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623B1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623B1
KR100216623B1 KR1019960053552A KR19960053552A KR100216623B1 KR 100216623 B1 KR100216623 B1 KR 100216623B1 KR 1019960053552 A KR1019960053552 A KR 1019960053552A KR 19960053552 A KR19960053552 A KR 19960053552A KR 100216623 B1 KR100216623 B1 KR 10021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oil
nonsteroidal anti
hydrogel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269A (ko
Inventor
우종수
Original Assignee
정지석
한미약품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석, 한미약품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지석
Priority to KR101996005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6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규한 외용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더욱 발명은 (i) 활성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ii) 용매로서 10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양친매성 용매, (iii) 계면활성제 및 (iv) 오일로 구성된 에멀젼 예비농측물(A)과 (v) 겔화제및 (vi) 정제수로 구성된 하이드로겔(B)을 서로 혼합한 후, (vh) 알칼리화제로 매를 조정하여 제조되는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 약제 조성물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규한 외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 활성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ii) 용매로서 10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양친매성 용매, (iii) 계면활성제 및 (iv) 오일로 구성된 에멀젼 예비농측물(A)과 (v) 겔화제 및 (vi) 정제수로 구성된 하이드로겔(B)을 서로 혼합한 후,(vh) 알칼리화제로 pH 를 조정하여 제조되는 에멀젼 함유 외용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외용제제는 피부에 적용시 활성성분이 목적하는 피하조직(근육부위)까지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피부투과성을 가져 경구투여시와 같은 소염진통 효과를 나타내며, 활성성분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경구투여한 후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전신성 부작용 및 위장관에의 자극작용을 현저히 경감시킨 신규한 소염진통 외용제제이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중에서 가장 광범하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는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비 프로펜, 페노프로펜, 베녹사프로펜, 인도프로펜, 퍼프로펜, 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로노프로펜, 수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부티부펜, 펜부펜 등이 있으며, 이 약물들은 강력한 항염증작용 및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그의의 과검침화의 치료. 또 의사에 관계된 통증과 염증 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통 및 소염제로서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이런 약물들은 임상적으로 이용시에 일반적으로 정제, 캅셀제 등과 같은 고형제제로 경구투여되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통상 이러한 약제는 장기간에 걸쳐 투여되면 전신성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또한 특히 위장관을 자극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경구투여시의 부작용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최근에는 이들 약물을 경괴투여용 외용제제로 제형화시켜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현재까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경피투여용 외용제제는 일반적으로 겔제제 또는 연고제나 크림제 등이다(참조 : J03275619, J03291222, J56161323, US4534980).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외용제제를 사용하면 경구투여용 제제의 문제점인 전신성 부작용 및 위장관 자극작용을 경감시킬 수는 있지만, 외용제제로 부터 약물이 피부를 투과하여 목적하는 부위까지 도달하는 양이 매우 적어 목적하는 약효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낮은 경피투과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공고 제 96-428호(J07223942)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레 공중합체인 플루로닉(P1uronic)을 새로운 기제로 사용하고 저급알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시약을 사용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 겔제를 제조함으로써 약물의 경피투과량을 다소 개선시켰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이 제제도 목적하는 근육부위까지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도달시킬 수 있는 높은 경피투과울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을 뿐 아니라 피부에의 도프감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가 피부의 각질층을 통과하여 목적하는 부위, 즉 피하조직에 까지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의 경괴투과성을 가지며, 약리학적으로 유용하고 경구투여용 제제에 비해 부작용이 경감된 안정한 외용제제를 제공하고자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에멀젼이 하이드로겔에 분산되어 있는 새로운 제제 형태인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특정의 조성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를 제조하고, 이 제제가 우수한 경피투과성 및 뛰어난 안정성을 나타내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의 외용제제(-○-)와 대조약제로서 시판 되고 있는 케노펜 겔제(-●-)의 경피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함유하는 에멀젼이 하이드로겔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유성 하이드로겔 외용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10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양친매성 용매를 흡수촉진제(용매)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가 함유된 에멀젼이 하이드로겔에 분산되어 있는 외용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외용약제 조성물은 지금까지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제형인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로서, 양친매성 용매를 사용하여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오일상을 하이드로겔상에 미립자 상태로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서 친수성상에 비해 피부친화력이 우수한 오일의 잇점을 취할 수 있어서 기존의 친수성 겔제제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경피투과력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 활성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ii) 용매로서 10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양친매성 용매, (iii) 계면활성제 및 (iv) 오일로 구성된 에멀젼 예비농축물(A)과 (v) 겔화제 및 (vi) 정제수로 구성된 하이드로겔(B)을 서로 혼합한 후, (vh) 알칼리화제로 pH 를 조정하여 제조되는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외용약제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i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활성성분으로는 난용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들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증에서 특히 프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약물, 예를들면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비프로펜, 페노프로펜, 베녹사프로펜, 인도프로펜, 퍼프로펜, 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로노프로펜, 수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부티부펜, 펜부펜 등이 적합하며, 이들의 이성체(R 체, S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케토프로펜이 사용된다.
(ii) 용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제2의 필수성분은 용매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용매는 10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양친매성(친수성 및 친유성을 모두 갖는) 용매중에서 활성성분의 경피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활성성분에 대해서 제제화에 적합한 용해도를 제공할 뿐 아니라, 물성면에서 양친매성으로 친수성 성질과 친유성 성질을 모두 가지므로 공계면활성제(cosurfactant)로서 작용하여 제제의 유화에도 도움을 주어 활성성분이 하이드로겔중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휘발성이 강한 저급알콜과는 달리 비점이 100℃ 이상으로 높아 제형화하여 보존하는 중에도 경시변화가 없고 그의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조성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피부도포시 휘발성이 없으므로 일정한 조성을 유지하고 활성성분의 경피투과성을 증가시키는 2중의 효과를 가진 용매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는 용매로는 트랜스큐톨(transcuto1 ; 디에틸렌글리클 모노에틸에테르, 비점 =196℃), 디메틸이소소르비드(비점=234℃), N-메틸-2-피롤리돈(비점=202℃), 1, 2-프로필렌글리콜(비점=188℃)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비점=242℃)가 있으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경피투과도를 조절할 목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용매중에서 특히 바람직한것 은 N-메틸-2-피롤리돈과디메틸이소소르비드이다.
(iii)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로는 친유성 성분인 오일성분 및 용매를 하이드로겔에 안정하게 유화시켜 균일한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을 포함한 각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천연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폴리 알킬렌폴리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화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수 있으며, 이들 중에 대표적인 것은 상품명 라브라필(LabrafilGattefosse)르 시판되고 있는 천연 식물성 오일과 폴리옥시에릴렌글리콜의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 상품명 크레모포어(Cremophor;BASF)로 시판되고 있는 모노-및 트리-라우릴, 팔미틸, 스테아릴 및 올레일 에스테르, 상품명 스판(Span; ICI)으로 시판되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상품명 브리즈(Brij;BASF)로 시판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이다.
이러한 계면할성제 성분들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라브라필 M1944CS(행인유 PEG-6 에스테르)이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v) 오일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오일 성분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외용제제의 조성에 적합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선택될 수 있다. 즉, 예를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오일성분으로는 카프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중급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천연 식물성 오일, 예를들면 옥수수유(corn oil), 야자유(coconut oil), 면실유(cotton seed oil), 대두유(soybean oil), 채종유(rapeseed oil), 홍화유(safflower oil), 해바라기유(sunflower oil), 피마자유(castor oil) 또는 경질 유동파라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동물성 오일인 정제어유(fish oil)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오일 성분중의 두가지 이상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v) 겔화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겔화제로는 물과 접촉시에 겔을 형성할 수 있는 첨가제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HP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HPC),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즈(Na-CMC) 등과 같은 셀룰로즈 유도체, 카복시비닐 중합체(상품명: 카보폴(Carbopo1), BF Goodrich Chemical),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플루로닉(Pluronic), BAS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카복시비닐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vi) 정제수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정제수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등급의 물이 사용 된다.
(vii) 알칼리화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또한 pH 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알칼리화제가 첨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pH 값은 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 특히 활성성분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pH를 3 내지 9 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H 조절의 목적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화제에는 Na2HPO4, NaHCO3, Na2CO3, NaOH 등과 같은 무기 알칼리성 물질,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민류 등의 유기 알칼리성 물질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각 구성성분들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르 하여 일반적으로 (i) 활성성분 0.1∼10%,(ii) 용매 0.5∼50%,(iii) 계면활성제 0.4∼40%, (iv) 오일 0.4∼40%, (v) 겔화제 0.1∼5%, (vi) 정제수 0.1∼90% 및 (vii) 알칼리화제 0.01∼3.5% 의 비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i) 활성성분 1∼5%, (ii) 용매 1∼30%,(iii) 계면활성제 2∼25%, (iv) 오일 l∼25%,(v) 겔화제 0.1∼3%,(vi) 정제수 30∼90% 및 (vii) 알칼리화제 0.01∼2.5% 의 비로 포함된다. 사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외용제제는 바람직하게는 pH 값이 3∼9 범위인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외용약제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활성성분(i) 을 용매(ii)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계면활성제(iii) 및 오일(iv) 성분을 가하여 혼합시켜 에멀젼 예비농축액(A)를 제조한다. 또한 별도로 겔화제(v) 를 정제수(vi)에 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용해시켜 하이드로겔 (B)를 제조한다. 그후에 하이드로겔(B) 에 에멀젼 예비농축액(A)를 조금씩 가하면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에멀젼을 형성시킨 후 알칼리화제(vii)를 가하여 에멀젼을 원하는 바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에멀젼을 함유하는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에멀젼 예비농축액
게토프로펜 30mg
N-메틸-2-피롤리돈 100mg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01mg
라브라필 M 1944 CS 70lmg
카프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lmg
피마자유 70mg
(B) 하이드로겔
카보폴 940 20mg
정제수 645mg
(C) 트리에탄올아민 5mg
케토프로펜, N-메틸-2-피롤리돈,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라브라필 Nl 1944 CS, 카프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피마자유를 혼합하여 용해시켜 균질한 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카보폴 940 을 정제수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에멀젼 예비농측물과 하이드로겔을 혼합하여 균질하게 교반하면서 알칼리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을 가하여 pH 를 4∼5 로 조정하여 에멀젼이 함유된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의 유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용약제를 제조하였다.
(A) 에멀젼 예비농축액
케토프로펜 30lmg
N-메틸-2-피롤리돈 100mg
라브라필 M 1944 CS 70lmg
카프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mg
피마자유 70mg
라우릴 황산나트룸 2mg
(B) 하이드로겔
카보폴 940 20mg
정제수 663mg
(C) 트리에탄올아민 5mg
[실시예 3]
하기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용약제를 제조하였다.
(A) 에멀젼 예비농축액
케토프로펜 30mg
디메틸이소소르비 드 120mg
라브라필 M 1944 CS 70mg
카프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10mg
(B) 하이드로겔
카보폴 940 20mg
정제수 649mg
(C) 수산화나트륨 1mg
[실시예 4]
하기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용 약제를 제조하였다.
(A) 에멀전 예비농축액
이부프로펜 50mg
N-메틸-2-피롤리돈 130mg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0mg
라브라필 M 1944 CS 90mg
옥수수유 50mg
피마자유 80mg
크레모프어 EL 5mg
(B) 하이드로겔
카보폴 940 20mg
정제수 550mg
(C) 트리에탄을아민 5mg
[실시예 5]
하기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용 약제를 제조하였다.
(A) 에멀젼 예비농축액
케토프로펜 30mg
N-메틸-2-피롤리돈 100mg
라브라필 M 1944 CS 75mg
카프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70mg
(B) 하이드로겔
카보폴 940 15mg
정제수 706mg
(C) 트리에탄올아민 4mg
[실시예 7]
하기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용 약제를 제조하였다.
(A) 에멀젼 예비농측액
케토프로펜 30mg
N-메틸-2-피롤리돈 100mg
라브라필 M 1944 CS 75mg
카프릴산/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70mg
트윈 20 5mg
(B) 하이드로겔
카보폴 940 20mg
정제수 699mg
(C) 수산화나트륨 1mg
실험예 1 : 무모 마우스를 이용한 시험관내 경피투과시험
본 발명에 따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제제의 피부투과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프란쯔셀(Franz cel1)에서 시간대별로 수용기(receptor)액중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시험에서 시험제제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외용제제를 사용하고, 대조약제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6-428호에 상응하는 처방을 갖는 시판품인 케노펜 겔제(일동제약)를 사용하였다.
무모 마우스(5 주령의 수컷 마우스)에 20% 우레탄 용액 1.2g/kg 을 피하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복부의 피부를 잘라내어 프란쯔셀(표면적 : 3.14cuf, 수용기 용적 : 13㎖)에서 막으로 사용하고, 수용기 용액으로는 0.0lM 인산염 생리완충액(매 7.4)을 사용하고, 시험하고자 하는 외용제제를 무모 마우스의 피부부위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극진통약물로서 1.5mg에 해당하는 양을 도포한 후 600rpm 의 조건하에서 각 시간대별로 수용기 용액 300㎕ 씩을 취한 후 HPLC 로 각각 분석하였으며, 매 실험시마다 수용기 용액은 300㎕씩 보충하여 실험을 진헹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HPLC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 럼 : μ-본다팩(Bondapak) C18(3.9×3OOmm, Waters)
검출기 : UV 258nm
이동상 : 아세트니트릴 : 0.0lM 인산염 완층액(pH 7.4) = 25 : 75
유 속 : 1.0㎖/분
주입량 : 20㎕
실험에 의해 측정된 결과는 제1도 에 나타내었다. 제1도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의 외용약제는 시판품인 케노펜 겔제제에 비해 약 10 배 이상의 경과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험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제제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외용제제보다 탁월한 경피투과도를 나타내며, 따라서 피부에 적용시에 목적하는 피하조직(근육부위)까지 활성성분이 효과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하여 경구투여시와 동등한 소염진통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구투여시에 야기되는 부작용을 배제하거나 경감시킴으로써 특히 장기간 약물을 투여해야 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 등의 경우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i) 활성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0.1∼10%, (ii) 용매로서 트랜스큐톨, 디메틸이소소르비드, N-메틸-2-피롤리돈, 1, 2- 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0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양친매성 용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0.5∼50%, (iii) 계면활성제로서 천연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폴리알킬렌폴리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및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0.4∼40% 및 (iv) 오일로서 중급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천연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0.4∼40%로 구성된 에멀젼 예비농축물(A)과 (v) 셀루로즈 유도체, 카복시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겔화제 0.1∼5% 및 (vi) 정제수 구성된 하이드로겔(B)을 서로 혼합한 후, (vii) NaHCO3, NaHCO3, Na2CO3, NaOH, 염기성 아미노산 및 아민중에서 선택된 알칼리화제 0.01∼3.5%로 pH를 조정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에멀젼 함유 외용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i)가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비프로펜, 페노플고펜, 베녹사프로펜, 인도프로펜, 퍼프로펜, 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로노프로펜, 수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부티부펜 및 펜부펜중에서 선택된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i)가 케토프로펜인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용매(ii)가 N-메틸-2-피롤리돈 또는 디메틸이소소르비드인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iii)가 라브라필 M 1944CS 인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v)가 카복시비닐 공중합체인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화제(vii)를 가하여 pH를 3 내지 9의 범위로 조정한 에머젼 함유 하이드로겔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i) 활성성분 1∼5%, (ii) 용매 1∼30%, (iii) 계면활성제 2∼25%, (iv) 오일 1∼25%, (v) 겔화제 0.1∼3%, (vi) 정제주 30∼90% 및 (vii) 알칼리화제 0.01∼2.5%의 비로 포함된 에멀젼 함유 유성 하이드로겔 제제.
KR1019960053552A 1996-11-12 1996-11-1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KR10021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552A KR100216623B1 (ko) 1996-11-12 1996-11-1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552A KR100216623B1 (ko) 1996-11-12 1996-11-1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69A KR19980035269A (ko) 1998-08-05
KR100216623B1 true KR100216623B1 (ko) 1999-08-16

Family

ID=1948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552A KR100216623B1 (ko) 1996-11-12 1996-11-1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00B1 (ko) * 2001-05-04 2004-04-03 대원제약주식회사 고농도 투명액상 이부프로펜 용액을 함유하는 속효성연질캅셀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69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782A1 (en) High concentration local anesthetic formulations
US5093133A (en) Method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ibuprofen using hydroalcoholic gel
AU2008289109B2 (en) High concentration local anesthetic formulations
KR102184245B1 (ko) 케토프로펜 국소 조성물
AU734429B2 (en) Topical compositions
JP2004051487A (ja) 経皮吸収製剤
WO2005072775A1 (ja) 消炎鎮痛外用剤
CZ2004778A3 (cs) Farmaceutická formule zahrnující cyklosporin a její použití
WO2007129162A2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transdermal use
KR100216623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외용약제 조성물
JP4066466B2 (ja) 糖アルコール類配合軟膏剤
US8563616B2 (en) Desensitizing drug product
KR100342945B1 (ko) 항진균제의 외용 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22202941A1 (en) Stable topical compositions of fenoldopam
KR20230147155A (ko) 방사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341203B1 (ko) 유성 비타민 함유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618406A (zh) 一种局部麻醉制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212969B1 (ko) 진통소염 외용 액제
KR19990047898A (ko) 디크로페낙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통소염 외용겔제
KR20000066357A (ko) 케토롤락 외용제제
AU200426468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avendustin
BG63256B1 (bg) Нов терапевтичен противовъзпалителен и обезболяващ фармацевтичен състав,съдържащ нимесулид (4-нитро, 2-феноксифенилметансулфонамид), за подкожно прилагане и метод за получаването м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