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943B1 -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943B1
KR100225943B1 KR1019960060347A KR19960060347A KR100225943B1 KR 100225943 B1 KR100225943 B1 KR 100225943B1 KR 1019960060347 A KR1019960060347 A KR 1019960060347A KR 19960060347 A KR19960060347 A KR 19960060347A KR 100225943 B1 KR100225943 B1 KR 10022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node
anode electrode
emitt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078A (ko
Inventor
허근무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6006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94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8Electrodes intimately associated with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e.g. backing-plates for storage tubes or collecting secondary electrons
    • H01J29/085Anode plates, e.g. for screens of flat panel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02Electrodes other than control electrodes
    • H01J2329/08Anod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display panel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애노드 전극 각각을 에미터 전극과 대면하면서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므로써, 에미터 전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를 애노드 인가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흡수량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내의 셀 휘도를 조절해 더욱 선명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애노드 전극 각각을 에미터 전극과 대면하면서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므로써, 에미터 전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를 애노드 인가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흡수량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내의 셀 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계방출 소자(FED)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10)과 접속된 에미터(11)와; 상기 에미터(11)의 위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게이트(12); 및 애노드(13)를 구비하며, 상기 애노드(13)의 배면에는 형광막(14)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형광막(14)은 충돌되는 전자량에 해당하는 광을 발생하여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애노드(13)는 에미터(11)에서 방출된 전자들을 끌어 당기는 역할을 담당하고, 또한 상기 형광막(14)에 의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가진다.
상기 에미터(11)는 일명 팁이라고도 하며 구동전원에 의하여 전자들이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게이트(12)는 상기 에미터(11) 상부(팁 상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애노드(13)에 인가되는 전압 보다 낮은 고전압에 의하여 에미터(11)로부터의 전자들을 방출시킨다.
상기 애노드(13)는 상기 게이트(12)에 의해 방출된 전자들을 홀쪽으로 가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기본 구성을 가지는 FED소자를 복수개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한 종래의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에서 각 전극의 동작을 보면, 기존에는 게이트(12) 전극과 에미터(11) 전극사이의 전압차로 인해 상기 에미터(11)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기 때문에 애노드(13) 전극을 사실상 방출된 전자를 단순히 고전압으로 끌어들여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역할만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애노드(13) 전극은 디스플레이 셀을 온(ON)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정한 인가전압을 상기 인가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의 각 셀에 대한 휘도를 조절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애노드 전극을 에미터 전극과 같이 각각을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애노드 전압을 조절하여 유입되는 전자량을 제어함으로써, 각 셀의 휘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디스플레이 판넬 구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디스플레이 판넬 구조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5도는 각 전극 구동부를 통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6도는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구동시 전류의 량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구동시 애노드 전압과 유입되는 전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면기판 21 : 애노드 전극
22 : 배면기판 23 : 게이트 전극
24 : 에미터 전극 25 : 게이트 전극 구동부
26 : 에미터 전극 구동부 27 : 애노드 전극 구동부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의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구조는 게이트 전극, 애노드 전극, 에미터 전극과, 상기 에미터 전극 및 게이트 전극에 각각의 전압을 인가하는 각 전극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내의 각 셀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에미터 전극에 대면하여 평행하게 구현시킨 애노드 전극과; 상기 각각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조절하는 애노드 전극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디스플레이 판넬 구조의 단면도로, 디스플레이 판넬의 전면기판(20)과; 상기 전면기판(20) 상에 형성되며, 에미터 전극( 24)과 대면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다르게 인가하는 애노드 전극(21)과; 디스플레이 판넬의 배면기판(22)과; 상기 배면기판(22)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23)과; 에미터 전극(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애노드 전극(21)의 폭은 형광체 발광 면적의 폭과 동일하게 구현한다.
제4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전극 구동부를 도시한 구성도로, 기존의 게이트 전극(23)을 구동하는 게이트 전극 구동부(25) 및 에미터 전극(24)을 구동시키는 에미터 전극 구동부(26)와 동일하게 애노드 전극(21)을 구동시키는 애노드 전극 구동부(27)를 구현하여, 각각의 애노드 전극(21)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바,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해 에미터 전극(24) 구동시 동시에 애노드 전극(21)을 각각 제어하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와 같이 구현된 각 전극 구동부(25,26,27)를 통해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게이트 전극(23)에만 공통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애노드 전극(21)과, 에미터 전극(24)에는 각각의 전압이 다르게 인가됨을 볼 수 있다.
제6도와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애노드 전극의 전압인가를 다르게 인가하는 방식에 따라 휘도를 조절할 수 있음이 가능함을 증명하는 그래프로, 제6도는 전류의 량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7도는 애노드 전압과 유입되는 전자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바, 제7도에서 알수 있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일정전압 이하에서는 기울기가 크게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관계임을 보이고 있고,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전류의 량과 휘도의 관계는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애노드 전극(21)에 흐르는 전류의 량이 증가할수록 휘도의 특성이 좋아지므로 애노드 전극(21)에 인가되는 전압을 각각 조절하므로써, 각 셀의 휘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판넬의 휘도를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다르게 인가하여 조절함으로써, 더욱 선명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게이트 전극, 애노드 전극, 에미터 전극과, 상기 에미터 전극 및 게이트 전극에 각각의 전압을 인가하는 각 전극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디스플레이 내의 각 셀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에미터 전극에 대면하여 평행하게 구현시킨 애노드 전극과; 상기 각각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조절하는 애노드 전극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KR1019960060347A 1996-11-30 1996-11-30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KR10022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47A KR100225943B1 (ko) 1996-11-30 1996-11-30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47A KR100225943B1 (ko) 1996-11-30 1996-11-30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78A KR19980041078A (ko) 1998-08-17
KR100225943B1 true KR100225943B1 (ko) 1999-10-15

Family

ID=1948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347A KR100225943B1 (ko) 1996-11-30 1996-11-30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4B1 (ko) * 1999-06-10 2001-12-22 구자홍 고주파구동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78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4764A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812791B2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122476A (ko) 전자방출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H10513582A (ja) 電界放出型表示器のセル駆動装置
KR100225943B1 (ko) 애노드 전극을 이용한 휘도 조절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JPH0827356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KR100346548B1 (ko)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원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93509B1 (ko) 전계방출표시장치의구동방법
KR100225942B1 (ko) 단일 셀 내에 n개의 전극을 가지는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 장치
JPH1115431A (ja) 電界放出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87235B1 (ko)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의 전자 방출 유닛 제조 방법 및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0276603B1 (ko) 전계 방출 표시기의 셀 구동 회로
KR100565729B1 (ko) 전계방출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9990043892A (ko) 전계 방출 표시기의 캐소드 구동장치
KR100257564B1 (ko) 전계 방출 소자의 전류원 회로
JPS6326923Y2 (ko)
KR100288101B1 (ko) 전계 방출 표시기의 셀 구동회로
KR100257566B1 (ko) 전계 방출 표시기의 셀 구동회로
KR100263311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0353951B1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279555B1 (ko) 전계 방출 표시기의 에미터 구동회로
US20060050026A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for preventing irregular pattern of brightness
JP2001202059A (ja) 冷陰極発光素子の駆動方法、冷陰極発光素子の駆動回路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970003382A (ko) 전계방출 표시 소자의 구동방법
KR100274794B1 (ko) 전계방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