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513B1 -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513B1
KR100226513B1 KR1019970060404A KR19970060404A KR100226513B1 KR 100226513 B1 KR100226513 B1 KR 100226513B1 KR 1019970060404 A KR1019970060404 A KR 1019970060404A KR 19970060404 A KR19970060404 A KR 19970060404A KR 100226513 B1 KR100226513 B1 KR 10022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rope
stem
collecting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009A (ko
Inventor
윤임현
Original Assignee
윤임현
주식회사여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현, 주식회사여울 filed Critical 윤임현
Priority to KR101997006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513B1/ko
Publication of KR98000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미역 양식장에서 미역을 채취하면서 동시에 1차 가공을 자동으로 행하여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설비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밧줄을 소정의 속도로 감아올리는 밧줄회수장치와, 밧줄에 매달린 미역을 데치는 데침장치와, 미역의 잎을 채취하는 잎채취장치와, 줄기를 가늘게 째내어 채취하는 줄기채취장치와, 귀를 잘라내어 채취하는 귀채취장치와, 뿌리를 밧줄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장치와, 데침장치에서 데쳐진 미역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밧줄회수장치는 윈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데침장치는 소정 양의 물이 담긴 데침용기와 물을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장치로 이루어지며, 잎채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1컨베이어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끝부분이 구부러진 복수의 채취부재로 이루어지고, 줄기채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2컨베이어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줄기를 복수의 가닥으로 가늘게 째는 복수의 째기부재와 줄기를 밧줄쪽에서 절단하는 수평절단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본 발명은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장에서 미역을 채취하면서 동시에 잎과 줄기 및 귀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1차 가공하고 2차 가공 공정이나 저장창고로 이송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역은 잎과 줄기와 귀로 구분되고, 각 부분마다 요리방법이 다르므로 상품화할 때에 잎과 줄기와 귀를 분리하여 포장하여야 한다.
미역은 바다에서 바위에 고착하여 자생하는 것을 채취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일정한 구역을 정하여 인공적으로 재배하는 양식을 많이 행하고 있다. 미역의 양식은 밧줄(8)에 미역포자를 심어 바닷물에 담근 상태로 재배를 하는 데, 미역(1)이 다 자라면 대략 길이가 1.5∼2m 정도로 되고, 줄기(3)를 중심으로 뿌리(2) 바로 위에 양쪽으로 귀(5)가 달리고, 뿌리(2)의 50㎝정도 위에서부터 줄기(3) 양쪽으로 20㎝정도의 길이로 잎이 자란다(도 6 참조).
양식장에서 미역이 다 자라 수확기가 되면, 갈고리를 이용하여 밧줄을 채취선 위로 끌어당기면서 낫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밧줄에 뿌리가 고착하여 자란 미역을 귀 위쪽에서 잘라내어 운반용기에 담고, 운반용기에 소정의 양씩 모아진 미역은 1차 가공 공정으로 이송된다.
1차 가공 공정에서는 이송되어 온 미역을 고르게 펴서 컨베이어 벨트에 싣고, 고르게 펴진 미역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물이 담긴 솥으로 투입되고, 솥에 투입된 미역은 뭉치지 않도록 골고루 교반되면서 삶아지며, 삶아진 미역은 다시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건져져 냉각수가 담긴 냉각조로 투입된다.
냉각조를 따라 흘러가면서 냉각된 미역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혼합조에 투입되어 소금과 섞인 뒤, 다시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염장조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염장조에서 24시간 저장된 미역을 꺼내 잎과 줄기를 낫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가늘게 째서 분리하고, 분리된 미역은 2차 가공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 종래의 미역 채취방법은 사람이 낫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밧줄에 매달린 미역을 채취하여 운반용기에 담은 상태로 1차 가공 공정으로 이송하므로, 길이가 긴 미역이 서로 엉켜 잎과 줄기를 분리하는 작업이 어렵고, 줄기를 가늘게 째는 작업도 미역의 줄기가 서로 엉켜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
또 미역의 귀는 미역을 베어낸 다음에도 밧줄에 그대로 매달려 있으므로 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수작업으로 귀를 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미역 채취방법은 1차 가공 공정이 삶고 염장하는 단계와 잎과 줄기를 째는 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가공시간이 많이 걸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역을 채취하면서 잎과 줄기 및 귀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다음 가공 공정으로 보내도록 잎채취장치와 줄기채취장치 및 귀채취장치를 연결하여 설치한 미역 채치 겸 가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은 밧줄을 소정의 속도로 감아올리는 밧줄회수장치와, 상기한 밧줄회수장치에 의하여 끌려오는 밧줄에 뿌리가 고착하여 성장한 미역을 데치기 위한 데침장치와, 상기한 데침장치에 의하여 데쳐진 미역의 잎을 채취하는 잎채취장치와, 상기한 잎채취장치에 의하여 잎이 제거된 미역에서 줄기를 가늘게 째내어 채취하는 줄기채취장치와, 상기한 줄기채취장치에 의하여 줄기가 제거된 미역에서 귀를 잘라내는 귀채취장치와, 상기한 귀채취장치에 의하여 귀가 제거된 미역을 밧줄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밧줄회수장치는 윈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미역제거장치의 뒤쪽에 설치하여 밧줄회수장치에 의하여 이동하는 밧줄에 매달린 미역이 데침장치와 잎채취장치 및 줄기채취장치와 귀채취장치와 제거장치를 통과하면서 제거된 다음 밧줄이 회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데침장치는 소정 양의 물이 담긴 데침용기와, 상기한 데침용기에 담겨진 물을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잎채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한 제1컨베이어의 표면에 돌출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복수의 채취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채취부재는 끝부분을 미역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하고, 미역이 진입하는 앞쪽보다 뒤쪽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한다.
상기한 줄기채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한 제2컨베이어의 표면에 돌출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밧줄에 매달려 이동하는 미역의 줄기를 복수의 가닥으로 가늘게 째는 복수의 째기부재와, 상기한 째기부재에 의해 가늘게 째진 미역의 줄기를 밧줄쪽에서 절단하는 수평절단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째기부재는 끝부분을 미역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하고,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귀채취장치는 밧줄에 고착된 뿌리쪽의 줄기에 매달린 미역의 귀를 잘라내는 수직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거장치는 밧줄에 고착된 뿌리와 남아있는 줄기의 끝부분을 제거하여 밧줄을 미역의 양식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무리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은 상기한 데침장치에서 데쳐진 미역이 손상되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을 미역 채취선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미역 양식장에서 미역을 채취하면서 1차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간이 절감되고, 설비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며, 자동화가 가능하여 인력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째기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미역 채취선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미역을 나타내는 사시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5∼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밧줄(8)을 소정의 속도로 감아올리는 밧줄회수장치(95)와,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끌려오는 밧줄(8)에 뿌리(2)가 고착하여 성장한 미역(1)을 데치기 위한 데침장치(10)와, 상기한 데침장치(10)에 의하여 데쳐진 미역(1)의 잎(3)을 채취하는 잎채취장치(20)와, 상기한 잎채취장치(20)에 의하여 잎(3)이 제거된 미역(1)에서 줄기(3)를 가늘게 째내어 채취하는 줄기채취장치(30)와,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에 의하여 줄기(3)가 제거된 미역(1)에서 귀(4)를 잘라내는 귀채취장치(40)와, 상기한 귀채취장치(40)에 의하여 귀(4)가 제거된 미역(1)을 밧줄(8)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장치(5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은 상기한 데침장치(10)에서 고온으로 데쳐진 미역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냉각장치(90)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92)와, 상기한 펌프(92)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각각 잎채취장치(20)와 줄기채취장치(30) 및 귀채취장치(40)와 제거장치(50)에 공급하는 공급관(94)을 포함한다.
상기한 공급관(94)에는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여 밧줄(8)에 매달려 이동하는 미역(1)에 냉각수가 골고루 뿌려지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한 공급관(94)은 다수의 작은 관으로 분기하여 각각 상기한 잎채취장치(20)와 줄기채취장치(30) 및 귀채취장치(40)와 제거장치(50)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한 공급관(94)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는 앞쪽에 설치되는 상기한 잎채취장치(20)와 줄기채취장치(30)로는 많이 공급되고, 뒤쪽에 설치되는 귀채취장치(40)와 제거장치(50)로는 이미 앞쪽에서 냉각이 이루어지고 밧줄(8)에 남아있는 미역(1)의 양도 작으므로 적게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냉각수로는 미역(1)의 채취작업이 바다에서 이루어지므로 바닷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펌프(92)의 흡입구를 바닷물에 담근 상태로 펌프(92)를 작동시켜 바닷물을 퍼올려 냉각수로 사용한다.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는 윈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거장치(50)의 뒤쪽에 설치하여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이동하는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이 데침장치(10)와 잎채취장치(20) 및 줄기채취장치(30)와 귀채취장치(40)와 제거장치(50)를 통과하면서 제거된 다음 밧줄(8)이 회수되도록 구성한다.
일반적인 구성의 윈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는 브라켓(61)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밧줄(8)이 감기는 권취드럼(96)과, 상기한 권취드럼(96)을 벨트(97)를 통하여 회전시키는 모터(98)와, 상기한 권취드럼(96)을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권취손잡이(99)를 포함한다.
상기한 데침장치(10)는 소정 양의 물이 담긴 데침용기(12)와, 상기한 데침용기(12)에 담겨진 물을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장치(1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데침용기(12)의 밧줄(8)과 미역(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옆 모서리에는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끌려올려지는 밧줄(8)과 미역(1)이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로울러(1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한쌍의 지지로울러(13)는 상기한 데침용기(12)의 옆면 모서리에 설치하는 지지축(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상기한 한쌍의 지지로울러(13)는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에 손상을 주지않으면서 밧줄(8)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원뿔형상을 날카로운 쪽을 맞붙인 장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데침용기(12)에는 밧줄(8)이 이동하면서 채워진 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밧줄(8)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하나이상의 누름로울러(15)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가열장치(16)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스나 석유 또는 벙커씨유나 디젤유 등을 버너에서 연소시켜 열을 공급하는 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선박의 엔진열 또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잎채취장치(20)는 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1컨베이어(22)와,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의 표면에 돌출시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복수의 채취부재(2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컨베이어(22)는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10∼45°정도의 경사로 미역(1)이 진입하는 쪽이 낮게 설치한다.
또 상기한 제1컨베이어(22)는 대략 2m정도의 길이와 대략 1m정도의 넓이로 형성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의 앞쪽에는 경사로 설치되는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의 윗면과 이동하는 밧줄(8)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누름로울러(15)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채취부재(2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채취부재(24)의 높이는 밧줄(8)에 매달려 진입하는 미역(1) 무더기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하며, 채취부재(24)의 넓이는 칼날이 돌출하거나 너풀거리는 잎(4)이 감기지 않는 폭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채취부재(24)의 높이는 대략 20㎝정도로 하고, 채취부재(24)의 넓이는 대략 6㎝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치수를 선정하여 채취부재(24)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채취부재(24)는 끝부분(25)을 미역(1)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하는 것이 미역(1)이 채취부재(24) 안쪽으로 들어오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채취부재(24)의 끝부분(25)은 대략 수직선에 대하여 45°정도 구부러지고, 끝부분을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채취부재(24)의 높이를 대략 20㎝정도로 형성한 경우에 17㎝정도는 직선으로 3㎝정도는 곡선으로 둥글게 휘어서 끝부분(25)이 3㎝정도 갈고리형상을 이루도록 제작한다.
또 상기한 채취부재(24) 뒤쪽의 직선길이는 앞쪽의 직선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나머지 끝부분(25)은 둥글게 형성하여 앞쪽과 연결하는 것이 채취부재(24)가 미역(1) 사이를 파고들때에 저항을 줄이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채취부재(24)의 높이를 대략 20㎝로 형성한 경우에 뒤쪽 15㎝정도는 직선으로 나머지 5㎝정도는 둥글게 앞쪽과 연결하도록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한 채취부재(24)는 미역(1)이 진입하는 앞쪽보다 뒤쪽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미역(1)이 채취부재(24) 뒤쪽으로 갈수록 채취부재(24) 사이를 밀착하여 지나가므로 미역(1)의 줄기(3)로부터 잎(4)이 잘 분리되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채취부재(24)의 앞쪽보다 뒤쪽의 두께를 대략 20%정도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채취부재(24)의 두께는 예를 들면 대략 3㎝정도로 하고, 내부를 비게 하는 중공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재료를 절감하고 무게를 줄일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채취부재(24)의 앞쪽 모서리(26)를 둥글게 형성하여 진입하는 미역(1)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뒤쪽 모서리나 위쪽 모서리도 각이 지거나 모가 나지않도록 형성하여 미역(1)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한 채취부재(24)는 양쪽 옆면에 소정의 간격과 소정의 깊이로 칼날(27)을 이루도록 홈(2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앞쪽에서 대략 1㎝정도의 간격을 두고 대략 2㎜정도의 깊이로 홈(28)을 형성하고, 이어 1㎝마다 깊이 2㎜의 홈(28)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채취부재(24)의 넓이를 6㎝로 형성한 경우에는 한쪽 옆면에 4줄씩 양쪽에 모두 8줄의 칼날(27)이 형성되어 미역(1)의 잎(4)을 줄기(3)로부터 훑어낸다.
상기한 채취부재(24)는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에 배열되는 채취부재(24) 옆과 옆 사이의 간격을 대략 3∼5㎝정도로 하고, 앞과 뒤 사이의 간격도 대략 3∼5㎝정도로 하는 것이 미역(1) 줄기(3)의 두께와 비교하여 적당하다.
상기한 채취부재(24)는 앞열과 뒷열이 서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이 진행하는 미역(1)이 채취부재(24)와 채취부재(24) 사이를 밀착되어 지나가므로 미역(1)의 줄기(3)로부터 잎(4)이 잘 훑어진다.
상기한 채취부재(24)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채취부재(24)의 밑면에 수나사(29)를 형성하여 제1컨베이어(22)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에 소정의 간격으로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한 채취부재(24)의 밑면에 형성한 수나사(29)를 체결하여 상기한 채취부재(24)를 제1컨베이어(22)에 고정하거나,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채취부재(24)의 밑면에 형성한 수나사(29)를 상기한 구멍으로 관통시켜 안쪽에서 너트를 수나사(29)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채취부재(24)를 제1컨베이어(22)에 고정한다.
상기에서 제1컨베이어(22)에 대략 9㎝정도의 넓이를 가진 금속판을 부착하고, 이 금속판에 암나사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채취부재(2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잎채취장치(20)는 상기한 제1컨베이어(22)가 설치되고 상기한 채취부재(24)에 의하여 채취되는 잎(4)과 상기한 냉각장치(90)를 통하여 공급되어 상기한 데침장치(10)에 의하여 데쳐진 미역(1)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냉각수를 모으기 위한 수납용기(6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수납용기(60)의 밧줄(8)과 미역(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옆 모서리에는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끌려올려지는 밧줄(8)과 미역(1)이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로울러(1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한쌍의 지지로울러(13)는 상기한 수납용기(60)의 옆면 모서리에 설치하는 지지축(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경사로 설치되는 상기한 제1컨베이어(22)의 앞쪽에는 이동하는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을 상기한 채취부재(24)에 근접시키기 위하여 위쪽에서 밧줄(8)을 누르는 누름로울러(15)를 회전가능하게 상기한 수납용기(6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잎채취장치(20)는 상기한 수납용기(60)에 모아진 미역(1)의 잎(4)과 냉각수의 혼합액을 이송하는 이송장치(62)와, 상기한 이송장치(62)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액에 있어서 냉각수를 탈수하는 탈수용기(64)와, 상기한 탈수용기(64)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잎(4)에 소금공급장치(66)를 통하여 공급되는 소금을 섞는 혼합용기(68)를 포함한다.
상기한 탈수용기(64)는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원심력에 의하여 잎이 벽면에 달라붙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회전원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송장치(62)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납용기(60)에 모아지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혼합액이 이송관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이송장치(62)는 상기한 수납용기(60)로부터 잎(4)과 냉각수의 혼합액을 빨아들여 이송관으로 토출하는 이송펌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잎채취장치(20)는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잎(4)을 소정의 양씩 모으는 보관용기(82)와, 상기한 보관용기(82)가 임시로 수납되고 보관용기(82)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모으는 저장용기(84)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보관용기(82)는 잘라진 미역(1)의 잎(4)이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되는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미역(1)의 잎(4)이 유입되는 입구를 위쪽에 형성하는 자루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구에는 이동시킬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된다.
상기한 저장용기(84)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또는 비닐 등)로 이루어진 큰 봉지나 바구니 또는 사각형상이나 원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보관용기(82)에 소정 양의 잎(4)이 채워지면, 이 보관용기(82)의 손잡이를 갈고리로 걸어서 들어올려 운반선이나 부둣가에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86)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86)에 의하여 운반선으로 옮겨진 보관용기(82)는 운반선에 의하여 부둣가로 운반되어 하역되고, 부둣가에 하역된 보관용기(82)는 2차 가공 공정 또는 저장창고로 이송된다.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는 모터(31)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2컨베이어(32)와,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의 표면에 돌출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밧줄(8)에 매달려 이동하는 미역(1)의 줄기(3)를 복수의 가닥으로 가늘게 째는 복수의 째기부재(34)와, 상기한 째기부재(34)에 의해 가늘게 째진 미역(1)의 줄기(3)를 밧줄(8)쪽에서 절단하는 수평절단기(3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컨베이어(32)는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10∼45°정도의 경사로 미역(1)이 진입하는 쪽이 낮게 설치한다.
또 상기한 제2컨베이어(32)는 대략 2m정도의 길이와 대략 1m정도의 넓이로 형성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째기부재(3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곳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끝부분(35)을 미역(1)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한다.
즉 상기한 째기부재(34)의 끝부분(35)을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째기부재(34)는 지름이 대략 2∼5㎜정도이고 길이가 대략 10㎝정도인 금속막대를 끝부분(35)을 대략 45°정도 앞쪽으로 구부려 둥글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끝쪽 모서리는 날카롭게 형성한다.
상기한 째기부재(34)는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에 배열되는 째기부재(34) 옆과 옆 사이의 간격을 대략 1∼7㎝정도로 하고, 앞과 뒤 사이의 간격도 대략 1∼7㎝정도로 하는 것이 미역(1) 줄기(3)의 두께와 비교하여 적당하다. 더욱이 상기한 째기부재(34) 서로간의 간격을 3∼5㎝정도로 하는 것이 줄기(3)의 두께와 비교하여 바람직하다.
상기한 째기부재(34)는 앞열과 뒷열이 서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이 진행하는 미역(1)이 째기부재(34)와 째기부재(34) 사이를 밀착되어 지나가므로 미역(1)의 줄기(3)가 가늘게 잘 째진다.
상기한 째기부재(34)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째기부재(34)의 밑면에 수나사(36)를 형성하여 제2컨베이어(32)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에 소정의 간격으로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한 째기부재(34)의 밑면에 형성한 수나사(36)를 체결하여 상기한 째기부재(34)를 제2컨베이어(32)에 고정하거나,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째기부재(34)의 밑면에 형성한 수나사(36)를 상기한 구멍으로 관통시켜 안쪽에서 너트를 수나사(36)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째기부재(34)를 제2컨베이어(32)에 고정한다.
상기에서 제2컨베이어(32)에 대략 9㎝정도의 넓이를 가진 금속판을 부착하고, 이 금속판에 암나사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째기부재(3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수평절단기(38)는 밧줄(8)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칼날(39)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의 미역(1) 진행방향 뒤쪽에 설치한다.
상기한 수평절단기(38)의 칼날(39)은 미역(1)의 진행방향 앞쪽은 양 칼날(39)의 간격이 넓고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간격이 좁아지게 즉 평면에서 보아서 V형상으로 설치하여 상기한 째기부재(34)에 의하여 가늘게 째진 미역(1)의 줄기(3)가 상기한 수평절단기(38)를 통과하면서 위쪽에서 잘라지도록 설치한다.
또 상기한 수평절단기(38)는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의 귀(5) 아래쪽에서 줄기(3)를 자르도록 밧줄(8)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수평절단기(38)를 한쌍의 칼날(39)을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식 칼날을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는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와 수평절단기(38)가 설치되고 상기한 째기부재(34)와 수평절단기(38)에 의하여 채취되는 줄기(3)와 상기한 냉각장치(90)를 통하여 공급되어 데쳐진 미역(1)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모으기 위한 수납용기(7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수납용기(70)의 밧줄(8)과 미역(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옆 모서리에는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끌려올려지는 밧줄(8)과 미역(1)이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로울러(1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한쌍의 지지로울러(13)는 상기한 수납용기(70)의 옆면 모서리에 설치하는 지지축(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경사로 설치되는 상기한 제2컨베이어(32)의 앞쪽에는 이동하는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을 상기한 째기부재(34)에 근접시키기 위하여 위쪽에서 밧줄(8)을 누르는 누름로울러(15)를 회전가능하게 상기한 수납용기(7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는 상기한 수납용기(70)에 모아진 미역(1)의 줄기(3)와 냉각수의 혼합액을 이송하는 이송장치(72)와, 상기한 이송장치(72)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액에 있어서 냉각수를 탈수하는 탈수용기(64)와, 상기한 탈수용기(64)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줄기(3)에 소금공급장치(66)를 통하여 공급되는 소금을 섞는 혼합용기(68)를 포함한다.
상기한 이송장치(72)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납용기(70)에 모아지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혼합액이 이송관으로 흐르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이송장치(72)는 줄기(3)와 냉각수의 혼합액을 상기한 수납용기(70)로부터 이송관으로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는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줄기(3)를 소정의 양씩 모으는 보관용기(82)와, 상기한 보관용기(82)가 임시로 수납되고 보관용기(82)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모으는 저장용기(84)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보관용기(82)는 잘라진 미역(1)의 줄기(3)가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줄기(3)가 유입되는 입구를 위쪽에 형성하는 자루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구에는 이동시킬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를 설치한다.
상기한 저장용기(84)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또는 비닐 등)로 이루어진 큰 봉지나 바구니 또는 사각형상이나 원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관용기(82)에 소정 양의 줄기(3)이 채워지면, 이 보관용기(82)는 상기한 크레인(86)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운반선이나 부둣가에 하역된다.
상기한 귀채취장치(40)는 밧줄(8)에 고착된 뿌리(2)쪽의 줄기(3)에 매달린 미역(1)의 귀(5)를 잘라내는 수직절단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수직절단기(42)는 한쌍의 칼날(43)을 밧줄(8)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한쌍의 칼날(43)은 위쪽보다 아래쪽의 간격이 좁게 즉 미역(1)의 진행방향에서 보아서 V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의 줄기(3)로부터 귀(5)를 잘라내기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수직절단기(42)를 한쌍의 칼날(43)의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식 칼날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여 귀(5)를 잘라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귀채취장치(40)는 상기한 수직절단기(42)가 설치되고 상기한 수직절단기(42)에 의하여 채취되는 귀(5)와 상기한 냉각장치(90)를 통하여 공급되어 미역(1)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모으기 위한 수납용기(78)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수납용기(78)의 밧줄(8)과 미역(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옆 모서리에는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끌려올려지는 밧줄(8)과 미역(1)이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로울러(1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한쌍의 지지로울러(13)는 상기한 수납용기(78)의 옆면 모서리에 설치하는 지지축(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귀채취장치(40)는 상기한 수납용기(78)에 모아진 미역(1)의 귀(5)과 냉각수의 혼합액을 이송하는 이송장치(74)와, 상기한 이송장치(74)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액에 있어서 냉각수를 탈수하는 탈수용기(64)와, 상기한 탈수용기(64)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귀(5)에 소금공급장치(66)를 통하여 공급되는 소금을 섞는 혼합용기(68)를 포함한다.
상기한 이송장치(74)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납용기(78)에 모아지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혼합액이 이송관으로 흐르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이송장치(74)는 귀(5)와 냉각수의 혼합액을 상기한 수납용기(78)로부터 이송관으로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귀채취장치(40)는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귀(5)를 소정의 양씩 모으는 보관용기(82)와, 상기한 보관용기(82)가 임시로 수납되고 보관용기(82)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모으는 저장용기(84)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보관용기(82)는 잘라진 미역(1)의 귀(5)이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귀(5)가 유입되는 입구를 위쪽에 형성하는 자루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구에는 이동시킬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를 설치한다.
상기한 저장용기(84)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또는 비닐 등)로 이루어진 큰 봉지나 바구니 또는 사각형상이나 원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관용기(82)에 소정 양의 귀(5)가 채워지면, 상기한 크레인(86)에 의하여 상기한 보관용기(82)가 들어올려져 운반선이나 부둣가에 하역된다.
상기한 제거장치(50)는 밧줄(8)에 고착된 뿌리(2)와 줄기(3)의 끝부분을 제거하여 밧줄(8)을 미역의 양식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무리절단기(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무리절단기(52)는 앞쪽을 날카롭게 형성하고, 미역(1)의 진행방향에서 보아서 반원형상으로 형성하여, 밧줄(8)의 아래쪽에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밧줄(8)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마무리절단기(52)를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수평절단기(38)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식 칼날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뿌리(2)를 잘라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제거장치(50)는 상기한 마무리절단기(52)가 설치되고 상기한 마무리절단기(52)에 의하여 채취되는 뿌리(2)와 줄기(3) 끝부분 및 상기한 냉각장치(90)를 통하여 공급되어 미역(1)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모으기 위한 수납용기(79)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수납용기(79)의 밧줄(8)과 미역(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옆 모서리에는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 의하여 끌려올려지는 밧줄(8)과 미역(1)이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로울러(1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한쌍의 지지로울러(13)는 상기한 수납용기(79)의 옆면 모서리에 설치하는 지지축(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거장치(50)는 상기한 수납용기(79)에 모아진 미역(1)의 뿌리(2)와 줄기(3) 끝부분 및 냉각수의 혼합액을 이송하는 이송장치(76)와, 상기한 이송장치(76)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액에 있어서 냉각수를 탈수하는 탈수용기(64)를 포함한다.
상기한 탈수용기(64)는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원심력에 의하여 잎이 벽면에 달라붙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회전원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송장치(76)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납용기(79)에 모아지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혼합액이 이송관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이송장치(76)는 귀(5)와 냉각수의 혼합액을 상기한 수납용기(79)로부터 이송관으로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제거장치(76)는 상기한 탈수용기(64)에서 탈수된 뿌리(2)와 줄기(3)의 끝부분을 소정의 양씩 모으는 보관용기(82)와, 상기한 보관용기(82)가 임시로 수납되고 보관용기(82)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모으는 저장용기(84)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보관용기(82)는 잘라진 미역(1)의 뿌리(2)와 줄기(3) 끝부분이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탈수용기(64)에서 탈수된 귀(5)가 유입되는 입구를 위쪽에 형성하는 자루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구에는 이동시킬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를 설치한다.
상기한 저장용기(84)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또는 비닐 등)로 이루어진 큰 봉지나 바구니 또는 사각형상이나 원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관용기(82)에 소정 양의 뿌리(2)와 줄기(3) 끝부분이 채워지면, 이 보관용기(82)를 상기한 크레인(86)을 이용하여 운반선이나 부둣가에 하역한다.
상기와 같이 부둣가에 하역된 보관용기(82)에 담긴 미역(1)의 뿌리(2)와 줄기(3) 끝부분은 엑기스를 뽑아내거나 사료를 제조하는 2차 가공 공정이나 저장창고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역 채취선(100)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를 미역 채취선(100)의 앞쪽에 설치하고, 차례로 제거장치(50)와 귀채취장치(40) 및 줄기채취장치(30)와 잎채취장치(20)를 설치하고, 미역 채취선(100)의 뒤쪽으로 데침장치(10)를 설치하여,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에서 밧줄(8)을 감아올리고 미역 양식장에서 끌어올려지는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을 상기한 데침장치(10)로부터 제거장치(50)까지 차례로 통과시키면서 잎(4)과 줄기(3) 및 귀(5) 등을 분리하여 채취한다.
보관용기에 모아진 잎(4)과 줄기(3) 및 귀(5) 등은 채취선에 설치한 상기한 크레인(86)에 의하여 운반선이나 부둣가로 옮겨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다 자란 미역(1)이 매달린 밧줄(8)의 끝부분을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의 권취드럼(96)에 고정하고 모터(98)를 회전시키면, 밧줄(8)이 상기한 권취드럼(96)에 감기면서 미역 양식장으로부터 끌어올려진다.
상기와 같이 밧줄(8)이 끌어올려지면,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은 상기한 데침장치(10)의 데침용기(12)에 채워진 소정 온도의 물에 담가지면서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데쳐지고, 상기한 잎채취장치(20)로 이동된다.
이 때 밧줄(8)은 상기한 지지로울러(13) 및 누름로울러(15)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한 잎채취장치(20)에서는 밧줄(8)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컨베이어(22)가 이동하도록 모터(21)가 회전하고, 제1컨베이어(22)에 설치된 채취부재(24) 끝부분(25)의 갈고리형상이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의 잎(4)을 위쪽에서부터 감아서 훑어내어 채취한다.
이 때 상기한 냉각장치(90)의 공급관(94)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가 골고루 뿌려지면서 상기한 데침장치(10)에서 데쳐진 미역(1)을 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이 채취된 잎(4)은 상기한 수납용기(60)에 모아지고, 수납용기(60)에 모아진 잎(4)은 상기한 이송장치(62)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한 탈수용기(64)에서 탈수되고,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뒤 상기한 보관용기(82)에 모아지고, 상기한 크레인(86) 및 운반선에 의하여 부둣가에 하역되어 2차 가공 공정 또는 저장창고로 이송된다.
상기한 잎채취장치(20)를 통과하면서 잎(4)이 제거된 미역(1)은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로 이동하고, 상기한 냉각장치(90)의 공급관(94)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계속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에서는 밧줄(8)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컨베이어(32)가 이동하도록 모터(31)가 회전하고, 제2컨베이어(32)에 설치된 째기부재(34) 끝부분(35)의 갈고리형상이 밧줄(8)에 매달린 미역(1)의 줄기(3)를 위쪽에서부터 가늘게 여러 가닥으로 째고, 상기한 수평절단기(38)의 칼날(39)이 여러 가닥으로 째진 미역(1)의 줄기(3)를 위쪽에서 잘라낸다.
상기와 같이 잘라내어 채취된 줄기(3)는 상기한 수납용기(70)에 모아지고, 모아진 줄기(3)는 상기한 이송장치(72)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한 탈수용기(64)에서 탈수되고,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뒤 상기한 보관용기(82)에 모아지고, 상기한 크레인(86) 및 운반선에 의하여 부둣가에 하역되고 2차 가공 공정 또는 저장창고로 이송된다.
상기한 줄기채취장치(30)를 통과하면 밧줄(8)에는 미역(1)의 줄기(3) 윗부분과 귀(5) 및 뿌리(2)만 매달린 상태로 되고, 상기한 귀채취장치(40)로 이동하며, 상기한 냉각장치(90)의 공급관(94)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귀채취장치(40)에서는 상기한 수직절단기(42)의 칼날(43) 사이를 밧줄(8)이 통과하므로 상기한 칼날(43)이 미역(1)의 줄기(3) 윗부분에 매달린 귀(5)를 잘라 채취한다.
상기와 같이 채취된 귀(5)는 상기한 수납용기(78)에 모아지고, 모아진 귀(5)는 상기한 이송장치(74)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한 탈수용기(64)에서 탈수되고, 상기한 혼합용기(68)에서 소금과 섞인 뒤 상기한 보관용기(82)에 모아지고, 상기한 크레인(86) 및 운반선에 의하여 부둣가에 하역되고 2차 가공 공정 또는 저장창고로 이송된다.
상기한 귀채취장치(40)를 통과한 밧줄(8)은 다시 상기한 제거장치(50)를 통과하고, 상기한 제거장치(50)에서는 마무리절단기(52)가 밧줄(8)에 남아 있는 뿌리(2)와 줄기(3)의 윗부분을 훑어내어 채취한다.
상기와 같이 채취된 줄기(3) 윗부분과 뿌리(2)는 상기한 수납용기(79)에 모아지고, 모아진 줄기(3) 윗부분과 뿌리(2)는 상기한 이송장치(76)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한 탈수장치(64)에서 탈수되고, 상기한 보관용기(82)에 모아지고, 상기한 크레인(86) 및 운반선에 의하여 부둣가에 하역되고 엑기스를 뽑아내거나 사료화하는 2차 가공 공정 또는 저장창고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미역(1)이 거의 제거된 밧줄(8)은 상기한 밧줄회수장치(95)의 권취드럼(96)에 감겨 회수되고, 회수된 밧줄(8)은 다시 미역포자를 심어 미역 양식장에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에 의하면, 미역 양식장에서 채취선을 이용하여 미역을 채취하면서 잎과 줄기와 귀 등으로 분리하고 각각 염장하는 1차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 미역을 채취하고 이를 1차 가공 공정으로 이송하던 것에 비하여 시간이 절감되고, 1차 가공 설비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며, 1차 가공을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력이 절감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동일한 시간에 처리가능한 미역의 양이 증가하므로 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1차 가공되는 미역의 원가가 절감되므로 소비자에게도 유리하다.
또 종래에는 미역을 삶은 다음 염장탱크에서 24시간이상 절였다가 잎을 채취하고 줄기를 째는 과정이 행해졌는 데, 본 발명에서는 미역을 데침과 동시에 잎과 줄기 및 귀 등을 채취하고 소금과 섞어 이송하므로 미역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고, 상품의 출하가 빠르게 되어 물류비용이 절감되며 부가가치가 높아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에는 채취하기가 어려워 버려지던 뿌리부분과 줄기의 끝부분 및 귀를 효과적으로 채취하여 사용하므로 효율적이다.

Claims (8)

  1. 윈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밧줄을 소정의 속도로 감아올리는 밧줄회수장치와, 소정 양의 물이 담긴 데침용기와 상기한 데침용기에 담겨진 물을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밧줄회수장치에 의하여 끌려오는 밧줄에 뿌리가 고착하여 성장한 미역을 데치기 위한 데침장치와, 상기한 데침장치에 의하여 데쳐진 미역의 잎을 채취하는 잎채취장치와, 상기한 잎채취장치에 의하여 잎이 제거된 미역에서 줄기를 가늘게 째내어 채취하는 줄기채취장치와, 상기한 줄기채취장치에 의하여 줄기가 제거된 미역에서 귀를 잘라내는 귀채취장치와, 상기한 귀채취장치에 의하여 귀가 제거된 미역의 나머지 부분을 밧줄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장치와, 상기한 데침장치에서 데쳐진 미역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잎채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한 제1컨베이어의 표면에 돌출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복수의 채취부재를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채취부재는 칼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높이는 밧줄에 매달려 진입하는 미역 무더기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하며, 넓이는 칼날이 돌출하거나 너풀거리는 잎이 감기지 않는 폭으로 형성하고, 끝부분은 미역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하며, 미역이 진입하는 앞쪽보다 뒤쪽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양쪽 옆면에 소정의 간격과 소정의 깊이로 칼날을 이루도록 홈을 형성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줄기채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하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한 제2컨베이어의 표면에 돌출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밧줄에 매달려 이동하는 미역의 줄기를 복수의 가닥으로 가늘게 째는 복수의 째기부재와, 밧줄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칼날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째기부재에 의해 가늘게 째진 미역의 줄기를 밧줄쪽에서 절단하는 수평절단기를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째기부재는 송곳 형태로 이루어지고, 끝부분을 미역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귀채취장치는 밧줄에 고착된 뿌리쪽의 줄기에 매달린 미역의 귀를 잘라내는 수직절단기를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거장치는 밧줄에 고착된 뿌리와 줄기의 끝부분을 제거하는 마무리절단기를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잎채취장치와 줄기채취장치 및 귀채취장치는 각각 채취되는 잎이나 줄기 또는 귀와 냉각수를 모으기 위한 수납용기와, 상기한 수납용기에 모아진 잎이나 줄기 또는 귀와 냉각수의 혼합액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한 이송장치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액에서 냉각수를 탈수하는 탈수용기와, 상기한 탈수용기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잎이나 줄기 또는 귀를 소금과 섞는 혼합용기를 더 포함하는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KR1019970060404A 1997-11-17 1997-11-17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KR10022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404A KR100226513B1 (ko) 1997-11-17 1997-11-17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404A KR100226513B1 (ko) 1997-11-17 1997-11-17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09A KR980000009A (ko) 1998-03-30
KR100226513B1 true KR100226513B1 (ko) 1999-10-15

Family

ID=1952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404A KR100226513B1 (ko) 1997-11-17 1997-11-17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47B1 (ko) 2009-05-29 2010-05-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역줄기 세절장치
KR101849767B1 (ko) * 2016-11-16 2018-04-17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47B1 (ko) 2009-05-29 2010-05-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역줄기 세절장치
KR101849767B1 (ko) * 2016-11-16 2018-04-17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0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8125B2 (ja) 二枚貝の養殖関連作業のためのシステム
US8920810B2 (en) Algal harvesting system
CN109310058A (zh) 海藻收割机
CN201071502Y (zh) 一种用于清理水面漂浮物的装置
US20200170201A1 (en) Device for conveying mushrooms
CN201781780U (zh) 豆芽菜切根装置
CN205196335U (zh) 葵花盘采摘机
US5400745A (en) Shellfish culture and harvesting system
JP2011024514A (ja) 枝豆収穫機
CN203860055U (zh) 榨菜收割机
CN109864030B (zh) 一种生态养殖大棚及其使用方法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KR100226513B1 (ko) 미역 채취 겸 가공시스템
IL2772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aquatic plants
CN104067761A (zh) 一种榨菜收割机
SE509852C2 (sv) Skördeanordning för alger
CN108093841B (zh) 一种农业生产用多功能荷叶加工船
CN214265852U (zh) 一种海带分段连续切割加工装置
CN212464071U (zh) 一种链带式半自动海带采收分切一体船
KR20220071746A (ko) 양식 굴 자동 수확장치
CN205794106U (zh) 海藻收割设备
US4697406A (en) Harvester for vine type crops
KR20170129517A (ko) 멸치 정량 및 자동 산포공급장치
JP2011087489A (ja) 養殖・天然物洗浄装置
CN2691233Y (zh) 联合打瓜收获脱籽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