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819B1 -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819B1
KR100223819B1 KR1019970047154A KR19970047154A KR100223819B1 KR 100223819 B1 KR100223819 B1 KR 100223819B1 KR 1019970047154 A KR1019970047154 A KR 1019970047154A KR 19970047154 A KR19970047154 A KR 19970047154A KR 100223819 B1 KR100223819 B1 KR 10022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oving
members
hot plate
auxiliar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493A (ko
Inventor
김상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8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1Locking devices using a number of pivotable clamp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king-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의 록킹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함께 작은 토크의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상부열판의 록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비를 줄이면서 조립성의 향상에도 기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뚜껑을 구성하는 상부열판에 부착되어 인너커버 위로 노출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메인회전부재와, 상기 상부열판에 힌지결합되어 메인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보조회전부재와, 상기 상부열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각 보조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재와, 상기 각 이동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보조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가 내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고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지 않게되는 록킹편과, 상기 이동부재가 내외측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상기 콘트롤러에 의한 동력발생부재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본 발명은 전기 압력밥솥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취사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뚜껑을 본체에 자동으로 록킹시켜 주도록 하고 취사가 끝났을 경우에는 상기 뚜껑의 본체 록킹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주도록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압력밥솥은 가열원으로 전기를 이용하고 상기 전열에 의해 내부를 일정압력으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는 기기로서, 크게 본체(A)와, 상기 본체 내부를 개폐시켜 주는 뚜껑(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A)는 외부케이스(1)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고정되어 상단부로 외향절곡되게 걸림턱(2a)을 갖는 오븐(2)과, 상기 오븐 내에 이탈가능하게 내장되어 취사물을 수납하는 취사물용기(3)와, 상기 외부케이스(1) 내의 오븐(2) 직하방에 설치되어 오븐의 하부로 전열을 공급하는 하부열판(4)과, 상기 외부케이스(1) 내의 오븐(2) 측면을 감싼상태로 설치되어 오븐의 측면 둘레로 전열을 공급하는 측면열판(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B)은 본체(A)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톱커버(6)와, 상기 톱커버의 안쪽에 고정된 인너커버(7)와, 상기 인너커버에 고정되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부로 전열을 공급하는 상부열판(8)과, 상기 톱커버(6) 외부로 상단부가 노출되고 상부열판(8) 외부로 하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어 오븐(2) 내부의 증기배출을 위한 증기배출관(9)과, 상기 증기배출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증기배출관(9)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압력추(1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B)을 열어 본체(A)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오븐(2) 내로 피가열물이 수납된 취사물용기(3)를 수납시킨 다음 다시 뚜껑(B)을 닫아서 본체(A) 내부를 폐쇄시킨다.
상기에서 뚜껑(B)이 열리고 닫히는 것은,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톱커버(6)가 본체(A)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사모드를 선택하면 본체(A)를 구성하는 하부열판(4) 및 측면열판(5)과 뚜껑(B)을 구성하는 상부열판(8)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고, 이 전열은 상기 본체(A) 내의 오븐(2)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오븐의 가열에 따라 취사물용기(3)에 수납되어 있는 피가열물이 가열되면서 취사가 행하여 진다.
이와같이 하여 피가열물의 취사가 행하여 질 때 상기 오븐(2) 내부의 압력은 계속해서 올라가면서 증기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오븐(2)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에 도달되면 그 나머지의 압력에 따른 내부 증기의 배출압에 의해 증기배출관(9)의 상단에 설치된 압력추(10)가 약간 들림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증기배출관(9)의 관로를 개방시켜 주고 이에따라 일정압력 이상의 압력상승에 따른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관의 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면서 피가열물이 가열되어 취사가 완료되면, 이를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수단이 센싱하여 각 열판(4)(5)(8)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켜 주므로 오븐(2)에는 더 이상의 전열이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피가열물의 가열이 더 이상 행하여지지 않으면서 취사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전기 압력밥솥은 사용자가 취사를 위해 취사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뚜껑(B)이 본체(A)에 자동으로 록킹되도록 함과 함께 취사가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뚜껑(B)의 록킹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취사가 행하여 지는 과정에서 본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더라도 뚜껑(B)이 열리지 않도록 하여 압력 취사가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취사가 행하여 지는 동안 본체(A) 내부가 고압력 상태임을 감안할 때 만일 뚜껑(B)이 사용자의 부주의 및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열렸을 경우 증기의 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전기 압력밥솥의 종래 뚜껑 자동 록킹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뚜껑(B)을 구성하는 상부열판(8)에 인너커버(7) 위로 노출되도록 모터(11)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모터에는 모터(1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회전체(12)가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가장 좁은 부분의 반경과 가장 넓은 부분의 반경이 각각 45° 간격으로 연속되어지게 캠(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열판(8)의 상부면에는 회전체(12)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복수개의 이동판(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이동판(14)의 외측 끝단에는 이동판이 내측으로 수평이동 되었을 경우에는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걸림턱(2a)에 걸리도록 하고 이동판(14)이 외측으로 수평이동되었을 경우에는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걸림턱(2a)에 걸리지 않도록 록킹편(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이동판(14)에는 돌출편(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너커버(7)에는 이동판(14)이 내외측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돌출편(16)의 접촉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콘트롤러에 의한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도록 하는 제1스위치(17) 및 제2스위치(1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에서 각 이동판(14)이 회전체(12)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각 이동판(14)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장공(19)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열판(8)에는 상기 장공(19)으로 끼워지게 가이드핀(2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이동판(14)의 내측 끝단에는 회전체(12)에 형성된 캠(13)에 끼워지게 캠핀(21)이 고정된다.
따라서, 뚜껑(B)을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사모드를 선택하기 전까지는 상부열판(8)에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각 이동판(14)이 외측으로 수평이동된 상태에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 이동판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록킹편(15)이 도 2a 및 도 3과 같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단 걸림턱(2a)에 걸려있지 않으므로 결국 상기 뚜껑(B)이 본체(A)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사모드를 선택하면 뚜껑(B)을 구성하는 상부열판(8)에 부착되어 인너커버(7) 위로 노출된 모터(11)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므로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회전체(12)가 회전하는데, 이때에는 각 이동판(14)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9)으로 상부열판(8)에 형성된 가이드핀(20)이 끼워져 있고, 회전체(12)에 형성된 캠(13)으로 각 이동판(14)의 내측 끝단에 고정된 캠핀(21)이 끼워져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캠핀은 회전체(12)에 형성된 캠(13)의 캠곡선중 가장 좁은 부분의 반경 쪽으로 안내됨에 따라 각 이동판(14)이 회전체(12)의 회전력에 의해 내측으로 수평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내측으로 수평이동하는 각 이동판(14)의 내측 수평이동이 완료되는 순간(각 이동판(14)의 내측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캠핀(21)이 상기 회전체(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캠(13)의 캠곡선중 가장 좁은 반경 부분에 위치되는 순간) 상기 각 이동판(14)에 형성된 돌출편(16)이 인너커버(7)에 부착된 제1스위치(17)를 스위칭하여 주므로 상기 제1스위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로 보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이 신호를 받는 순간 곧바로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 이동판(14)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록킹편(15)이 도 2b 및 도 4와 같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단 걸림턱(2a)에 걸리게되므로 결국 상기 뚜껑(B)이 본체(A)에 록킹된다.
또한 취사가 완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본체(A) 내부의 증기를 완전히 배출시키고 이 증기 배출에 따른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모터(11)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다시 구동하므로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회전체(12) 또한 모터(1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이에따라 내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있던 각 이동판(14)이 다시 외측으로 수평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각 이동판(14)의 외측 수평이동이 완료되는 순간(각 이동판(14)의 내측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캠핀(21)이 상기 회전체(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캠(13)의 캠곡선중 가장 넓은 반경 부분에 위치되는 순간) 상기 각 이동판(14)에 형성된 돌출편(16)이 인너커버(7)에 부착된 제2스위치(18)를 스위칭하여 주므로 상기 제2스위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로 보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이 신호를 받는 순간 곧바로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 이동판(14)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록킹편(15)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단 걸림턱(2a)에 걸리지 않으므로 결국 뚜껑(B)의 본체(A) 록킹이 해제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뚜껑 자동 록킹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체가 회전시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캠의 캠곡선에 따라 이동판이 수평이동하면서 뚜껑을 본체에 록킹시키거나 상기 뚜껑의 본체 록킹을 해제하여 주므로 상기 이동판의 갯수가 한정될 수 밖에 없어 취사시에는 본체 내부의 압력이 매우 높은 상태임을 감안할 때 안전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력이 직접적으로 각 이동판에 전달되므로 특히 뚜껑의 록킹해제시 본체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모터의 토크가 작은 경우라면 각 이동판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떨이지고, 상기 각 이동판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큰 토크의 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작비의 상승과 함께 모터의 대형화에 따른 조립상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뚜껑의 록킹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함께 작은 토크의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상부열판의 록킹 및 록킹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비를 줄이면서 조립성의 향상에도 기여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뚜껑을 구성하는 상부열판에 부착되어 인너커버 위로 노출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메인회전부재와, 상기 상부열판에 힌지결합되어 메인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보조회전부재와, 상기 상부열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각 보조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재와, 상기 각 이동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보조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가 내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고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지 않게되는 록킹편과, 상기 이동부재가 내외측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상기 콘트롤러에 의한 동력발생부재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로 구성하여서 된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는 전기 압력밥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2a는 종래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는 전기 압력밥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록킹되기 전 상태도
도 2b는 종래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는 전기 압력밥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록킹된 상태도
도 3은 도 2a의 Ⅰ-Ⅰ선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2b의 Ⅱ-Ⅱ선 요부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는 전기 압력밥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록킹되기 전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는 전기 압력밥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록킹된 상태도
도 6은 도 5a의 Ⅲ-Ⅲ선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5b의 Ⅳ-Ⅳ선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인너커버 8. 상부열판
101. 모터 102. 회전체
103. 랙 104. 피니언
105. 이동판 106. 록킹편
108. 제1스위치 109. 제2스위치
110. 제1장공 111. 가이드핀
112. 제2장공 113. 편심핀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뚜껑 자동 록킹장치를 갖는 전기 압력밥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a의 Ⅲ-Ⅲ선 요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b의 Ⅳ-Ⅳ선 요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뚜껑(B)을 구성하는 상부열판(8)에 인너커버(7) 위로 노출되도록 모터(101)를 부착하고, 상기 모터에는 모터(10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회전체(102)를 축결합하며, 상기 회전체의 외측둘레면에는 랙(10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열판에는 회전체(102)에 형성된 랙(103)과 맞물려 회전체(102)의 회전력을 랙(103)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복수개의 피니언(104)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상부열판(8)에는 피니언(104)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복수개의 이동판(105)을 힌지결합하며, 상기 각 이동판(105)의 끝단에는 회전체(102)의 회전에 따라 이동판(105)이 내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2)에 형성된 걸림턱(2a)에 걸리고 이동판(105)이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2)에 형성된 걸림턱(2a)에 걸리지 않도록 록킹편(106)을 형성하고, 상기 각 이동판(105)에는 돌출편(107)을 형성하며, 상기 인너커버(7)에는 이동판(105)이 내외측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경우 돌출편(107)의 접촉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콘트롤러에 의한 모터(101)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도록 제1스위치(108) 및 제2스위치(109)를 부착한다.
상기에서 각 이동판(105)이 피니언(104)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 이동판(105)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공(110)을 형성함과 함께 상부열판(8)에는 상기 각 이동판(105)에 형성된 제1장공(110)으로 끼워지게 가이드핀(111)을 형성하고, 상기 각 이동판(105)의 내측 끝단에는 제1장공(1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장공(112)을 형성함과 함께 각 피니언(104)에는 상기 각 이동판(105)에 형성된 제2장공(112)으로 끼워지게 편심핀(113)을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B)을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사모드를 선택하기 전까지는 각 피니언(104)에 편신되게 힌지결합된 이동판(105)이 외측으로 수평이동된 상태에 있는데, 이때에는 각 이동판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록킹편(106)이 도 5a 및 도 6과 같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단 걸림턱(2a)에 걸려있지 않으므로 결국 상기 뚜껑(B)이 본체(A)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사모드를 선택하면 뚜껑(B)을 구성하는 상부열판(8)에 부착되어 인너커버(7) 위로 노출된 모터(101)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므로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회전체(102)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상기 회전체의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랙(103)을 통해 상부열판(8)에 힌지결합된 각 피니언(104)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각 피니언이 회전하는데, 이때에는 상부열판(8)에 내외측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각 이동판(105)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장공(110)으로 상부열판(8)에 형성된 가이드핀(111)이 끼워져 있고, 상기 각 이동판(105)의 내측 끝단에 제1장공(1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112)으로는 각 피니언(104)에 편심고정된 편심핀(113)이 끼워져 있음에 따라 상기 각 이동판(105)이 각 피니언(104)의 회전력을 받아 내측으로 수평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내측으로 수평이동하는 각 이동판(14)의 내측 수평이동이 완료되는 순간(각 이동판(105)에 고정된 편심핀(113)이 가장 내측에 위치되는 순간) 상기 각 이동판(105)에 형성된 돌출편(107)이 인너커버(7)에 부착된 제1스위치(108)를 스위칭하여 주므로 상기 제1스위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로 보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이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곧바로 모터(101)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 이동판(105)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록킹편(106)이 도 5b 및 도 7과 같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단 걸림턱(2a)에 걸리게되므로 결국 상기 뚜껑(B)이 본체(A)에 록킹된다.
또한 취사가 완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본체(A) 내부의 증기를 완전히 배출시키고 이 증기 배출에 따른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모터(101)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다시 구동하므로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회전체(102) 또한 모터(10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받아 각 피니언(104)이 회전하고, 이에따라 내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있던 각 이동판(105)이 다시 외측으로 수평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각 이동판(105)의 외측 수평이동이 완료되는 순간(각 이동판(105)에 고정된 편심핀(113)이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순간) 상기 각 이동판(105)에 형성된 돌출편(107)이 인너커버(7)에 부착된 제2스위치(109)를 스위칭하여 주므로 상기 제2스위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로 보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이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곧바로 모터(101)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 이동판(105)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록킹편(106)이 본체(A)를 구성하는 오븐(2)의 상단 걸림턱(2a)에 걸리지 않으므로 결국 뚜껑(B)의 본체(A) 록킹이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체가 회전시 각 이동판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피니언을 통해 받아 수평이동하면서 뚜껑을 본체에 록킹시키거나 상기 뚜껑의 본체 록킹을 해제하여 주므로 상기 이동판의 갯수를 필요에 따라 여러개로 늘릴 수 있어 취사시 뚜껑의 록킹이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력이 중간 매개체인 피니언을 통해 각 이동판에 전달되므로 특히 뚜껑의 록킹해제시 본체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모터의 토크가 작은 경우라도 피니언에 의해 토크의 증대가 가능함에 따라 각 이동판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작은 토크의 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제작비를 절감하면서 조립성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뚜껑을 구성하는 상부열판에 부착되어 인너커버 위로 노출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메인회전부재와,
    상기 상부열판에 힌지결합되어 메인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보조회전부재와,
    상기 상부열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각 보조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재와,
    상기 각 이동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보조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가 내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고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븐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지 않게되는 록킹편과,
    상기 이동부재가 내외측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상기 콘트롤러에 의한 동력발생부재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회전부재의 외측둘레면에 랙을 형성하고, 상부열판에 힌지결합된 각 보조회전부재를 상기 랙에 접촉된 피니언으로 함에 따라 상기 각 보조회전부재가 메인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이동부재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제1장공을 형성함과 함께 상부열판에는 상기 각 이동부재에 형성된 제1장공으로 끼워지게 가이드핀을 형성하고, 상기 각 이동부재의 내측 끝단에는 제1장공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장공을 형성함과 함께 각 보조회전부재에는 상기 각 이동부재에 형성된 제2장공으로 끼워지게 편심핀을 고정함에 따라 상기 각 이동부재가 보조회전부재의 회전력을 받아 내외측으로 수평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KR1019970047154A 1997-09-12 1997-09-12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KR10022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154A KR100223819B1 (ko) 1997-09-12 1997-09-12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154A KR100223819B1 (ko) 1997-09-12 1997-09-12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493A KR19990025493A (ko) 1999-04-06
KR100223819B1 true KR100223819B1 (ko) 1999-10-15

Family

ID=1952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154A KR100223819B1 (ko) 1997-09-12 1997-09-12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87B1 (ko) * 2011-10-18 2014-02-12 김우용 전기 압력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493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2078A (en) Pyrolytic lock assembly
KR100262634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 감지장치
KR100209669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KR100223819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자동 록킹장치
EP0075308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cooking apparatus
CN108201340A (zh) 盖开闭机构和烹饪厨具
KR102392702B1 (ko) 전기조리기
CN209863455U (zh) 一种方便开合的烹饪器具
KR200000078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방장치
KR100476443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예열보조장치
JP2000070134A (ja) 電気炊飯器
KR100272600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비등방법
KR100736780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안전장치
CN220876526U (zh) 一种具有自动开合盖及残留压力解除的压力锅盖
KR0126566Y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KR200178480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안전잠금장치
KR20040040187A (ko) 전기압력밥솥의 오븐 잠금 장치
KR200162052Y1 (ko) 전자렌지의 도어 잠금장치
CA1131676A (en) Safety latch for washer closure
KR0139267Y1 (ko) 세탁기의 드럼체 위치제어장치
JPS5840555Y2 (ja) コウシユウハカネツソウチ
KR200238988Y1 (ko) 압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0187481B1 (ko) 전기압력밥솥의 핸들잠금장치
KR20040017148A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개폐 구조
JPH0828886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