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248B1 -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 Google Patents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48B1
KR100217248B1 KR1019960041257A KR19960041257A KR100217248B1 KR 100217248 B1 KR100217248 B1 KR 100217248B1 KR 1019960041257 A KR1019960041257 A KR 1019960041257A KR 19960041257 A KR19960041257 A KR 19960041257A KR 100217248 B1 KR100217248 B1 KR 100217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noise
gap
starting motor
commu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172A (ko
Inventor
박형보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4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24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동전동기에 설치되는 브러시에서 작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여 최소화할 수 있는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는 브러시홀더(17,19)에 간극을 가지고 브러시(16,18)가 삽입되며, 상기 브러시홀더(17,19)와 상기 브러시(16,18) 사이의 간극을 0.1mm 내지 0.25mm의 범위 내로 구성하여 요동하는 브러쉬(16,18)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본 발명은 기동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동전동기에 설치되는 브러시에서 작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동전동기(starting motor)는 자동차 엔진의 시동용 모터로서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와 플라이휠 링기어가 맞물려 기동전동기의 회전력을 크랭크축에 전달한다.
기동전동기는 계자와 전기자로 이루어지고 그 계자코일과 전기자코일이 브러시에 각각 접속되고 브러시는 브러시홀더에 간극을 가지고 삽입 장착됨과 동시에 브러시스프링에 의해 정류자(commutator bar)에 미끄럼 접촉되어 있어 축전지의 전류가 흐르면 전기자와 함께 정류자가 회전하게 되어 기동전동기는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동전동기는 작동시에 정류자의 회전에 따라 그와 미끄럼 접촉되어 있는 브러시가 브러시홀더 내에서 요동하게 되는데 그 간극을 고려하여 설계하지를 않았기 때문에 브러시에서 크게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에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러시홀더와 브러시 사이의 간극을 최적화하므로써 브러시의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동전동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브러시와 브러시홀더 사이의 간극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브러시와 브러시홀더 사이의 간극 변화에 따른 브러시의 소음에 대한 음압을 데시벨(dB)로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계자 12 : 계자코일
13 : 전기자 14 : 전기자코일
15 : 정류자 16, 18 : 브러시
17, 19 : 브러시홀더 G : 간극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러시홀더에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기동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 사이의 간극을 0.1mm 내지 0.25mm의 범위 내로 구성하여 요동하는 브러시의 소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동전동기의 일예로서 그 주요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동전동기는 크게 계자(11)와 전기자(13)로 이루어지고 계자(11)는 계자코일(12)을, 전기자(13)는 전기자코일(14)을 각각 가지고 있다.
전기자코일(14)의 일단부는 정류자(15)에 접속되어 일측 브러시(16)를 통해 계자코일(12)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계자코일(12)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축전지의 양극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전기자코일(14)의 타단부는 정류자(15)에 접속되어 타측 브러시(18)를 통해 축전지의 음극단자에 연결된다.
한편 각각의 브러시(16,18)는 브러시홀더(17,19)에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어 브러시스프링(도시 안함)에 의해 소정의 탄력을 받으며 정류자(15)에 미끄럼 접촉된다.
제2도는 하나의 브러시(16)와 브러시홀더(17) 사이의 간극(G)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브러시(16)가 정류자(15)에 미끄럼 접촉되어 있으며 화살표는 정류자(15)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브러시(16)와 브러시홀더(17) 사이의 간극(G)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른 브러시(16)의 소음에 대한 음압을 데시벨(dB)로 여러번 측정한 결과 최소의 음압 구간을 찾아낼 수 있었는데 이것을 제3도의 그래프에서 빗금친 부분으로 나타내었다.
제3도를 참조하면 간극(G)이 0.1mm 내지 0.25mm 범위 내에서 최소의 음압이 나타나며 간극 0.15mm에서 피크(peak)점인 69.5dB의 음압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다른 브러시(18)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간을 간극(G)의 설계 기준치로 하여 브러시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기동전동기를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축전지의 양극으로부터 계자코일(12)로 전류가 흘러 일측 브러시(16)를 거쳐 정류자(15)를 통해 전기자코일(14)로 흐르고 다시 정류자(15)를 통해 타측 브러시(18)를 거쳐 측전기의 음극으로 흐르게 되므로써 회로를 형성한다.
그러면 계자(11)의 자극 형성과 전기자(13)의 자화로 인해 흡인력과 반발력이 생겨 전기자(13)가 회전함과 동시에 그와 일체로 형성된 정류자(15)가 회전하게 되는데, 정류자(15)는 브러시(16,18)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 방향으로만 흐르게 한다.
브러시(16,18)는 정류자(15)에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전기자코일(14)에 흐르는 전류를 출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브러시스프링(도시 안함)은 브러시(16,18)를 정류자(15)에 압착시켜 브러시홀더(17,19)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간극(G)이 적용되어 있어서 브러시의 요동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브러시(16,18)의 소음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바에 의하여 명백히 알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에 따르면, 브러시홀더와 브러시 사이의 간극을 최적화하므로써 기동전동기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브러시의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러시홀더에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기동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홀더(17,19)와 상기 브러시(16,18) 사이의 간극을 0.1mm 내지 0.25mm의 범위 내로 구성하여 요동하는 브러시의 소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KR1019960041257A 1996-09-20 1996-09-20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KR100217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257A KR100217248B1 (ko) 1996-09-20 1996-09-20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257A KR100217248B1 (ko) 1996-09-20 1996-09-20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72A KR19980022172A (ko) 1998-07-06
KR100217248B1 true KR100217248B1 (ko) 1999-09-01

Family

ID=1947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257A KR100217248B1 (ko) 1996-09-20 1996-09-20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2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72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0194B2 (en) Motor having noise limiter circuit
WO2001008286A1 (fr) Moteur
GB2248348A (en) Supporting suppression elements on a brush holder
KR20060043579A (ko) 혼신억제장치를 구비한 전기모터
US20060125345A1 (en) Direct current motor
KR100389631B1 (ko) 진동모터
KR100217248B1 (ko)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JP2007288840A (ja) ブラシ付きモータ
JP2005229791A (ja) バータイプ振動モータ
US7038344B2 (en) Housing comprising at least one functional element of an electrical machine
CN110601488B (zh) 一种振动电机及电动牙刷
KR19980022171A (ko) 브러시 소음방지가능 기동전동기
JP2001057765A (ja) 直流モーター
JP3737765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CN216699688U (zh) 直流电机及冲牙器
GB2207292A (en) Electric motor
CN206595848U (zh) 振荡器的无摩擦电刷装置
JP2001037147A (ja) モータ用端子
JP2005045872A (ja) 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保持装置
JP2008178249A (ja) 直流モータ
KR19980050922U (ko) 직류 전동기의 브러시 조립체
JP3875249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KR20050081317A (ko) 바타입 진동모터
JPH076685Y2 (ja) 直流モータ
JP2022090708A (ja) スタ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