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651B1 -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651B1
KR100219651B1 KR1019970038923A KR19970038923A KR100219651B1 KR 100219651 B1 KR100219651 B1 KR 100219651B1 KR 1019970038923 A KR1019970038923 A KR 1019970038923A KR 19970038923 A KR19970038923 A KR 19970038923A KR 100219651 B1 KR100219651 B1 KR 10021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rack
pivo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393A (ko
Inventor
안형진
손병삼
곽노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6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트레이의 하우징 내외로의 이동과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광픽업의 이송이 하나의 구동모터 및 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디스크트레이 및 광픽업으로 전달하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지니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크플레이어
본 발명은 디스크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크트레이의 로딩 및 광픽업의 이송구조가 개선된 디스크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외로 디스크를 운반하도록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디스크트레이에 의해 운반된 디스크가 놓여지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 상의 디스크를 그 턴테이블과 함께 클램핑하도록 턴테이블 측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 척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내에는 또한, 상기 클램핑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하여 그 디스크로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이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트레이를 하우징 내외로 출입시키기 위한 모터와, 광픽업을 이송시키기 위한 모터가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체적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으며, 중량의 감소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트레이의 이동 및 광픽업의 이송구조를 개선하여 소형화, 경량화 및 원가절감에 이바지할 수 있는 디스크플레이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상부를 절제하여 그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도 5에 도시된 구동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제1기어 및 제2기어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트레인을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데크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 부위를 Y 방향에서 본 개략적 측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왕복이동부재 부위를 Z 방향에서 본 개략적 측면도,
도 9 내지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디스크트레이가 로딩되고 광픽업이 이송되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16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디스크의 클램핑을 위하여 척이 하강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내측면도,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회동부재가 제2회동위치를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슬릿에 결합되는 상태를 차례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우징 10...데크
11...가이드레일 15...턴테이블
20...디스크트레이 211...제1랙부
212...제2랙부 30...광픽업
31...압압부재 40...랙부재
40a...슬릿 48...스프링
50...구동모터 60...제1기어
70...제2기어 90...기어부재
91...기어부 100...슬라이딩부재
101...제1클러칭랙부 102...제2클러칭랙부
105...경사캠부 109...제1연결랙부
110...회동부재 114...돌기부
119...인장코일스프링 130...척
140...척지지체 141...제1가이드부
142...제2가이드부 150...왕복이동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 피니언이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피니언에 기어연결된 제1기어 및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외로 출입되면서 그 하우징 내외로 디스크를 운반하는 디스크트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디스크트레이에 의해 그 하우징 내로 운반된 디스크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광픽업; 상기 광픽업에 결합된 랙부재; 상기 하우징에 제1회동위치와 제2회동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회동부재;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삽입이동에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기어에 기어연결되며, 그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일방향으로 계속이동되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와 제1기어간의 기어연결을 해제시킨 후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제1회동위치로부터 제2회동위치로 회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랙부재와 함께 개구부를 가지는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2회동위치로 회동되는 동안에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는 상기 슬릿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랙부재가 그 회동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제2기어 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제2기어에 기어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2회동위치로 회동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슬릿과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랙부재에 설치되는 압압부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2회동위치를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외력에 의해 눌려서, 상기 랙부재가 상기 제2기어와의 기어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슬릿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기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A1) 및 돌출되는 방향(A2)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트레이(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트레이(20)는 트레이본체(21)와, 디스크지지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지지부재(22)는 하우징(1) 내외로 운반될 디스크(5)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본체(21)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본체(21)에 대해 상승되어 있도록 스프링(25)들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트레이본체(21)의 저면에는 제1랙부(211)와 제2랙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랙부(211)는 디스크트레이(2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랙부(212)는 제1랙부(211)와는 다른 높이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크(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트레이(20)에 의해 그 하우징(1) 내로 운반되는 디스크가 놓여질 턴테이블(15)과, 턴테이블(15) 상의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하여 그 디스크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30)이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15)은 데크(10)에 설치된 스핀들모터(16)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그 스핀들모터(1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광픽업(30)은 턴테이블(15) 측으로 접근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데크(10)에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는, 광픽업(30)은 턴테이블(15)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광픽업(30)에는 그 광픽업(30)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랙부를 가지는 랙부재(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랙부재(40)에는 경사면(31a)을 가지는 압압부재(3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31)는 랙부재(40)와 함께 상기 광픽업(30)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슬릿(40a)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40a)은 광픽업(30)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40b; 도 18참조)를 가진다. 압압부재(31)는 광픽업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슬릿(40a)의 개구부의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압압부재(31)는 스프링(48)에 의해서 상기 슬릿(40a)의 개구부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하우징(1) 내에는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0)와, 이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60) 및 제2기어(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기어(60)와 제2기어(70)는 각각 대기어부(61,71)와 소기어부(62,72)를 가지고 있다. 구동모터(50)는 데크(10)에 고정된 브라켓(19)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 구동모터(5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51)이 고정되어 있다. 이 피니언(51)에는 중계기어(55)의 대기어부(55a)와 상기 제2기어(70)의 대기어부(71)가 맞물려 있으며, 상기 중계기어(55)의 소기어부(55b)에는 제1기어(60)의 대기어부(71)가 맞물려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기어(60)의 소기어부(62)는 상기 디스크트레이(20)의 제1랙부(211)에 맞물려 있다. 상기 제2기어(70)의 소기어부(7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랙부재(40)와 기어결합되지 않게 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랙부재(40)와 기어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랙부(211)와 제1기어(60)는 디스크트레이(20)를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이구동수단에 포함되며, 상기 제2랙부(212)와 제2기어(70)는 광픽업(30)을 이송시키기 위한 광픽업이송수단에 포함된다.
디스크플레이어에는 상기 구동모터(50)의 동력을 상기 트레이구동수단과 광픽업이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기어부재(90)와, 상기 디스크트레이(20)의 제2랙부(212)와, 슬라이딩부재(100)와, 회동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부재(90)는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기어부(91)를 가지며 데크(10)에 피봇(9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부재(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회전위치와 상기 제1회전위치로부터 소정각도 회전된 제2회전위치(도 15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기어부재(90)가 상기 제1회전위치에 위치될 때 기어부(91)는 디스크트레이(20)의 하우징(1) 내로의 삽입에 따른 상기 제2랙부(212)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 내로 삽입되는 도중에 제2랙부(212)는 기어부재(90)의 기어부(91)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1회전위치에 위치한 기어부재(90)는, 그 기어부재(90)의 하면에 형성된 스토퍼돌기(92)가 후술하는 회동부재(110)의 기어치(111)에 간섭됨으로써, 도 3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위치에 위치된 기어부재(90)가 상기 제2회전위치 측으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그 기어부재(9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수단으로서, 양단이 데크(10)의 결합부(13)와 기어부재(90)의 결합부(93)에 각각 결합된 인장코일스프링(119)이 마련되어 있다. 기어부재(90)가 상기 제2회전위치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인장코일스프링(119)은 그 기어부재(90)에 상기 제1회전위치 측으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19)은, 기어부재(90)가 상기 제1회전위치로부터 제2회전위치로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기어부재(90)의 결합부(93)가 그 기어부재(90)의 회전중심(95)과 데크(10)의 결합부(13)를 잇는 가상의 직선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그 기어부재(90)를 상기 제1회전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기어부재(90)의 결합부(93)가 상기 가상의 직선을 지나게 되면 기어부재(90)를 상기 제2회전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데크(10)에 디스크트레이(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100)에는 상기 기어부재(90)가 상기 제2회전위치 측으로 회전될 때 그 기어부재(90)의 기어부(91)에 기어결합 가능한 제1클러칭랙부(101)와, 그 슬라이딩부재(100)가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기어(60)에 결합 가능한 소정길이의 제2클러칭랙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100)의 내측면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캠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캠부(105)는 턴테이블(15)의 회전중심선 즉 스핀들모터(16)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100)는 또한, 데크(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유동 및 상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데크의 측벽 내면에 접촉되는 내벽부(106)와 데크의 측벽 외면에 접촉되는 외벽부(107; 도 6참조)와 데크의 측벽에 그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18; 도 6참조)에 결합되는 후크부(108)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부재(100)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강체취출을 위한 압압부(100a)가 마련되어 있다. 압압부(100a)는 상기 하우징(1) 전체를 감싸서 보호하는 케이싱(미도시)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그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회동부재(110)는 데크(10)에 피봇(115)을 중심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회동위치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회동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기어치(111,112)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분과, 아암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암부(113)의 자유단부에는 돌기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10)가 상기 제1회동위치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는 상기 압압부재(31)와 랙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40a)에 끼워져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부재(110)는, 상기 기어치(112)와 기어부재(90)와의 간섭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 즉 제2회동위치로의 회동이 방지되며, 데크에 형성된 스토퍼부(미도시)에 의해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왕복이동부재(150)가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왕복이동부재(150)도, 슬라이딩부재(100)와 마찬가지로, 데크의 측벽 내면에 접촉되는 내벽부(156)와 데크의 측벽 외면에 접촉되는 외벽부(157)와 데크의 측벽에 그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18)에 결합되는 후크부(15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왕복이동부재(150)의 내측면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경사캠부(105)와 대응되는 경사캠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왕복이동부재(150)는,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왕복이동시에 그 슬라이딩부재(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왕복이동된다. 이 연동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부재(100)의 상면에 그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연결랙부(109)와, 왕복이동부재(150)의 상면에 상기 제1연결랙부(109)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연결랙부(159)와, 상기 데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기어(170)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기어(170)는 그 양단의 연결기어부(171)를 통해서 상기 제1연결랙부(109) 및 제2연결랙부(159)와 동시에 맞물린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경사캠부(105) 및 왕복이동부재(150)의 경사캠부(155)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척지지체(140)의 제2가이드부(142)가 각각 결합되게 된다.
상기 척지지체(140)는, 턴테이블(15)과 함께 디스크를 클램핑하기 위한 척(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2가이드부(142) 외에 제1가이드부(141)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1가이드부(141)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1)들에 각각 결합되게 된다. 척(130)은 상기 클러치수단에 포함되는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11)들과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경사캠부(105)와 상기 왕복이동부재(150)와 연동수단과 척지지체(140)를 포함하는 척이동수단에 의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 측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트레이(20)의 이동 및 광픽업(30)의 이송과정에 대해 도 3 및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5에 있어서는 설명시 불필요한 부재나 부위는 대부분 생략되고 설명에 필요한 주요부재나 부위들만이 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50)가 작동하게 되면 피니언(51)과 중계기어(55)를 통해 제1기어(6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기어(60)의 소기어부와 맞물린 제1랙부(211)를 통해서 디스크트레이(20)가 화살표(A1) 방향으로 하우징(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50)의 회전시에 피니언(51)과 맞물린 제2기어(70)도 상기 제1기어(60)와 함께 회전된다. 그러나, 제2기어가 회전되더라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랙부재(40)가 제2기어(70)와 기어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랙부재(40)에 결합된 광픽업(30)은 디스크트레이(20)가 삽입되는 도중에 계속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50)에 의해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디스크트레이(20)의 제2랙부(212)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재(90)의 기어부(91)와 결합되기 시작한다. 그 후, 디스크트레이(20)는, 제1랙부(211)와 제1기어(60)의 소기어부(62)와의 기어결합에 의해 계속 하우징(1)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랙부(212) 및 그 제2랙부(212)에 기어결합된 기어부(91)를 통해 기어부재(90)를 상기 제2회전위치 측으로 즉 화살표(R1)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기어부재(90)가 상기 제2회전위치 측으로 회전되는 도중에 그 기어부재(90)의 기어부(9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제1클러칭랙부(101)와 맞물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트레이(20)가 계속 화살표(A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100)는 제2랙부(212)와 기어부(91)와의 기어결합 및 기어부(91)와 제1클러칭랙부(101)와의 기어결합을 통해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즉,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00)가 이동되는 도중에 그 슬라이드부재(100)의 제2클러칭랙부(10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60)의 소기어부(62)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00)의 제2클러칭랙부(102)가 제1기어(60)에 맞물린 후, 슬라이딩부재(100)는 상기 구동모터(50; 도 9참조)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60)에 의해 계속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00)가 제1기어(60)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에, 상기 기어부재(90)는 기어부(91)와 슬라이딩부재(100)의 제1클러칭랙부(101)와의 결합을 통해 화살표(R1) 방향으로 계속 회전된다. 이처럼 슬라이딩부재(100)에 의해 계속 회전되는 기어부재(90)는, 기어결합된 기어부(91)와 제2랙부(212)를 통해서, 디스크트레이(20)를 화살표(A1)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의 제1랙부(211)와 제1기어(60)와의 기어결합이 해제되고, 디스크트레이(20)는 제2랙부(212)와 기어부(91)와의 기어결합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삽입된 후 그 위치에서 정지함으로써 디스크트레이(20)의 삽입이동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0)의 하우징(1) 내로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구동모터(50; 도 9참조)는 계속 작동하여 상기 제1기어를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픽업(30)은 그 구동모터(50)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20)가 제1기어(60)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클러칭랙부(101)와 기어부(91)와의 기어결합을 통해서 기어부재(90)가 화살표(R1)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부재(90)가 회전되는 도중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어부재(90)의 기어부(91) 중 그 회전방향(R1)으로의 맨앞의 기어치가 회동부재(110)의 기어치(112)에 접촉되게 된다. 이어서, 기어부재(90)의 기어부(91)는 회동부재(110)의 기어치들(111,112)과 기어결합되면서, 회동부재(110)를 화살표(R2) 방향으로 즉 상기 제2회동위치 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부재(110)가 화살표(R2)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압압부재(31)와 랙부재(40) 사이의 슬릿(40a)에 결합되어 있는 돌기부(11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부재(40)를 압압하여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70)에 기어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랙부재(40)가 제2기어(70)에 연결되면, 그 제2기어(70)와 랙부재(40)와의 기어결합에 의해 광픽업(30)은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광픽업(30)이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에, 광픽업(30)에 결합된 압압부재(31)는 그 압압부재(31)와 랙부재(4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돌기부(114)를 압압하여 회동부재(110)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동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동부재(110)가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상태로 압압부재(31)에 의해 압압되는 동안에, 기어부(91)와 회동부재(110)의 기어치들(111,112) 간의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90)가 회전되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그 기어부재(90)가 제2회전위치까지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재(100)는 제1클러칭랙부(101)와 상기 기어부재(90)의 기어부와의 기어결합을 통해 화살표(B; 도 14참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클러칭랙부(102)와 제1기어(60)와의 기어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기어(60)가 회전되더라도, 슬라이딩부재(100)는 그 제1기어(60)와의 기어결합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19)은 기어부재(90)가 다시 제1회전위치 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기어부(91)와 제1클러칭랙부(101)를 통해 기어부재(90)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100)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인장코일스프링(119)에 의해 기어부재(90) 및 슬라이딩부재(100)에 탄성력이 가해짐으로써, 디스크플레이어에 진동 등의 원치않는 외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그 기어부재(90)와 슬라이딩부재(100)는 유동이 억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10)가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회동위치로 압압부재(31)에 의해 압압되는 동안에, 압압부재(31)와 랙부재(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던 돌기부(114)는 그 압압부재(31)와 랙부재(4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구부를 통해서 그 슬릿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어(70)가 계속 회전될 때 광픽업(30)은 돌기부(114)에 간섭되지 않고 도 1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5)에 접근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하여 광픽업(30)이 슬라이딩되어야 할 이동범위가 도 15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와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 사이에 있도록 설정해 두면, 광픽업(30)이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슬라이딩되는 동안에는 디스크트레이(20)나 슬라이딩부재(100) 등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100)가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되는 동안에 왕복이동부재(150)도,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제1연결랙부(109)와 그 왕복이동부재(150)의 제2연결랙부(159)에 동시에 기어결합된 연결기어(170)를 통해, 슬라이딩부재(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0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슬라이딩부재(100)의 경사캠부(105)의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캠부(105)에 제2가이드부(142)가 결합되고 상기 데크(10)의 가이드레일(11)에 제1가이드부(141)가 결합되어 있는 척지지체(1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41)가 가이드레일(11)에 가이드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강하는 동안 척지지체(140)는 상기 하우징(1) 내로 삽입 완료된 디스크트레이(20)의 디스크지지부재(22)를 트레이본체(21)에 대해 하강시키게 된다. 디스크지지부재(22)가 하강되는 도중에 그 디스크지지부재(22)에 놓여져서 지지되어 있던 디스크(5)는 턴테이블(15) 상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하강된 척지지체(140)에 지지되어 있는 척(130)에 의해 상면이 눌리게 됨으로써 그 디스크(5)의 클램핑이 완료된다.
클램핑된 디스크(5)는 스핀들모터(16)에 의해 턴테이블(15)이 회전할 때 그 턴테이블(15)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5)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광픽업(30)은 디스크(5)의 하방에서 디스크(5)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된 디스크(5)를 꺼내기 위하여 디스크트레이(20)를 돌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50)를 역방향으로 계속회전시켜서 상기 제1기어(60)와 제2기어(70)를 상기 디스크트레이(20)의 삽입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2기어(70)에 의해 랙부재(40)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되면서 돌기부(114)를 압압하여 회동부재(110)를 제1회동위치 측으로 즉 화살표(R2)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재(100)는 제2클러칭랙부(102)를 통해서 제1기어(60)와 기어결합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110)가 도 1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되는 동안 돌기부(114)는 랙부재(40)와 압압부재(31) 사이로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1기어(60)와 기어결합된 슬라이딩부재(100)는 그 제1기어(60)에 의해 하우징(1)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부재(110)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부재(110)가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회동되는 동안 그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는 상기 압압부재(31)를 압압하면서 광픽업(30)에 결합된 랙부재(40)를 제2기어(7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그 후, 상기 디스크트레이(20)의 삽입과정과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서 디스크트레이(20)가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 내에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트레이(20)를, 예를 들어 구동모터(50)의 고장이나 정전 등에 의해 구동모터(5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강제로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뾰족한 공구(T)를 사용하여 슬라이딩부재(100)의 압압부(100a)를 눌러서 그 슬라이딩부재(100)를 화살표(T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딩부재(100)가 이동되면서 그 슬라이딩부재(100)의 제2클러칭랙부(102)를 통해서 제1기어(60)와 이 제1기어(60)에 맞물린 중계기어(55)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그 중계기어(55)에 맞물린 피니언(51)과 제2기어(7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00)의 제1클러칭랙부(101)를 통해서 기어부재(90)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되는 기어부재(90)의 기어부(92)가 디스크트레이(20)의 제2랙부(212)에 결합되면서 그 디스크트레이(20)를 이동시켜서 그 디스크트레이(20)의 제1랙부(211)를 제1기어(60)에 연결시킨다. 제1기어(60)에 기어 연결된 디스크트레이(20)는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에 따른 제1기어(60)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강제취출과정에서, 상기 피니언(51)을 통해 회전되는 제2기어(70)에 의해 랙부재(40) 및 그 랙부재(40)가 결합된 광픽업(30)이 화살표(C)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클러칭랙부(101)를 통해 회전되는 기어부재(90)에 의해 회동부재(110)가 도 15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즉 제1회동위치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랙부재(40)의 이동 및 회동부재(110)의 회전은 거의 동시에 행해지게 되는데, 광픽업(30) 및 랙부재(40)가 도 15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강제취출이 행해지게 되면, 그 강제취출이 행해지는 과정에서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가 랙부재(40)와 압압부재(31) 사이로 끼워지면서 랙부재(40)의 이동 및 회동부재(110)의 회전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랙부재(40)가 도 1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1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강제취출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2기어(70)의 회전에 의해 광픽업(30) 및 랙부재(40)가 도 15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도 17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되는 동안에 회동부재(110)는 기어부재(90)의 회전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제2회동위치(도 17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도 17에 실선으로 도시된 제1회동위치로 회동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00)의 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랙부재(40)가 계속이동되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재(31)의 경사면(31a)이 상기 제1회동위치로 회동되어 있는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에 접촉되고 그 후, 압압부재(31)는 경사면(31a)을 통해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에 의해 눌리면서 도 1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릿(40a)의 개구부(40b)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압부재(31)가 눌리는 과정에서 스프링(48)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는 슬릿(40a)의 확장된 개구부를 통해 진입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돌기부(114)가 슬릿(40a) 내로 어느정도 진입되면 압압부재(31)가 다시 상기 스프링(48)의 복원력에 의해, 도 19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됨과 동시에 랙부재(40)가 이동되면서 상기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를 슬릿(40a)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처럼, 압압부재(31)를 그 압압부재(31)와 랙부재(40)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40)의 개구부의 폭을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스프링(48)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폭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킴으로써, 회동부재(110)가 제2회동위치를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강제취출이 행해지더라도,압압부재(31)가 그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에 의해 압압되어 이동되면서 회동부재(110)의 돌기부(114)가 상기 슬릿(40a) 내로 진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는, 하우징(1) 내외로의 디스크트레이(20)의 출입과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광픽업(30)의 이송이 하나의 구동모터(50) 및 그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디스크트레이(20) 및 광픽업(30)으로 전달하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는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지니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는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이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는 턴테이블(15)이 위치고정되고 척(130)이 하강하여 디스크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척이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턴테이블이 하우징 내에서 상승함으로써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구조를 채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디스크트레이와 광픽업의 구동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트레이의 하우징 내외로의 이동과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광픽업의 이송이 하나의 구동모터 및 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디스크트레이 및 광픽업으로 전달하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지니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Claims (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 피니언이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피니언에 기어연결된 제1기어 및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외로 출입되면서 그 하우징 내외로 디스크를 운반하는 디스크트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디스크트레이에 의해 그 하우징 내로 운반된 디스크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광픽업;
    상기 광픽업에 결합된 랙부재;
    상기 하우징에 제1회동위치와 제2회동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회동부재;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삽입이동에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기어에 기어연결되며, 그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일방향으로 계속이동되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와 제1기어간의 기어연결을 해제시킨 후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제1회동위치로부터 제2회동위치로 회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랙부재와 함께 개구부를 가지는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2회동위치로 회동되는 동안에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는 상기 슬릿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랙부재가 그 회동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제2기어 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제2기어에 기어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2회동위치로 회동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슬릿과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랙부재에 설치되는 압압부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2회동위치를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외력에 의해 눌려서, 상기 랙부재가 상기 제2기어와의 기어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슬릿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기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랙부재에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기결합수단은 상기 압압부재를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부에 의해 압압되어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슬릿 내로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
KR1019970038923A 1997-08-14 1997-08-14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1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923A KR100219651B1 (ko) 1997-08-14 1997-08-14 디스크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923A KR100219651B1 (ko) 1997-08-14 1997-08-14 디스크 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93A KR19990016393A (ko) 1999-03-05
KR100219651B1 true KR100219651B1 (ko) 1999-09-01

Family

ID=1951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923A KR100219651B1 (ko) 1997-08-14 1997-08-14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6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93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901A (en) Disc player
US4701900A (en) Disc players fitted for automatic change of discs
US6947357B2 (en) Changer-type disk device
KR100238302B1 (ko) 디스크플레이어
EP0347812B1 (en) Disc drive apparatus
WO1995008172A1 (fr) Procede d'assemblage d'une unite de disques et d'un engrenage de transmission d'entrainement de chariot de tete
JP2005228465A (ja) 光ディスクプレイヤ
JPH073740B2 (ja) 情報再生装置
KR100219651B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4283770B2 (ja) ディスク装置
US5822290A (en) Disk player having ascending/descending structure for a deck
JP2005044442A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30085724A (ko)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US646802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vable body
KR890004235B1 (ko) 녹음내용에 따른 복수의 외부출력축을 가진 간이음향 재생기
EP0822549A1 (en) Disk player
JPH0113474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6522615B2 (en) Disk player
JPH10208347A (ja) 記録再生装置のシャッタ駆動装置
JP362035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5044444A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41754B2 (ja) 再生装置
JPH0650855Y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348764Y2 (ko)
KR200196587Y1 (ko) 디스크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