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875Y1 -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875Y1
KR200148875Y1 KR2019950031257U KR19950031257U KR200148875Y1 KR 200148875 Y1 KR200148875 Y1 KR 200148875Y1 KR 2019950031257 U KR2019950031257 U KR 2019950031257U KR 19950031257 U KR19950031257 U KR 19950031257U KR 200148875 Y1 KR200148875 Y1 KR 200148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unction key
front panel
light receiving
rece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624U (ko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31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875Y1/ko
Publication of KR970019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기기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기능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투과체를 통해 광수신센서부로 인입되는 광수신여부에 따라 기능키의 고유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함으로써 기능키가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기능키의 구조가 간단하고 열융착시 변형의 염려가 줄어 조립작업 및 작업공정의 절감은 물론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패널(10a)에 다수의 기능키가 마련되고 상기 기능키의 후방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된 센서를 갖는 회로기판(32a)이 마련되어 있는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32a)에 빛의 수신여부를 감지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광수신센서부(36)가 마련되고 상기 전면패널(10a)에 광수신센서부(36)와 상응하는 위치에 빛이 투과되도록 빛투과체(42)가 마련되며 상기 광수신센서부(36)에 부가투과체(44)를 통하여 빛을 전달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38)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
본 고안은 가전기기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기능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투과체를 통해 광수신센서부로 인입되는 광수신여부에 따라 기능키의 고유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함으로써 기능키가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기능키의 구조가 간단하고 열융착시 변형의 염려가 줄어 조립작업 및 작업공정의 절감은 물론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기능키 작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의 하나인 티브이(TV), 오디오, 전자레인지는 물론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일명 브이시알(VCR)이라 약칭함)는 각각의 전면패널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과 관련된 기능키에 관하여 나타낸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면패널(10)에는 기능키(20)의 노브(28)를 끼우기 위한 노브홀(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홀(12) 상부의 배면에는 복수의 노브장착용 보스(14)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키(20)는 노브장착용 보스(14)와 상응하도록 다수의 보스홀(22)이 형성된 장착부(24)와, 상기 장착부(24)의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된 스위치 접촉부(26)를 갖고 전면패널(10)의 노브홀(12)에 설치되는 노브(28)와, 상기 장착부(24)에 노브(28)가 탄력을 갖도록 연결된 텐션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능키(20) 후방의 회로기판(32)은 전면패널(10)이나 메인샤시(도시하지 않았음)에 장착되며 , 상기 기능키(20)의 스위치 접촉부(26) 후방에 위치되고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된 택트스위치(34)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전면패널(10)과 기능키(20)는 노브장착용 보스(14)에 기능키(20)측 장착부(24)의 보스홀(22)을 끼우되 전면패널(70)의 노브홀(12)의 중앙에 기능키(20)의 노브(28)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노브장착용 보스(14)를 열융착기로 용융시킴으로써 기능키(20)의 장착부(24)가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패널(10)의 노브홀(12)에 설치된 기능키(20)의 노브(28)를 누르면 노브(28)는 장착부(24)와 노브(28) 사이의 텐션부(30)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휘어짐과 아울러 회전되면서 눌리므로 노브홀(12) 하단에 기능키(20)의 스위치 접촉부(26)가 회로기판(32)의 탁트스위치(34)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기능키에 있어서는 장착부(24)와 노브(28)를 연결하는 텐션부(30)의 살두께가 너무 얇아서 약간의 과다한 외력이나 장기간 사용시 소성변형의 우려가 높고 상기 텐션부(30)의 소성변형이 발생되면 전면패널(10)의 노브장착용 보스(14)에 장착부(24)를 장착후에도 노브(28)가 뒤틀리거나 휨이 발생되었으며, 보스홀(22)이 갖는 조립공차에 의해서 기능키(20)의 융착시 노브(28)와 노브홀(12)와의 편심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기능키(20)의 노브(28)마다 텐션부(30)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공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서 설계시 많은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회로기판에 빛의 수신여부를 감지하는 광수신센서부가 장착되고 전면패널에 광수신센서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빛투과체를 마련하여 광수신센서부로 인입되는 광수신여부에 따라 기능키 내용을 실행토록 마련함으로써 기능키가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기능키의 구조가 간단하고 열융착시 변형의 염려가 줄어 조립작업 및 작업공정의 절감은 물론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기능 키가 조립된 상태의 전면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 키 작동 감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만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전면패널 12 : 노브홀
14: 노브장착용 보스 20 : 기능키
22 : 보스홀 24 : 장착부
26 : 스위치 접촉부 28 : 노브
30 : 텐션부 32,32a : 회로기판
34 : 택트스위치 36: 광수신센서부
38 : 발광다이오드 40 : 고정노브
42 : 빛투과체 44 : 부가투과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에 다수의 기능키가 설치되고 상기 기능키의 후방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된 택트스위치나 센서를 갖는 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기능키 작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빛의 수신여부를 강지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광수신센서부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패널에 팡수신센서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빛이 투과되도록 빛투과체가 마련되며 상기 광수신센서부에 부가투과체를 통하여 빛을 전달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전면패널(10a) 배면의 회로기판(32a)에는 빛이 수신될 때는 온(on)상태로 되고 빛이 차단될 때는 오프(off)상태로 되게 되는 광수신센서부(36)와, 이 광수신센서부(36)의 인접 부위에는 광수신센서부(36)를 작동시키는 발광다이오드(38)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면패널(10a)에는 회로기판(32a)의 광수신센서부(36)와 발광다이오드(38)의 전방에 비접촉식의 고정노브(40)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노브(40)에 빛투과체(42)와 부가투과체(44)가 융착보스(14a)에 끼워져 융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빛투과체(42)와 부가투과체(44)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는 전면패널(10a)에 고정노브(40)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노브(40)의 중앙에 빛투과체(42)가 끼워지도록 전면패널 (10a)의 융착보스(14a)에 열융착하여 고정한 다음, 회로기판(32a)을 전면패널(10a)의 배면에 장착한다. 이때, 회로기판(32a)의 광수신센서부(36)는 전면 패널(10a)의 빛투과체(42) 위치와 일치하고 발광다이오드(38)는 전면패널(10a)의 부가투과체(44) 위치와 일치되게 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38)에서 발생된 빛이 고정노브(40)의 주위로 안내되어 외부에 해당 기능 키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 키를 선택하기 위해 전면 패널(10a)의 고정노브(40)상에 손가락이나 어떤 물체로 가리면 발광다이오드(38)의 빛이 부가투과체(44)의 끝단에서 차단되므로 고정노브(40) 중앙의 빛투과체(42)로 투과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빛이 투과되지 않을 때는 오프되는 광수신센서부(36)의 출력을 브이시알의 마이컴이 처리하여 현재 해당 기능 키가 선택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선택된 기능 키가 갖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능 키의 동작을 정지시키려면 고정노브(40)상에 다시 손가락을 올려놓으면 부가투과체(44)를 통하여 외부와 빛투과체(42)에 빛을 투과하게 되는 발광다이오드(38)의 빛이 고정노브(40) 중앙의 빛투과체(42)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광수신센서부(36)에 빛이 투과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상기 광수신센서부(36)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동작되고 이에 따라서 해당 기능 키가 갖는고유기능을 오프 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는 전면패널의 노브홀에서 기능키의 노브가 작동되는 일정한 공간인 필요한 선행기술에 비해서 전면패널의 빛투과체를 통해 광수신센서부로 인입되는 광수신여부에 따라 기능키의 고유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가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능키의 구조가 간단하고 열융착시 변형의 염려가 줄어 조립작업 및 작업공정의 절감은 물론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패널(10a)에 다수의 기능키가 마련되고 상기 기능키의 후방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된 센서를 갖는 회로기판(32a)이 마련되어 있는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32a)에 빛의 수신여부를 감지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광수신센서부(36)가 마련되고 상기 전면패널(10a)에 광수신센서부(36)와 상응하는 위치에 빛이 투과되도록 빛투과체(42)가 마련되며 상기 광수신센서부(36)에 부가투과체(44)를 통하여 빛을 전달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38)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투과체(42)가 빛의 투과가 잘 이루어지는 투명 및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키 작동 감지장치.
KR2019950031257U 1995-10-31 1995-10-31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KR200148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257U KR200148875Y1 (ko) 1995-10-31 1995-10-31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257U KR200148875Y1 (ko) 1995-10-31 1995-10-31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624U KR970019624U (ko) 1997-05-26
KR200148875Y1 true KR200148875Y1 (ko) 1999-06-15

Family

ID=1942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257U KR200148875Y1 (ko) 1995-10-31 1995-10-31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8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624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7378B1 (en) Rotary-push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same
EP1360446B1 (en) Domestic appliance
US11291131B2 (en) Electrical appliance device containing a knob
EP2031112B1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ving button for control panel assembly
KR100202315B1 (ko) 전원버튼에 마이커가 채용된 전자제품
CN111555748A (zh) 触摸和/或接近感应的输入装置
KR200148875Y1 (ko) 기능키작동 감지장치
JP2000100287A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KR0162394B1 (ko) 비접촉식 스위치장치
JP2001035297A (ja) タッチスイッチ
GB2260025A (en) Illuminated membrane switch
JP2010206627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CN217508737U (zh) 触控装置及家用电器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9980036033A (ko) 광버튼 채용 스위치
CN214751833U (zh) 一种红外触控装置及电器设备
KR1005977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0125795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접점 구조
KR100657723B1 (ko) 전자기기용 스위치 조립체
KR0126462Y1 (ko) 인디케이터 조립구조
KR0124724Y1 (ko)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리모콘 수광부가 일체화된 셔틀 스위치 구조
KR19980024447U (ko) 수광소자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KR200157324Y1 (ko) 수신율이 확대된 적외선 수신센서
JP2000133820A (ja) リモコン受光装置
KR0123528Y1 (ko) 노브체 변형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