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964B1 -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964B1
KR100223964B1 KR1019960044633A KR19960044633A KR100223964B1 KR 100223964 B1 KR100223964 B1 KR 100223964B1 KR 1019960044633 A KR1019960044633 A KR 1019960044633A KR 19960044633 A KR19960044633 A KR 19960044633A KR 100223964 B1 KR100223964 B1 KR 10022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tungsten silicide
etching
silicide film
et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265A (ko
Inventor
정재형
윤영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9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4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liquid etch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79Cleaning for recla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et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막질이 형성된 웨이퍼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웨이퍼 상에 형성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을 식각할 때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이 형성된 웨이퍼의 재사용을 위해서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의 식각시 식각액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수소(HF) 1.4 ∼ 3.4 중량%, 과산화수소(H2O2) 2.8 ∼ 6.8 중량%, 질산(HNO3) 11.4 ∼ 31.4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웨이퍼 상에 형성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웨이퍼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득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막질이 형성된 웨이퍼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웨이퍼 상에 형성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을 식각할 때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은, 적층될 물질의 원자들을 포함하는 기체상태의 화학물질과 기타 반응가스가 공정챔버로 유입되어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물질이 웨이퍼 상에 적층되어 유전체나 도체로 작용하는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등의 막질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적절한 생산을 보증하기 위하여 화학기상증착공정이 진행되어 웨이퍼 상에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질 등이 형성된 웨이퍼 가운데 임의로 몇장의 웨이퍼를 추출하여 화학기상증착공정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분석공정을 실시한다.
최근에, 반도체 웨이퍼가 더욱 대구경화됨으로 인해서 분석공정이 진행된 텅스텐 실리사이드 등과 같은 막질이 형성된 웨이퍼는 폐기처리하지 않고, 일정량의 식각액이 담긴 케미컬 저장조에 담아서 텅스텐 실리사이드 등의 막질을 제거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웨이퍼 식각액 조성물로는, 플루오르화수소(HF) 7 중량%, 질산(HNO3) 6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하는 식각액 조성물 A와 플루오르화수소(HF) 39 중량%, 질산(HNO3) 14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를 포함하는 식각액 조성물 B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식각액 조성물 A는, 화학기상증착공정이 진행되어 2000Å 정도의 두께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케미컬 저장조에 담아서 60초 정도의 대기시간을 가진 후 꺼내었을 때 식각불량율이 40%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식각액 조성물 B는 화학기상증착공정이 진행되어 2000 Å 정도의 두께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케미컬 저장조에 담아서 60초 정도의 대기시간을 가진 후 꺼내었을 때 검게 그을리고, 식각불량율이 60 %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래의 식각액 조성물은 모두 다 화학기상증착공정이 진행된 웨이퍼를 재생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식각용 케미컬로서 부적합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 상에 형성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은, 표면에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이 형성된 웨이퍼의 재사용을 위해서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의 식각시 식각액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수소(HF) 1.4 ∼ 3.4 중량%, 과산화수소(H2O2) 2.8 ∼ 6.8 중량%, 질산(HNO3) 11.4 ∼ 31.4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수소(HF) 2.35 ∼ 2.41 중량%, 과산화수소(H2O2) 4.71 ∼ 4.81 중량%, 질산(HNO3) 21.33 ∼ 21.43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은 화학기상증착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을 적용하는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은 화학기상증착공정에 의해서 형성된 것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수소(HF) 1.4 ∼ 3.4 중량%, 과산화수소(H2O2) 2.8 ∼ 6.8 중량%, 질산(HNO3) 11.4 ∼ 31.4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수소(HF) 2.35 ∼ 2.41 중량%, 과산화수소(H2O2) 4.71 ∼ 4.81 중량%, 질산(HNO3) 21.33 ∼ 21.43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플루오르화수소 2.38 g, 과산화수소 4.76 g, 질산 21.43 g 그리고 잔량으로서 순수 71.43 g 이 혼합된 식각액 조성물과 비교예로서 종래의 식각액 조성물 A (비교예 1) 및 식각액 조성물 B (비교예 2) 가 각각 담긴 케미컬 저장조에 화학기상증착공정이 진행되어 2000Å 정도의 두께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담아서 60초 정도의 대기시간을 가진 후 꺼내었을 때의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의 종래의 식각액 조성물 A를 이용하여 웨이퍼를 식각하였을 때, 상기 표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웨이퍼의 식각정도를 나타내는 식각율이 40 %이고, 웨이퍼를 재사용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재생율이 20 %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 의 종래의 식각액 조성물 B를 이용하여 웨이퍼를 식각하였을 때는, 웨이퍼의 식각정도를 나타내는 식각율이 20 %이고, 웨이퍼를 재사용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재생율이 20 ∼ 10 %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웨이퍼를 식각하였을 때는, 웨이퍼의 식각정도를 나타내는 식각율이 95%, 웨이퍼를 재사용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재생율이 90%를 나타냄으로써 종래의 식각액 조성물 A 및 식각액 조성물 B 와 비교하여 뛰어난 식각율 및 재생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퍼 상에 형성된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웨이퍼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득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표면에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이 형성된 웨이퍼의 재사용을 위해서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의 식각시 식각액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수소(HF) 1.4 ∼ 3.4 중량%, 과산화수소(H2O2) 2.8 ∼ 6.8 중량%, 질산(HNO3) 11.4 ∼ 31.4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수소(HF) 2.35 ∼ 2.41 중량%, 과산화수소(H2O2) 4.71 ∼ 4.81 중량%, 질산(HNO3) 21.33 ∼ 21.43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H2O)를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은 화학기상증착공정에 의해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1019960044633A 1996-10-08 1996-10-08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10022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633A KR100223964B1 (ko) 1996-10-08 1996-10-08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633A KR100223964B1 (ko) 1996-10-08 1996-10-08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65A KR19980026265A (ko) 1998-07-15
KR100223964B1 true KR100223964B1 (ko) 1999-10-15

Family

ID=1947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633A KR100223964B1 (ko) 1996-10-08 1996-10-08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227A (ko) * 1997-09-29 1999-04-15 윤종용 반도체소자 제조공정의 텅스텐막 식각액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텅스텐막 제거방법
KR19990058615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반도체장치 제조용 분석 웨이퍼 재생방법
KR100670919B1 (ko) * 2005-01-12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유전율막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재생 방법
KR101647838B1 (ko) * 2008-10-23 2016-08-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CN102472938B (zh) * 2009-07-23 2016-03-30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用阵列基板的制造方法
WO2011021860A2 (en) * 2009-08-20 2011-02-24 Dongwoo Fine-Chem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CN103026293B (zh) * 2010-07-30 2016-01-13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用于制造液晶显示装置用阵列基板的方法
CN103052907B (zh) * 2010-07-30 2015-08-19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用于制造液晶显示装置用阵列基板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6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841B1 (ko) 식각잔류물 제거방법
DE60028962T2 (de) Zusammensetzungen zum reinigen von substraten von organischen und plasmaätz-rückständen bei halbleiter-vorrichtungen
KR0160372B1 (ko)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기판을 세척하기 위한, pH가 조정된 비이온-계면활성제 함유 알칼리성 세제
DE60212366T2 (de) Reinigerzusammensetzung
JP3320549B2 (ja) 被膜除去方法および被膜除去剤
US5320709A (en) Method for selective removal of organometallic and organosilicon residues and damaged oxides using anhydrous ammonium fluoride solution
US4778536A (en) Sulfur trioxide vapor phase stripping
JP2000133631A (ja) 窒化ケイ素膜の選択的腐食組成物および方法
US6399551B1 (en) Alkanolamine semiconductor process residue removal process
US4308089A (en) Method for preventing corrosion of Al and Al alloys
US20080318424A1 (en) Photoresist residue remover composition and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 production process employing the same
KR100223964B1 (ko)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101165752B1 (ko)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
US6147042A (en) Detergent for processe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s or producing liquid crystal devices
US11479744B2 (en) Composition having suppressed alumina damage and produc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substrate using same
US4673521A (en) Process for regenerating solder stripping solutions
KR20100007461A (ko) 석영 부품용 세정액 및 이를 이용한 석영 부품 세정방법
JP3689871B2 (ja) 半導体基板用アルカリ性洗浄液
CN111699547A (zh) 氧化铝的保护液、保护方法和使用了其的具有氧化铝层的半导体基板的制造方法
KR101416103B1 (ko) 불순물 제거용 세정액 및 이를 이용한 불순물 제거방법
EP1477859A1 (en) Composition for removal of sidewall polymer and etchant residues without a separate solvent rinse step
US4046820A (en) Stabilization of 1,1,1-trichloroethane
EP0762488A2 (en) Cleaning solution for cleaning semiconductor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853780A (ja) 酸含有液による半導体材料処理方法
JP4310624B2 (ja) 表面処理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