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00B1 -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 Google Patents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00B1
KR100228000B1 KR1019970069138A KR19970069138A KR100228000B1 KR 100228000 B1 KR100228000 B1 KR 100228000B1 KR 1019970069138 A KR1019970069138 A KR 1019970069138A KR 19970069138 A KR19970069138 A KR 19970069138A KR 100228000 B1 KR100228000 B1 KR 10022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light
light emitting
reflecto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094A (ko
Inventor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0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29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31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light source as part of the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신호를 차단함으로서 스위칭동작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리모콘의 기계적 결함으로서 스위치의 접점 등이 마모되고, 오작동 유발이 염려되며, PCB기판의 고정접점과 연결접점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리모콘의 두께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CB기판(160)상에 발광소자(140)와 상기 발광소자(140)의 빛을 수광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150)를 설치하고, 상기 발광소자(140)에서 발생되는 광을 수광소자(150)에 전달할 수 있는 반사체를 설치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상기 수광소자로 유통되는 광신호를 단순히 사용자의 손으로 터치하여 스위칭 동작하게 함으로서, 기계적마모가 없고, 진동이나 충격에도 강하며, 리모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정의 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설치하여, 단순히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발광소자에서 수광소자로 유통되는 광신호를 차단함으로서, 상기 수광소자를 오프시켜 스위칭동작하게 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Brightness signal switching remote controll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로 갈수록 비디오, 텔레비전, 라디오, 선풍기등의 가전기기와 현금자동지급기 등과 같은 산업기기들에는 각종의 기능들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기능들을 각각의 스위치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 키메트릭스이다. 즉, 이와 같은 키메트릭스는 키의 조작을 감지하여 그 키에 해당되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키메트릭스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내지 도 2는 일반적인 키메트릭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키메트릭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키메트릭스의 블록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상측패널(1)과 하측패널(2)사이에 PCB기판(5)이 설치되고, 상기 PCB기판(5)상에는 다수의 고정접점(6)들이 함께 인쇄된다. 또한, 상기 상측패널(1)에는 다수의 구멍(7)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7)사이에 키(8)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키(8)의 하단부에는 연결접점(3)이 형성되어 상기 PCB기판(5)에 인쇄된 각 고정접점(6)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8)와 상측패널(1) 사이에는 상기 키(8)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4)이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키(8)를 누르면 상기 키(8)는 상기 스프링(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기 키(8)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접점(3)이 하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접점(3)은 상기 PCB기판(5)의 고정접점(6)을 연결한다.이로서 상기 고정접점(3), 연결접점(6), 타측 고정접점(9)을 경유하여 신호가 흐르게 되고 상기 신호는, 도 2에서와 같이, 인식부(10)에 인가된다.
상기 인식부(10)는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어떤 기능의 키(8)가 선택되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제어(20)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키메트릭스(버튼)은 그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신호가 전달되기 때문에 그 스위치의 접점 등이 마모되고, 오작동 유발이 염려되며, PCB기판의 고정접점과 연결접점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리모콘의 두께 또한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B기판상에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수광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광을 수광소자에 전달할 수 있는 반사체를 설치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상기 수광소자로 유통되는 광신호를 단순히 사용자의 손으로 터치하여 발광신호를 차단함으로서, 상기 수광소자를 오프시켜 스위칭 동작하게 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모콘에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a 내지 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서 버튼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측반사체 102 : 좌반사면
110 : 우측반사체 112 : 우반사면
120 : 지지부 122 : 좌측 반사체 고정홈
124 : 우측 반사체 고정홈 130 : 이격틈새
140 : 발광소자 150 : 수광소자
160 : PCB기판 180 : 버튼부
200 : 파워스위치 300 : 마이컴
400 : 송신부 500 : 발광소자
700 : 리모트 콘트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있어서, 파워온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광받아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 상기 수광소자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감지하여 선택된 스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인가받아 각기 다른 펄스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수광소자로 유통되는 광신호를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마이컴에서 어떤 버튼의 광신호가 차단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송신부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2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5a 내지 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서 버튼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모트 콘트롤러(700)는 발광소자(140)와 수광소자(150)로 구성되는 버튼부(180)와, 상기 수광소자(150)의 선택적인 온오프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15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감지하여 선택된 스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00)과, 상기 마이컴(3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인가받아 각기 다른 펄스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180)는,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기판(160)상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발광소자(140)와,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신받는 수광소자(150)와,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평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좌측반사체(100)와,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좌측반사체(100)로부터 수평으로 반사된 광신호를 상기 PCB기판(160)상에 설치된 수광소자(150)에 전달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수직되게 반사시키기 위한 우측반사체(110)와, 상기 좌우측반사체(100)(110)를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좌우 반사체 고정홈(122)(124)이 형성된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140)는 통상 일정전류가 흐르면 광신호(빛)를 내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고, PCB기판(160)의 회로에 접속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파워 스위치(200)의 온오프에 따라 온오프된다.
상기 수광소자(150)는 통상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이도 또한 상기 PCB기판(160)에 고정설치되게 되는데, 이는 일정정도의 광신호(빛에너지)를 받으면, 그 광신호의 열에 의해서가 아니라, 광신호의 파장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좌측반사체(100)는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평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사각형의 기둥을 "┒"자로 절곡하고 그 절곡부의 모서리를 절삭하여 좌측반사면(102)을 형성한다. 이 절삭각은 45°이라야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발생되는 광신호를 90°로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좌측반사면(102)는 반사경이 설치함으로서, 그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우측반사체(110)는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좌측반사체(100)로부터 수평으로 반사된 광신호를 상기 PCB기판(160)상에 설치된 수광소자(150)에 전달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수직되게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기둥을 "┒"자로 절곡하고 그 절곡부의 모서리를 절삭하여 우측반사면(112)을 형성한다. 이 절삭각은 45°이고, 또한, 상기 우측반사면(112)에는 반사경이 설치되어 그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좌우측반사체(100)(110)는 투명소재로서 빛을 잘 통과시킬 수 있는 유리나 혹은 PMMA성형재를 사용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반사체(100)(110)를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좌우측 반사체 고정홈(122)(124)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120)내에 상기 발광소자(140)와 수광소자(15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좌우측 반사체 고정홈(122)(124)에 상기 좌우측 반사체(100)(110)를 고정하였을 때,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우측반사체(110)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우측반사체(110)의 이격거리는 사람의 손이 들어갈 만큼의 거리가 가장 적당하다. 즉, 이 이격틈새(130)에 사용자가 손을 터치하면, 상기 발광소자(140)에서 발생된 광신호는 손에 의하여 차단되어 상기 수광소자(150)에 그 광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이러한 버튼부(180)는 리모콘(700)의 상면에 다수개 설치되고, 또한, 이 버튼부(180)의 수만큼 PCB기판(160)에는 발광소자(140)와 수광소자(150)가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하여, 파워스위치(200)를 조작하면, 상기 발광소자(140)는 온 된다.
이에,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소정의 광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광신호는 도 5a에서와 같이, 그 직진성에 의하여 좌측반사체(100)로 진행한다. 즉, 발광소자(140)에서 상향하는 광신호가 좌측반사체(100)의 투명성으로 인하여 계속해서 직진하게 되고, 이어, 광신호는 상기 좌측반사체(100)의 절곡부에 형성된 좌반사면(102)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45°의 절삭면을 가진 좌반사면(102)에서 광신호는 90°로 반사되어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우측반사체(110)의 이격틈새(130)를 경유하여 상기 우측반사체(110)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우측반사체(110)에서 상기 광신호는 계속해서 직진하여 45°절삭면을 가진 우반사면(112)에서 다시 90°로 반사되어 직각하향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사된 광신호는 게속직진하여 우측반사체(110)를 통과하게 되고, 최후에 수광소자(150)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리모콘(700) 상에 설치된 각 버튼부(180)의 좌우측반사체(100)(110)의 이격틈새(130)에는 각 발광소자(140)로부터 발생된 광신호가 유통되고 있고, 이러한 광신호는 좌우반사면(102)(112)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광소자(150)에 전달되어 진다. 이에 각 수광소자(150)는 일정의 신호를 마이컴(300)에 계속해서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버튼의 이격틈새(130)에 단순히 손만 올려놓으면, 상기 손의 쿠션력에 의하여 상기 이격틈새(130)를 채우게 되고, 이 이격틈새(130)가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메워짐에 따라서 상기 좌측반사체(100)에서 우측반사체(110)로 진행하던 광신호가 차단되거나 혹은 손에 흡수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수광소자(150)는 광신호를 전달받지 못하여 오프되게 되어 마이컴(300)에 아무신호도 출력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을 마이컴(300)이 감지하게 되고, 이어 마이컴(300)은 내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어떤 버튼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그 버튼에 맞는 신호를 송신부(40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송신부(400)는 상기 마이컴(3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신호를 텔레비전의 수신부를 향하여 발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파워스위치(200) 또한 본 발명의 버튼과 동일하게 제작되어 그 기계적 구조의 결함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은, 소정의 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설치하여, 단순히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발광소자에서 수광소자로 유통되는 광신호를 차단하여 위칭동작함으로서, 종래와는 달리 그 기계적마모가 없으며, 진동이나 충격에도 강하고, 오작동유발의 염려가 없으며, 리모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리모트 콘트롤러에 있어서,
    파워온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소자(140), 상기 발광소자(14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발광소자(14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광받아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150)로 구성되는 버튼부(180);
    상기 수광소자(15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감지하여 선택된 스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00);
    상기 마이컴(3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인가받아 각기 다른 펄스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140)에서 수광소자(150)로 유통되는 광신호를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마이컴(300)에서 어떤 버튼의 광신호가 차단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송신부(400)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180)는 PCB기판(160)상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발광소자(140)와,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신받는 수광소자(150)와, 상기 발광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평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좌측반사체(100)와, 상기 좌측반사체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좌측반사체(100)로부터 수평으로 반사된 광신호를 상기 PCB기판(160)상에 설치된 수광소자(150)에 전달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수직되게 반사시키기 위한 우측반사체(110)와, 상기 좌우측반사체를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좌우측 반사체 고정홈(122)(124)이 형성된 지지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우측반사체(110)는 "┒" 자형의 사각기둥으로 형성되어, 그 절곡부에는 45°반사면(102)(11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반사체(100)와 우측반사체(110)는 투명수지제 혹은 PMMA합성재 혹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KR1019970069138A 1997-12-16 1997-12-16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KR10022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138A KR100228000B1 (ko) 1997-12-16 1997-12-16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138A KR100228000B1 (ko) 1997-12-16 1997-12-16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094A KR19990050094A (ko) 1999-07-05
KR100228000B1 true KR100228000B1 (ko) 1999-11-01

Family

ID=1952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138A KR100228000B1 (ko) 1997-12-16 1997-12-16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094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820B2 (en) Key switch system having indicator lamp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same
JP2005527792A (ja) 対象物の運動及び/又は位置を光電的に検出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303172B1 (ko) 조광스위치 어셈블리
KR100228000B1 (ko) 광신호 스위칭 리모콘
CN108768376A (zh) 家用电器的控制面板和家用电器
CN109088629A (zh) 按键开关
KR20060105135A (ko) 키패드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9391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19990050095A (ko) 터치형 리모트 콘트롤러
KR19990071239A (ko) 터치형 리모트 콘트롤러
JP2001305976A (ja) 表示兼用光検知アッセンブリ及び携帯端末
KR200159970Y1 (ko) 안내프리즘과 반사면을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백라이트 장치.
KR100237944B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백라이트 장치
CN216719781U (zh) 一种智能开关
KR20060120302A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0140962B1 (ko) 다기능 리모콘의 복합키 장치
JPH08241658A (ja) 光検知型スイッチ
CN217508737U (zh) 触控装置及家用电器
US7026959B2 (en) Optical joystick module
CN114373647A (zh) 一种智能开关
KR19990014608U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명장치
JPH07114851A (ja) 押釦スイッチ装置
KR20120003814A (ko) 터치타입 투명 키보드
KR200148875Y1 (ko)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