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512B1 -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512B1
KR100215512B1 KR1019960077479A KR19960077479A KR100215512B1 KR 100215512 B1 KR100215512 B1 KR 100215512B1 KR 1019960077479 A KR1019960077479 A KR 1019960077479A KR 19960077479 A KR19960077479 A KR 19960077479A KR 100215512 B1 KR100215512 B1 KR 10021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opening
supplied
pressur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168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1996007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51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호흡용 공기가 충진된 공기실린더의 압축공기를 적정 치(양압의 상태)로 감압하여 이를 면체내에 공급하여 사용하게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공기실린더내의 충진된 압축공기가 사용에 의해 설정치로의 압력으로 낮아지게 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압축공기의 잔존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자동경보가 작동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우수하게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실린더내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질 경우 압력계와 함께 가슴부위에 위치한 경보기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되어 이를 인지하게 됨은 물론 면체내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LED)에 의해 발광신호가 발생되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하게 되므로 착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착용자가 작업이나 긴박한 상황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게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증 자동경보장치
본 발명은 고압의 호흡용 공기가 충진된 공기실린더의 압축공기를 적정치(양압의 상태)로 감압하여 이를 면체내에 공급하여 사용하게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공기실린더내의 충진된 압축공기가 사용에 의해 설정치로의 압력으로 낮아지게 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압축공기의 잔존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이중 자동경보가 작동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우수하게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호흡기는 공장, 광산 등의 산업현장 및 화재현장 또는 기타산소결핍장소 또는 분진, 유해가스, 증기 등을 흡입함에 따라 인체에 유해의 염려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되여 착용자에게 유독성가스의 흡입을 방지하도록 하게 되는것이다.
이러한 공기호흡기는 면체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양압식과 부압식으로 구별되는데 상기 양압식 공기호흡기는 부압식 공기호흡기에 비하여 면체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유독가스가면체와 안면사이의 틈새를 통해 면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이외에 편안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는 편이다.
이러한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종래구성을 본 발명의 개념도인 도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의 안면에 착용하게 되는 면체(5), 고압의 호흡용 공기가 충진된 공기실린더(2), 이 공기실린더로 부터 유출된 공기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감압시키는고압조정유니트(30), 이 고압조정유니트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에 의해 감압된 상태보다 낮고 대기압보다는 약간 높은 양압상태로 만들어서 면체(5)내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니트(10) 및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공기유출구와 공기공급유니트(10)의 공기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중압호스(9)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에는 공기실린더(2)에서 토출되는 공기압이 실린더 사양에 맞추어 설정한 압력으로 떨어질 때 이를 경보하는 경보기(7)가 부착되고 공기실린더(2)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6)가 별도의 연결호스(8)로 연결되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양압식 공기흐흡기를 착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공기실린더(2)의 개폐밸브(4)를 개방한 상태로 별도의 등지게에 의해 공기실린더(2)를 등뒤로 메어 착용하고 면체(5)는 안면에 착용하게 되며 상기압력계(6)는 면체(5)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그 식별이 용이하도록 연결호스(8)를 이용하여 가슴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상기 공기실린더(2)내의 고압의 호흡용 공기를 고압조정유니트(30)와 공기공급유니트(10)를 통해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양압상대로 감압하여면체(5)내에 공급하여 착용자가 호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압식 공기호흡기는 유체가스 및 분진이 발생하는 산업현장, 광산갱내와 같은 산소결핍현장, 그리고 화재현장등에서 상기와 같이 착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착용자가 작업에 몰두하거나, 화재현장과 같이 긴박한 상황에서는 상기 공기실린더(2)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6)를 일일이 확인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공기실린더(2)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졌음을 알려주는 경보기(7)가 공기실린더(2)와 함께 등뒤로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경보음이 울려도 이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타인의 경보음과 자신의 경보음을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므로 착용자가 불안감과 공포감을 갖게 되어 작업이나 긴박한 상황의 처리가 곤란하게 되고, 반면에 상기 공기실린더(2)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6)에 집착하게 되면 작업이나 긴박한 상황의 처리가 원만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그 처리시간이 지연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기가 갖는 제반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실린더내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질 경우 압력계와 함께 가슴부위에 위치한 경보기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되어 이를 쉽게인지하게 됨은 물론 면체내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LED)에 의해 발광신호가 발생되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하게 되므로 상기 경보기와 발광다이오드가 동시에 2중 경보작동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에게 최대의 안전성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착용자가 작업이나 긴박한 상황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게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압의 호흡용 공기가 충진된 공기실린더와, 이 공기실린더로 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감압시켜는 고압조정유니트와, 이 고압조정유니트에 의한 공기압을 중압호스를 통해 긍급받아 감압하되 대기압보다는 약간높은 양압상태로 면체내에 공급하는 양압밸브수단을 갖는 공기공급유니트 및 상기 고압조정유니트에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공기실린더내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를 구비하여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압력계의 일측에는 공기실린더에서 토촐되는 공기압이 실린더 사양에 맞추어 설정한 압력으로 떨어짐을 경보하는 경보기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고압조정유니트는 공기실린더의 고압 공기가 공급되는 고압공급유로상에 공기를 8kg·f/cm2과 6kg·f/cm2으로 각각 감압시키게 되는 제1,2감압수단을 병설하고, 이 제1,2감압수단의 제1,2공급유로는 공기배출구와 연통되고 내부에 제1,2개폐작동부를 구비한 개폐작동수단과 각각 연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공기공급유니트에는 고압조정유니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져 상기 고압조정유니트의 제1감압수단에 의해 감압된 공기(8kg·f/cm2)가 공기공급유니트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공기실린더에서 토출되는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지게 되면 제1감압수단이 차단되고 제2감압수단에 의해 감압된 공기(6kg·f/cm2)가 공기공급유니트로 공급되어 상기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여면체내의 발광다이오드(LED를 발광작동시키도록 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 공기호흡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고압조정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2 의 단면구성도,
도 5 는 도 4 의 요부확대 단면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 공기호흡기의 공기공급유니트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7 은 도 4 의 작동상태도.
도면 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2 : 공기실린더 5 : 면체
6 : 압력계 7 : 경보기
10 : 공기공급유니트 15 : 감지수단
17 : 감지작동스프링 19 : 접점센서
30 : 고압조정유니트 34 : 고압공급유로
35,45 : 제1,2감압수단 35a,45a : 제1,2공급유로
38 : 고압노즐 40 : 감압밸브
41,42 : 감압스프링 50,55 : 제1,2개폐작동부
54 : 개폐작동 피스톤 58 : 개폐변
60 : 개폐작동수단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는, 고압의 호흡용 공기가 충진된 공기실린더(2)와, 이 공기실린더와연결되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적정수준으로 감압하는 고압조정유니트(30)와, 이 고압조정유니트와 중압호스(9)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공기압을 감압하되 보다는 약간 높은 양압상태로 감압하여 면체(5)내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니트(10)와,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와 연결호스(8)로 연결되어 공기실린더(2)내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6) 및 이 압력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실린더(2)내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질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경보기(7)로 구성된다.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는 몸체(31) 일측에 공기실린더(2)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중압호스(9)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구(3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32)에는 이와 연통되게 고압공급유로(34)가 형성되어 공기실린더(2)로 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8kg·f/cm2로 감압하는 제1감압수단(35)과 6kg·f/cm2로 감압하는 제2감압수단(45)이 병설된다.
상기 제1,2감압수단(35)(45)은 중앙에 통공(37)을 갖는 고압노즐(38)(38)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그 상부에 감압스프링(41)(42)에 의해 감압밸브(40)(40)가 탄발적으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감압밸브(40)(40)는 몸체상부의 단차부(40a)에의해 넓은 면적을 갖는 상부가압작동면(40b)을 형성하고 몸체 하부의 수평통공(40c)과그 상부로 수직통공(40d)이 상호 연통형성되어서 상기 수평통공(40c)과 수직통공(40d)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상기 상부가압작동면(40b)을 가압함에 따라탄발작동하면서 선단부가 고압노즐(38)의 통공(37)을 개폐작동하는 것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감압시키케 된다.
이때 상기 제1,2감압수단(35)(45)의 감압스프링(41)(42)은 그 탄성력을 각각 달리하도록 형성하되 제1감압수단(35)의 감압스프링(41) 탄성력이 제2감압수단(45)의 감압스프링(42) 탄성력보다 높게 형성하여 제1감압수단(35)에 의해 감압된 공기(8kg·f/cm2)가 제2감압수단(45)에 의해 감압된 공기(6kg·f/cm2)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공기배출구(33)에는 개폐작동수단(60)이 구비되는데 이는 제1감압작동실(46)과 제2감압작동실(47)이 연통형성되어 상기 제1감압작동실(46)은 제1감압수단(35)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공급유로(35a)와 연통되고 상기 제2감압작동실(47)은 제2감압수단(45)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공급유로(45a)와 연통되되 상기 제1,2감압작등실(46)(47)에는 제1,2개폐작동부(50)(55)가 개폐작동케 설치구성된다.
상기 제1개폐작동부(50)는 일측 작동스프링(51)에 의해 탄발작동하고 몸체중앙에 단차부(52)를 형성하며 그 일측의 밀폐링(53)에 의해 제1감압작동실(46)을 개폐작동케 되는 개폐작동피스톤(54)이 구비되되 그 선단면(54a)이 고압공급유로(34)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루고, 상기 제2개폐작동부(55)는 원주상에 공기유통흠(56a)을 갖는 하우징(56)내에 작동스프링(57)에 의해 탄발작동하고 상부의 경사면(58a)에 의해 제2감압작동실(47)을 개폐작동케 되는 개페변(5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보기(7)는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고압공급유로(34)상에서 연통형성된 통공(62)과 연결호스(8)로 연결되어 공기실린더(2)로 부터 고압공급유로(34)로 공급되는 압력이 설정치 (대개30kgㆍf/cm2)로 떨어지게 되면 경보작동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유니트(10)는 몸체 내부에 일측이 고압조정유니트(30)와 중압호스(9)로 연결되는 연통로(12)가 형성되어 이 연통로(12)상에는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5)과, 공급되는 공기압을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양압상태로 감압하여 면체(5)내에 공급하는 양압밸브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수단(15)은 상부에 공기유입공(16a)이 형성된 작동실(16)내로 선단에 감지단(17a)을 갖는 감지작동피스톤(17)이 작동스프링(18)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상기 감지작동피스톤(17) 선단에 형성된 감지단(17a)의 탄발작동방향으로는 접점센서(19)가 구비되어 고압조정유니트(30)의 제1감압수단(35)으로 부터 감압된 공기(8kg·f/cm2)가 공급되면 감지작동피스톤(17)이 작동스프링(18)을 압축하면서 선단의 감지단(17a)이 접점센서(19)를 통과하게 되고 제2감압수단(45)에 의해 감압된 공기가 공급되면 감지작동피스톤(17)이 작동스프링(18)을 압축하면서 선단의 감지단(17a)이 접점센서(19)에 위치하여 이를 상기 접점센서(19)가 감지하게 되므로 면체(5) 내부에 구비듸는 발광다이오드(LED)(미도시됨)를 발광작동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양압밸브수단(미도시)은 본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1996년 특허출원 제54490호에 것을 적용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일측의 개폐핸들(14)을 조작하는것에 의해 밸브수단을 개방, 패쇄하게 됨은 물론 공급되는 공기의 ·낭울 소껄하니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70은 고압감지수단으로서 제1,2감압수단(35)(45)에 의해 감압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설정치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감압공기가 작동편(72)을 탄발적으로 가압하면서 유입공(71)을 통해 유입되어 넘치게 되는 것이고,65는 연결커넥터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실린더(2)의 개폐밸브(4)에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공기유입구(32)를 연결하고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공기배출구(33)에는 면체(5)상의 공기공급유니트(10)와 중압호스(9)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에 압력계(6)와 경보기(7)를 연결호스(8)로 연결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공기공급유니트(10)의 개폐핸들(14)은 폐쇄위치에 위치시키고 공기실린더(2)의 개폐밸브(4)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실린더(2)는 별도의 수단(등지게)에 의해 등뒤에 메고 면체(5)는 안면에 착용하게 되며 경보기(7) 및 압력계(6)는 가슴부위에 위치하도록 착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공기공급유니트(10)의 개폐핸들(14)을 개방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양압상태에서의 편안한 호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공기실린더(2)의 개페밸브(4)를 개방하게 되면 고압의 공기가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공기유입구(32)를 통해 고압공급유로(34)로공급되게 된다.
이와같이 고압공급유로(34)에 공급되는 공기는 제1,2감압수단(35)(45)에 동시에 공급되게 됨은 물론 일측의 통공(62)과 연결호스(8)를 통해 압력계(6)에 공급되어 공기실린더(2)의 공기압을 계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감압수단(35)(45)에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각각의 고압노즐(38)의 통공(37)을 통해 제1,2공급유로(35a)(45a)로 공급되되 일부는 각각의 감압밸브(40)의 통공(40c)(40d)을 통해 유입되어 감압밸브(40)의 가압작동면(40b)을 가압하게 되면 감압밸브(40)가 탄발적으로 가압되면서 그 선단부가 고압노즐(38)의 통공(37)을 폐쇄하여 고압의 공기를 감압한 후 탄발스프링(41)(42)에 의해 복귀되게 되는 작동의 반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감압하여 제1,2유로(35a)(45a)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압밸브(40)(40)는 그 탄발스프링(41)(42)의 길이를 달리하여 그 탄성력을 다르게 형성하므로 즉, 제1감압수단(35)은 제2감압수단(45)보다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을 강하게 하여 그 탄발작동이 느리게 진행되므로 제1공급유로(35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8kg·f/cm2)가 제2공급유로(45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6kg·f/cm2)보다 높은 압력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제1공급유로(35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8kg·f/cm2)는 제1감압작동실(46)과 개폐작동피스톤(54)의 단차부(5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제2감압작동실(47)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 공기(8kg·f/cm2)는 상기 제2공급유로(45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6kg·f/cm2)보다 높은 압력을 형성하므로 제2개폐부(55)의 개폐변(58)을 상승시켜 제2공급유로(45a)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감압수단(35)은 제1공급유로(35a)가 개방되어 계속적인 감압작동을 하면서 감압된 공기(8kg·f/cm2)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반면에 제2감압수단(45)은 그 제2공급유로(45a)가 폐쇄되어 최초 감압된 상태에서 작동대기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에서 제1감압수단(35)에 의해 감압된 공기(8kg·f/cm2)는 중압호스(g)를 통해 공기공급유니트(10)의 연통로(12)로 공급되게되고 이 공급된 공기(8kg·f/cm2)는 양압밸브수단(미도시)을 거쳐 대기압보다 약간높은 양압상태로 감압하여 면체(5)내에 긍급되므로 흐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압조겅유니트(30)의 연통로(12)로 공급된 공기(8kg·f/cm2)의 일부가 감지수단(15)의 공기유입공(16a)을 통해 공급되어 감지작동피스톤(17)을 탄발적으로 가압하게 되면 그 선단의 감지단(17a)이 접점센서(19)를 통과하게 되어 접점센서(19)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면체(5)내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LED)는 발광작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공기실린더(2)내의 압력이 설정치로 떨어지게 되면 먼저 휘슬이나 압력계(6)의 수치로도 확인가능케 되지만 이를 경보하여 착용자가 이를 인지하게 되면 그 안정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경보작동은 먼저 공기실린더(2)로 부터 사용에 따라 설정치의 압력으로 떨어진 공기가 고압조정유니트(30)의 고압공급유로(34)로 유입되게 되면 상기고압공급유로(34)와 연톳된 통공(62)을 통해 연결호스(8)로 설정치의 압력으로 떨어진 공기가 공급되게 되고 경보기(7)가 이를 감지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가슴부위에서 경보기(7)의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설정치의 압력으로 떨어진 공기가 고압조정유니트(30)의고압공곱유로(34)로 공급되게 되면 상기 고압공급유로(34)의 일측에 설치된 제1개폐작동부(50)의 개폐작동피스톤(54)이 작동스프링(51)에 의해 탄발전진하면서 몸체상의 밀페링(53)이 제1감압작동실(46)을 폐쇄하게 되어 제1감압수단(35)은 제1공급유로(35a)가 폐쇄되므로 감압작동을 멈추게 되는 반면에 제2공급유로(45a)를 폐쇄하고 있던 제2개폐작동부(55)의 개폐변(58)이 제2공급유로(45a)를 통해 공급되는공기(6kg·f/cm2)에 의해 탄발적으로 후퇴하여 개방되어 제2감압작동실(47)로 공급되면서 제2감압수단(45)은 상술한 감압작동을 계속적으로 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2감압수단(45)에 의해 감압된 공기(6kg·f/cm2)는 중압호스(g)를통해 상술한 바와같이 공기공급유니트(10)로 공급되어 양압밸브수단(미도시)에 의해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양압상태로 하여 면체(5)내에 공급되게 되고 그 일부는감지수단(15)의 공기공급공(16a)을 통해 공급되게 된다.
이와같이 감지수단(15)에 공급된 공기(6kg·f/cm2)는 제1감압수단(35)에 의한 공기(8kg)에 의해 탄발적으로 전진되어 있던 감지작동피스톤(17)을 약간 후퇴시키게 되어 그 선단의 감지단(17a)이 접점센서(19)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를 상기 접점센서(19)가 감지하게 되어 면체(5)내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LED)를 발광작동시키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상기 경보기(7)의 경보음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도 면체(5)내에서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발광을 용이하게 식별하게 되어 공기실린더(2)내에 압축된 공기의 잔존량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고압조정유니트(30)의 제1,2감압수단(35)(45)에서의감압정도는 8kg·f/cm2, 6kg·f/cm2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압의 차이를 감지수단(15)이 감지할 수 있도록 변경설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이중자동경보장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에만 한정 사용할 수 있는것은 아니고 각종 공기호흡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압력계와 함께 경보기를 가슴부위에 위치하게 착용하도록 구성하여 공기실린더내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지게 되면 착용자의 가슴부위에서 경보음이 발생되어 이를 인지하게 됨과 동시에, 고압조정유니트에 압의 차이를 갖도록 감압시키는 제1,2감압수단을 구비하여 공기실린더내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지게 되면 제1감압수단에서 제2감압수단으로 전환되어 그 작동이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이를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하여 면체내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LED)를 발광작동시키게 되므로 이를 용이하게 식별하게 되어 착용자가 경보기의 경보음과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에 의한 경보(점멸)를 동시에 2중으로 감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경보기와 발광다이오드는 별도의 ON/OFF 작동스위치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착용자가 작업이나 긴박한 상황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고압의 호흡용 공기가 충진된 공기실린더(2)와, 이 공기실린더로 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감압시키는 고압조겅유니트(30)와, 이 고압조정유니트에 의한 공기압을 중압호스(9)를 통해 공급받아 감압하되 대기압보다는 약간 높은 양압상태로 면체내에 공급하는 양압밸브수단을 구비한 공기공급유니트(10)및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에 연결호스(8)로 연결되어 공기실린더(2)내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6)와 공기실린더(2)에 토출되는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짐에따라 경보작동하는 경보기(7)를 구비하여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는 공기실린더(2)의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는 고압공급유로(34)상에 공급되는 공기를 각각 감압시키는 제1,2감압수단(35)(45)을 병설하되 상기 제1감압수단(35)이 제2감압수단(45)보다 압력이 높게 감압시키게 되고 이제1,2감압수단(35)(45)의 제1,2공급유로(35a)(45a)와 공기배출구(33)가 각각 연결되는 개폐작등수단(60)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공급유니트(10)에는 고압조정유니트(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을감지하는 감지수단(15)을 구비하여서 상기 고압조정유니트(30)의 제1감압수단(35)에 의해 감압된 공기가 공기공급유니트(10)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공기실린더(2)에서 토출되는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지게 되면 제1감압수단(35)이 차단되고 제2감압수단(45)에 의해 감압된 공기가 공기공급유니트(40)로 공급되어 이를 감지수단(15)이 감지하여 면체(5)내의 구비된 발광다이드오드化印)를 발광작동시키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감압수단(35)(45)은 중앙에 통공(37)을 갖는 고압노즐(38)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그 상부로는 수평, 수직통공(40c)(40d)을 갖고 상단면이 단차부(40a)에 의해 넓게 형성된 가압작동면(40b)을 갖는 감압밸브(40)가 감압스프링(41)(42)에 의해 탄발설치되되 상기 제1감압수단(35)의 감압스프링(41)은 제2감압수단(45)의 감압스프링(42)보다 탄성력이 높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깅으로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수단(60)은 제1,2공급유로(35a)(45a)와 각각 연통되는 제1,2감압작동실(46)(47)을 형성하여 이에 제1,2개폐작동부(50)(55)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제1개폐작동부(50)가 개방된 상태에서 공기실린더(2)내의 공기압이 설정치로 떨어짐에 따라 제2개폐작등부(55)가 개방작동되고 제1개폐작동부(50)는 폐쇄작동으로전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페작동부(50)는 일측 작동스프링(51)에 의해 탄발작동하고 몸체중앙에 단차부(52)를 형성하며 몸체 일측의 밀폐링(53)에 의해 제1감압작동실(46)을 개폐작동케 되는 개폐작동피스튼(54)이 구비되되 그 선단면(54a)이 상기 고압공급유로(34)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루고,
    상기 제2개페작동부(55)는 원주상에 공기유통홈(56a)을 갖는 하우징(56)내에 작동스프링(57)에 의해 탄발작동하고 상부의 경사면(58a)에 의해 제2감압작동실(47)을 개폐작동케 되는 개폐변(5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5)은 고압고정유니트(30)로 부터 감압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16a)을 갖는 작동실(15)내에 선단에 감지단(17a)을 형성하는 감지작동피스톤(17)을 작동스프링(18)에 의해 탄발설치하고, 상기 감지작동피스톤(17)의 탄발작동방향으로 접점센서(1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자동경보장치.
KR1019960077479A 1996-12-30 1996-12-30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KR10021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79A KR100215512B1 (ko) 1996-12-30 1996-12-30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79A KR100215512B1 (ko) 1996-12-30 1996-12-30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68A KR19980058168A (ko) 1998-09-25
KR100215512B1 true KR100215512B1 (ko) 1999-08-16

Family

ID=1949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479A KR100215512B1 (ko) 1996-12-30 1996-12-30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19B1 (ko) 2010-05-17 2010-12-09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장치용 안전경보시스템
KR101047905B1 (ko) 2011-02-14 2011-07-08 주식회사 산청 공기통용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40B1 (ko) * 2001-09-06 2004-03-02 주식회사 산청 공기 소모가 없는 공기 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경보음장치
KR100624337B1 (ko) * 2004-10-27 2006-09-15 차은종 지속적 기도양압 치료를 위한 양압호흡기
KR101151870B1 (ko) * 2011-07-18 2012-05-31 주식회사 산청 이동식 공기공급장치
KR102230161B1 (ko) * 2019-03-20 2021-03-22 미노언 주식회사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19B1 (ko) 2010-05-17 2010-12-09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장치용 안전경보시스템
KR101047905B1 (ko) 2011-02-14 2011-07-08 주식회사 산청 공기통용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68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096B2 (en) Self rescuer including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and breathing air monitor (BAM)
KR101028174B1 (ko) 소화장치
US20170296094A1 (en) Breathing apparatus with system-integrated breathing sensor system
US10441826B2 (en) Airflow control valve
KR100215512B1 (ko)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US20100300436A1 (en) Device for locating person in emergency environment
US20150047638A1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AU605229B2 (en) Scuba breathing equipment
KR100951394B1 (ko)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CA1319584C (en) Valve
KR200186566Y1 (ko) 공기호흡기의 잔량경보장치
KR200338192Y1 (ko) 비상용 산소호흡기
US20030116156A1 (en) Breathing apparatus
KR200362480Y1 (ko) 비상용 산소호흡기
US11690968B2 (en) Breathing air supply system with contactless vital parameter sensor measuring
RU2279902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дыхательной смеси в пневмосистемы средств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KR200180240Y1 (ko) 공기호흡기용 자동점멸장치
CN114173881A (zh) 用于自主式呼吸装置的低压警报
RU2279299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дыхательной смеси в пневмосистемы средств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GB2470199A (en) Full-face breathing mask with illuminated oronasal mask
KR100420918B1 (ko)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KR100419840B1 (ko) 공기 소모가 없는 공기 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경보음장치
KR200174072Y1 (ko) 공기호흡기용 경보기의 공기배출량조절장치
KR102339310B1 (ko)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KR100813421B1 (ko) 조명, 산소호흡 및 위치알림 기능이 원터치 방식으로이루어지는 응급 구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