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625B1 -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625B1
KR100220625B1 KR1019970012250A KR19970012250A KR100220625B1 KR 100220625 B1 KR100220625 B1 KR 100220625B1 KR 1019970012250 A KR1019970012250 A KR 1019970012250A KR 19970012250 A KR19970012250 A KR 19970012250A KR 100220625 B1 KR100220625 B1 KR 10022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chair
knee
load
variab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877A (ko
Inventor
허영백
Original Assignee
허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백 filed Critical 허영백
Priority to KR101997001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625B1/ko
Priority to AU68555/98A priority patent/AU6855598A/en
Priority to PCT/KR1998/000079 priority patent/WO1998043707A1/en
Priority to US09/402,300 priority patent/US6537185B1/en
Publication of KR1998007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체 프레임중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사이에 부하전달기구를 상호 연결설치하여 별도의 부하기구가 없이 의자체에 가해지는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근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경우 별도의 부하기구를 이용하여 운동부하력을 얻도록 되어 있어 운동장치가 복잡하고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며 구조적 특성상 운동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던바, 이를 해소하고자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중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적절하게 운동을 행할 수 있고 신체에 있어서 허리를 지탱하는 요근, 힘의 바탕이 되는 복근, 추진력을 갖는 오금근 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체의 프레임중 가변부위와 무릎걸이나 발걸이와 같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사이에 이들 가변부위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부하전달기구를 연결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근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본 발명은 좌판, 등판, 지각, 다리지지대등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상호조립되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체를 이루고 무릎걸이나 발걸이와 같은 신체연결기구를 마련하여 이들 의자체와 신체연결기구를 이용,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체 프레임중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사이에 부하전달기구를 상호 연결설치하여 별도의 부하기구 없이 의자체에 가해지는 신체의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근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운동장채는 중량체, 스프링이나 고무재과 같은 탄성체, 가스나 유압실린더와 같은 실린더류 등 각종 부하기구가 갖는 운동부하력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하게 되어 있고 이들 각종부하기구를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설치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고 운동장치가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으며 장치의 고장발생에 있어서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종래의 운동장치로서 국내실용신안공고 제84-283호, 제84-877호, 제85-3022호, 제85-3026호, 제86-69호, 제86-2201호, 제90-8587호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의 경우 각종운동이 가능한 신체부위별 운동기구를 집합구성하거나 아니면 일부운동만이 가능하도록 조합구성하되 전술한 바와같이 각종부하기구를 독자적으로 설치하여 활용하거나 여러개를 병설하여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 장치가 복잡하고 비대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고 구조적 특성상 운동효율이 그 다지 효과적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별도의 부하기구를 설치하기 않고 운동시 신체자체가 가지고 있는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다면 운동중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체중에 알맞는 운동을 행할 수 있고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겠다는 판단하에 이를 근거로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인체의 허리를 지탱하는 요근, 힘의 바탕이 되는 복근 그리고 추진력의 핵심을 이루는 오금근의 경우 고관절의 굴곡운동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이러한 고관절의 굴곡운동으로부터 인체의 소화, 배설 및 성기관의 신진대사기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데 주안점을 두고 고관절의 굴곡운동에 적합한 형태로서 본 발명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의자체 프레임중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사이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부하전달기구를 연결설치하고 의자체에 가해지는 신체의 체중으로서 자체하중을 이용하여 의자체 프레임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가 상, 하방향, 수평전, 후방향 및 각도변위형태로 상호 연동되면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고관절의 굴곡운동을 중심으로 요근, 복근 및 오금근의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한 복근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하기구가 없이 운동을 행하는 자신의 체중자체를 기본운동하중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정의 부하기구가 없이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전체적으로 그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에 있어서 기본적 요체를 이루는 고관절의 굴곡운동이 중심이 되도록 하여 요근, 복근 및 오금근의 근육운동과 함께 부수적으로 소화기관, 배설기관 및 성기관의 신징대사기능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복근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목적을 달성하고자 좌판, 등판, 지각, 다리지지대등의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의자체를 이루고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무릎걸이나 발걸이 같은 신체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의자체 프레임중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사이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부하전달기구를 설치하고 고관절의 굴곡운동에 의한 요근, 복근 및 오금근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의자체 프레임중 가변부위,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 또는 부하전달기구의 가변부위에 있어서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운동부하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하조절기구, 운동부하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기구, 또는 운동부하력에 의하여 운동이 이루어진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기구가 설치되는 복근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필요시 운동부하력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부하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의자체를 골조중심으로 보여주는 일부생략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의자체의 골조엔 좌판, 등판 및 머리받침을 설치한 상태로서 작동관계를 예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채택활용되는 발걸이지탱 조절기구의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요부 측면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채택활용되는 발걸이조절기구의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요부 측면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채택활용되는 활주함체를 중심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채택활용되는 신체연결기구로서 무릎걸이와 발걸이 사이의 거리 및 부하전달기구로서 벨트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하여 무릎과 고관절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길이조절기구의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요부단면 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사용상태를 함께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작동상태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작동상태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작동상태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작동상태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중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12도는 전체사시도.
제13도는 발걸이높이조절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도.
제14도는 무릎걸이 길이조절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도.
제15도는 제14도의 요부 저면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중 또 다른 일례로서 위치복귀기구 및 부하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기구가 채택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16도는 전체측면도로서 작동상태도.
제17도는 요부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방향전환기구의 방향전환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제19도 및 제2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중 또 다른 일례로서 보조부하 기구를 채택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19도는 전체측면도로서 작동상태도.
제20도는 후방에서 바라본 요부사시도.
제21도 내지 제2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중 또 다른 일례로서 보조부하기구를 채택하되 부하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기구가 채택된 예와 운동부하력을 체중으로 이용하는 경우 가해지는 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 부하조절기구를 채택한 경우로서,
제21도는 전체 측면도.
제22도는 요부의 일부절결 분해사시도.
제23도는 부하조절기구의 종단면도.
제24도 및 제25도는 조부하기구와 방향전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체 3 : 신체연결기구
5 : 부하전달기구 11 : 좌판
13 : 등판 15 : 지각
17 : 다리지지대 31 : 무릎걸이
33 : 발걸이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운동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 별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힌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여러실시예의 경우 좌판(11), 등판(13), 지각(15), 다리지지대(17)등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구성되어 의자체(1)를 이루고 앉거나 누운자세에서 무릎걸이(31)나 발걸이(33)와 같은 신체연결기구(3)를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사이에 의자체(1)와 신체연결기구(3)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부하전달기구(5)를 설치하고 별도의 부하기구가 없이 의자체(1)에 가해지는 체중을 이용하여 고관절의 굴곡운동에 의한 요근, 복근 및 오금근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복근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신체연결기구(3)로서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는 서로 연결 설치되거나 분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예의 경우엔 의자체(1)가 좌판(11) 및 등판(13)이 서로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힌지연결된 상태에서 지각(15, 17)의 상부에 등판(13)의 일측이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힌지연결되어 의자체(1)를 이루고, 상기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는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이 여기에 해당하며, 신체연결기구(3)는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가 서로 연결대(35)로 연결설치된 상태에서 좌판(11)의 하부로서 전방지각(15)의 상부에 위치한 활주함체(21)내부로 활주가 가능하게 설치된 다리지지대(19)와 연결대(35)가 핀(101) 고정되어 무릎걸이(31)가 핀(101)을 중심으로 다리지지대(19)와 함께 회동할 수 있게 이루어져,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는 연결대(35)의 끝단부위에 위치한 무릎걸이(31)의 중앙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부하전달기구(5)는 벨트(51)와 활주함체(21)의 선단과 후방지각사이의 가로대에 설치된 공전로울러(53)(55)의 결합형태로서 벨트(51)가 일측은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인 등판(13)이 연장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고 벨트(51)의 다른 일측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연결대(35)가 끝단부위에 위치한 무릎걸이(31)의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되어지되 벨트(51)의 중간부위는 공전로울러(53)(55)을 거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발걸이(33)는 연결대935)에 직접 고정설치 할 수도 있겠으나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걸이지탱조절기구(40)를 채택활용할 수 있는데, 발걸이지탱조절기구(40)는 연결대(35)의 일측에 4각 설치공간(401)을 마련하고, 발걸이(33)를 발걸이연결대(403)와 결합하여 발걸이연결대(403)의 중간부위는 설치돌기(405)일측에 축설하고, 끝단엔 하부 스프링시트(407)를 고정설치하며 중심에 나사봉(409)이 형성된 탄력조정노브(411)를 상부 통공(413)을 경유 부시(415)를 거쳐 상부 4각 스프링시트(417)와 나사봉(409)으로 나사 결합하되 상, 하부스프링시트(407)(417)사이에 스프링(419)이 위치하도록 4각 설치공단(401)에 결합설치하여 탄력조정노브(411)를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봉(409)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부 스프링시트(417)가 상, 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 하부스프링시트(407)(417)사이의 거리를 조절, 발걸이(33)에 가해지는 스프링(419)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제4도는 전술한 발걸이지탱조절기구(40)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연결대(35)의 일측에 발걸이(33)를 발걸이 연결대(403)와 결합하여 힌지(421) 고정하되, 발걸이 연결대(403)의 저부엔 다수의 탄지요홈(423)과 스토퍼(425)를 마련하고 연결대(35)의 내측에서 상부가 끼워져 전, 후방으로 움직이면서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하부 내측엔 스프링(427)에 탄지된 상태에서 상, 하방향 장공을 통하여 끼워 설치된 탄지가로대(429)가 끼워 설치된 수평이동자(431)의 내측에 상기 발걸이 연결대(403)가 끼워져 수평이동자(431)의 수평이동위치에 따라 발걸이 연결대(403)의 탄지요홈(423)중 어느위치에 탄지가로대(429)가 위치하느냐에 따라 발걸이(33)에 가해지는 탄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스토퍼(425)가 수평이동자(431)의 내측 저면에 위치하는 경우엔 발걸이(33)는 탄지상태가 아닌 고정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발걸이 지탱조절기구(40)는 발걸이(33)에 직접설치하거나 발걸이 연결대(403)에 설치할 수 있겠다.
또한 다리지지대(19)는 활주함체(21)의 내부로 중간부위는 이격되고 양끝단이 서로 고정된 상태로서 한쌍의 로드가 활주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중간부위는 활주함체(21)의 선단에 좌우 한쌍이 상, 하부로 각각 설치된 공전로울러(211)(213)사이를 경유하면서 활주하고 활주함체(21)의 내부에 위치하는 끝단부위엔 한쌍의 내부공전로울러(215)(217)가 설치되어 활주함체(21)의 내주면을 타고 활주가 이루어지게 구성되고, 활주함체(21)의 저면은 전방지각(15)의 상부에 설치돤 공전로울러(23)상부에 안착되고 활주함체(21)의 상부면엔 힌지부(100)가 고정되어 등받이(13)의 프레임 하부에 위치한 가로대가 힌지부(100)에 끼워 결합설치되고 등받이(13)와 함께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연동되면서 공전로울러(23)상부를 일부 활주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6도는 신체연결기구로서 무릎걸이와 발걸이사이의 거리 및 부하전달기구로서 벨트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기구의 일례를 보여주는데 길이조절기구(50)는 고정부(35a)의 내측에 가동부(35b)가 끼워지는 연결대(35)의 내측에 설치되고 가동부(35b)의 끝단에 무릎걸이(3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고정부(35a)의 내측끝엔 조절나사봉(501)이 고정너트(503)에 나사결합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505)이 마련되고, 조절나사봉(501)의 다른 일측은 가동부(35b)의 슬라이더(507)를 거쳐 유니버설조인트(509)와 연결설치되며, 유니버설조인트(509)는 조절노브(511)와 결합설치되어 조절노브(511)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나사봉(501)이 회전하면서 고정너트(503)를 경유하여 전, 후진 하고 가동부(35b) 역시 조절나사봉(501)과 함께 전, 후진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유니버셜조인트(509)대신에 와이어로 조절나사봉(501)과 조절노브(511)를 연결 설치하여도 작동상엔 지장이 없다. 그리하여 가동부(35b)를 전, 후진시켜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사이의 거리 즉, 무릎과 발사이의 거리가 조정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부(35a)의 내측과 가동부(35b)의 저부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여유공간(513)을 형성하고 가동부(35b)의 저부일측과 무릎걸이(31)부위에도 개공(515)(517)을 각각 형성하여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의 일측을 개공(517)(515)을 거쳐 여유공간(513)을 지나 고정부(35a)내측에 끝단을 설치하게 되면 가동부(35b)가 조절노브(511)에 의하여 전, 후진 하면서 벨트(51)의 길이도 조절되어 의자체(1)의 가동부위도 수평이동이 이루어져 무릎걸이(31)가 좌판(11) 또는 등판(13)사이의 거리 즉, 무릎과 고관절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길이조절기구(50)에 의하여 운동을 행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발과 무릎사이, 무릎과 고관절사이의 거리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7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예의 일부 변형례로서 의사체에 있어서 지각의 형태를 일부 변형한 형태인데 전, 후방지각(15, 17)을 좀더 높게 형성하고 좌대(18)의 상부에 설치한 형태를 보여준다.
제8도는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신체연결기구(3)와 다리지지대(19)의 연관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지각(15, 17)의 상부에 만곡가로대(16)를 마련하고 만곡가로대(16)의 상부엔 서로 힌지연결된 좌판(11)과 등판(13)이 저부에 설치된 로울러(23)(24)가 활주하면서 좌판(11) 및 등판(13)이 전, 후방향으로 움직이되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로서 좌판(11)의 저부프레임과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부위사이에 부하전달기구(5)인 벨트(51)를 중간의 공전로울러(53)(55)를 경유 상호 연결설치하여 무릎걸이(31)와 좌판(11) 및 등판(13)이 상호간 연동상태로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형태를 보여준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를 전술한 여러 실시예와 달리 구성한 것으로서, 의자체(1)의 경우 전, 후지각(15)(17)사이에 고정설치된 가로대(16)에 좌판(11)의 링크(12)와 함께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의 끝단을 4절 링크구조로 결합하여 이루어 가변부위를 연장프레임(14)으로 설정하고, 선체연결기구(3)의 경우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를 연결대(35)로 서로 연결설치하고 연결대(35)와 전방지각(15) 상부 가로대를 링크(151)로 연결구성하며, 링크(151)와 좌판(11)의 링크(12)에 있어서 가로대 사이에 링크로드(121)를 설치하되,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는 무릎걸이(31)로 구성하여, 즉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연장프레임(14)과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를 공전로울러(53)를 경유 설치구성하여 무릎걸이(31)의 상하향 운동이 좌판(11) 및 등판(13) 전, 후방향운동으로 상호 링크연결에 의한 연동상태로서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를 달리구성한 것인데, 의자체(1)의 경우 좌판(11)은 전, 후방지각(15, 17)사이 가로대 상부에 고정설치하고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과 다리지지대(19)를 링크 연결하며 다리지지대(19)는 전방지각(15)사이에 설치된 로울러(23)상부를 활주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하고, 신체연결기구(3)인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는 연결대(35)로 연결설치하고 연결대(35)와 다리지지대(19)를 축(103)으로 힌지 고정하여 구성하며,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연장프레임(14)을 그리고 신체연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부위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를 설치하되 벨트(51)는 공전로울러(53)(55)를 경유하도록 설치구성하여 무릎걸이(31)의 상, 하향 각도변위운동과 다리지지대(19)의 전, 후할주운동이 등판(13)의 전, 후방향 각도변위운동으로 상호 연동상태로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를 달리 구상한예로서, 의자체(1)의 경우 전, 후방지각(15)(17)을 X자로 링크구성하고 전방지각(1)과 등받이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여 등판(13)을 고정설치하고, 후방지각(17)의 선단부위와 다리지지대(19)를 축(103)으로 힌지연결하여 등판프레임에 링크연결된 좌판프레임(111)의 상부에 좌판(11)이 설치되고 좌판프레임(111)의 저부엔 축(103)에 설치된 공전로울러(105)가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후방지각(17)의 선단부위와 다리지지대(19)가 연결설치된 축(103)이 해당하고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부위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를 설치하되 벨트(51)는 좌판프레임(111)의 선단하부에 설치된 공전로울러(53)와 전방지각(15)사이 가로대에 설치된 공전로울러(55)를 경유하도록 설치구성되어 무릎걸이(31)의 상, 하향 각도변위운동과 다리지지대(19)와 후방지각(17)의 링크연결부위의 전, 후방향 및 상, 하방향이 함께 하는 활주운동이 등판(13)의 전, 후방향각도 변위운동으로 상호 연동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를 달리 구성한 것으로서,
의자체(1)는 좌대(18)상부에 전, 후방지각(15)(17)을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 좌판(11) 및 등판(13)을 설치하되 등판(13)엔 연장프레임(14)을 형성하고, 신체연결기구(3)로서 발걸이(33)는 다리지지대(19)와 함께 좌대(18)에 소정각도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좌대(18)의 가로대와의 사이에 발걸이지지기구(60)에 의하여 서로 연결설치되고, 무릎걸이(31)는 후방지각(17)과 인접설치된 길이조정 연결대(70)로 상호 핀(107)고정설치되어 이루어져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 연장프레임(14)과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의 길이조정연결대(70)사이에 부하전달기구(5)인 벨트(51)가 공전로울러(53)(55)를 경유 설치구성되고 무릎걸이(31)의 상, 하향운동이 등판(13)의 전, 후방향 회전변위 연동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발걸이지지기구(60)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호상으로 움직일수 있게 이루어진 다리지지대(19)에 X자 탄지편(62)이 끝단에 설치된 가변부재(64)가 링크연결되고, 전방지각(15)사이 가로고정대에 상, 하방회전가능하게 끼워 설치된 중공형태의 수납관통봉(66)에 가변부재(64)가 끼워지는 정도에 따라 발걸이(33)의 후퇴를 방지하고, 일정거리를 전진유동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다리지지대(19)가 연장프레임(14)사이엔 고정와이어(68)가 설치된다.
또한 길이조정연결대(70)는 전방신축부재(71)가 후방부재(72)내측으로 끼우고빼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전방신축부재(71)의 끝단엔 고정요홈(73a)이 마련된 고정부재(73)가 고정설치되고 내측엔 일측끝단은 무릎걸이(31)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부재(72)의 내측끝단 중심에 고정되고 스프링시트(74a)가 설치된 가이드봉(74)의 선단에 압축스프링(75)이 내장설치되며, 후방부재(72)는 저부에 다단 고정돌기(76a)가 형성된 길이조절홈(76)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부재(73)의 대향측으로서 후방부재(72)의 내측에 수납공간(77a)이 마련된 슬라이드부재(77)가 가이드봉(74)를 타고 움직일 수 있게 내장되어지되, 슬라이드부재(77)의 하부 내측엔 양측요홈(78a)과 상부 스토퍼(78b)가 스프링으로 탄지결합된 조정노브(78)와 함께 설치되어 이루어져 슬라이드부재(77)를 가이드봉(78)과 길이조정홈(76)을 타고 수평으로 이동시켜 조정노브(78)의 양측요홈(78a)과 설치되는 적정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무릎걸이(31)를 전방신축부재(71)와 함께 앞으로 전진시켰다가 놓으면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방신축부재(71)는 후진하면서 고정부재(72)는 슬라이드부재(77)의 수납공간(77a)에 끼워지고 고정주재(72)의 고정요홈(73a)엔 스토퍼(78b)가 끼워져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등판(13)의 양측세로대(135)상부에 로울러(137)를 각각 설치하고 후방지각(17)의 적정위치에도 로울러(57)를 설치하여, 후방지각(17)고정단으로부터 로울러(59), (57)와 개공(139)을 경유 세로대(139)의 내측 공간을 이용 이를 거쳐 로울러(137)를 경유 와이어(141)를 설치하고 와이어(141)의 끝단엔 팔운동용 손잡이(143)를 설치하는 구성도 병행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을 그리고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손잡이(143)를 채택하고 부하전달기구(5)로서 와이어(141)와 각종 로울러(137)(59)(57)를 채택하여 손잡이(143)를 당기는 운동이 등판(13)의 전방변위운동으로 나타나는 팔운동장치로 활용될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물론 이때 와이어(141)는 로울러(59)(57)사이에서 상, 하로 2번 경유하게 되므로 와이어(141)의 변위길이는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변위길이의 2배로 나타나게 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를 달리 구성한 것으로서, 의자체(1)의 경유 좌판(11) 및 등판(13)이 전후방지각(15, 17)의 상부 가로대상에서 로울러(23)(24)에 의하여 활주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은 세로고정대(16a)를 타고 슬라이더(14a)와 함께 상, 하방 및 전후방향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변부위는 좌판(11)의 저부에 별도의 고정단(11a)으로 형성하며, 신체연결기구(3)로서 발걸이(33) 및 무릎걸이(31)는 연결대(35)에 의하여 연결설치되고 전방지각(15)의 상부에 연결대(35)가 핀고정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가변부위는 무릎걸이(31)로 선정한 형태를 보여주나. 의자체(1)의 가변부위는 좌판(11)의 고정단(11a)으로 구성하고 신체 연결기구(5)의 가변부위는 무릎걸이(31)로 구성하여 이들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가 로울러(53)를 경유 상호 연결구성되어 무릎걸이(31)의 상, 하향운동이 좌판(11) 및 등판(13)의 전, 후방향 활주운동과 등판(13)의 각도변화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지금까지 전술한 바 있는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산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 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를 연결설치하여 체중에 의한 복근운동이 이루어지는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부하기구, 복귀기구 또는 방향전환기구를 적용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6도에 도시한 변형례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를 채택하고 무릎걸이(31)의 상, 하향 운동에 따라 체중이 가해지는 의자체(1)중 좌판(11) 및 등판(13)이 전, 후방향으로 활주하면서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들어 도시한 바와같이 고무재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보조부하기구(80)를 무릎걸이(31)의 연결대(35)와 조절레버(81)의 일측사이에 거치하게되면 무릎걸이(31)를 무릎으로 상향시키는 경우 전술한 체중에 의한 운동이외에 보조부하기구(80)가 늘어나면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보다 큰 운동부하력을 발생하는 운동장치가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보조부하기구(80)인 탄성부재의 일측 설치위치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방지각(15)의 상부일측이나 상부가로대의 적정위치에 설치하더라도 보조부하기구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보조부하기구(80)는 탄성부재이므로 무릎걸이(31)에 의한 상향운동이 이루어진 후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무릎걸이(31)가 원위치로 하향하는 복귀기능도 함께 갖게 되므로 복귀기구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탄성부재와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조절레버(81)는 일측이 전방지각(15)의 상부부재에 핀고정되고 상부부재의 끝단부위로서 조절레버(81)의 핀고정부위와 인접된 위치에 스토퍼(82)를 설치하여 방향전환기구가 이루어지는데, 조절레버(81)를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향으로 제끼면 조절레버(81)는 탄성부제의 탄성력에 의하여 늘어났다가 한계를 넘게 되고 결국 줄어들면서 조절레버(81)의 일측이 스토퍼(82)이 압접되면서 상향위치에서 멈추게 되는데 이때 무릎걸이(31)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향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무릎걸이(31)가 무릎에 의한 상향운동으로부터 발걸이(33)에 발을 얹고 하향으로 가압하여 무릎걸이(3)의 연결대(35)를 하향시키는 하향운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 경우엔 좌판(11)과 등판(13)은 후진하면서 등판(13)은 뒤로 제껴지는 형태로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방향전환기구를 이용하여 무릎걸이(31)에 의한 상향운동으로부터 발걸이(33)에 의한 하향운동으로 운동방향이 전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복귀기구의 경우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의 연결대(35)와 조절레버(81)사이에 설치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로서 예를들면 등판프레임과 후방지각(17)사이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겠다. 방향전환기구의 경우에도 탄성부재와 함께 조절레버(81)가 결합되어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의 연결대(35)에 설치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로서 등판프레임과 후방지각(17)사이 같은 적절한 부위를 선택하여 설치, 활용할 수 있겠다.
제19도 및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를 달리 구성하거나 보조부하기구(80)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한 것인데, 의자체(1)의 경우 한쌍의 일체형, 전, 후방지각(15, 17)은 서로 고정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등판(13)이 설치된 등판프레임과 좌판(11)이 고정설치된 활주함체(21)를 축(103)으로 링크연결하여 설치하되, 등판프레임의 등간부위는 후방지각(17)사이에 힌지고정하고, 활주함체(21)는 전방지각(15)사이 가로대에 설치된 공정로울러(23)상에 안착되며,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축(103)을 , 기르고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이(31)부위와의 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를 설치하되, 벨트(51)는 활주함체(21)의 전방로울러(53)와 후방지각(17)사이 가로대에 설치된 공전로울러(55)를 경유하도록 설치구성된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등판프레임의 후방의 다수의 가로대(106)를 갖춘 고정부재(107)를 고정설치하고, 후방지각(17)사이에 설치된 가로대(171)와 전술한 가로대(106)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 사이에 실린더 형태의 보조부하기구(80)를 설치한 구성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무릎걸이(35)의 상, 하각도변위운동가 다리지지대(19)의 활주함체(21)내측으로의 활주왕복운동 및 활주함체(21)와 등판(13)의 변위운동의 상호 연동상태로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판(13)의 변위시 보조부하기구(80)에 의한 운동부하력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실시예임을 알 수 있다.
제21도 내지 제2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의자체(1)의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를 달리구성하거나 부하조절기구, 보조부하기구와 방향전환기구가 채택되는 변형례를 보여준다.
즉, 의자체(1)의 경우 등판(13)은 중간부위가 후방지각(17)사이에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힌지연결되고 연장프레임(14)은 공정로울러(23) 상부 활주함체(21)의 방향전환기구(95)가 위치한 브라켓(98)에 축설되며, 좌판(11)은 활주함체(21)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 중 가변부위는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이 여기에 해당하고,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는 무릎걸이(31)의 중앙부분이 해당하며, 부하전달기구(5)는 벨트(51)가 무릎걸이(31)중앙부분으로부터 공전로울러(53) 및 공전로울러(160)를 거쳐 브라켓(98)에 설치되어 연장프레임(14)과 연동될 수 있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로우프(141)형태로서 팔운동용 손잡이(143)로부터 로울러(137), 세로대(135)내측 및 개공(139)을 거쳐 부하조절기구(90)를 경유 공전로울러(170)를 거쳐 브라켓(91)에 끝단이 고정설치되어 이 또한 연장프레임(14)과 연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물론, 팔운동용 손잡이(143)는 부하전달기구(5)로서 로우프(141)나 기타 적정형태의 것을 선택하여 서로, 연결 활용할 수 있는데, 다른 끝단은 전술한 바와같이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연장프레임(14)과 연동되게 설치하거나, 미도시하였으나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나 보조부하기구(80)와 연결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겠다.
부하조절기구(90)는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활주함체(21)의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대향하게 고정설치되는 브라켓(91, 91)사이에 일측에 마찰디스크(92a)가 형성된 공전로울러(92)와 마찰디스크(93)가 조절축(94)상에 끼워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조절축(94)의 일측 끝엔 나사부(94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스프링시트(94b)와 손잡이(94c)가 설치되어 브라켓(91)(91)중 나사부(91a)가 형성된 측에 공전로울러(92)와 마찰디스크(93)의 외측으로 부시(96) 및 스프링(97)끼워진 상태로 조절축(94)의 나사부(94a)가 손잡이(94c)를 이용하여 조절축(94)의 나사부(94a)를 나사부(95)에 조여줄수록 스프링시트(94b)가 스프링(97)을 가압하여 부쉬(96)는 마찰디스크(93)를 가압하고 결국 공전로울러(92)의 마찰디스크(92a)와 마찰디스크(93)가 상호 가입되는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공전로울러(92)의 회전이 어렵게 되고 반대로 조절축(94)을 풀어줄수록 공전로울러(9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공전로울러(92)의 외주연을 경유하여 움직이게되는 부하전달기구(5)로서의 벨트(51)가 쉽게 움직일 수 있느냐 어렵게 움직일 수 있느냐에 정도에 따라 운동시 가해지는 운동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 보조부하기구(80)와 방향전환기구(95)가 채택되는 경우는 제22도,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활주함체(21)의 저부 양측에 스토퍼(96a)(96b)를 가이더(97')내에 설치되는 실린더 타입의 보조부하기구(80)의 양단위치에 맞도록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설치하고 보조부하기구(80)의 다른 일측은 방향전환기구(95)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지되, 보조부하기구(80)의 실린더(80a)측 선단과 피스톤로드(80b)측 선단부위에 고정요부(801)(803)를 각각 마련하고, 방향전환기구(95)는 의자체(1)의 가변부위로서 다리지지대(19)에 설치되고 활주함체(21)내부에서 활주하는 활주로울러(215)(217)가 양측에 설치되고 활주함체(21)에 일부가 내장된 브라켓(98)(98)의 설치공(98a)에 봉형태로서 중앙에 통과홈(99a)이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99b)가 설치된 조절봉(99)을 끼워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보조부하기구(80)로서 실린더의 압축시에 운동부하력을 얻기 위하여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스톤로드(80b)의 선단은 스토퍼(96b)에 맞닿은 상태이고 실린더(80a)의 선단에 위치한 고정요부(801)가 조절봉(99)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절봉(99)을 회전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라켓(98)에 고정된 활주로울러(215)(217)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면 되고 반대로 보조부하기구(80)로서 실린더의 인장시에 운동부하력을 얻기 위하여는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80a)의 후단은 스토퍼(96a)에 맞닿은 상태이고 피스톤로드(80b)의 선단에 위치한 고정요부(803)가 조절봉(99)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라켓(98)에 고정된 활주로울러(215)(217)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물론 이때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 또는 로우프(141)가 연동되도록 부하조절기구(90)의 브라켓(91)과 방향전환기구(95)의 브라켓(98)에 공전로울러(160)(170)를 각각 설치하여 무릎걸이(31)부위에 일측이 고정된 벨프트(51)가 활주함체(21)의 전방공전로울러(53)를 거쳐 상기 공전로울러(16)를 경유하도록 하고, 손잡이(143)로부터 연결된 로우프(141)는 부하조절기구(90)의 공전로울러(92) 및 상기 공전로울러(170)를 거쳐 끝단이 브라켓(91)에 고정되며, 무릎걸이(31)부위로 부터 출발한 벨트(51)는 공전로울러(160)를 거쳐, 상기 브라켓(98)에 고정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조부하기구(80) 및 부하조절기구(90)는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나 신체연결기구(5)의 가변부위 또는 부하전달기구(5)와 연결 내지 결합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운동시엔 무릎걸이(31)가 상,하방향 각도범위 운동은 다리지지대(19)의 끝단에 위치한 활주로울러(215)(217)의 전,후방향 활주운동으로 나타내고, 손잡이(143)에 의한 로우프(141)의 당기는 운동 역시 활주로울러(215)(217)의 전,후방향 활주운동으로 변환이 될 수 있는 운동의 형태로 상호 연동운동이 이루어지되, 부하력 조절기구(90)에 의한 부하력의 조절이나 방향전환기구(95)에 의하여 보조부하기구(80)를 이용 활주로울러(215)(217)의 전진 또는 후진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인 복근운동장치는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로서 등판(13)의 연장프레임(14), 좌판(11)의 저부프레임, 후방지각(17)의 선단부위, 좌판(11)의 저부에 형성된 별도의 고정단(11a), 등판프레임과 활주함체(21)를 링크 연결한 축(103)등 적정부위를 채택하고,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로서 무릎걸리(31)부위 등을 채택하며 이들 가변부위사이에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51)나 로우프(141)등 기타 적정의 것을 이용 공전로울러(53)(55)(59)(57)를 거쳐 상호 연결하여, 의자체(1)중 좌판(11)이나 등판(13)에 가해지는 체중을 이용하여 무릎의 상,하향 각도변위운동 및 좌판(11)의 수평이동이나 등판(13)의 전,후방향 각도변위운동 등의 형태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관절의 굴곡운동을 중심으로 한 요근 및 복근의 운동이 행해지게 된다.
물론 이때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 또는 의자체(1)를 이루는 각종 프레임중 가변부위에 복귀기구를 채택하면 한방향의 운동후에 운동준비상태인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해지고, 방향전환기구(95)를 채택하는 경우엔 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방향, 예를들면 무릎걸이(3)의 상향각도변위 운동으로부터 하향각도 변위운동으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방향의 전환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 의자체(1)의 가변부위 또는 부하전달기구(5)에 보조부하기구(80)를 설치하여 체중을 근거로 한 운동부하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부하조절기구(90)를 설치하는 경우엔 체중을 근거로한 운동부하력 자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발걸이(33)에 발걸이지탱조절기구(40)를 설치, 활용하면 경우엔 운동시 발걸이(33)에 가해지는 운동부하력을 조절하여 오금근의 운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순수하게 무릎만을 이용한 복근 및 요근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체연결기구(3)로서 무릎걸이(31)와 발걸이(33)사이의 거리를 길이조절기구로 조절하거나 부하전달기구(5)로서 벨트의 길이도 함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운동을 행하는 사람의 체형에 맞도록 발과 무릎사이 그리고 고관절사이의 거리를 한꺼번에 조절하여 신체조건에 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등판(13)의 상단부에 부하전달기구(5)와 연결되는 손잡이(143)를 설치하되 부하전달기구(5)의 끝단엔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 의자체(1)의 가변부위, 또는 보조부하기구(80)와 연결설치한 경우 손잡이(143)를 잡아당겨서 행할 수 있는 팔 및 관련근육의 단련운동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인 복근운동장치는 운동을 행하는 사람의 자기체중을 이용하여 의자체(1) 또는 신체연결기구(3)의 가변부위 상호간 부하전달기구(5)에 의하여 상, 하방향 및 전, 후방향의 각도변위운동 및 이동운동이 상호 연동되면서 고관절의 굴곡운동을 중심으로 요근 및 복근운동이 이루어지고, 부수되는 기구를 이용하게되면 오금근과 팔을 중심으로한 근육운동도 가능하게 되어 부수적으로 소화기관, 배설기관 및 성기관의 신진대사효과를 보다 증신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비용을 낮출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좌판, 등판, 지각, 다리지지대등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구성되어 의자체를 이루고 앉거나 누운자세에서 무릎걸이나 발걸이와 같은 신체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의자체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사이에 의자체와 신체연결기구의 상호연동이 가능하도록 부하전달기구를 연결설치하고 별도의 부하기구가 없이 의자체 프레임이 가변부위와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가 상, 하방향, 전, 후방향 및 각도변위형태로 연동되면서 의자체에 가해지는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로서 무릎걸이와 발걸이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 또는 의자체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에 운동이 행하여진 후 신체연결기구 또는 의자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기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극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 또는 의자체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에 운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전환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극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 의자체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 또는 부하전달기구에 보조부하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 의자체를 이루는 각종프레임중 가변부위 또는 부하전달기구에 부하조절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로서 발걸이 또는 발걸이 연결대에 발걸이 지탱조절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로서 무릎걸이와 발걸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 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길이조절기구가 무릎걸이와 발걸이사이의 거리와 함께 무릎과 고관절사이의 거리가 동시에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10.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자체중 등판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로서 무릎걸이에 길이조정연결대를 설치하여 무릎과 고관절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장치.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연결기구로서 발걸이지지기구가 설치된 다리지지대에 발걸이가 설치되어 발걸이의 후퇴를 방지하고 일정거리를 전진유동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장치.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자체의 등판 상단부에 팔운동용 손잡이를 부하전달기구와 연결, 설치하되, 부하전달기구의 다른 끝단이 신체연결기구의 가변부위, 의자체의 가변부위 또는 보조부하기구와 연결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복근운동장치.
KR1019970012250A 1997-04-02 1997-04-02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KR10022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250A KR100220625B1 (ko) 1997-04-02 1997-04-02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AU68555/98A AU6855598A (en) 1997-04-02 1998-04-02 Exercise device
PCT/KR1998/000079 WO1998043707A1 (en) 1997-04-02 1998-04-02 Exercise device
US09/402,300 US6537185B1 (en) 1997-04-02 1998-04-02 Exercis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250A KR100220625B1 (ko) 1997-04-02 1997-04-02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877A KR19980075877A (ko) 1998-11-16
KR100220625B1 true KR100220625B1 (ko) 1999-09-15

Family

ID=1950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250A KR100220625B1 (ko) 1997-04-02 1997-04-02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083B1 (ko) 2007-07-13 2009-01-07 김삼생 복근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77B1 (ko) * 2007-08-16 2009-02-19 최윤석 고관절 운동성을 이용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083B1 (ko) 2007-07-13 2009-01-07 김삼생 복근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877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496B2 (en) Thigh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US8721506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JP3117451B2 (ja) 運動機械
US8771151B2 (en) Adjustable exercise apparatus simulating a kayak
US20060258517A1 (en) Chair type exercise apparatus
US6923749B1 (en) Full-body accordion-motion exercise machine
WO2007001208A1 (en) Gluteus training device
US9155674B2 (en) Chair utilizing self-weight traction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0220625B1 (ko)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US20080254951A1 (en) Gravity leg exercise machine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JP3211954U (ja) 脚力トレーニング器具
KR100274582B1 (ko) 운동장치
KR100334943B1 (ko) 운동기구 겸용 의자
JP2021109072A (ja) 椅子型腰部牽引装置
WO2004043548A1 (en) Exercise apparatus
JP2006239395A (ja) 筋力訓練機
JP2006000238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CN221106381U (zh) 一种按摩椅
CN212067604U (zh) 腿部康复训练装置
KR100413225B1 (ko)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KR0140157Y1 (ko) 종합 신체 단련용 벤치프레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