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373B1 - 압착용도전성부재 - Google Patents

압착용도전성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373B1
KR100226373B1 KR1019950015956A KR19950015956A KR100226373B1 KR 100226373 B1 KR100226373 B1 KR 100226373B1 KR 1019950015956 A KR1019950015956 A KR 1019950015956A KR 19950015956 A KR19950015956 A KR 19950015956A KR 100226373 B1 KR100226373 B1 KR 10022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stopper
wire
conductive member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370A (ko
Inventor
시루다켄
Original Assignee
스나오까세이이찌
또꾸엔지니어링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나오까세이이찌, 또꾸엔지니어링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스나오까세이이찌
Priority to KR101995001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373B1/ko
Publication of KR97000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목적 ; 편향코일의 성형용의 통전을 확실하고 쉽게 행한다.
구성 ; 압착용 도전성부재를 판형상부재(18)로 구성하는 한 편, 이 판형상부재(18)의 일부를 잘라 일으킴으로써 압착부(17)와 압착시에 선재(8)가 압착부(71)의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70)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압착용 도전성부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후프(hoop)재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후프재의 평면도.
제3도는 상기 후프재의 측면도.
제4도는 상기 압착통전기구의 사시도.
제5도는 상기 후프재에서 선재에대한 도전성부재의 압착과정을 설명하는 조립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프재의 사시도.
제7도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후프재의 평면도 .
제8도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후프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선재 18 : 후프재
70 : 편(스토퍼) 71 : 절곡부(압착부)
본 발명은 편향코일 등의 리드선에 압착하여 전극을 구성하는 압착용 도전성부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 등에 사용한 편향코일은 요구되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장형 등의 특수형상을 구비하고, 권심(券芯)이 없는 코일만의 상태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다.
권선(卷線)용의 선재는 유도손실을 줄이기 위해 예를들면 가는 도선의 주위를 절연피복한 여러개의 피복선을 합쳐서 꼰 것이 사용되고 있다. 권선은 전용의 금형을 사용하여 행해지고, 권선을 다 끝낸 코일에 소정의 전압으로 통전함으로써 도선의 저항에 기인하는 발열에 의해 피복선의 피복재를 가열용융하여 피복선끼리를 서로 용착시킨다. 그 결과 선재는 피복선의 일체화에 의해 강성을 증가시키므로 코일은 금형으로부터 떼어내도 형제가 흐트러지거나 하는 일 없이 말안장형상을 유지한다.
한편, 권선후의 통전은 권선 양단의 리드선에 전극을 접속하여 행하는데, 이 때 전극을 절연피복의 안쪽의 도선에 확실하게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일본국특개소 60-115128호에서는 전극을 U자형단면의 금속편으로 구성하고 이 금속편의 안쪽에 선재를 끼워서 양쪽에서 가압하면서 통전함으로써 피복을 용융시켜 금속편을 도선과 직접 접속시키는 상태로 선부재에 압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가압시 금속편이 눌려져 찌부러질 때 선재의 일부가 금속편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리드선에의 전극의 압착시에 선재가 전극으로부터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은 피복도선으로 이루어진 선재에 압착부를 압착하면서 전압를 안가함으로써 압착부를 피복의 안쪽에 파고들게 하여 도선과의 접촉을 확보하는 압착용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도전성부재를 판형상부재로 구성하고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킴으로써 상기 압착부 및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는 압착부가 일어서 기울어진 측에서 압착부에 인근하게 형성되어 압착시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은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 및 스토퍼가 띠형상의 연속부재의 일부를 일정간격 마다 잘라 일으켜 구성된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은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가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거의 ㄷ자형으로 잘라 일으켜서 선단을 뒤쪽을 향해 꺾어 구부린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절곡부의 선단 부근의 아래쪽에서 스토퍼의 선단을 상기 절곡부의 기단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킨 편을 구비한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은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가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거의 ㄷ자형으로 잘라 일으켜서 선단을 뒤쪽을 향해 꺾어 구부린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자신의 선단을 상기 절곡부의 기단방향을 향하게 하여 절곡부의 일부를 일으킨 편을 구비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 1 도∼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도∼제 3 도에 도시한 후프재(18)는 띠형상 연속부재로서, 피복도선에 의한 코일의 권선의 단부에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후프재(18)에는 후프재(18)의 일부를 소정간격으로 잘라 일으켜서 뒤쪽으로 꺾어 구부린 절곡부(즉 압착부)(71)와 각 절곡부(71)의 선단의 아래쪽에 있어서, 후프재(18)의 일부를 그 선단이 절곡부(71)의 기단방향을 향하도록 잘라 일으킨 편(71)을 만든다. 절곡부(71)는 선재에 대한 압착부를 구성하고, 편(70)은 스토퍼를 구성한다. 도 후프재(18)에서 한 개의 절곡부(71)와 한 개의 편(70)을 포함한 단위부분마다 각각 압착도전성부재를 구성한다.
후프재(18)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착통전기구(13)와 함께 사용한다. 압착통전기구(13)는 상대되는 상하의 전극(14)와 (15), 전극(14)을 상대 전극(15)을 향해 구동하는 신축실린더(16), 및 전극(14)과 일체로 지지된 커터(17)를 구비한다.
후프재(18)는 절곡부(71)의 선단이 뒤쪽을 향한 상태로 릴(도시안됨)로부터 제 5 도에 도시한 이송기구(19)를 통해 압착통전기구(13)의 전극(14)와 (15)의 사이에 공급된다.
이송기구(19)는 후프재(18)를 전극(14)와 (15)의 사이를 향해 내보내는 슬라이더(도시안됨)를 구비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1)은 피복도선으로 이루어진 선재(8)를 공급하는 이동식 노즐이다.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한다.
노즐(1)로부터 공급된 선재(8)는 도시되지 않은 권선기의 금형에 감겨져 코일을 형성한다. 제 5 도의 선재의 일단은 따라서 권선기로 뻗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 5 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이송기구(19)에 의해 후프재(18)의 선단을 전극(14)와 (15)의 사이에 내보내고, 노즐(1)을 움직여서 선재(8)를 제 5 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4)와 (15)의 사이에 인도하여 선두의 후프재(18)의 절곡부(71)와 그 아래쪽의 비절곡부와의 사이에 끼워넣는다.
다음으로 신축실린더(16)를 구동하여 제 5 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4)과 커터(17)를 하강시켜서 커터(17)로 후프재(18)의 선단부를 1스팬분씩 절단한다. 절단된 부분은 도전성부재로서 이후 선재(8)에 압착된다.
절단한 도전성부재에 있어서, 전극 (14)과 상대전극 전극 (15) 사이에서 절곡부(71)는 눌려 찌부러지므로 그 사이에 끼워넣어진 선재(8)가 압착상태로 된다. 이 때 스토퍼를 구성하는 편(70)이 절곡부(71)로부터 선재(8)가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여 절곡부(71)를 선재(8)에 확실하게 압착시킨다.
압착작업과 병행하여 전극 (14) 및 상대 전극 (15)에 전압이 인가되어, 통전에 수반하는 발열로 선재(8)의 피복을 용융한다. 용융한 피복재는 절곡부(7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옆쪽으로 밀어 젖혀지고 절곡부(71)는 피복의 안쪽 도선에 직접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해서 선재(8)에 압착한 도전성부재는 물리적으로도 전기적으로도 선재(8)와 단단히 결합하여 코일의 전극으로서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도전성부재를 후프재(18)로서 공급하여 커터(17)로 절단하기 때문에 압착식의 전극을 단일체(單一體)로 공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전극압착 작업의 자동화도 보다 쉽게 이룰 수 있다.
제 6 도∼제 8 도는 편(70)의 형성위치와 형상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의 편(70)은 절곡부(71)의 일부를 잘라 일으킨 것으로서 그 방향은 아래방향, 즉 후프재(18)의 비절곡부를 향하고 있다. 편(70)을 이와 같이 절곡부(71)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선재(8)에 대한 압착시에 선재(8)가 절곡부(71)로부터 밀려나는 것을 편(70)이 방지하기 때문에 전극의 형성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은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서 선재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선재가 압착부의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형성했기 때문에 선재를 압착부에 끼우고 압착하면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피복도선의 피복이 용융하여 도전성부재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확실하게 피복선재에 결합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에서는 압착부와 스토퍼가 띠형상의 연속부재의 일부를 일정간격 마다 잘라 일으켜 압착도전성부재를 얻기 때문에 압착부를 선재에 압착한 후에 소정위치에서 띠형상연속부재를 절단함으로써 도전성부재의 공급과 선재에의 압착작업의 자동화가 쉬워진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은 압착부로서 띠형상연속부재의 일부를 거의 ㄷ자형으로 잘라 일으켜서 선단을 뒤쪽을 향해 꺾어 구부린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로서 절곡부의 선단의 거의 아래쪽에서 스토퍼의 선단을 상기 절곡부의 기단방향을 향하게 하여 띠형상연속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킨 편을 구비했기 때문에 절곡부의 안쪽에 선재를 끼우고 전압을 인가하면서 가압함으로써 편이 선재의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고, 그 결과 절곡부가 선재에 확실히 압착된다. 따라서 도전성부재와 피복선재와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결합을 쉽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은 띠형상연속부재의 일부를 거의 ㄷ자형으로 잘라 일으켜서 선단을 뒤쪽을 향해 꺾어 구부린 절곡부와 스토퍼의 선단을 절곡부의 기단방향을 향하게 하여 절곡부의 일부를 잘라 일으킨 편을 구비했기 때문에 절곡부의 안쪽에 선재를 끼우고 전압을 인가하면서 가압하므로써 선재가 밀려나는 것을 편이 저지하는 동시에 절곡부가 선재에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도전성부재와 피복선재와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결합을 쉽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피복도선으로 이루어진 선재(8)에 압착부(71)를 압착하면서 전압를 인가함으로써 압착부(71)를 피복의 안쪽에 파고들게 하여 도선과의 접촉을 확보하는 압착용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도전성부재를 판형상부재로 구성하고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킴으로써 상기 압착부(71) 및 스토퍼(70)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70)는 압착부(71)가 일어서 기울어진 측에서 압착부(71)에 인근하게 형성되어 압착시에 선재(8)가 압착부(71)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용 도전성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71) 및 스토퍼(70)는 띠형상의 연속부재의 일부를 일정간격 마다 잘라 일으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용 도전성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71)는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거의 ㄷ자형으로 잘라 일으켜서 선단을 뒤쪽을 향해 꺾어 구부린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70)는 절곡부의 선단 부근의 아래쪽에서 스토퍼의 선단을 상기 절곡부의 기단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킨 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용 도전성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71)는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거의 ㄷ자형으로 잘라 일으켜서 선단을 뒤쪽을 향해 꺾어 구부린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70)는 스토퍼 자신의 선단을 상기 절곡부의 기단방향을 향하게 하여 절곡부의 일부분을 잘라 일으킨 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용 도전성부재.
KR1019950015956A 1995-06-16 1995-06-16 압착용도전성부재 KR10022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956A KR100226373B1 (ko) 1995-06-16 1995-06-16 압착용도전성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956A KR100226373B1 (ko) 1995-06-16 1995-06-16 압착용도전성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70A KR970003370A (ko) 1997-01-28
KR100226373B1 true KR100226373B1 (ko) 1999-10-15

Family

ID=1941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956A KR100226373B1 (ko) 1995-06-16 1995-06-16 압착용도전성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3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70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4068B2 (ja) 接合電線と接合電線の加工方法,回転電機の固定子と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及び接合電線製造装置
CN107453182B (zh) 具有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US4034152A (en) Termination system for fusing aluminum-type lead wires
CN110021865B (zh) 电线导体的超声波接合方法、接合装置以及电线
CN102598435B (zh) 电线末端处理方法
US4995838A (en)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50364836A1 (en) Crimp Termi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imp Terminal
US3048650A (en) Electrical connections
JPH02189878A (ja) 平形導体との導電性の接続部を作るための方法
EP0849834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electric wire and terminal
CN108369843B (zh) 导电部件的制造方法、导电部件以及模具
EP0544522B1 (en) Inter-connecting terminal
KR100226373B1 (ko) 압착용도전성부재
JP3340464B2 (ja) ハーネス製造装置
US5272807A (en)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to electrical conductors
JPH0223993B2 (ko)
US4074065A (en) Insulated wire splice
JP2795399B2 (ja) 電導線と接続端子の接続方法
US5211578A (en) Connector housing assembly for discrete wires
JP4101861B2 (ja) ヒュージング用端子
JP2004127582A (ja) 端子付電線端末構造及び端子
JPS6122429B2 (ko)
EP0485963B1 (en) Cable wire bending method and cable wire bending device
US11489307B1 (en) Method of crimping an electrical terminal onto a flat flexible cable
JP2693401B2 (ja) 偏向コイルの巻線機及び圧着用導電性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