대화형식으로 원하는 곳에 전화를 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음성인식 다이얼링서비스는 이동단말기에 별도의 음성인식 부가장치를 부착할 필요없이 이동통신망의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가입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로서, 그 구체적인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로 "* + 센드(SEND)"를 발신하면, 이동전화 교환기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이후에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자동으로 접속된다. 그런 후에, 가입자는 착신지(예 : 우리집)를 음성으로 발성하여 입력하고,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가입자의 음성(예 : 우리집)을 인식하여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착신지의 전화번호를 찾아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망이 해당번호로 호를 연결하면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의 주된 효용은 차량운행중과 같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키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음성으로만 편리하게 전화를 걸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효용을 계속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과 상호 연동이 불가능한 음성사서함 서비스(VMS) 및 무선호출과의 상호 연계가 필요하다.
도 1 은 종래의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 + 센드(Send)" 버튼을 눌러(Two Touch)(1)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 후에(2)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호출하고 싶은 번호를 집적 말하거나 미리 등록하여 둔 목록상의 이름을 말한다(3).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이를 인식하고 호출을 발생시키는데 앞의 3자리가 012이거나 015이면 무선호출임을 인지한다(4). 이후, 사용자는 키버튼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기고자 하는 무선호출번호(발신무선호출번호)를 입력한다(5).
이동전화 가입자가 손으로 일일이 번호를 눌러 발신해야 했던 불편함을 줄인 음성인식 다이얼링(VAD : Voice Activated Dialing) 시스템의 주된 효용은 투 터치(Two-Touch)로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 후에는 모든 호 처리(Call Process)를 말로 할 수 있다는 점이나, 이러한 기존의 음성인식 다이얼링서비스에는 기본 효용 제공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무선호출시 자신의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남기는데 말로 할 수 없고 일일이 손으로 눌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이동전화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은,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 사용자들이 상대방에게 호출을 할 때, 상대방의 호출번호를 인식한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이중음 다주파신호 톤(DTMF Tone)을 생성하여 무선호출 시스템에 연결까지는 하지만, 이후의 모든 처리(Process)를 손으로 일일이 입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단말기 사용자가 음성으로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통해 무선호출할 때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가를 물어본 후에 가입자가 "네"라고 말하면 자동으로 무선호출을 하여 자신의 이동전호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겨주므로써, 가입자가 차량운행중인 경우나 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을 때 편리하게 무선호출을 할 수 있게 하고, 기본적으로 손을 적게 사용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무선호출시에는 연락받을 전화를 남기기 위해 다시 손을 사용해야 하는 효용감소를 없애며, 차량운행중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선 전화망 12 :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
13 :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 14 : 전단 스위치
15 : 음성 처리 유니트 16 : 아날로그 이동전화 교환기
17 : 아날로그 이동전화 기지국 18 : 아날로그 이동국
19 : 디지털 이동전화 교환기 20 : 디지털 이동전화 기지국
21 : 디지털 이동국 22 : 무선호출 교환기
23 : 무선호출 기지국 24 : 무선호출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망에서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호출을 하는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특정 버튼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무선호출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무선호출을 인식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지를 가입자에게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무선호출을 하여 주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까지를 포함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에 대한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가입자로부터 키버튼으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입력전화번호에 대하여 무선호출을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구성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유선 전화망, "12"는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 "13"은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 "14"는 전단 스위치, "15"는 음성 처리 유니트, "16"은 아날로그 이동전화 교환기, "17"은 아날로그 이동전화 기지국, "18"은 아날로그 이동국, "19"는 디지털 이동전화 교환기, "20"은 디지털 이동전화 기지국, "21"은 디지털 이동국, "22"는 무선호출 교환기, "23"은 무선호출 기지국, "24"는 무선호출 단말기를 각각 나타낸다.
그 개략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를 이용하여 *와 센드(Send) 버튼을 눌러(Two Touch) 이동전화 기지국(17,20), 이동전화 교환기(16,19) 및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를 통하여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13)에 접속한 후에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13)의 안내에 따라 전화를 걸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직접 말하거나 미리 등록하여 둔 목록상의 이름을 말하며, 또는 무선호출을 하고 싶은 번호를 집적 말하거나 미리 등록하여 둔 목록상의 이름을 말한다.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13)은 이를 인식하여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와 이동전화 교환기(16,19) 또는 유선 전화망(11)을 통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시키거나,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와 무선호출 교환기(22)를 통하여 무선호출을 발생시키는데 앞의 3자리가 012이거나 015이면 무선호출임을 인지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일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기와 이동전화 교환기를 이용한 경우를 일예로 하였으나,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유선 전화망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선 단말기와 유선 전화망을 이용하여서도 가능하다.
먼저, 무선호출을 하고싶은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 가입자가 "*"를 누른 후에 "센드(SEND)" 버튼을 누른다(Two Touch)(31). 이를 수신한 이동전화 교환기(MSC/VLR)에서는 "*"를 지운 후에 187번과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CGS : Cellular Gateway Switch)로 전송한다(32).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는 187번을 읽고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임을 인지하여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으로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MIN)를 전송한다(33).
이후,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유효한 가입자임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한 후에 안내방송을 가입자에게 송출한다(34). 가입자는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호출하고 싶은 무선호출번호를 집적 말하거나, 미리 등록하여 둔 목록상의 이름을 말하여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무선호출을 요구한다(35).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착신처가 012 또는 015임을 확인하여 무선호출임을 인식한 후에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지를 가입자에게 확인한다(36).
가입자는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음성안내에 따라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기기를 원하면 "예"로 발성하고, 아니면 "아니오"로 발성한다. 가입자가 "예"로 발성하면(37) 이 음성 응답을 인식한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무선호출번호 + 1 + 011 + 이동전화번호"를 무선호출 교환기로 전송하여 무선호출을 요구한다(38). 무선호출 교환기는 무선호출 단말기로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호출한다(39).
한편,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기기를 원하지 않아 "아니오"로 발성하면, 종래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과 동일하게 키버튼으로 남길 전화번호를 입력하고(40) 이는 무선호출 교환기를 통하여(41) 무선호출을 수행한다(42). 이러한 방법은 무선호출을 발신하는 전화와 곧 이동하여 착신하고자 하는 전화가 다를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통해 무선호출을 할 때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가를 물어본 후에 가입자가 "네"라고 말하면 자동으로 무선호출을 하여 자신의 이동전호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겨주므로써, 가입자가 차량운행중인 경우나 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을 때 편리하게 무선호출을 할 수 있게 하고, 기본적으로 손을 적게 사용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이 무선호출시에는 연락받을 전화를 남기기 위해 다시 손을 사용해야 하는 효용감소를 없애며, 차량운행중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을 구비한 통신망에서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호출을 하는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특정 버튼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음성으로 무선호출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무선호출을 인식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지를 가입자에게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무선호출을 하여 주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키버튼으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입력전화번호에 대하여 무선호출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이동통신 교환기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특정키(*) 신호와 센드(SEND) 버튼 신호를 수신하는 제 6 단계;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는 상기 특정키(*) 신호를 삭제한 후에 특정번호(187번)와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MIN)를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CGS)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는 상기 특정번호(187번)를 읽어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인지한 후에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으로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MIN)를 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유효한 가입자임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한 후에 안내방송을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호출하고 싶은 무선호출번호를 음성으로 발성하여 무선호출을 요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유효한 가입자임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한 후에 안내방송을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호출하고 싶은 무선호출번호를 음성으로 발성하거나 미리 등록하여 둔 목록상의 이름을 음성으로 발성하여 무선호출을 요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무선호출 대표번호(012 또는 015)를 확인하여 무선호출임을 인식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길 것인지를 가입자에게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의 음성안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상대방의 무선호출 단말기에 남기기를 원하는 음성을 인식하는 제 8 단계;
    음성 응답을 인식한 상기 음성인식 다이얼링 시스템은 무선호출번호와 이동전화번호를 무선호출 교환기로 전송하여 무선호출을 요구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무선호출 교환기는 무선호출 단말기로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에 대하여 무선호출을 수행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KR1019970024671A 1997-06-13 1997-06-13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KR10022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671A KR100228019B1 (ko) 1997-06-13 1997-06-13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671A KR100228019B1 (ko) 1997-06-13 1997-06-13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370A KR19990001370A (ko) 1999-01-15
KR100228019B1 true KR100228019B1 (ko) 1999-11-01

Family

ID=1950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671A KR100228019B1 (ko) 1997-06-13 1997-06-13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370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4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mplified control of a subscriber terminal
GB2264209A (en) Cordless telephone arrangement
US6944283B1 (en) Process for transmitting a telephone number of a desired subscriber, and directory enquiries facility terminal for this purpose
JP2000349902A (ja) 電話交換装置
JP2003534725A (ja) ボイスメールサーバに保存されたメッセージの存在の通知
KR100228019B1 (ko) 음성인식 다이얼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KR100370108B1 (ko)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20010079272A (ko) 유선전화와 모바일폰을 이용한 원격지 음성인식서버에서호칭 음성인식 다이얼링과 전화번호부관리 시스템
KR20000024225A (ko) 원격통역서비스시스템
KR100312614B1 (ko) 전화기의 비밀 번호 자동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송출 방법
KR100321880B1 (ko) 부가 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1999051012A1 (en)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call by means of voice rooting
KR100798372B1 (ko) 원격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378400B1 (ko) 교환시스템의무선단말자동호출방법
KR100609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표시 철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08830B1 (ko) 개인용 교환기 구현을 위한 통신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09135295A (ja) 簡易型携帯電話の使用を可能とした国際電話利用システムおよび電話機器
KR100242696B1 (ko) 브이에이디가 없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9990025764A (ko) 무선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해외 무선 호출방법
JPH0730664A (ja) 音声ダイヤル方式
JPH07250171A (ja) 電子交換機
JPH089458A (ja) 公衆電話機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H10107915A (ja) 無通話会話方式
JPS61127264A (ja) 音声による電話発呼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