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997B1 -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997B1
KR100224997B1 KR1019960043467A KR19960043467A KR100224997B1 KR 100224997 B1 KR100224997 B1 KR 100224997B1 KR 1019960043467 A KR1019960043467 A KR 1019960043467A KR 19960043467 A KR19960043467 A KR 19960043467A KR 100224997 B1 KR100224997 B1 KR 10022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peater
ring
cal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440A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4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9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에서 중계기와 단말기의 통화거리 이외의 지역에서 직접 통화는 되지 않더라도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것을 표시하여 호출 단말기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 통신 단말기 권외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에서는 중계기와 단말기의 통화거리 이외의 지역에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으나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중계기에서 수신할 수가 없어 통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계기와 단말기 상호간에 송수신을 할 수 있는 거리이외의 지역에서 중계기의 송신신호를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의 중계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중재기로 하여금 호출된 단말기로 링메세지를 연속 송신하도록 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송신되는 링메세지에 대해 일정시간내에 링인식 메시지를 중계기가 수신받지 못하면 통화중음이나 통화연결불능상태의 통보여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의 통화중음이나 통화연결불능상태를 통보하기 전에 피호출된 단말기로 호출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송신하는 제 3 과정과, 생기 송신된 호출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표시부로 표시하고, 링신호를 송출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통상적인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계기(20), TRS교환기(30), 단말기(10)로 구성되며, 상기 중계기(2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TRS교환기와 데이터 처리 및 중계기를 관리하기 위한 제1제어부(21)와, 상기 제1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채널읕 관리하는 제2제어부(22)와, 상기 제2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어 무선 통신을 하는 채널카드(23)와, 상기 채널카드(2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4)와, 상기 증폭부(24)에서 중폭된 신호를 밴드패스 필터링하는 필터부(25)와,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ANT)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는 중계기(20)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ANT)와,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신호중 필요헌 주파수 대역 만을 필터링하는 필터(11)와,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부(14)와,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부(12)와, 상기 수신부(14), 송신부(12)의 정확한 송신주파수 및 수신주파수를 검출히기 위한 PLL회로부(13)와, 현재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7)와, 상기 전체 단말기 시스템의 동작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15)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 부호 16은 키이버튼부, SPK는 스피커, MIC는 마이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존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고유(ID)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단말기가 통신하기 위하여 제4도와 같이 권외지역(A)의 단말기가 동일 통화권(B)의 단말기(10-1)를 호출하거나 타 통화권 시스템내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를 호출하여 통화하기 위해서는 상대방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키입력하면 교환기를 거쳐 피호출 단말기에 링이 울리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데 자신의 단말기 고유번호, 통화요구 데이터를 중계기로부터 시스템 등록된 단말기를 확인 받으며, 이때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은 무선 통화망이므로 단말기가 중계기의 통화거리를 벗어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이 또한 TRS 중계기와 단말기 간의 송신출력 레벨에 있어 중계기가 상당히 높으므로 중계기의 송신거리와 단말기의 송신거리가 다르므로 단말기는 수신만 되고 통화가 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가 제 1 위치(A)에 있거나 또는 귄내애면서 통신환경이 좋지 않아서 통화가 되지않는 제 2 위치(B)에 있는 단말기 호출시 통화요구는 상대방에게 링신호가 중계기에서 송신되면 상기 링신호를 단말기(10)에서 수신하여 링인식 메시지를 중계기(20)로 송신한후 통화를 시작하는데 제6도와 같이 단말기가 수신만하고, 상기 링인식 메시지를 일정시간내에 중계기(20)에서 수신하지 못하면 중계기(20)는 단말기(10)가 현재 제6도와 같은 권외 지역이나 통화불능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여 호출단말기로 통화중음(BUSY TONE)을 송출하거나 음성사서함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불능 상태를 알려준다.
이때 제6도에서의 피호출 단말기는 수신이 가능하므로 수신에 대한 인식신호를 중계기로 보내어 다시 인식 신호에 대한 응답을 받아야 하지만 인식신호를 중계기로 보내기만 하고, 다시 인식신호 응답을 일정시간 받지 못하면 단말기는 스탠바이 모드로 돌아간다.
상기 동작을 첨부도면 제5도에 의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10)에서 키이버튼부(16)에 구비된 통화버튼을 이용하여 통화요청신호를 중계기(20)로 송출하면 중계기(20)는 교환기(30)에 의해 단말기(10)로 발신음을 송출한다.
단말기(10)는 중계기(20)로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고, 중계기(20)는 피호출단말기(도시생략됨)로 링신호를 송출한다.
교환기(30), 중계기(20)에 의해 피호출단말기로 링신호를 송출한 후 피호출단말기로부터 링인식메시지가 중계기(20)로 수신되면 벨을 울려주고, 단말기의 키이버튼부(16)의 통화버튼이 눌려지면 중계기(20) 및 교환기(30)가 이를 인식하여 통화라인을 연결하므로서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은 중계기와 피 호출 단말기 사이의 피호출단말기가 송신하는 것을 중계기가 받지 못하여 통신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와 단말기의 상호 통화거리이외의 지역이나 상호 통화거리내에서도 통화가 되지 않는 통화 불능지역의 경우 피호출 단만기에 호출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표시되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의 통화영역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축단말기로부터 호출신호를 받은 중계기와 피호출 단말기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이외의 지역에 위치한 상기 피호출 단말기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피호출 단말기가 수신만 할 수 있는 지역에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가 피호출 단말기로 링메시지를 연속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링메시지에 데해 일정시간내에 상기 피호출 단말기로부터 링인식 메시지를 상기 중계기가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링인식메시지를 상기 중계기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중계기가 상기 호출 단말기와 상기 피호출 단말기릍 통화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링인식메시지를 상기 중계기가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중계기가 상기 피호출 단말기로 호출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송신하고 호출단말기로 통화불능상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히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일반적인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적용된 중계기의 상세 블록구성도.
제3도는 제1도에 적용된 단말기의 상세 블록구성도.
제4도는 단말기와 중계기간의 상호 통화연결 상대를 나타내는 상태도.
제5도는 종래의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호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제6도는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와 중계기의 송신 통달거리 및 통화거리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인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공용 통 신 단말기 권외 호출방법올 구현하기 위한 고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 : 필터
12 : 수신부 13 : PLL 회로
14 : 송신부 15 : 제어부
16 : 키이버튼부 17 : 표시부
20 : 중계기(Repeater) 21 : 제 1 제어부(중계기 제어부)
22 : 제 2 제어부(채널카드제어부) 23 : 채널카드
24 : 증폭부 25 : 필터부
30 : 교환기 ANT : 안테나
MIC : 마이크 SPK : 스피커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의 구성은 종래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적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권외호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에서 중계기(20)와 단말기(10) 상호간의 송수신을 할 수 있는 거리이외의 지역에서 중계기(20)의 송신 신호를 단말기(10)가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의 중계기(2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6도에서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에 위치한 단말기(10)(10-1)를 호출하는 경우 제2도에서와 같이 중계기(20)는 피호출 단말기로 링메시지를 연속하여 송신한다.
이때 중계기는 피호출 단말기의 링인식 메시지를 일정 시간내에 수신하지 못하면 호출 단말기로 통화연결불능을 알리는 통화중음이나 음성사서함이 있는 경우 음성서비스로 통화연결불능상태를 통보한다.
이때 호출 단말기로 통화인결 블능상대를 통보하기 전에 피호출 단말기로 호출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송신한다.
피호출 단말기는 중계기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표시부(17)를 통해 표시하여 주고, 표시부(17)에 표시가 완료되면 링신호를 송출하여 피호츨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다른 단말기가 자신을 호출한 사실을 알려주어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된 내용은 클리어 버튼으로 삭제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17)는 표시가 끝나면 곧바로 스텐바이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와 단말기의 상호 수신 통달 거리가 출력레벨이 차이가 크므로 거리차이가 많다.
이러한 통화거리 이외의 지역에서 중계기 송신 통달내에서도 통화는 직접 못하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시스템의 통화영역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TRS)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권외 지역이나 권내통화불능지역에 위치한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도륵 한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 통신 단말기 권외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호출단말기로부터 호출신호를 받은 중계기와 피호출 단말기 상호간에 송수신 할 수 있는 거리이외의 지역에 위치한 상기 피호출 단말기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피호출 단말기가 수신만 할 수 있는 지역에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가 피호출 단말기로 링메시지를 연속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링메시지에 대해 일정시간내에 상기 피호출 단말기로부터 링인식 메시지를 상기 중계기가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링인식메시지를 상기 중계기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중계기가 상기 호출 단말기와 상기 피호출 단말기를 통화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링인식 메시지를 상기 중계기가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중계기가 상기 피호출 단말기로 호출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송신하고 호출단말기로 통화불능상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KR1019960043467A 1996-10-01 1996-10-01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KR10022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467A KR100224997B1 (ko) 1996-10-01 1996-10-01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467A KR100224997B1 (ko) 1996-10-01 1996-10-01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40A KR19980025440A (ko) 1998-07-15
KR100224997B1 true KR100224997B1 (ko) 1999-10-15

Family

ID=1947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467A KR100224997B1 (ko) 1996-10-01 1996-10-01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9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40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582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20000040300A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 제어방법
KR100319271B1 (ko) 휴대폰의 통화지역 위치 표시 제어방법
KR100224997B1 (ko)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공용통신단말기 권외 호출 방법
US6236858B1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KR19980037322A (ko)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장치
US5740539A (en) Calling system us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with location monitoring
JP2002204475A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JPS6026332B2 (ja) 通話中着信表示方式
CA2034094C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2613093B2 (ja) 呼出通信位置登録方式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2994371B1 (ja) 携帯電話基地局試験装置
JP2885695B2 (ja) 移動体通信方式
KR0148891B1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100224971B1 (ko) 페이져 기능을 갖는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 및 그 기능 구현방법
KR960028637A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어비스 장치 및 방법
JP3023776U (ja) ペットコンタクト用交信器
KR100299029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접속방법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9990061916A (ko) 셀룰러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사용 방지방법
JP3037317B1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録音方法
KR0178810B1 (ko) 주파수 공용 시스템의 단말기 호출방법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