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577B1 -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577B1
KR100222577B1 KR1019970034024A KR19970034024A KR100222577B1 KR 100222577 B1 KR100222577 B1 KR 100222577B1 KR 1019970034024 A KR1019970034024 A KR 1019970034024A KR 19970034024 A KR19970034024 A KR 19970034024A KR 100222577 B1 KR100222577 B1 KR 10022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up
air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077A (ko
Inventor
이철성
Original Assignee
이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성 filed Critical 이철성
Priority to KR101997003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5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05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with inflatable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85Brassieres with ventilation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지어의 컵 두께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두께를 조절토록 한 브레지어에 있어서, 공기튜브의 외측면의 두께를 기부는 두껍게 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얇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보강심이 형성된 완충층과, 통기공이 형성된 쿠션층을 차례로 형성함으로써, 컵이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브레지어 착용시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하고,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여 사용에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지어의 컵 두께 조절 구조
본 발명은 브레지어의 컵 두께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두께를 조절토록 한 브레지어에 있어서, 공기튜브의 외측면의 두께를 기부는 두껍게 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얇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보강심이 형성된 완충층과, 통기공이 형성된 쿠션층을 차례로 형성함으로써, 컵이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브레지어 착용시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하고,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여 사용에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공기를 이용하여 컵의 두께를 조절토록 한 브레지어가 공지된바 있으나, 대부분이 개념적인 것에 그쳐 실용화되지 못하였는데, 그 원인을 살펴보면, 공기를 주입시킨 튜브가 가슴을 압박하게 되어 사용시 불편을 느끼게 되고, 공기튜브가 가슴과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통풍이 안되는 결함과 함께, 튜브가 단순히 공기를 채우는 기능만을 갖게 되어 원하는 컵의 형태를 얻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튜브 내측에 보강심이 형성된 완충층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통기공이 형성된 쿠션층을 형성하여 브레지어 착용시 튜브의 공기압력이 완충층에 의하여 흡수되어 신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쿠션층에 형성된 통기공에 의하여 공기가 소통되게 하여 착용시 답답함을 느끼지 않게 하고, 또한 공기튜브의 외측면의 구조를 기부는 두껍게 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얇게 형성함으로써, 튜브내에 공기를 주입했을 때, 튜브가 원하는 컵의 형태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를 팽창시키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동 튜브를 팽창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을 팽창시키지 않은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외측으로부터 스판층(1)과 튜브층(2), 완층층(3), 쿠션층(4) 및 내면층(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을 팽창시킨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스판층(1)은 그 내측의 튜브(21)에 공기(22)를 주입했을 때, 함께 팽창할 수 있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층(2)은 튜브(21) 내부에 공기(22)를 주입하여 밀봉시킬 수 있도록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고, 일측에 공기주입구(23)가 구비되어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거나, 별도로 구비된 소형의 공기 주입 펌프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공기주입구(23)는 컵의 내측부와 같이 신체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튜브층(2)의 튜브(21)는 기부는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부로 가면서 얇게 형성됨으로써, 공기를 주입하지 않았을 때에는 튜브(21)가 수축되어 튜브의 중심부가 튜브(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컵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튜브(21)에 공기를 주입했을 경우에는 튜브(21)가 중심부를 향하여 팽창되게 하여 튜브(21)가 원하는 형태의 컵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튜브층(2)의 내측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질의 고무나 수지 또는 부직포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된 보강심(31)이 구비된 완충층(3)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층(2)의 튜브(21)내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이 보강심(31)에 의하여 완충되어 신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치하고 있고, 이 완충층(3)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41)이 형성된 쿠션층(4)이 형성되어 완충층(3)으로 부터 쿠션을 갖게 하여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고 있으며, 다시 그 내측에는 면으로 된 공지의 내면층(5)이 형성되어 신체와 접촉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완충층(3)에 형성된 보강싱(31)은 제3도에 도시된 그물 구조외에도 완충층(3)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다른 형상 또는 구조라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브레지어의 컵 두께 조절 구조에 의하면, 공기를 이용한 컵 두께 조절 방법이 종래 개념상으로 그쳐 실용화되지 못하였던 것에서 탈피하여, 실질적으로 브레지어 착용시, 공기튜브의 압력이 보강심(31)이 형성된 완충층(3)에 의하여 흡수되게 하여 신체에 부담감을 주지 않도록 한 장점과 함께, 그 내측면에 통기공(41)이 형성된 쿠션층(4)에 의하여 통풍성이 향상되고, 특히 공기 튜브(21)가 기부는 두껍고 중심부로 가면서 얇게 형성되어 팽창시키지 않았을 때에는 튜브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팽창시에는 두께가 얇은 중심부를 향하여 부풀어 오르게 하여 원하는 형태의 컵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스판층과 내면층 사이의 안쪽의 튜브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공지된 브레지어에 있어서, 상기 튜브(21)의 외측면이 기부는 두껍고 중심부로 가면서 얇게 형성되고, 상기 튜브(2)의 내측에 탄성체의 보강심(31)이 형성된 완충층(3)이 형성되며, 이 완충층(3)이 내측에 다수의 통기공(41)이 형성된 쿠션층(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지어의 컵 두께 조절 구조.
KR1019970034024A 1997-07-21 1997-07-21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KR10022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024A KR100222577B1 (ko) 1997-07-21 1997-07-21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024A KR100222577B1 (ko) 1997-07-21 1997-07-21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77A KR19990011077A (ko) 1999-02-18
KR100222577B1 true KR100222577B1 (ko) 1999-10-01

Family

ID=1951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024A KR100222577B1 (ko) 1997-07-21 1997-07-21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35A (ko) * 2000-07-20 2000-10-05 라두호 기능성 맞춤 브레지어 ×흡입·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74B1 (ko) * 2009-10-26 2012-06-13 김삼녀 에어펌핑부재가 구비된 페더라이트 패드 브래지어
KR101136748B1 (ko) * 2009-12-09 2012-04-17 김삼녀 사이드윙 및 탈착컵이 구비된 볼륨조절이 가능한 페더라이트 패드 브래지어
CN113425001A (zh) * 2021-06-02 2021-09-24 兰明秀 一种透气型软质垫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702A (ko) * 1994-11-15 1996-06-17 세키자와 다다시 강전계용의 mos 회로를 갖춘 반도체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702A (ko) * 1994-11-15 1996-06-17 세키자와 다다시 강전계용의 mos 회로를 갖춘 반도체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35A (ko) * 2000-07-20 2000-10-05 라두호 기능성 맞춤 브레지어 ×흡입·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77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7647B2 (en) Hearing aid to be worn in the ea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3398158B2 (ja) 加速度防護服
US7988651B2 (en) Inflatable device for use in impulse therapy
US5231720A (en) Support pillow
US3506308A (en) Car seats
EP0845955A1 (en) Acoustical earmuff with incorporated snap-in foam cushion
EP0824001A3 (en) Inflatable prosthesis insertable in adjustable brassiere
US6113635A (en) Epithesis
KR100222577B1 (ko) 브레지어의 컵두께 조절구조
WO1999020902A1 (fr) Pompe a air, dispositif de chambre a air et montre-bracelet dotee d'un tel dispositif
JPH0284953A (ja) 整形外科補助装置
US3301260A (en) Self-inflating brassiere pad
CN107594750B (zh) 一种高弹力智能充气呼吸动态按摩运动鞋
ES2065387T3 (es) Panel recortado de respaldo de asiento.
CN104691385B (zh) 一种座椅靠背及汽车座椅
GB2140294A (en) Inflatable lumbar support cushion
EP1454570A1 (en) Body support device
EP1136439B1 (en) Riding saddles
CN210932623U (zh) 护眼仪气囊及其护眼仪
RU2004115394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коленника
JP3065571B2 (ja) 膨らませることが可能な人工的補綴物
JP4469517B2 (ja) 人工乳房
CN107668833B (zh) 一种智能高弹力立面按摩运动鞋
KR100422010B1 (ko) 쿠션 시트
CN212590328U (zh) 一种透气防皱内衣模杯及内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