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401B1 -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401B1
KR100216401B1 KR1019960039560A KR19960039560A KR100216401B1 KR 100216401 B1 KR100216401 B1 KR 100216401B1 KR 1019960039560 A KR1019960039560 A KR 1019960039560A KR 19960039560 A KR19960039560 A KR 19960039560A KR 100216401 B1 KR100216401 B1 KR 10021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al port
port ram
data
hook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893A (ko
Inventor
최명순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3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4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344Ove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위 프로세서의 가입자 후크 데이타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켜 다수 가입자의 상태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가 크게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서는, 상위 프로세서에 수용되는 다수의 가입자로 부터 많은 후크상태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태변화 레지스터와 듀얼포트램에 대한 상위 프로세서의 억세스 횟수가 증가되는데, 후크상태의 변화가 한 채널에만 발생되더라도 상위 프로세서는 듀얼포트램을 1바이트 단위씩 4번 연속하여 억세스하여 후크상태가 변화된 채널을 찾아내어야 하므로 다수의 가입자로 부터 많은 후크상태의 변화가 발생되면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가 크게 증가되어, 상위 프로세서의 성능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상위 프로세서에 적은수의 가입자만을 수용할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가 후크 상태가 변화된 가입자의 후크 데이타 만을 듀얼포트램으로부터 읽어들여 후크상태 변화의 종류와 후크상태가 변화된 라인번호를 판독하여 처리함으로써 듀얼포트램에 대한 상위 프로세서의 억세스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위 프로세서의 가입자 후크 데이타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켜 다수 가입자의 상태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상위 프로세서의 성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위 프로세서에 보다 많은수의 가입자를 수용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위 프로세서의 가입자 후크 데이타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켜 다수 가입자의 상태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가 크게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에서 가입자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상태 변화를 스캐닝하여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바, 가입자 단말기의 후크 상태를 정화기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 변화 스캐닝 회로(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11), 직/병렬 변환부(12), 카운터부(13), 제어신호 발생부(14), 듀얼포트램(15; dual port RAM), 상태변화 레지스터(16), 제어신호 발생부(17) 및 인터페이스부(18)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직/병렬 변환부(12)는 가입자 보드(1)로부터 직렬로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병렬로 변환하여 듀얼포트램(15)에 출력하고, 비교부(11)는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가입자의 후크 데이타와 듀얼포트램(15)의 후크 데이타를 비교하여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에 대응되는 상태를 상태변화 레지스터(16)에 기록한다. 카운터부(13)는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에 다라 동작하여 프레임 동기신호 및 어드레스를 발생하는데, 프레임 동기신호를 제어신호 발생부(14)측에 출력하고, 어드레스를 듀얼포트램(15)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신호 발생부(14)는 카운터부(13)로부터 인가되는 프레임 동기신호에 따라 듀얼포트램(1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15)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8)는 상위 프로세서(2)를 정합하여 주며, 제어신호 발생부(17)는 상위 프로세서(2)의 듀얼포트램(15) 억세스시에 듀얼포트램(1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15)에 출력한다. 한편, 상태변화 레지스터(16)는 비교부(11)에 의해 기록된 상태변화를 인터페이스부(18)를 통해 상위 프로세서(2)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10)는 가입자의 후크 상태를 스캐닝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가입자 보드(1)로부터 가입자의 후크 데이타가 직렬로 인가되면, 직/병렬 변환부(12)가 해당 후크 데이타를 병렬로 변환하여 듀얼포트램(15)에 저장하는데, 이때 듀얼포트램(15)은 카운터부(13)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와 제어신호 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데이타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가입자의 후크 데이타가 인가되는 경우, 가입자 보드(1)의 라인 1번 부터 라인 511번 까지의 후크 데이타가 한 프레임에 실려 순차적으로 직/병렬 변환부(12)와 비교부(11)에 인가되는데, 비교부(11)는 듀얼포트램(15)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프레임의 후크 데이타와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의 후크 데이타를 보드단위(32라인)로 비교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채널이라도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에 상태변화 레지스터(16)의 대응되는 비트를 하이(high)로 셋팅한다. 또한, 듀얼포트램(15)에는 한 라인당 1비트씩, 가입자 보드당 4바이트씩 순차적으로 후크 데이타가 저장되는데, 상위 프로세서(2)는 주기적으로 상태변화 레지스터(16)를 체크하여 하이로 셋팅된 비트가 있을 때 듀얼포트램(15)으로 부터 1바이트 단위로 4번 연속하여 후크 데이타를 읽어들임으로써 4바이트의 후크 데이타를 읽어들여 후크상태의 변화가 발생된 채널을 확인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10)에서는, 상위 프로세서(2)에 수용되는 다수의 가입자로 부터 많은 후크상태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태변화 레지스터(16)와 듀얼포트램(15)에 대한 상위 프로세서(2)의 억세스 횟수가 증가되는데, 후크상태의 변화가 한 채널에만 발생되더라도 상위 프로세서(2)는 듀얼포트램(15)을 1바이트 단위씩 4번 연속하여 억세스하여 후크상태가 변화된 채널을 찾아내어야 하므로 다수의 가입자로 부터 많은 후크상태의 변화가 발생되면 상위 프로세서(2)의 부하가 크게 증가되어, 상위 프로세서(2)의 성능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상위 프로세서(2)에 적은수의 가입자만을 수용할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위 프로세서의 가입자 후크 데이타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켜 다수 가입자의 상태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위 프로세서의 성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위 프로세서에 보다 많은수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 있어서,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듀얼포트램(35)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데이타 기록부(31)와;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저장되어 있는 후크 데이타를 읽어들여 상기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된 후크 데이타와 비교해서 후크상태가 변동되는 경우에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 및 런 플레그를 상기 듀얼포트램(35)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판독/비교/기록부(32)와; 인가받은 프레임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듀얼포트램(35)에 대한 상기 데이타 기록부(31)와 판독/비교/기록부(32)의 억세스시에 사용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 발생부(34)와;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듀얼포트램(35)에 대한 상기 데이타 기록부(31)와 판독/비교/기록부(32)의 억세스시에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하고, 후크상태가 변화된 가입자를 알려주기 위한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 및 런 플레그를 상기 판독/비교/기록부(32)에 인가하고, 후크 데이타의 입출력을 위한 프레임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발생부(34)에 출력하는 제1 카운터부(33)와; 인가받은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듀얼포트램(35)에 대한 상위 프로세서(2)의 억세스시에 사용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츨력하는 제2 제어신호 발생부(38)와; 상기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터페이스부(36)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듀얼포트램(35)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인가함과 동시에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 제어신호 발생부(38)에 인가하는 제2 카운터부(37)와; 상기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터페이스부(36)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소정의 플레그를 발생하여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인가하는 플레그 셋팅부(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의 가입자 후크 데이타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켜 다수 가입자의 상태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를 감소시키므로 상위 프로세서의 성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위 프로세서에 보다 많은수의 가입자를 수용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데이타 기록부 32 : 판독/비교/기록부
33 : 카운터부 34 : 제어신호 발생부
35 : 듀얼포트램 36 : 인터페이스부
37 : 카운터부 38 : 제어신호 발생부
39 : 플레그 셋팅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기록부(31), 판독/비교/기록부(32), 카운터부(33), 제어신호 발생부(34), 듀얼포트램(35), 인터페이스부(36), 카운터부(37), 제어신호 발생부(38) 및 플레그 셋팅부(39)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데이타 기록부(31)는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듀얼포트램(35)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판독/비교/기록부(32)는 듀얼포트램(35)에 저장되어 있는 후크 데이타를 읽어들이고, 듀얼포트램(35)으로부터 읽어들인 후크 데이타와 현재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된 후크 데이타를 비교해서 후크상태가 변동되는 경우에 카운터부(33)로부터 인가된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flag) 및 런 플레그를 듀얼포트램(35)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카운터부(33)는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듀얼포트램(35)을 억세스하는 데에 사용되는 어드레스와, 후크상태가 변화된 가입자를 알려주기 위한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flag) 및 런 플레그와, 후크 데이타의 입출력을 위한 프레임 동기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신호 발생부(34)는 카운터부(33)로부터 인가되는 프레임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듀얼포트램(35)의 억세스시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36)는 듀얼포드램(35), 카운터부(37) 및 플레그 셋팅부(39)를 상위 프로세서(2)에 정합하여 주고, 카운터부(37)는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터페이스부(36)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듀얼포트램(35)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인가함과 동시에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신호 발생부(38)에 인가하며, 제어신호 발생부(38)는 카운터부(37)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듀얼포트램(35)의 억세스시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츨력한다. 플레그 셋팅부(39)는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터페이스부(36)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소정의 플레그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인가한다. 듀얼포트램(35)은 데이타 기록부(31)로부터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저장영역(MA1)에 저장하고, 판독/비교/기록부(32)로부터 인가되는 후크상태 변화데이타는 저장영역(MA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3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가입자 보드(1)에 수용된 라인의 후크상태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에 런 플레그(RF), 변화종류, 라인번호를 저장한다. 카운터부(33)는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을 받아서 분주하여 프레임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신호 발생부(34)에 출력함으로써 제어신호 발생부(34)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하고,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하며, 후크상태가 변화된 가입자를 알려주기 위한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flag) 및 런 플레그를 발생하여 판독/비교/기록부(32)에 출력한다. 이때, 데이타 기록부(31)는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1)에 저장한다. 그리고, 판독/비교/기록부(32)는 이전 프레임에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1)에 저장된 후크 데이타와 현재 프레임에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비교하여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터부(33)로부터 인가된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 및 런 플레그(RF)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에 저장하는데,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변화되었으면 변화종류 플레그를 로우상태로 셋팅하고, 가입자가 온훅 상태로 변화되었으면 변화종류 플레그를 하이상태로 셋팅하고, 후크상태가 변화된 가입자의 런 플레그를 로우상태로 셋팅하여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판독/비교/기록부(32)가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 상태변화가 발생되는 순서대로 데이타를 듀얼포트램(35)에 저장한다.
그후에, 상위 프로세서(2)는 주기적으로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를 억세스하여 2바이트 단위로 데이타를 읽어들이는데, 데이타에 포함된 런 플레그가 로우상태인 경우는 유효한 정보로 간주하고 해당 데이타를 읽어들여 후크 상태의 변화종류, 후크상태가 변화된 라인번호를 확인하여 처리한후에, 해당 데이타의 런 플레그를 플레그 셋팅부(39)에 의해 하이상태로 셋팅하고 다음 데이타를 읽어들인다. 상위 프로세서(2)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듀얼포트램(35)의 데이타를 읽어들이는데, 런 플레그가 하이상태로 셋팅된 데이타가 읽혀질때 까지 데이타 판독 동작을 수행하고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에 대한 억세스를 종료한다. 이때, 카운터부(37)는 상위 프로세서(2)가 억세스를 중지한 듀얼포트램(35)의 어드레스를 홀딩(holding)하고 있다가, 상위 프로세서(2)가 다음의 억세스 주기에 듀얼포트램(35)의 저장영역(MA2)을 억세스할 때 홀딩된 어드레스로 부터 듀얼포트램(35)에 어드레스를 출력하여 그 전 주기에 판독을 중지한 어드레스부터 다시 데이타를 읽어 들일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가 후크 상태가 변화된 가입자의 후크 데이타 만을 듀얼포트램으로부터 읽어들여 후크상태 변화의 종류와 후크상태가 변화된 라인번호를 판독하여 처리함으로써 듀얼포트램에 대한 상위 프로세서의 억세스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위 프로세서의 가입자 후크 데이타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켜 다수 가입자의 상태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위 프로세서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상위 프로세서의 성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위 프로세서에 보다 많은수의 가입자를 수용하게 된다.

Claims (3)

  1.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에 있어서,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되는 후크 데이타를 듀얼포트램(35)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데이타 기록부(31)와;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저장되어 있는 후크 데이타를 읽어들여 상기 가입자 보드(1)로부터 인가된 후크 데이타와 비교해서 후크상태가 변동되는 경우에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 및 런 플레그를 상기 듀얼포트램(35)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판독/비교/기록부(32)와; 인가받은 프레임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듀얼포트램(35)에 대한 상기 데이타 기록부(31)와 판독/비교/기록부(32)의 억세스시에 사용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 발생부(34)와; 인가받은 클럭에 따라, 듀얼포트램(35)에 대한 상기 데이타 기록부(31)와 판독/비교/기록부(32)의 억세스시에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출력하고, 후크상태가 변화된 가입자를 알려주기 위한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 및 런 플레그를 상기 판독/비교/기록부(32)에 인가하고, 후크 데이타의 입출력을 위한 프레임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발생부(34)에 출력하는 제1 카운터부(33)와; 인가받은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듀얼포트램(35)에 대한 상위 프로세서(2)의 억세스시에 사용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츨력하는 제2 제어신호 발생부(38)와; 상기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터페이스부(36)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듀얼포트램(35)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듀얼포트램(35)에 인가함과 동시에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 제어신호 발생부(38)에 인가하는 제2 카운터부(37)와; 상기 상위 프로세서(2)로부터 인터페이스부(36)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소정의 플레그를 발생하여 상기 듀얼포트램(35)에 인가하는 플레그 셋팅부(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기록부(31)가 듀얼포트램(35)에 후크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에 상기 듀얼포트램(35)의 제1 저장영역(MA1)에 저장하고, 상기 판독/비교/기록부(32)가 듀얼포트램(35)에 라인번호, 변화종류 플레그 및 런 플레그를 저장하는 경우에 상기 듀얼포트램(35)의 제2 저장영역(MA2)에 저장하며, 상기 상위 프로세서(2)가 듀얼포트램(35)의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경우에 상기 듀얼포트램(35)의 제2 저장영역(MA2)으로 부터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프로세서(2)가 듀얼포트램(35)로부터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경우에 데이타에 포함된 런 플레그가 제1 상태인 경우는 유효한 정보로 간주하여 데이타를 읽어들여 후크 상태의 변화종류, 후크상태가 변화된 라인번호를 확인하여 처리한후에, 해당 데이타의 런 플레그를 상기 플레그 셋팅부(39)에 의해 제2 상태로 셋팅하고 다음 데이타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듀얼포트램(35)의 데이타를 읽어들이며, 제2 상태로 셋팅된 상기 런 플레그를 포함하는 데이타가 읽혀질때 까지 데이타 판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KR1019960039560A 1996-09-12 1996-09-12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KR10021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560A KR100216401B1 (ko) 1996-09-12 1996-09-12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560A KR100216401B1 (ko) 1996-09-12 1996-09-12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93A KR19980020893A (ko) 1998-06-25
KR100216401B1 true KR100216401B1 (ko) 1999-08-16

Family

ID=1947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560A KR100216401B1 (ko) 1996-09-12 1996-09-12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477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의 채널상태감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21B1 (ko) * 1998-12-30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에서 아날로그 가입자 호처리를 위한 가입자 상태 정보수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898A (ko) * 1988-04-26 1990-11-14 이반 밀러 레르너 디지탈 정보 신호의 기록 및 판독장치
KR920015220A (ko) * 1991-01-23 1992-08-26 나까오 다게시 자동 판매기의 정보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898A (ko) * 1988-04-26 1990-11-14 이반 밀러 레르너 디지탈 정보 신호의 기록 및 판독장치
KR920015220A (ko) * 1991-01-23 1992-08-26 나까오 다게시 자동 판매기의 정보 수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477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의 채널상태감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93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6409A (en) Control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private branch exchange
US7315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ed buffer packet switching
KR10021640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변화 스캐닝 회로
CA1225727A (en) Multifrequency tone distribution using a conferencing arrangement
US4481624A (en) Linear time division multiplexed conferencer
US4575845A (en) Time division multiplex conferencer
US6172975B1 (en) Telecommunications switch, multichannel facility datalink processor and method
KR100351257B1 (ko) 가입자인터페이스회로를제어하기위한장치
US4499577A (en) Linear time division multiplexed conferencer for data transfer applications
US4477897A (en) Linear time division multiplexed conferencer
KR100413055B1 (ko) 타임 스위치 스테이지 및 스위치
KR0130722B1 (ko) 건전자 교환기에서 훅상태 검출장치
US5691977A (en) Virtual channel converter and VCC table access method
US5371856A (en) Transfer data storage system
US20010006521A1 (en) Group switching system for multiple-channel data
EP0125012B1 (en) Tone source for telephone systems
KR100255382B1 (ko) 교환기의 인터 프로세서 통신네트워크에서 데이터 버스를 위한 버스동기 신호발생 방법
KR10021218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날로그 가입자 상태 스캐닝 방법
KR970002355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음성 서어비스 장치
JPH043541A (ja) 画像・音声データ再生装置
US5881273A (en) Clock signal generation apparatus for use in an access subsystem processor
JPS63156465A (ja) 時間スイツチ回路のデ−タ格納域監視方式
KR960015365B1 (ko) 가입자 용량을 고려한 시분할 스위치 통화로 시험장치
JP2000050371A (ja) アドレス生成装置
JP2914289B2 (ja) 時分割スイッチの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