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574B1 -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574B1
KR100226574B1 KR1019970032556A KR19970032556A KR100226574B1 KR 100226574 B1 KR100226574 B1 KR 100226574B1 KR 1019970032556 A KR1019970032556 A KR 1019970032556A KR 19970032556 A KR19970032556 A KR 19970032556A KR 100226574 B1 KR100226574 B1 KR 10022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igh voltage
dust collector
dust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962A (ko
Inventor
최철원
Original Assignee
최봉락
강남필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락, 강남필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봉락
Priority to KR101997003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5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부의 세정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며, 집진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시 자연방전되도록 하여 잔류 정전기를 제거토록 한 구조의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속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와, 그 집진부를 넣고 빼기가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스와, 그 집진부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트랜스와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로 구성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와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 일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집진부를 장착하였을시 상기 집진부의 텅스텐와이어 전극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점되도록 각기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집진부의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속되도록 각기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집진부의 방전판과 알루미늄 분리판을 접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 집진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 특히 세정이 용이한 구조의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등의 공기조화장치에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공기정화장치로는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 및 나쁜냄새 등을 섬유막을 통해 직접 걸러내는 필터식과 고전압방전 및 정전현상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나 분진 및 냄새 등을 제거하는 전기 집진식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 집진식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텅스텐와이어 전극(30)과 방전판(31,집진판) 사이에 고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고전압 발생기(32)와 트랜스(33) 등의 전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은 전기 집진기(34)는 집진부(35)와, 집진부(35)를 수용하는 서랍식의 케이스(36)로 구성되며, 에어컨 등의 공기흡입구에 케이스(36)를 고정 설치하고 그 케이스(36)내에 집진부(35)를 넣고 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기 집진방식의 경우 방전판(31) 등에 먼지 등의 분진이 많이 달라붙게 되면 필터를 교체하여 주어야하는 필터식과는 달리 집진부(35)를 케이스(36)로부터 꺼내어 먼지를 털어주거나 또는 부착된 먼지가 경화되어 고착된 경우에는 세정액속에 담가서 깨끗이 세정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전기 집진기(34)는 고전압 발생기(32)와 트랜스(33) 등의 전기장치가 집진부(35) 몸체내에 구비되어 있어, 집진부(35)의 세정을 위하여 세정액 속에 침지시킬 때 이들 전기장치들이 물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므로 세정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케이스(36)로부터 분리시킨 집진부(35)의 방전판(31) 등 금속체에 신체가 접촉할시 고전압에 의해 잔류하는 잔류 정전기의 방전에 의해 불쾌감을 유발하고 정전기의 강도가 크므로 심하면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집진부의 세정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의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부의 세정을 위하여 케이스로부터 분리시 자연방전되도록 하여 잔류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속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와, 그 집진부를 넣고 빼기가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스와, 그 집진부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트랜스와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로 구성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와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 일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집진부를 장착하였을시 상기 집진부의 텅스텐와이어 전극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점되도록 각기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집진부의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속되도록 각기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집진부의 방전판과 알루미늄 분리판을 접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지단자를 구비하여서 되는 전기 집진기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청구항 2의 기재에 의한 본 발명의 전기 집진기는 상기 집진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집진부에 형성된 -,+ 및 접지단자들이 이동중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다른 극성의 단자들과 마찰 접촉하면서 잔류 정전기를 방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케이스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케이스의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집진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집진부의 배면도
도 6과 도 7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집진기 2 : 집진부
3 : 케이스 4 : 트랜스
5 : 고전압 발생기 6 : 공간
7 : 수납공간 8 : 덮개
9 : 콘센트 10,13 : +단자
11,14 : -단자 12,19 : 접지단자
15 : 텅스텐와이어 전극 16 : 알루미늄 필름
17 : 방전판 18 : 알루미늄 분리판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 케이스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케이스의 B-B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집진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집진부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 집진기(1)는 공기속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2)와, 그 집진부(2)를 넣고 빼기가 가능하게 수용하는 서랍식의 케이스(3)와, 그 집진부(2)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트랜스(4)와 고전압 발생기(5)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집진부(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6)을 가지며, 상기 공간(6)에 접하는 케이스(3) 몸체 일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7)내에 상기 트랜스(4)와 고전압 발생기(5)를 포함하는 전기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3)는 공간(6)과 수납공간(7)을 갖도록 플라스틱재로 사출성형되며 수납공간(7)은 덮개(8)에 의해 보호되며 콘센트(9)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일종의 교류·직류변환 아답터인 트랜스(4)는 콘센트(9)를 통해 220V 또는 110V 전원을 인가받아 D.C 9V로 전환하며 다시 고압트랜스인 고전압 발생기(5)를 통해 예를들면, -4.5KV와 +2.5KV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며 이들 고전압은 케이스(3)의 +,-단자(10)(11)를 통하여 집진부(2)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집진부(2)를 케이스(3)에 삽입하여 수용시 상기 + -단자(10)(11)와 접속되는 + -단자(13)(14)가 대응되는 위치의 집진부(2)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단자(11)(14)는 집진부(2)의 텅스텐와이어 전극(15)에 -고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10)(13)는 상기 집진부(2)의 도전성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16)에 +고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텅스텐와이어 전극(15)과 대향되어 설치되는 방전판(17) 및 상기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16)과 함께 코일상으로 말아져 있는 알루미늄 분리판(18)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단자(12)(19)가 상기 케이스(3)와 집진부(2)에 각기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는 에어컨 등 공기조화장치의 공기흡입구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공간(6)에 상부로부터 서랍식으로 집진부(2)가 수용 장착 되어지게 되며, 집진부(2)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10,13)(11,14) 및 접지단자(12)(19)는 상호 접속되어 통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콘센트(9)를 전원에 접속하면 220V의 전류가 공급되어지게 되며 트랜스(4)를 통해 D.C 9V로 정류되어진다. D.C 9V로 변환된 전류는 고전압 발생기(5)를 통하여 -4.5KV와 +2.5KV로 변환되고 이들은 각각 -단자(11)(14)와 +단자(10)(13)를 통해 텅스텐와이어 전극(15)과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16)에 공급된다.
텅스텐와이어 전극(15)은 일정 길이와 장력으로 방전판(17)과의 사이에 대전되도록 복수개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전자사태가 일어나면서 공기흡입구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분진등이 방전판(17)에 달라붙어 1차로 집진되어지게 되며, 계속해서 후방으로 흐르는 공기는 2차적으로 알루미늄 분리판(18)과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16)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름(16)측에 분진 등이 포집되어진 후 덕트를 통해 깨끗해진 공기만이 실내에 공급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이 되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방전판(17)과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16)에 적층되어 고착화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바이러스의 번식 등 위생상 불결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한다.
이때는 집진부(2)의 손잡이(20)를 잡고 상부로 빼내면 케이스(3)로부터 분리되어지게 되는데 고착되어 경화된 먼지층이 털이개나 솔 등에 의해서는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세정액 속에 집진부(2)를 담가서 세정하게 된다.
집진부(2)를 세정액 속에 담가서 세척하더라도 트랜스(4)나 고전압 발생기(5) 등의 전기장치가 종래와 달리 케이스(3)에 형성되어 있어 손상되거나 감전사고 등을 유발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텅스텐와이어 전극(15)과 방전판(17) 등에는 고전압 인가에 따라 잔류 정전기가 남게되는데 이들 잔류 정전기는 플라스틱재의 손잡이(20)를 잡고 케이스(3)로부터 빼낼 때 집진부(2) 측에 형성된 +단자(13), -단자(14) 및 접지단자(19)들이 위치이동중에 케이스(3)측의 다른 극성의 단자(11)(12)들과 마찰 접촉하면서 스파크를 일으켜 자연방전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와 고전압발생기 등의 전기장치를 종래와 달리 집진부 몸체에 부착 설치하지 아니하고 집진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몸체에 내장토록 형성하므로써 집진부의 세정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안전하고 빠르며 손쉽게 세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집진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케이스와 집진부에 각기 접점되도록 형성한 +,- 및 접지단자들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집진부의 세정 또는 점검을 위하여 집진부를 케이스로부터 빼낼 때 극성이 다른 단자 접촉에 의해 고압의 잔류 정전기가 방전되어지므로써 집진부의 금속체들에의 신체접촉에 의한 정전기 발생을 없애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기속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와, 그 집진부를 넣고 빼기가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스와, 그 집진부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트랜스와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로 구성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와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 일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집진부를 장착하였을시 상기 집진부의 텅스텐와이어 전극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점되도록 각기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집진부의 폴리에스터 밀봉 알루미늄 필름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속되도록 각기 마련되는 +단자와, 상기 집진부의 방전판과 알루미늄 분리판을 접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집진부에 상호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집진부에 형성된 -,+ 및 접지단자들이 이동중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다른 극성의 단자들과 마찰 접촉하면서 잔류 정전기를 방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KR1019970032556A 1997-07-14 1997-07-14 전기 집진기 KR10022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556A KR100226574B1 (ko) 1997-07-14 1997-07-14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556A KR100226574B1 (ko) 1997-07-14 1997-07-14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2A KR19990009962A (ko) 1999-02-05
KR100226574B1 true KR100226574B1 (ko) 1999-10-15

Family

ID=1951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556A KR100226574B1 (ko) 1997-07-14 1997-07-14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4822A (zh) * 2013-03-29 2013-06-12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杆上变压器装置的物流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4822A (zh) * 2013-03-29 2013-06-12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杆上变压器装置的物流箱
CN103144822B (zh) * 2013-03-29 2015-03-04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杆上变压器装置的物流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2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8586A (en) Cartridge type electronic air filter
KR101669295B1 (ko)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04577A1 (en) Hairdryer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filter cleanout warning
TWI306781B (en) An automatic needle cleaning apparatus of a blowing-type ionizer
JP2010029740A (ja) 電気集塵装置
KR100226574B1 (ko) 전기 집진기
JPH08108092A (ja) 集塵フィルタおよび集塵フィルタユニット
JP3440403B2 (ja) 電気集塵機のコレクタ部
KR100767573B1 (ko) 공기청정기
US5711788A (en) Dust neutralizing and floculating system
KR200193584Y1 (ko) 전기 집진기
EP0860196A1 (en) Flue gas treating process and apparatus
JPH08266928A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H08155333A (ja) 空気洗浄機
KR100206774B1 (ko) 전기집진장치
KR100251472B1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2413B1 (ko) 방사형 집진니들이 구비된 전기집진장치
JPH0691199A (ja) 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ーセットの取付状態検出装置
JPH09173897A (ja) 粒子捕集装置
JP3798192B2 (ja) 電気集じん機および無声放電電流の調整方法
CN115069416B (zh) 静电除尘装置及空气净化器
KR100503759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660667B1 (ko) 작동중에 세척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JPS60238169A (ja) エアフイルタ
JP7044632B2 (ja) 電気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