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582B1 -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582B1
KR100274582B1 KR1019980009565A KR19980009565A KR100274582B1 KR 100274582 B1 KR100274582 B1 KR 100274582B1 KR 1019980009565 A KR1019980009565 A KR 1019980009565A KR 19980009565 A KR19980009565 A KR 19980009565A KR 100274582 B1 KR100274582 B1 KR 10027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xercise
load
kne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392A (ko
Inventor
허영백
Original Assignee
허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백 filed Critical 허영백
Priority to KR101998000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582B1/ko
Priority to AU68555/98A priority patent/AU6855598A/en
Priority to PCT/KR1998/000079 priority patent/WO1998043707A1/en
Priority to US09/402,300 priority patent/US6537185B1/en
Publication of KR1999007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관절운동이나 팔, 다리에 의한 몸통부위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장치는 대부분 개별적인 부위별 운동만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이루어져, 골고루 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엔 필요한 부위별 운동기구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면이 있고, 하나의 운동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여러 운동기구를 동시에 설치한 형태의 경우엔 실질적으로 부위별 운동을 통한 전신운동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유동가능한 무릎걸이수단에 운동부하수단을 연결설치하고, 필요시엔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이 운동시에 고정되거나 유동가능하게 구성됨에 관계없이 고정프레임상에서 좌판, 등판 또는 그일부가 운동시에 유동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상체 및 하체는 물론, 상, 하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몸통부위를 중심으로 신체의 각 부위에 걸쳐 폭넓게 다양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반복신축운동장치를 채택하는 경우 다양한 운동방향으로 활배운동, 배근운동 등의 몸체운동을 행할 수 있어 각종 운동분야에 활용할 수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운동장치
본 발명은 상체 또는 상, 하체를 이용하여 몸통을 중심으로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관절운동이나 팔, 다리에 의한 몸통부위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제반 운동장치는 대부분 개별적인 부위별 운동만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이루어져, 골고루 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엔 필요한 부위별 운동기구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면이 있고, 하나의 운동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여러 운동기구를 동시에 설치한 형태의 경우엔 실질적으로 부위별 운동을 통한 전신운동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운동장치로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미국 특허 제5,498,222호가 있는 데, 이 경우엔 하나의 부하기구를 단독 또는 공용으로 사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에 걸쳐 다양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지렛대의 상, 하 방향으로 고관절중심운동을 행하는 경우 지렛대의 상향위치 이동 후 다시 하향으로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과 지렛대가 반드시 연동되어야하므로 관련 주변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이에 따라 전체구조가 복잡하여지고 제작원가의 상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활용범위에 제약을 가져 왔다.
또한, 구조적 특성상 다리지지수단이나 무릎걸이수단은 유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지되, 좌판, 등판 또는 이들 프레임의 경우 소정의 높이나 기울기는 조절할 수 있으나 운동시엔 움직이지 않게 구성되어 있어 주로 하체 또는 상체만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체만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상체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관계로 상, 하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폭넓게 운동을 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 유동 가능한 무릎걸이수단에 운동부하수단을 연결설치하고, 필요시엔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이 운동시에 고정되거나 유동가능하게 구성됨에 관계없이 의자체의 좌판, 등판 또는 그 일부도 운동시에 고정 또는 유동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상체 및 하체는 물론, 상, 하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몸통부위를 중심으로 신체의 각 부위에 걸쳐 폭넓게 다양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부하수단으로서 운동시 유동프레임에 전달되는 체중이나 별도의 각종 부하기구를 활용할 수 있고, 부하전달기구에 의하여 무릎걸이 수단과 연결설치하며,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신전(伸展)운동이나 굴곡(屈曲)운동을 운동방향에 따라 운동부하력이 발걸이 또는 무릎걸이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운동시초에 시발을 돕기 위한 시초운동가력기구를 의자체의 유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사이에 마련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하는 사람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도록 발과 무릎, 무릎과 고관절부위 및 발과 고관절부위 사이의 거리에 상응되게 다리지지수단으로서 발걸이와 무릎걸이수단사이의 거리, 무릎걸이수단과 좌판사이의 거리 및 발걸이와 좌판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거리조절기구를 채택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체 중 등판프레임에 상체의 굴곡 또는 신전운동을 위한 상체굴신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상복부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 전, 후에 운동하는 사람이 손쉽게 착석 또는 이석할 수 있게 공간확보를 위하여 무릎걸이수단을 일시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무릎걸이유동기구를 마련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인 운동장치에 병설하거나 분리, 독립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운동부하력을 운동을 행하는 사람의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운동부하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로우프나 와이어 등의 길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다양한 운동방향으로 활배운동, 배근운동 등의 몸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한 반복신축운동장치를 채택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목적을 달성하고자, 좌판, 등판, 지각, 이들 관련 프레임등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구성되어 의자체를 이루고,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지지수단이나 무릎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유동가능한 무릎걸이수단에 운동부하수단을 연결설치하되, 필요시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을 운동시 고정 또는 유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의자체의 좌판, 등판 또는 그 일부도 운동시 고정 또는 유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시에 시초운동가력기구, 거리조절기구, 상체굴신운동기구, 무릎걸이유동기구, 반복신축운동장치 등을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구성한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의자체의 골조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일부생략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의자체의 골조에 좌판, 등판 및 머리받침을 설치한 상태로서 작동관계를 예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채택되는 운동부하수단과 시초운동가력기구를 중심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일부생략발췌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시초운동가력기구의 구조와 설치 및 작동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거리조절기구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5도는 일부단면작동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일부생략부분확대도.
제7도는 보조거리조절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단면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상체굴신운동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단면작동상태도.
제9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반복신축운동장치의 일례를 중심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9도는 일부생략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일부생략종단면도.
제11도는 방향전환로울러를 중심으로 나타낸 설치상태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작동상태종단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반복신축운동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로우프길이조절기구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3도는 일부생략평면도.
제14도는 작동상태평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반복신축운동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로우프길이조절기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5도는 일부절결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부분확대종단면도.
제17도 및 제18도는 반복신축운동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로우프길이조절기구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7도는 종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요부횡단면도.
제19도 내지 제2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로서.
제19도는 의자체의 골조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일부생략사시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제19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의자체의 골조에 좌판, 등판 및 머리받침을 설치한 상태로서 작동관계를 각각 예시한 측면도.
제22도 및 제23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무릎걸이유동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2도는 부하전달기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측단면도.
제23도는 고정연결대와 다리지지대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중심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24도 내지 제27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반복신축운동장치의 다른 일례로서.
제24도는 일부생략평면도.
제25도는 일부절단상태로서 작동관계와 함께 나타낸 측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 있어서, 발걸이부위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확대종단면도.
제27도는 제25도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작동상태와 함께 나타낸 일부 절단부분확대도.
제28도 내지 제32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반복신축운동장치의 다른 일례로서.
제28도는 일부생략하고 부분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일부절결평면도.
제30도는 변위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확대일부종단면도.
제31도는 좌판을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확대일부종단면도.
제32도는 부하조절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확대일부종단면도.
제33도 내지 제35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반복신축운동장치의 또 다른 일례로,
제33도는 일부생략종단면도.
제34도는 일부생략횡단면도.
제35도는 부하조절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생략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리지지수단 2 : 무릎걸이수단
3 : 운동부하수단 4 : 시초운동가력기구
5 : 상체굴신운동기구 6 : 무릎걸이유동기구
10 : 발걸이 20 : 무릎걸이
30 : 부하전달기구 34 : 부하기구
100 : 의자체 102 : 좌판
104, 126 : 등판 106, 108 : 지각
110 : 좌판프레임 112 : 등판프레임
200 : 거리조절기구 300 : 반복신축운동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여러 실시예 별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운동장치에 있어서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 지지수단이 운동시에 고정상태인가 아니면 유동가능상태인가에 따라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한 실시예와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로 구분이 이루어지고, 도 9 내지 도 18 및 도 24 내지 도 35의 경우엔 전술한 실시예에 병설하여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반복신축운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본 발명의 경우 좌판(102), 등판(104,126), 지각(106,108), 이들 관련 프레임(110,112)등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구성되어 의자체(100)를 이루고,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지지수단(1)이나 무릎걸이수단(2)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무릎걸이(20)를 포함하는 유동가능한 무릎걸이수단(2)에 운동부하수단(3)을 연결 설치하되, 필요시 발걸이(10)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1)을 운동시 고정 또는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의자체(100)의 좌판(102), 등팡(104,126) 또는 그 일부도 운동시 고정 또는 유동가능하게 구성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발걸이(10)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1)은 운동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의자체(100)의 일부로서 좌판(102) 및 등판(104,126)을 포함하는 유동프레임은 운동시 유동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지지수단(1)은 발걸이(10)를 고정함체(114)의 선단에 설치된 양측 세로대(116,116) 상부에 고정설치한 형태로 구성되고, 의자체(100)는 전, 후방 지각(106,108)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양측 가로대(118,118)와, 후방 지각(108,108) 사이로서 고정대(122) 전방이면서 고정함체(114)의 후방에 힌지 고정되는 등판프레임(112)과, 등판프레임(112)의 양측 고정대(124,124)사이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보조 등판프레임(128)과, 보조 등판프레임(128)의 전방에 힌지 고정되고 전, 후방 로울러(130,132)가 가로대(118)상에서 활주하도록 설치된 좌판프레임(110)이 상호 결합구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무릎걸이수단(2)은 고정부재(24) 하부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무릎걸이(20,20)와, 양측 세로대(116,116)사이 고정대(26)에 연결설치되고 선단부위는 힌지 고정설치되는 고정연결대(22)의 결합형태로 유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운동부하수단(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시 발걸이(10)에 발을 거치시키고 무릎걸이(20)를 이용하여 무릎으로 고정연결대(22)의 선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무릎걸이(20)를 상향 전진시키는 경우, 의자체(100)에 있어서 좌판(102) 및 등판(104)을 포함하는 유동프레임에 전달되는 체중이 무릎걸이수단(2)과 전방 지각(106,106)사이 고정대(120)에 설치된 공전로울러(32)를 경우, 좌판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는 로우프형태의 부하전달기구(30)에 의하여 좌판(102) 및 등판(104,126)이 전진하면서 운동부하력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10)과 전방 지각(106,106)사이 고정대(120) 또는 후방 지각(108,108)사이 고정대(122)에 탄성부재형태인 별도의 부하기구(34)를 설치하여, 무릎걸이(20)의 승, 하강과 좌판(102) 및 등판(104,126)의 전, 후진상태가 연동되면서 운동부하력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운동부하수단(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중이나 다른 특정형태의 부하기구(34)이외에도, 미도시하였으나 유, 공압실린더형태, 스프링이나 중량추 등 적절한 수단을 용도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운동부하수단(3)은 체중이나 기타 부하기구(34)에 있어서 소정의 부하전달기구(30)를 경유하여 무릎걸이수단(2)과 연결구성하거나, 좌판프레임(110)과 같은 의자체(100)의 유동프레임과 전, 후방 지각(106,108)사이 고정대(120,122)와 같은 고정프레임사이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무릎걸이수단(2)과 직접 연결설치하여 활용할 수도 있겠다.
또한, 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부하기구(34)의 설치위치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체(100)의 유동프레임으로서 좌판프레임(110)에 일측을 고정설치하고, 다른 일측은 고정프레임으로서 전방지각(106,106)사이 고정대(120)의 결합공(134)이나, 아니면 후방 지각(108,108)사이 고정대(122)의 결합공(136)에 끼워 고정하여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신전운동이나 굴곡운동시에 운동부하력이 발걸이(10) 또는 무릎걸이(20)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기구(34)를 복수개 마련하여 그 설치수효에 따라 운동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겠다. 또한, 미도시하였으나 원하는 운동부하력에 맞추어 기존 형태의 다양한 부하기구를 선택적으로 설치, 활용할 수 있으며, 부하기구 자체에 운동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갖추어져 있는 경우엔 그러한 기능을 활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시초운동가력기구(4), 신체구조상 발, 무릎 및 고관절사이 길이가 서로 다른 개인차에 따라 여기에 맞추어 운동장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거리조절기구(200), 상 복부근육운동을 위한 상체굴신운동기구(5), 착석 또는 이석시 공간확보를 위한 무릎걸이유동기구(6) 및 손과 발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하는 사람의 의지에 따라 운동부하력을 조절하면서 활배근, 배근 등의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반복신축운동장치(3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시초운동가력기구(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체(100)의 유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데, 예를 들면 의자체(100)의 유동프레임 중 어느 일측으로서 등판프레임(112)의 일측에 설치하는 경우 그 형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112)의 고정대(138)에 일측이 고정설치되는 외부케이싱(40)의 내측에 스프링(41)으로 탄지설치되고, 케이싱(40)의 통공과 고정대(138)의 통공을 경유 일측 끝단에 완충재(42)가 설치된 작동봉(4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봉(43)의 외측으로서 케이싱(40)의 스프링(41) 내측에 일측이 스프링(41)에 걸려 탄지상태로 움직이게 되는 작동자(44)가 케이싱(40)의 전면 개공을 거쳐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봉(43)의 일측에 스토퍼(45)를 설치하고, 작동자(44)의 대응 일측에 고정홈(46)을 설치하며, 작동봉(43)의 다른 일측엔 조절노브(47)를 결합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초기에 무릎걸이(20)가 상승되고 등판(104)부위가 2점쇄선 상태에서 무릎걸이(20)가 하강하고, 등판(104)부위가 후진한 실선상태로 변위하게 되면 등판프레임(104)에 설치된 운동초기 가력기구(4)의 작동봉(43)에 있어서 완충재(42)가 후방 지각(108,108)사이 고정대(122)에 부딪히면서 작동봉(43)은 정지하지만 등판프레임(112)의 고정대(138)에 고정된 케이싱(40)은 스프링(41)에 탄지된 상태로 등판파레임(112)과 함께 후진하게 되고, 다시 무플걸이(20)의 상승동작과 함께 등판프레임(112)의 전진동작시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력을 얻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물론 이때 조절노브(47)를 돌려서 스토퍼(45)가 고정홈(46)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작동봉(43)이 작동자(44)와 분리되어 스프링(41)의 탄지작동으로부터해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가력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운동초기 가력기구(4)는 스프링체나 기타 탄성체 등 적절한 요소의 사용이 가능하고, 그 설치위치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의자체(100)의 유동프레임으로서 등판프레임(112)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미도시하였으나 의자체(100)의 고정프레임으로서 후방 지각(108,108)사이 고정대(122)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의자체(100)의 유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사이로서 서로 대응작동이 가능한 부위이면 적절한 부위에 설치, 활용할 수 있겠다.
다음은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를 참조하여 거리조절기구(200)에 대해 살펴보면, 이는 신체적으로 발과 무릎사이, 무릎과 고관절부위 및 발과 고관절부위사이의 길이가 서로 다른 개인차에 따라 이에 상응되게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사이의 거리와, 무릎걸이(20)와 좌판(102)사이의 거리 및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걸이(10)와 좌판(102)사이 및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사이에서 서로 연동되게 와이어나 로우프와 같은 연결체로 연결하고, 연결체의 소정부위는 유동매체를 경유하도록 하여, 발걸이(10)와 좌판(102)사이의 거리와,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사이의 거리가 소정비율로 변동되고 상기 발걸이(10), 좌판(102), 무릎걸이(20) 및 연결체의 연동부위 중 어느 일측에 정지부재를 설치하여 소정의 거리조절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즉, 무릎걸이(20)가 설치되는 고정연결대(22)는 신축가능하되 내측부재(202)가 내부 압축스프링(206)에 탄지되도록 외측부재(204)에 끼워 설치하고, 고정연결대(22)의 다른 일측은 양측에 발걸이(10)가 설치되고 고정함체(114)의 선단에 힌지고정된 세로대(116,116)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대(26)에 힌지고정되며, 세로대(116,116)의 중간 고정대(208)엔 고정함체(114)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212)이 마련되며 일측이 인장스프링(214)에 의하여 탄지되는 슬라이더(210)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링크(220)가 링크연결되고, 고정함체(114)의 상부엔 상기 슬라이더(210)의 고정공(212)과 로크되거나 로크해제하기 위한 정지부재로서 조절노브(216)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연결체로서 와이어(218)가 내측부재(202)로부터 고정연결대(22) 선단, 조절링크(220) 및 슬라이더(210)의 일측에 있어서 유동매체로서 여러 로울러(242,244,246)를 거쳐 고정함체(114)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예를 보여준다. 이때 필요시엔 좌판위치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보조거리조절기구(230)로서 무릎걸이수단(2)과 좌판프레임(110)사이에 부하전달기구(30)로서 사용되는 로우프의 일측 끝에 설치하되, 좌판프레임(110)의 저부에 고정된 슬라이더 함체(222)에 끼워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226)이 형성된 슬라이더(224)와 고정설치하며, 고정공(226)과 로크되거나 로크해제 하기 위한 조절노브(228)를 슬라이더함체(222)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형태의 것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절노브(228)는 외측케이싱(232) 내측에 스프링(234)에 탄지되는 로크핀(236)을 설치하고 로크핀(236)의 타단은 작동캠(238)과 고정설치된 손잡이(240)에 핀 고정되어, 손잡이(240)를 움직임에 따라 작동캠(238)과 외측케이싱(232)이 압접되면서 로크핀(236)의 선단부가 고정공(226)과 로크 또는 로크해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노브(228)는 전술된 조절노브(216)와 후술되는 각종 조절노브(352,390,69,460,500)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별도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하여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조절노브(216)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면, 압축스프링(20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연결대(22)의 외측부재(204)는 내측부재(202)로부터 서서히 빠져 나오되 와이어(218)에 의하여 슬라이더(210) 및 조절링크(220)는 세로대(116,116)가 하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진 회동하게 되며, 적절한 위치에서 조절노브(228)에 의해 로크상태로 조절하면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206)이 인장스프링(214)보다 큰 탄성력을 갖도록 해야만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24)의 이동거리에 따라 외측부재(204) 역시 이동하게 되며, 발걸이(10)가 설치된 고정대(26)는 상대적으로 크게 하향 전진하게 되므로 그만큼 무릎걸이(2)도 전진하게 되어 무릎걸이(2)와 좌판(102)사이의 거리도 초기보다 더욱 멀어지게 된다. 즉,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 및 무릎걸이(10)와 좌판(102) 상호간의 거리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사이 거리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엔 전술한 방식과 반대로 조절노브(216)를 로크해제시키고 무릎걸이(20)를 눌러 외측부재(204) 내측으로 내측부재(202)를 밀어 넣으면서 인장스프링(214)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210)가 후진하도록 하여, 적정위치에서 조절노브(216)를 로크시키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릎걸이(20)와 좌판(102)사이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엔 도 7에 도시한 보조거리조절기구(230)를 활용하여 행할 수 있는 데, 조절노브(228)에 의한 로크해제상태에서 부하전달기구(30)인 로우프에 연결된 슬라이더(224)를 이동시킨 다음 조절노브(228)의 로크방식으로 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체굴신운동기구(5)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는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112)의 상단에 베게나 보조등판 역할의 상판(50)이 설치되는 별도의 상부프레임(51) 하부를 힌지고정하고, 상부프레임(51)의 중간부엔 등판프레임(112)과의 사이에 별도의 운동부하기구(52)를 설치한 것으로서, 필요시 상부프레임(51)에 손잡이(53)를 별도로 고정설치할 수 있고, 운동부하기구(52)의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54)를 경유 스프링(55)에 탄지되는 가동연결대(56)를 상부프레임(51)의 중간부에 설치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미도시하였으나 통상의 부하기구, 예를 들면 탄성체, 중량추, 유, 공압실린더 등 적절한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겠다. 그리하여 운동시에 머리부분은 상판(50)에 거치시키고 손잡이(53)를 이용하여 손을 잡은 상태에서 상체 중 상부를 상부프레임(51)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방방향으로 움직였다. 복귀상태로 위치시키는 반복적 굴신운동에 의하여 상 복부근육의 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2,5,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반복신축운동장치(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 있는 운동장치에 함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독자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형태인데,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302)를 사용하되 소정위치에 설치된 방향전환로울러(304,304)를 경유하는 로우프(302)의 양측에 손잡이 또는 발걸이형태의 파지구(310,310)를 설치하고, 파지구(310,310)를 이용하여 어느 한쪽을 잡아당기면 로우프(302)의 다른 한쪽은 로우프(302)의 길이가 감소하고, 반대로 감소된 로우프(302)에 설치된 파지구(310)를 잡아 당기면 로우프(302)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길이가 증가했던 로우프(302)는 그 길이가 감소하는 신, 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되, 운동하는 사람의 의지에 따라 일측의 로우프(302)에 가해지는 수의적 운동부하력의 조절형태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보여준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예의 경우엔 로우프(302)가 고정프레임(312)에 양측 방향전환로울러(304,304)를 경유하고 양측 끝단엔 파지구(310,310)가 설치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로우프(302)의 연동부위엔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와 부하조절기구(32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양측 방향전환로울러(304,304)는 도 11 및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12)상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케이싱(314)의 내측에 로울러본체(316)가 좌, 우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하조절기구(320)의 일종으로 채택되는 부하조절로울러(322)는 고정프레임(312)의 중앙부에 중심축(324)을 중심으로 축설되어지되, 베어링(326), 로울러본체(328), 제동디스크(330) 및 스프링(332) 순으로 끼우고 제동디스크(330)에 대한 스프링(332)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캡너트(334)를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조절캡너트(334)의 위치에 따라 로울러본체(328)에 가해지는 운동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는 로우프(302)와의 연동부위에 설치되는데, 이는 고정함체(114) 내부에 고정설치된 가이더(342) 내측에 다수의 고정공(344)이 설치된 T형 슬라이더(346)가 끼워지고, 슬라이더(346) 선단부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로울러(348,348)가 축설되며, 슬라이더(346)의 후부엔 복귀스프링(350)이 설치되고, 가이더(342)의 하부로서 고정합체(114) 저부엔 상기 고정공(344)과 상응하는 위치에 조절노브(352)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조절노브(352)의 로크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파지구(310,310)를 동시에 잡아당기면 슬라이더(346)가 전진하면서 로우프(302)의 길이가 신장되고, 반대로 파지구(310,310)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350)에 의하여 슬라이더(346)가 후진하면서 로우프(302)의 길이가 감소되게 되므로, 적정위치에서 조절노브(352)를 이용 로크상태로 고정시키면 적절하게 로우프(3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전술한 바 있는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의 변형례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 변형례 또한 로우프(302)와의 연동부위에 설치, 활용할 수 있는 것인데, 로우프(302)의 연동부위로서 양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로울러(354,356)를 설치하고, 중앙에 중심축(358)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되 회동단속이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대(360)의 양측에 가이드로울러(362,364)를 설치하여, 로우프(302)가 도 13과 같이 이들 로울러(354,362,364,356)순으로 경유하도록 한 상태에서 화살표방향으로 고정대(360)를 회전시키는 위치에 따라 한바퀴 회전시키면 도 14와 같이 로우프(302)의 감겨진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전술한 바 있는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의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것으로서, 로우프(302)의 연동부위로서 파지구(310) 전체를 내, 외측부재(366,368)가 내부에 로우프 수용공간(370)을 가지면서 서로 슬라이드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부재(368)의 일측엔 개공(372)을 형성하며, 로우프(302)를 개공(372)을 경유 내측부재(366)의 어느 일측에 로우프(302)의 끝단을 고정한 형태인데, 외측부재(368)를 잡고 내측부재(366)를 돌리면 로우프(302)가 개공(372)을 경유 로우프 수용공간(370)에 감겨지고, 반대로 외측부재(368)를 잡고 외측에서 로우프(302)를 당기면 내측부재(366)가 회전하면서 풀리게 되어 로우프(3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하여 운동시엔 내, 외측부재(366,368)를 잡고 모두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상태, 즉 로우프(302)가 풀리지 않는 상태에서 운동을 행하면 된다.
도 17 및 도 18은 전술한 바 있는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의 또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것으로서, 일측에 개공(374)이 마련된 케이싱(376)의 내측으로서 스파이럴스프링(378)의 드럼(380)에 로우프(302)의 홀더(382)를 결합하고 중심축(384)에서 고정단부(386)를 갖는 드럼(380)이 회동되게 결합구성하며, 스파이럴스프링(378)의 일측은 중심축(386)에 고정하고 다른 일측은 드럼(380)에 고정하며 케이싱(376)의 외측엔 파지구(310)를 설치하되, 로우프(302)는 개공(374)을 경유 끝단을 로우프(302)의 연동부위로서 홀더(382)의 일측에 고정결합하고, 고정단부(386)엔 다수의 고정공(388)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388)과 대응되게 케이싱(376)의 일측에 조절노브(39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로우프(302)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조절노브(390)를 로크상태에서 해제하고 외부로부터 로우프(302)를 당기거나 이완시키면 스파이럴스프링(378)의 탄성력에 의하여 홀더(382)에 감겨진 로우프(302)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로우프(302)의 길이를 위치시키고 조절노브(390)를 이용 로크상태로 위치시키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파지구(310)를 이용하여 운동을 행하면 된다.
전술한 도 15 및 도 16과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변형예의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예나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와 대체, 활용할 수 있고, 후술되는 도 24, 도 29 및 도 34에 도시한 다양한 운동기구의 예에 있어서 파지구와 대체, 병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반복신축운동기구의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체(100)의 저부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도 있겠으나, 등판프레임(112)의 후부 등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고, 양팔을 이용한 활배운동, 배근운동, 양발을 이용한 하체운동등 몸체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례로서 발걸이(10)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1)이 운동시 유동상태이고 의자체(100)의 일부로서 좌판(102) 및 등팡(104,126)을 포함하는 유동프레임은 운동시 유동가능하게 구성한 예인데, 무릎걸이유동기구(6)가 채택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병형례에 있어서, 다리지지수단(1)은 등판 프레임(112)의 끝단과 힌지결합되고 전방 지각(106,106)사이 고정대(120)에 설치된 활주로울러(140) 상부에서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다리지지대(12)와, 다리지지대(12)의 선단부에 위치한 고정연결대(22)에 고정설치된 발걸이(10)의 결합형태로 구성되고, 의자체(100)는 전, 후방 지각(106,108)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경사지지대(146)를 갖는 양측 가로대(118,118)와, 후방지각(108,108)의 사이 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힌지고정되고 끝단이 다리지지대(12)와 힌지고정되는 등판프레임(112)과, 일측은 등판프레임(11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고 다른 일측 저부엔 활주로울러(144)가 축설되어 경사지지대(146)상에서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활주지지대(148)와, 등판프레임(112)의 중간부 내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연결된 보조 등판프레임(128)과, 보조 등판프레임(128)과 힌지연결되고 저부에 전, 후방로울러(130,132)가 설치되어 활주지지대(148) 상부에서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좌판프레임(110)의 결합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릎걸이수단(2)은 다리지지대(12)와 힌지고정된 고정연결대(22)와 끝단 부위에 설치된 무릎걸이(20)의 결합형태로 구성되고, 운동부하수단(3)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릎걸이(20)를 이용, 무릎으로 고정연결대(22)의 선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무릎걸이(20)를 상향시키는 경우, 등판프레임(112)으로부터 공전로울러를 경유 무릎걸이(20)부위에 연결설치되는 로우프형태의 부하전달기구(30)에 의하여 등판(104)의 각도변위와 좌판(102)이 전진하면서 체중이 운동부하력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고, 등판프레임(112)의 하부끝단 또는 다리지지대(12)의 선단과 전방 지각(106,106)사이 하부고정대에 탄성부재형태인 별도의 부하기구(34)를 설치하여 운동부하력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변형례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하기구(34)의 형태나 수효 또는 그 설치위치는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그리하여 도 1 내지 도 3 및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운동장치를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운동시엔 좌판(102) 및 등판(104)을 이용,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발걸이(10)와 무릎걸이(20)를 이용, 발과 무릎을 거치하고 운동을 행하게되면, 무릎걸이(20)의 승, 하강과 의자체(100)의 일부로서 좌판(102) 및 등판(104)이 전, 후진 기복하면서 상, 하체를 움직여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몸통의 굴신(屈伸)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발걸이를 포함한 다리지지수단이 없고, 좌판 또는 등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무릎걸이를 포함하여 유동가능한 무릎걸이수단에 운동부하수단이 연결설치된 경우에도 무릎걸이수단만을 이용하여 하체와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몸퉁의 굴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변형례에 있어서 적용하고 있는 무릎걸이유동기구(6)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는 운동 전, 후에 운동하는 사람이 운동장치의 좌판(102)에 착석하거나 이석하는 경우 무릎걸이(20)가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일시적으로 유동시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 들면 로우프형태의 부하전달기구(30)를 길게 신장시켜 무릎걸이(20)를 상승시켰다가 다시 부하전달기구(30)의 길이를 축소시켜 무릎걸이(20)를 하강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부하전달기구(30)와 무릎걸이(20)의 연결상태를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무릎걸이(20)를 상승시켰다가 운동시엔 다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고, 별도로 무릎걸이(20)부위를 측방으로 회전, 변위시키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이를테면 도 20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연결대(22)와 다리지지대(12)사이에 스프링(60)을 개재시켜 항상 무릎걸이(20)가 상승위치에 있도록 하되, 부하전달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하지 아니하고 일측 끝단을 무릎걸이(20)부위와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거치 후 도 16과 같이 무릎걸이(20)를 강제로 하강시키고 등판(104)을 후방으로 각도변환시킬 수 있게 부하전달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기구(61)를 병설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부하전달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기구(61)의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112)의 후부에 설치되는 함체(62)의 내부에 스프링(63)에 의하여 일측이 탄지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65)이 뚫려지며 다른 일측엔 공전로울러(66)가 설치되는 슬라이더(64)가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고, 함체(62)의 내부로서 상부엔 공전로울러(67) 및 개방구(68)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64)의 고정공(65)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함체(62) 외측엔 조절노브(69)가 설치되고, 등판프레임(112)의 저부 및 후방 지각(108)의 후부엔 공전로울러(150,152)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로우프형태의 부하전달기구(30)는 무릎걸이(20)로부터 전방 지각(106)사이의 공전로울러(32), 상기 공전로울러(150,152)를 경유하여 함체(62)의 내부 끝단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도 22에 도시한 상태에서 조절노브(69)를 로크해제시키면 슬라이더(64)가 상승하면서 부하전달기구(30)가 풀리게 되고, 결국 무릎걸이(20)는 스프링(63)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며 운동을 행하는 사람은 쉽게 좌판(102)에 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무릎걸이(20)를 손을 이용하여 강제로 적정위치까지 하강시키면 부하전달기구(30)는 함체(62) 내부스프링(63)에 의하여 슬라이더(64)는 하강하면서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조절노브(69)를 로크상태로 유지시키면 운동준비가 아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겠다.
도 24 내지 도 27, 도 28 내지 도 32 및 도 33 내지 도 35는 전술한 바 있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반복신축운동장치에 대한 각각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4 내지 도 27과 도 28 내지 도 32의 경우엔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를 사용하되 방향전환 및 가이드목적으로 활용되는 로울러(392,392)를 교차, 경유하는 로우프(302,302)의 일측에 손잡이(308,308)를, 그리고 다른 일측엔 발걸이(306,306)를 설치하여 손잡이(308,308)와 발걸이(306,306)가 운동방향이 교차하도록 하고, 발걸이(306,306)가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원주회전반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한 예는, 로우프(302)를 이용하여 로울러(392)를 거쳐 발걸이(306,306)상호간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로우프(302,302)를 이용하여 로울러(392,392)를 거쳐 발걸이(306,306)와 손잡이(308,308)가 교차연결하여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발걸이(306,306)의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지지체(394) 양측 내부에 슬라이더(396)구조를 채택하여 발걸이(306)의 내측에 슬라이더(396) 내부를 타고 움직이게 설치되고, 선단부엔 3중 로울러형태의 로울러(392,392,392)가 축설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시 로울러(392,392,392)의 설치부위의 대향측엔 고정부재(398)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체(394)가 설치되는 세로고정대(402)엔 상부개방홈(404)과 다수의 높이조절용 하부고정홈(406)이 마련되고, 세로고정대(402)의 저부엔 고정용 판체(408)가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세로고정대(402)의 후부엔 상, 하부부재(410)(420)가 핀 결합된 고정기구(39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부부재(410)는 본체(412)의 상부에 스프링(414)에 탄지된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부개방홈(404) 내부에 일측이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상부고정자(416)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하부부재(420)는 상부는 연장형성되어 손잡이(422)가 설치되고 하부엔 고정핀(424)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홈(406)중 적정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끼워 설치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상이나 기타 적절한 장소로서, 상, 하부에 고정가로대(426)(428)가 설치된 부위에 고정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세로고정대(402)의 저부에 고정용 판체(408)설치방향에 맞추어 결합하고 하부 고정가로대(428)에 세로고정대(408)를 안착시키며, 고정기구(398)의 상부고정자(416)가 상부 고정가로대(426)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고정핀(424)을 하부고정홈(406) 중 적정위치의 곳에 끼우고, 2점 쇄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22)를 전진시키면 상, 하부부재(410)(420)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버티는 힘과 스프링(414)의 탄지력에 의하여 세로고정대(402)는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체(394)와 세로고정대(402)를 힌지결합하고 지지체(394)와 세로고정대(402)사이에 변위기구(430)를 설치하여 지지체(394)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변위기구(430)의 경우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고정대(402) 상부에 힌지고정되는 조절링크(432)가 지지체(394)의 내부에서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더(434)의 전단부를 핀 결합상태에서 경유하고 지지체(394)의 상, 하부개방홈(436)과 저부를 타고 움직일 수 있게 슬라이드로울러(438)가 설치된 상태로 마련되고, 슬라이더(434)는 후부에 다수의 고정공(442)이 형성되며, 고정공(442)의대응위치로서 지지체(394)의 상부에 조절노브(440)가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도 25와 같이 지지체(394)를 변위기구(430)를 이용하여 수평상태에서 상향 변위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조절노브(440)를 로크해제상태에서 지지체(394)를 전방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향 변위시키면 조절링크(432)는 슬라이더(434)와 함께 후진하게 되고, 적정위치에서 조절노브(440)를 로크시키면 그 위치상태에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한 예는 기대(444)상에 고정설치된 고정대(446)의 양측에 중심축(448)을 중심으로 양측에 회전판체(450,450)를 각각 축설하고, 발걸이(306,306)를 원주회전반복운동이 가능하게 회전판체(450,450)의 소정위치에 설치하며, 회전판체(450,450)의 사이로서 고정대(446)의 일측엔 선단부에 2중 로울러형태의 로울러(392,392)가 축설되는 지지체(394)를 고정설치하고, 기대(444)의 후부에 좌판(460)을 설치하여 이루어져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302,302)가 발걸이(306,306)로부터 로울러(392,392)를 경유하면서 끝단에 손잡이(308,308)가 각각 설치된 형태를 보여준다.
이때 필요시엔, 좌판(460)은 좌판프레임(452)이 스프링(454)에 탄지된 상태로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중심축(45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슬라이더(458)와 조절노브(460)의 결합구성에 의하여 기대(444)상에서 전, 후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좌판(460)은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반복신축운동장치에 기대(444)와 함께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로우프(302)와의 연동부위로서 회전판체(450,450)의 내측에 마찰디스크(462,462)를 고정설치하고 고정대(446)의 상부에 고정봉(464)을 세워 설치하며, 고정봉(464)의 상부엔 스프링(466)에 탄지된 브레이크 슈우(468) 1쌍을 마찰디스크(462,462)의 외주연에 위치하도록 가로대(470)를 끼워 설치하고, 가로대(470)의 상부에서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캡너트(472)를 고정봉(464)의 상부나사부(465)에 체결한 형태의 일종의 부하조절기구(320)를 채택,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캡너트(472)를 조이면 가로대(470)가 하강하면서 스프링(466,466)을 동시에 가압하고 스프링(466,466)의 가압력이 브레이크 슈우(468,468)가 마찰디스크(462,462)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되어 회전판체(450,450)가 회전하는데 보다 큰 운동부하력을 갖게되고 결국 발걸이(306,306)에 의한 운동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고정대(446)와 기대(444)를 힌지결합하고 이들 고정대(446)와 기대(444)사이에 별도의 변위기구(430)를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설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변위기구(430)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446)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는 조절링크(432)가 기대(444) 내부에서 수평이동되는 슬라이더(434)의 전단부와 힌지고정되고, 슬라이더(434)엔 다수의 고정공(442)이 형성되며, 고정공(442)의 대응위치로서 기대(444)의 측방엔 조절노브(440)가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도 28, 29와 같이 고정대(446)를 변위기구(430)를 이용하여 변위시키고자 하면, 조절노브(440)를 로크해제상태에서 고정대(446)를 전방으로 하향 변위시키면 조절링크(432)는 슬라이더(434)와 함께 후진하게 되고 적정위치에서 조절노브(440)를 로크시키면 그 위치상태에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한 운동장치의 경우 로우프(302)만을 활용하는 경우엔 양측 발걸이(306,306)를 이용한 발의 반복운동이 가능하고, 로우프(302,302)를 이용하는 경우엔 발걸이(306,306) 및 손잡이(308,308)에 의한 교차반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한 운동장치의 경우 발걸이(306,306) 및 손잡이(308,308)에 의한 회전교차반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좌판(460)을 병용하는 경우 상체의 좌, 우 방향 내지 회전운동이 병행되어 활배운동, 배근운동 등의 몸체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3 내지 도 35은 전술한 반복신축운동기구의 변형례로서,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302)를 사용하고, 길이의 가감변동이나 비축목적으로 활용되는 로울러형태인 홀더(474)와 스파이럴스프링형태인 부하기구(480)의 드럼(482)을 결합하고, 드럼(482)은 중심축(484)에서 회동되게 결합구성하며, 홀더(474)의 일측엔 로우프(302)의 일측을 고정하고 로우프(302)의 다른 일측은 외측케이싱(478)의 개공(476)을 경유, 손잡이 또는 발걸이형태의 파지구(310)를 연결설치하며, 부하기구(480)의 일측은 드럼(482)에 고정하고 다른 일측은 부하조절기구(490)의 일측에 고정하여 파지구(310)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고 이완시킴에 따라 로우프(302)가 풀렸다 감기면서 부하기구의 운동부하력이 파지구(302)에 전달될 수 있게 이루어진 형태를 보여준다.
이때, 부하조절기구(490)는 드럼(482)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하부 일측엔 스파이럴스프링(48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엔 걸림단부(486)가 형성된 조절판(488)과, 일측에 통공(492)이 형성되고 중심축(484)의 중간부에 고정된 피니언(494)과 연동되도록 내치형태의 랙기어(496)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더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고리형 슬라이더(498)와, 외측케이싱(478)에 형성된 장공(479)과 통공(492)을 경유 걸림단부(486)에 로크핀(502)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노브(500)의 결합구성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단부(486)는 방사상의 다수의 장공 또는 장홈형태나 기타 로크핀(502)이 로크 또는 로크해제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측케이싱(478)의 개공(476)과 대향측에 고정설치된 고정구(504)는 필요에 따라 설치, 활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외측케이싱(478)이나 고정구(504)를 이용, 예를 들면 의자체(100)의 방향전환로울러(304)의 설치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기타의 적정한 소정위치에 거치시키고 조절노브(500)를 도 28과 같이 로크핀(502)이 걸림단부(486)에 로크시킨 상태에서 파지구(310)를 이용하여 로우프(302)를 잡아당기면, 홀더(474) 및 드럼(482)은 중심축(484)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스파이럴스프링(480)의 일측은 드럼(482)의 내측에 그리고 다른 일측은 조절판(488)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조절판(488)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스파이럴스프링(480)의 탄성력이 그대로 로우프(302)에 전달되어 운동부하력을 갖게된다. 이때, 중심축(484)을 피니언(494)과 함께 회전시키면 고리형 슬라이더(498)에 로크핀(502)이 끼워진 상태에 있는 조절노브(500)는 슬라이더(498)와 함께 중심축(484)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그 움직인 위치에 따라 스파이럴스프링(480)이 고정된 조절판(488)의 위치와 로크핀(502)이 잡아주는 걸림단부(486)위치 사이의 거리차가 변동하고, 이에 따라 스파이럴스프링(480)이 가지고 있는 자체 탄성력의 변화현상으로 나타나게되므로 로우프(302)에 가해지는 운동 부하력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또한, 운동하는 조건에 따라 개공(476)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 로우프(302)의 길이를 조절하고자하는 경우엔 조절노브(500)의 로크핀(502)을 상승시켜 조절판(488)의 걸림단부(486)와 로크핀(502)의 로크상태를 해제시키면 되는데, 그렇게 하면 조절판(488)이나 드럼(482)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로우프(302)를 적당한 길이만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되며, 다시 조절노브(500)로 조절판(488)의 걸림단부(486)를 로크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다수 형성된 방사상의 걸림단부(486)를 적정위치의 것에 로크시키면 된다. 물론 로우프(302)를 밀어 넣는 경우 홀더(474)에 원활하게 감기도록 하고자 드럼 또는 홀더(474)와 단속적으로 연동되도록 별도의 단속스프링이나 기타 적절한 통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활용할 수도 있겠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운동장치는 무릎걸이수단에 운동부하수단을 연결설치하되, 필요시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이 운동시에 고정되거나 유동가능하게 구성됨에 관계없이 좌판, 등판 또는 그 일부도 의자체가 운동시에 고정 또는 유동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상체 및 하체는 물론, 상, 하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몸통부위를 중심으로 신체의 각 부위에 걸쳐 폭넓게 다양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동부하수단으로서 운동시 유동프레임에 전달되는 체중이나 별도의 각종 부하기구를 활용할 수 있고,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상, 하체의 굴신운동방향에 따라 운동부하력이 발걸이 또는 무릎걸이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시초운동가력기구에 의하여 운동이 시발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거리조절기구를 채택하는 경우 운동하는 사람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도록 발과 무릎, 무릎과 고관절부위 및 발과 고관절사이의 거리에 상응되게 다리지지수단으로서 발걸이와 무릎걸이수단사이의 거리, 무릎걸이수단과 신체지지수단으로서 좌판사이의 거리 및 발걸이와 좌판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체굴신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상복부운동이 가능하고, 무릎걸이유동기구에 의하여 운동하는 사람이 손쉽게 착석 또는 이석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을 갖게된다.
특히, 다양한 반복신축운동장치를 채택하는 경우 운동장치에 병설하거나 분리, 독립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운동부하력을 운동이 행하는 사람의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운동부하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로우프나 와이어 등의 길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다양한 운동방향으로 활배운동, 배근운동 등의 몸체운동을 행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게된다.

Claims (16)

  1. 좌판, 등판, 지각, 이들 관련 프레임 등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구성되어 의자체를 이루고,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지지수단이나 무릎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유동가능한 무릎걸이수단에 운동부하수단을 연결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걸이를 포함하는 다리지지수단을 운동시 고정 또는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의자체의 좌판, 등판 또는 그 일부도 운동시 고정 또는 유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운동부하수단이 운동시 유동프레임에 전달되는 체중이나 별도의 부하기구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활용되어지되, 부하전달기구에 의하여 무릎걸이수단과 연결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운동부하수단을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신전운동이나 굴곡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운동부하력이 발걸이 또는 무릎걸이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자체의 유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사이로서 대응작동이 가능한 부위에 시초운동가력기구를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체적으로 발과 무릎사이, 무릎과 고관절부위사이 및 발과 고관절부위사이의 길이가 서로 다른 개인차에 따라 이에 상응되게 발걸이와 무릎걸이사이의 거리와, 무릎걸이와 좌판사이의 거리 및 발걸이와 좌판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기구를 부가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거리조절기구가 발걸이와 좌판사이 및 발걸이와 무릎걸이사이에서 서로 연동되게 와이어나 로우프 등과 같은 연결체로 연결하고, 연결체의 소정부위는 유동매체를 경유하도록 하여 발걸이와 좌판사이의 거리와 발걸이와 무릎걸이사이의 거리가 소정비율로 변동되고, 상기 발걸이, 좌판, 무릎걸이 및 연결체의 연동부위 중 어느 일측에 정지부재를 설치하여 소정의 거리조절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자체의 등판프레임에 상체의 굴곡 또는 신전운동을 위한 상체굴신운동기구를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자체의 프레임에 반복신축운동장치를 부가설치하되, 반복신축운동장치가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를 사용하고 소정위치에 설치된 방향전환로울러를 경유하는 상기 로우프의 양측에 손잡이 또는 발걸이형태의 파지구를 설치하고, 파지구를 이용하여 어느 한쪽을 잡아당기면 로우프의 다른 한쪽은 로우프의 길이가 감소하고, 반대로 감소된 로우프에 설치된 파지구를 잡아당기면 로우프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길이가 증가했던 로우프는 그 길이가 감소하는 신, 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되, 운동하는 사람의 의지에 따라 일측의 로우프에 가해지는 수의적 운동부하력의 조절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자체나 무릎걸이수단에 착석 또는 이석시 공간확보를 위한 무릎걸이유동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1.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를 사용하되 소정위치에 설치하여 방향전환, 길이의 가감변동 또는 비축목적으로 활용되는 각종 로울러를 경유하는 이들 로우프의 양측에 손잡이 또는 발걸이형태의 파지구를 설치하고, 파지구를 이용하여 어느 한쪽을 잡아당기면 로우프의 다른 한쪽은 로우프의 길이가 감소하고, 반대로 감소된 로우프에 설치된 파지구를 잡아당기면 로우프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길이가 증가했던 로우프는 그 길이가 감소하는 신, 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되, 운동하는 사람의 의지에 따라 일측의 로우프에 가해지는 수의적 운동부하력의 조절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신축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지지체에 설치되고 방향전환 및 가이드목적으로 활용되는 로울러를 교차, 경유하는 로우프의 일측에 손잡이를, 그리고 다른 일측엔 발걸이를 설치하여 손잡이와 발걸이가 운동방향이 교차하도록 하고, 발걸이가 직선왕복운동 또는 원주회전반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별도로 마련된 좌판(460)이 전, 후, 좌, 우 방향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운동운동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로우프와의 연동부위에 부하조절기구(320)를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신축운동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부하전달기구로서 로우프를 사용하고, 길이의 가감변동이나 비축목적으로 활용되는 로울러형태인 홀더와 스파이럴스프링형태인 부하기구(480)의 드럼을 결합하고, 드럼은 중심축에서 회동되게 결합구성하며, 홀더의 일측엔 로우프의 일측을 고정하고 로우프의 다른 일측은 외측케이싱의 개공을 경유, 손잡이 또는 파지구형태의 파지구와 연결설치하며, 부하기구(480)의 일측은 드럼에 고정하고 다른 일측은 부하조절기구(490)의 일측에 고정하여, 파지구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고 이완시킴에 따라 로우프가 풀렸다 감기면서 부하기구(480)의 운동부하력이 파지구에 전달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신축운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부하조절기구(490)는 드럼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부엔 걸림단부가 형성된 조절판과,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중심축의 중간부에 고정된 피니언과 연동되도록 내치형태의 랙기어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더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고리형 슬라이더와, 외측케이싱에 형성된 장공과 통공을 경유 걸림단부에 로크핀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노브(500)의 결합구성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신축운동장치.
  16. 제11항, 제12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우프(302)의 연동부위에 로우프길이조절기구(340)를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신축운동장치.
KR1019980009565A 1997-04-02 1998-03-20 운동장치 KR10027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565A KR100274582B1 (ko) 1998-03-20 1998-03-20 운동장치
AU68555/98A AU6855598A (en) 1997-04-02 1998-04-02 Exercise device
PCT/KR1998/000079 WO1998043707A1 (en) 1997-04-02 1998-04-02 Exercise device
US09/402,300 US6537185B1 (en) 1997-04-02 1998-04-02 Exercis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565A KR100274582B1 (ko) 1998-03-20 1998-03-20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392A KR19990075392A (ko) 1999-10-15
KR100274582B1 true KR100274582B1 (ko) 2000-12-15

Family

ID=1953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565A KR100274582B1 (ko) 1997-04-02 1998-03-20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77B1 (ko) * 2007-08-16 2009-02-19 최윤석 고관절 운동성을 이용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KR200494900Y1 (ko) * 2020-08-14 2022-01-20 김숙 척추와 하체를 동시에 단련할 수 있는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392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1585B1 (en) Exercise device
US6537185B1 (en) Exercise device
US7963890B2 (en) Exercise machine with pivoting user support and multiple cam linkage
US20060258517A1 (en) Chair type exercise apparatus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US20140171274A1 (en) Reformer exercise apparatus arm cord retraction assembly
US5911650A (en) Ice skating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12259454A1 (en) Exercise machine
US10780312B2 (en) Bed exercise apparatus
AU2015202320A1 (en) Cord retraction assembly
WO2015003471A1 (zh) 可折叠、可变轨的上下肢协调运动训练椅
US6676574B1 (en) Shift position selector for a pad on an exercise machine
US20110136634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53049A (ko)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0274582B1 (ko) 운동장치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KR100220625B1 (ko) 체중을 이용한 복근 운동장치
JP2006239395A (ja) 筋力訓練機
KR100582108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0301673B1 (ko) 운동장치
JP3506455B2 (ja) 運動装置
KR940006939B1 (ko) 실내용 운동장치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CN215741634U (zh) 一种烧伤整形外科护理用肢体康复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