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738B1 -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 Google Patents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738B1
KR100221738B1 KR1019970004414A KR19970004414A KR100221738B1 KR 100221738 B1 KR100221738 B1 KR 100221738B1 KR 1019970004414 A KR1019970004414 A KR 1019970004414A KR 19970004414 A KR19970004414 A KR 19970004414A KR 100221738 B1 KR100221738 B1 KR 10022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interference
main body
wave
bre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008A (ko
Inventor
김현주
조일형
Original Assignee
서상기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기,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서상기
Priority to KR101997000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7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의 외곽에 설치하여 그 내측의 인명 및 선박의 보호와 항내작업의 효율화는 물론 양식장의 개발과 해안공사의 가동율 향상을 위해 파랑을 제어하는 소파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강제로 된 본체와 계류기초를 체인과 와이어로 연결하여 부유되게 하되, 본체의 경사판 및 공기실 배열에 의해 입사파의 쇄파, 발산 및 간섭을 이용하여 에너지가 소산되게 한 기능의 장치이다.

Description

쇄파 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본 발명은 항만의 외곽에 설치하여 그 내측 항내 인명 및 선박의 보호와 항내작업의 효율화는 물론 양식장의 개발과 해안공사등의 가동율 향상을 위한 파랑을 제어할수 있는 쇄파 간섭형 부유식 소파제에 관한 것이다.
소파제는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크게 나누어 현장에서 고정적으로 설치 사용되는 고정식 소파제와, 해면에 상자형 부구를 부유시켜 사용하는 부유식 소파제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고정시 소파제는 해안경관을 해치며 해수교환을 저해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부유식 소파제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소파제는 그 소파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소파제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 53-30234호와 실용신안공보소화48-10991호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 선고안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상에 상자형 부구를 부유시켜 사용하는 부유식 소파제로서 해상에 상자형의 부구가 부유되고 이 부구는 닻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소파제는 입사파를 막고 반사시켜서 파랑에너지의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하여서는 그 설치 폭이 무한정 커야 하고 물에 잠기는 흘수(吃水)기도 함께 커져야 되는 문제로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반사파 에너지의 집중에 의하여 2차적인 파랑재해가 발생되어 항내 파랑을 제어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즉, 입사파가 입사해 들어오면서 쇄파되어 파랑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지 않아 입사파의 파력을 부구에서 직접적으로 마주쳐 부구의 손상이 크고 또한 그 파력에 따른 반작용으로 소파제의 요동과 함께 2차의 파랑을 제어할 수 없는 폐단을 가지고 있어 항내를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자형 부유식 소파제에서 입사파를 막고 반사파랑에너지의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폭과 흘수(吃水)가 커지고 반사파 에너지의 집중에 의하여 2차적인 파랑재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됨을 목적으로 한 발명으로서 본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해수교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소파성능을 향상시킬 부유식 소파제를 제공함에 그 특징적 발명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개략단면도.
제3도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소파작동 설명도로서 a도는 수평진동 및 간섭에 의한 소파작동 설명도, b도는 쇄파 및 와동에 의한 소파작동 설명도, c도는 경사측벽 연장 및 안정판의 반사에 의한 소파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장방형 공기실
12, 12' : 공기실 13 : 경사저판
14 : 투과판 20 : 경사측벽
30 : 안정판 31 : 강봉
32 : 수평판 40 : 계류시스템
41 : 계류선 42 : 닻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으로서, 본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또는 강제로 된 본체와 계류기초를 체인과 와이어로 연결하여 부유되게 하되, 본체에 경사판 및 공기실의 배열에 의해 입사파의 쇄파 및 발산, 간섭을 이용하여 에너지가 소산되게 한 기능의 장치를 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10), 경사측벽(20), 안정판(30), 계류시스템(40)으로 구성하되, 본체(10)는 해안측의 장방형 공기실(11)과 외양측의 4각 기둥형 공기실(12)(12')을 경사저판(13)에 의해 결합설치하고, 상기 4각기둥형 공기실(12)(12')의 사이에는 투과판(14)을 설치한다.
상기 경사측벽(20)은 본체(10)의 전후에 유효폭과 흘수를 고려하여 1:1의 경사로 연장 구성한다.
안정판(30)은 본체(10)의 저면에 강봉(31)을 장착하여 그 하단에 수평판(32)을 부착 구성한다.
계류시스템(40)은 와이어와 체인으로 된 계류선(41)을 연결하여 중력과 파주력이 복합되게금 입체적 방사상으로 돌출된 블록형 닻(42)을 2개 결합하여 바닥에 고정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항만의 외곽에 부유되게금 설치하면 외양측으로부터 입사되는 파랑이 제3a도와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사각기둥형 공기실(12)(12')과 투과판(14)을 거치면서 쇄파됨과 함께 입, 반 사파간의 위상간섭을 일으키데, 입사파는 경사진 경사저판(13)위로 입사해 들어오면서 쇄파되어 파랑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또한 사각기둥형 공기실(12)(12')을 지나는 수괴는 내부의 넓은 공간으로 발산 및 회전하며 상호간섭을 통해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킨다.
본체(10)의 전후에 부착된 경사측벽은 보다 많은 파랑에너지가 수속되어 도입 및 쇄파되게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본체(10)의 흘수를 증대시켜 차단효과에 의한 소파성능도 향상되게 한다.
안정판(30)은 입사파 에너지의 반사효과에 의해 파랑에너지의 투과율을 낮추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본체의 연직동요를 저감시켜 본체의 상부공간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이때의 계류시스템(40)은 고정력을 높이는 동시에 어초역할도 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경사면에서 쇄파를 통해 파랑에너지를 소산시키며 좁은 입구에서 내부공간으로 퍼지며 상호 간섭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소파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반사율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체 도입부에 투과판을 설치하여 입사파와 반사파간의 위상 간섭 효과가 추가되고 경사측벽과 안정판에 의해 반사효과가 높고 소파제의 연직동요가 감소되는 효과를 이룰수 있는 특징을 가진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닻으로 고정된 부유체를 형성시켜 해양입사파의 파랑을 제어하는 부유식 소파제에 있어서, 상기 부유수단에 경사저판(13)을 형성시켜 쇄파와, 간섭 및 반사수단을 갖는 본체(10)와, 경사측벽, 안정판(30), 계류시스템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장방형 공기실과 4각 기둥형 공기실을 경사저판에 의해 결합설치하고 4각기둥형 공기실 사이에는 투과판을 설치하여 쇄파와 발산 및 간섭에 의해 파랑에너지가 소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전후에 경사측벽을 연장 설치하여 쇄파량 및 흘수가 증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4. 제1항에 있어서, 안정판을 본체의 저면에 강봉으로 장착하고 그 하단에 수평판을 부착 형성하여 반사효과에 의해 투과율을 낮추고 소파제의 동요가 감소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5. 제1항에 있어서, 계류시스템을 방사상으로 돌출한 십자형 블록 2개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닻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KR1019970004414A 1997-02-14 1997-02-14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KR10022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414A KR100221738B1 (ko) 1997-02-14 1997-02-14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414A KR100221738B1 (ko) 1997-02-14 1997-02-14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008A KR19980068008A (ko) 1998-10-15
KR100221738B1 true KR100221738B1 (ko) 1999-09-15

Family

ID=1949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414A KR100221738B1 (ko) 1997-02-14 1997-02-14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156A (ko) * 2018-01-31 2020-10-06 피칫 부운리킷체바 파도 포착 및 감쇠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454B (zh) * 2021-09-02 2023-03-24 鲁东大学 一种多功能浮式防波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156A (ko) * 2018-01-31 2020-10-06 피칫 부운리킷체바 파도 포착 및 감쇠 구조물
KR102454680B1 (ko) * 2018-01-31 2022-10-13 피칫 부운리킷체바 파도 포착 및 감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008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738B1 (ko) 쇄파간섭형 부유식 소파제
CN209923864U (zh) 一种非对称双浮筒式浮式防波堤
CN216948071U (zh) 一种浮式防波堤单元及其系统
JPH01142273A (ja) 浮遊式消波型波力発電装置
JPH10157691A (ja) 超大型浮体
KR102190017B1 (ko) 앵커식 플로팅소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239879Y1 (ko) 파압 분산식 부유식 방파제
KR100469903B1 (ko) 해안구조물
SU1744178A1 (ru) Плавучий волнолом
JPH02167910A (ja) 消波装置
RU2005838C1 (ru) Плавучий волнолом
CN109537523A (zh) 一种阶梯型透空式防波堤
JPH02136413A (ja) 大水深浮消波堤
JPH0112881B2 (ko)
JP2908718B2 (ja) 消波構造体に付設する振り子式波浪発電装置
KR100701020B1 (ko) 힌지 링크 연결 일체형 방파제
KR20150048278A (ko) 이중사면과 돌기를 적용한 연파 저감형 상치 구조물, 이를 적용한 호안, 방파제, 안벽 및 이안제
JP4519585B2 (ja) 傾斜板を有する消波ブロックを使用したダブルリーフ型潜堤
SU15659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оснований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KR200259368Y1 (ko) 호안용 소파블록
JPH0224409A (ja) 浮遊式波エネルギー吸収消波堤
JPS63194013A (ja) 消波構造物
JP2005163362A (ja) 消波ブロック及び人工リーフ
JPS63197710A (ja) 消波堤
JP4229441B2 (ja) 浮力調整可能な人工リー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