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267B1 -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267B1
KR100221267B1 KR1019960044773A KR19960044773A KR100221267B1 KR 100221267 B1 KR100221267 B1 KR 100221267B1 KR 1019960044773 A KR1019960044773 A KR 1019960044773A KR 19960044773 A KR19960044773 A KR 19960044773A KR 100221267 B1 KR100221267 B1 KR 10022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control valve
control
pulley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351A (ko
Inventor
정명국
Original Assignee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정헌태
주식회사아남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정헌태, 주식회사아남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101996004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26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91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fluid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를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또한 그 유량을 조절하도록 핸들이 포함된 유량 조절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회전 가능한 풀리로 대체하여 설치한 것과, 상기 풀리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유량을 조절하도록 그 풀리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과, 상기 타이밍 벨트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유량 제어 밸브의 개·폐 및 그 유량을 모터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Description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량 조절 밸브의 개·폐 및 그 유량을 스텝 모터의 제어에 의해 동일하게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 조절 밸브는 액체 또는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유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말한다. 이러한 유량조절 밸브는 각종 기계 장치의 유압 회로 또는 공압 회로 등에 자주 이용되며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의 구조는 첨부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나 기체가 흐르는 통로인 공간부(30')와, 상기 유체 등이 일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설치된 밸브(40')와, 상기 밸브(40')를 통해 흐르는 유체 등의 량을 조절하는 핸들(10')과, 상기 밸브(40'), 핸들(10') 등을 감싸는 몸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종래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은 사용자가 핸들(10')을 풀어주면 압력을 받고 있는 유체는 곧 일 방향(도면에서는 위쪽 방향)으로 밸브(40')를 밀면서 통과하게 되며, 상기 핸들(10')은 그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체의 압력이 반대 방향으로(도면에서는 아래 방향) 향하게 될 경우에는 그 유체의 압력으로 밸브(40')를 닫아서 흐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 제어는 사용자가 유량 조절 밸브를 개·폐하거나 그 흐르는 유량을 바꾸기 위해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그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의 개·폐 및 그 흐르는 유량을 모터의 제어에 의해 동일하게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량 조절 밸브 200 : 풀리
210 : 타이밍 벨트 300 : 스텝 모터
310 : 외부 회전축 400 : 모터 구동부
500 : 유량 감지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구성은, 다수개의 유량 조절 밸브 상단 각각에 그 유량을 조절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표면에 치차가 형성된 다수개의 풀리와; 상기 각 풀리의 회전수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상기 각 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된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풀리에 양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풀리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되, 하단으로도 외부 회전축이 연장되어 있는 스텝 모터와; 상기 스텝 모터의 외부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현재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유량조절 밸브의 유량을 조절하는 풀리에 타이밍 벨트를 연결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단에는 스텝 모터의 회전축을 결합시킴으로써, 유량 제어 밸브의 개·폐 및 그 흐르는 유량을 자동적으로 동일하게 동시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유체를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또한 그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에 풀리(200)가 설치된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1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풀리(20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유량 조절 밸브(100)의 개·폐 및 그 유량을 조절하도록 타이밍 벨트(210)로 연결된 스텝 모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텝 모터(300)의 하단부에는 그 스텝 모터(300)의 내부 회전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형성된 외부 회전축(310)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회전축(310)의 나사 홈에 결합되어 스텝 모터(300)의 다른 회전축(즉, 스텝 모터의 풀리(200))의 회전각도 및 회전수를 감지하여 현재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유량 감지 수단(5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 감지 수단(500)의 상단에는 스텝 모터(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모터 구동부(400)의 측면에 유량 감지 수단(500)이 설치되어 현재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유량을 알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모터(300)의 풀리(200)에는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100)에 흐르는 유량을 동시에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100)의 풀리(200)를 경유하여 타이밍 벨트(210)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텝 모터(300)는 그 회전각도 및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서보 모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벨트(210)는 상기 스텝 모터(300)의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유량 조절 밸브(100)의 풀리(200)에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 벨트(210)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유량 조절 밸브(100)및 스텝 모터(300)의 풀리(200)에도 각각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00)의 풀리(200)에 형성된 치차는 모두 동일한 치수를 가짐으로써, 상기 스텝 모터(3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100)의 개·폐 및 유량은 동일하게 동시에 제어된다.
또한, 이러한 스텝 모터(300)의 제어는 그 하단에 설치된 모터 구동부(400)에 의해 실현되며, 상기 모터 구동부(400)로부터의 전류 인가시간 또는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스텝 모터(300)의 회전수나 회전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스텝 모터의 회전각도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면, 유량 조절 밸브의 개·폐나 그 유량을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의 유량을 조절하는 풀리에 타이밍 벨트를 연결라고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단에는 스텝 모터의 풀리를 결합시킴으로서 유량제어 밸브의 개·폐 및 그 흐르는 유량을 자동으로 동시에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개의 유량 조절 밸브 상단 각각에 그 유량을 조절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표면에 동일한 치수의 치차가 형성된 다수개의 풀리와; 상기 각 풀리의 회전수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상기 각 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된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풀리에 정,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풀리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되, 하단으로도 외부 회전축이 연장되어 있는 스텝 모터와; 상기 스텝 모터의 외부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현재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밸브의 제어 장치.
KR1019960044773A 1996-10-09 1996-10-09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KR10022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773A KR100221267B1 (ko) 1996-10-09 1996-10-09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773A KR100221267B1 (ko) 1996-10-09 1996-10-09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351A KR19980026351A (ko) 1998-07-15
KR100221267B1 true KR100221267B1 (ko) 1999-10-01

Family

ID=1947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773A KR100221267B1 (ko) 1996-10-09 1996-10-09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1126A (zh) * 2020-08-27 2020-10-30 许建波 一种具有防护结构二次供水处理装置
KR102189322B1 (ko) * 2020-08-31 2020-12-09 우영산업(주) 유압 실린더 기반으로 톱날의 승강 운동을 정밀 조절하는 절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351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4868A1 (en) Valve system for servo control of fluid flows
KR100221267B1 (ko) 유량 조절 밸브의 제어 장치
US20180318853A1 (en) Outlet device with multilevel rotary massage water
CN208907502U (zh) 一种新型调节阀阀门驱动装置
CN204664452U (zh) 水比例阀及具有其的燃气热水器
KR100225915B1 (ko) 두개의배출관및한개의조절구를지닌원심펌프
JP2008064210A (ja) ガス流量制御装置
KR20090033533A (ko) 볼 밸브
JPS6069373A (ja) 流量調整弁の開度制御装置
KR910003546Y1 (ko) 온수순환펌프의 유량조절장치
KR20200095019A (ko)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
CN218177181U (zh) 一种井下钻井设备用钻井液智能控制装置
CN109533979A (zh) 一种内置旋阀式转向器系统及所构成的气动管道智能系统
JP2003185036A (ja) 回転オリフィス式制御弁
SU15551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ращени вала
KR200210472Y1 (ko) 가스밸브 조작용 전동장치
KR20230082402A (ko) 정밀 유량 조절이 가능한 니들 밸브
KR960006604Y1 (ko) 방향전환 밸브의 개폐장치
KR200148628Y1 (ko) 유량조절밸브
KR200268339Y1 (ko) 수온 및/또는 수량 조절 수단이 장착된 샤워 헤드를구비한 샤워장치
JPS63254290A (ja) 流量調節バルブ
KR20210001102A (ko) 유량제어를 위한 게이트 밸브
JPH01229184A (ja) 自動開閉弁
KR200178008Y1 (ko) 3웨이 에어 벨브 구동 모우터 회전수 조절용 간헐작동 타이머가 내장된 공기침대 콘트롤 박스
WO1993010359A1 (en) Air pressure operated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