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310B1 -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310B1
KR102339310B1 KR1020210023845A KR20210023845A KR102339310B1 KR 102339310 B1 KR102339310 B1 KR 102339310B1 KR 1020210023845 A KR1020210023845 A KR 1020210023845A KR 20210023845 A KR20210023845 A KR 20210023845A KR 102339310 B1 KR102339310 B1 KR 10233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plunger
installation groov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Priority to KR102021002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압축된 기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외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홈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마련된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결되되 상기 설치홈 중으로 개방되는 플런저 챔버와, 상기 플런저 챔버에서 감압된 기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 챔버를 통해 상기 설치홈으로 기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막고, 상기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내측에 캡 홀이 형성된 캡; 및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EMERGENCY PRESSURE REGULATOR}
본 발명은 압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된 기체를 사용하기 적합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일정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압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선박 등 닫힌 공간을 갖는 구조물에는 화재 발생 시 사람들의 호흡을 돕기 위한 개인용 호흡 장비가 비치된다.
잘 알려진 것과 같이, 화재 발생 시 인명 사고의 대부분은 유독 가스로 인한 질식사이다. 통계적으로 화재로 인한 사망 중에 60% 이상이 가스와 연기에 질식하여 사망하는 것이고, 약 20% 정도만이 화상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공기 부족이나 유독 가스에 노출된 사람이 개인용 호흡 장비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면 질식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개인용 호흡 장비로는 방독면과 같이 공기 중의 유해 가스를 필터링하는 방식과, 사용자에게 일정량의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방독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착용 방법을 익히지 못한 사람이 신속하게 착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화재로 공기 중 산소의 농도가 줄어들면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소방관용 공기호흡기(SCBA :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나, 스쿠버 다이버가 사용하는 수중용 공기호흡기(SCUBA :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부피가 크고, 휴대하기 어려우며, 고가이기 때문에 건물이나 선박에 다량으로 비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832817호(2018.02.21)에는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이 용이한 비상 탈출용 호흡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비상탈출용 호흡기는 공기용기에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고, 공기용기에 연결되는 감압기로 공기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감압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감압기는 소방관이나 스쿠버 다이버가 사용하는 공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감압기는 대부분이 다이아프램을 사용하는 것으로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832817호 (2018.02.21.) 한국공개특허 제2020-0129410호 (2020.11.1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은 부품과 단순한 구조로 압축 공기 등의 압축된 기체를 사용하기 적합한 압력으로 효과적으로 감압시켜 공급할 수 있는 압력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압축된 기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외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홈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마련된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결되되 상기 설치홈 중으로 개방되는 플런저 챔버와, 상기 플런저 챔버에서 감압된 기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 챔버를 통해 상기 설치홈으로 기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막고, 상기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내측에 캡 홀이 형성된 캡; 및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 가능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거리는 상기 스토퍼 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설치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연결 유로가 형성된 플런저 헤드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를 상기 오리피스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유로가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런저 헤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캡 쪽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설치 홈 속에는 하우징 나사부에 구비되고, 상기 캡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 나사부에 대응하는 캡 외측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캡은 상기 캡 외측 나사부가 상기 하우징 나사부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 홀 속에는 캡 내측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핀의 외면에는 상기 캡 내측 나사부에 대응하는 스토퍼 핀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스토퍼 핀 나사부가 상기 캡 내측 나사부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핀의 일단에는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의 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시트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마개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플런저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실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홈과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되는 배기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홈에는 상기 배기홈을 통해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입되는 일정 압력 이상의 기체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배기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비상 밸브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다이아프램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적은 부품과 단순한 구조로 압축된 기체를 효과적으로 감압시켜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캡에 대한 스토퍼 핀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우징에 대한 캡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플런저에 대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부재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체의 감압률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플런저와 개폐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캡과 스토퍼 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캡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스토퍼 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비상 밸브 유닛에 의한 비상 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하우징(110)과,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130)와, 플런저(13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런저(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부재(145)와, 하우징(110)의 일측을 덮는 캡(155)과,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캡(155)에 결합되는 스토퍼 핀(165)과, 플런저(130)를 통과하는 기체를 비상 배기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비상 밸브 유닛(17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다양한 기체를 사용하기 적합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공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레귤레이터(100)가 비상 탈출용 호흡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비상 탈출용 호흡기에 사용되는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통(미도시)과 사용자의 입이나 코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나 두건 등의 착용 기구(미도시)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감압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를 갖는다.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의 사이에는 설치홈(115)이 배치된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된 공기는 설치홈(115)을 통해 배출구(112)로 유동할 수 있다. 설치홈(115)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플런저(130) 및 캡(155)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설치홈(115)을 통해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유입구(111)와 설치홈(115)의 사이에는 연결홈(113)과, 테이퍼홈(114)이 마련된다. 플런저(130)의 일부분이 연결홈(113)과 테이퍼홈(114)에 삽입되어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설치홈(115)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테이퍼홈(114)은 설치홈(115)에서 연결홈(113)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공기를 비상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홈(116)이 구비된다. 배기홈(116)에는 비상 밸브 유닛(175)이 설치된다. 배기홈(116)은 바이패스 유로(117)를 통해 설치홈(115)과 연결되어 설치홈(115)의 공기가 바이패스 유로(117)를 통해 배기홈(116)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홈(116)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배기구(118)와 연결된다. 배기홈(116)과 바이패스 유로(117)의 사이에는 통공(121)이 형성된 비상 밸브 시트부(120)가 구비된다. 통공(121)은 비상 밸브 유닛(17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통공(121)이 개방될 때 바이패스 유로(117)의 공기가 통공(121)과 배기홈(116) 및 배기구(118)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 밖에, 하우징(110)에는 하우징 나사부(123)(125)(127)가 구비된다. 설치홈(115) 속에 구비되는 하우징 나사부(123)는 캡(155)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배출구(112) 속에 구비되는 하우징 나사부(125)는 배출 튜브(182)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배출 튜브(182)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착용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관(184)이 결합된다. 배출구(112)를 통과하는 감압된 공기가 배출 튜브(182)와 연결관(184)을 통과하여 착용 기구로 공급될 수 있다. 배기홈(116) 속에 마련되는 하우징 나사부(127)는 비상 밸브 유닛(175)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하우징(110)의 유입구(111)에는 공기통의 공기를 유입구(111)로 가이드하기 위한 유입 튜브(188)가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 단부에는 커플링 캡(190)이 결합된다. 커플링 캡(190)은 하우징(110)을 공기통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2)를 구비하고, 플런저(130)와 캡(155)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런저(130)는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구(112)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런저(130)는 하우징(110)의 연결홈(113)에 삽입되는 플런저 바디(131)와, 하우징(110)의 설치홈(115)에 배치되는 플런저 헤드(132)를 포함한다.
플런저 바디(131)는 플런저 헤드(132)의 일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된다. 플런저 바디(131)의 내측에는 가이드 유로(133)가 구비된다. 가이드 유로(133)는 하우징(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압축된 공기를 플런저 헤드(132)의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플런저 헤드(132)의 내측에는 가이드 유로(133)와 연결되는 오리피스(136)가 마련된 시트부(135)와, 오리피스(136)와 연결되는 플런저 챔버(137)와, 플런저 챔버(137)와 연결되는 연결 유로(138)가 구비된다. 플런저 챔버(137)에 개폐부재(14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오리피스(136)는 개폐부재(14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플런저 챔버(137)는 설치홈(115) 중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개폐부재(145)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플런저 챔버(137)를 통해 공기가 캡(155) 쪽으로 유동할 수 없다. 연결 유로(138)는 설치홈(115) 중으로 노출되며 플런저 챔버(137)의 공기를 설치홈(115)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 밖에, 플런저(130)에는 테이퍼부(140)와, 플런저 홈(141)이 구비된다. 테이퍼부(140)는 하우징(110)의 테이퍼홈(114)과 마주하도록 플런저 헤드(13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플런저 홈(141)은 플런저 헤드(132)의 타단부에 설치홈(115) 중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부(140)는 테이퍼홈(114)에 대응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플런저 바디(131)의 외면에는 실링재(143)가 배치된다. 실링재(143)는 플런저 바디(131)와 하우징(110) 사이를 실링하여 플런저(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캡(155)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는다.
플런저(13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구(112) 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개폐부재(145)는 플런저(130)의 오리피스(136)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플런저(13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부재(145)는 플런저(130)의 플런저 챔버(137)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기가 플런저 챔버(137)를 통해 캡(155)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개폐부재(145)는 시트부(135)에 접하거나 시트부(135)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오리피스(136)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145)는 몸체부(146)와, 몸체부(146)의 일단에 구비되는 마개부(148)를 포함한다. 몸체부(146)는 그 외면이 플런저(130)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플런저 챔버(137)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마개부(148)는 몸체부(146)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시트부(135)에 접함으로써 오리피스(136)를 밀폐할 수 있다. 몸체부(146)의 타단 중앙에는 개폐부재 홈(149)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46)의 외면에는 실링재(151)가 결합된다. 실링재(151)는 몸체부(146)와 플런저(130) 사이를 실링하여 오리피스(136)를 통과한 공기가 플런저 챔버(137)를 통해 캡(155)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는다.
개폐부재(145)는 실링재(151)가 배치된 부분이 플런저 챔버(137)를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스토퍼 핀(165)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개폐부재(145)는 마개부(148)가 시트부(135)에 밀착되어 오리피스(136)를 밀폐할 수 있으며, 오리피스(136)로 유동하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캡(155) 쪽으로 밀려 시트부(135)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이격되면 오리피스(136)가 개방되고 가이드 유로(133)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오리피스(136)를 통과하여 플런저 챔버(137)로 유입될 수 있다.
개폐부재(145)는 오리피스(136)를 개폐하고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재(145)가 오리피스(136)를 개방할 때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은 가이드 유로(13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보다 작다. 따라서 가이드 유로(133)로 유입되는 압축된 공기는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면서 감압되고, 감압된 공기가 플런저 챔버(137)에서 연결 유로(138)를 거쳐 배출구(112)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멀어질수록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감소하여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플런저 챔버(137)에서 연결 유로(138)를 거쳐 배출구(112)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145)가 상대적으로 조금 움직여 시트부(135)로부터 이격되면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감압될 수 있다. 반면, 개폐부재(145)가 상대적으로 많이 움직여 시트부(135)로부터 이격되면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공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감압률로 감압될 수 있다.
개폐부재(145)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플런저(130)의 플런저 챔버(13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플런저(130)의 오리피스(136)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캡(155)은 하우징(110)의 설치홈(115)에 삽입되어 설치홈(115)을 덮는다. 캡(155)의 외면에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나사부(123)에 대응하는 캡 외측 나사부(156)가 구비된다. 캡(155)은 캡 외측 나사부(156)가 하우징 나사부(123)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캡(155)의 중앙에는 스토퍼 핀(165)이 삽입되는 캡 홀(157)이 구비된다. 캡 홀(157)은 캡(155)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캡 홀(157) 속에는 캡 내측 나사부(159)가 구비된다. 캡 내측 나사부(159)는 스토퍼 핀(165)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캡(155)에는 캡홈(161)과 삽입홈(162)이 구비된다. 캡홈(161)은 설치홈(115) 속에서 플런저(130)의 플런저 홈(141)과 마주하도록 캡(155)의 일면에 형성된다. 삽입홈(162)은 캡(155)의 타면에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홈(162)에는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캡 조정 툴(10)의 일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캡 조정 툴(10)을 캡(155)에 결합하고 캡(155)을 회전시킴으로써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155)은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186)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커버(186)는 캡(155)의 끝단에 결합되어 캡(155)을 덮음으로써 캡 홀(157)이나 삽입홈(16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캡(155)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스토퍼 핀(165)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 핀(165)은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캡(155)에 결합된다. 스토퍼 핀(165)은 캡(155)으로부터 돌출되어 캡(155) 쪽으로 이동하는 개폐부재(145)에 접함으로써 개폐부재(145)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 핀(165)의 외면에는 캡(155)의 캡 내측 나사부(159)에 대응하는 스토퍼 핀 나사부(167)가 구비된다. 스토퍼 핀(165)은 스토퍼 핀 나사부(167)가 캡 내측 나사부(159)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캡(155)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 핀(165)의 일단에는 개폐부재(145)에 접할 수 있는 팁부(166)가 구비된다. 팁부(166)는 개폐부재(145)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개폐부재(145)가 캡(155) 쪽으로 이동할 때 팁부(166)의 끝단이 개폐부재(145)의 개폐부재 홈(149)에 삽입되어 개폐부재(145)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핀(165)이 개폐부재(145)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스토퍼 핀(165)은 팁부(166)가 개폐부재(145)의 개폐부재 홈(149)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부재(145)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 핀(165)이 더욱 안정적으로 개폐부재(145)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팁부(166)가 개폐부재 홈(149)에 맞물려 있으므로 개폐부재(145)가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더라도 스토퍼 핀(165)과 개폐부재(145) 사이의 접촉 부위가 변경되지 않고, 개폐부재(145)가 더욱 안정적으로 스토퍼 핀(165)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 핀(165)의 타단에는 스토퍼 핀 홈(168)이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 핀 홈(168)에는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 핀 조정 툴(20)의 일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토퍼 핀 조정 툴(20)을 스토퍼 핀(165)에 결합하고 스토퍼 핀(165)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 핀(165)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개폐부재(145)에 접할 수 있도록 캡(15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토퍼 핀 조정 툴(20)을 이용하여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과, 캡 조정 툴(10)을 이용하여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토퍼 핀(165)이 캡(155)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 핀(165)이 캡(155)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개폐부재(145)와 스토퍼 핀(165)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상대적으로 작게 이격되어 오리피스(136)를 개방하게 되므로, 압축된 공기를 더욱 작은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스토퍼 핀(165)이 캡(155)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개폐부재(145)와 스토퍼 핀(165)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게 이격되어 오리피스(136)를 개방하게 되므로, 감압률을 낮추고 공기를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캡(155)이 플런저(13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155)이 플런저(13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개폐부재(145)와 스토퍼 핀(165)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반면, 캡(155)이 플런저(13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개폐부재(145)와 스토퍼 핀(165)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캡(155)의 위치와,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제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의 감압률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플런저(130)와 캡(155)의 사이에는 스프링(170)이 개재된다. 스프링(170)의 일단은 플런저(130)의 플런저 홈(141)에 삽입되고 스프링(170)의 타단은 캡(155)의 캡홈(161)에 삽입된다. 스프링(170)은 플런저(130)에 대해 캡(15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플런저(130)는 하우징(11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으나 스프링(170)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스프링(170)을 압축시키면서 움직일 수 있다. 즉 플런저(130)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받는 외력이 스프링(170)이 플런저(130)에 가하는 탄성력보다 큰 경우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170)을 압축시키면서 캡(155) 쪽으로 밀릴 수 있다. 스프링(170)의 탄성 계수는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목표 감압률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플런저(130)가 스프링(170)을 압축시키면서 캡(155) 쪽으로 밀리면 개폐부재(145)와 스토퍼 핀(165)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게 제한된다. 따라서 스프링(170)의 탄성력 크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프링(170)을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130)가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을 갖는 압축된 공기에 대해서도 플런저(130)가 움직임으로써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스프링(170)을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갖는 압축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플런저(130)가 움직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70)을 사용하면 플런저(130)의 이동에 의해 추가적인 감압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동일한 크기의 압력을 갖는 압축된 공기가 공급된다고 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70)을 사용하면 플런저(130)의 이동에 의해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더욱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더욱 작은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프링(170)이 플런저(130)에 가하는 탄성력은 캡(155)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130)와 캡(155)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면 스프링(170)의 압축량이 증가하여 스프링(170)이 플런저(130)에 가하는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반면, 플런저(130)와 캡(15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면 스프링(170)의 압축량이 감소하여 스프링(170)이 플런저(130)에 가하는 탄성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플런저(1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17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런저(130)와 캡(155)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 구조 이외에, 플런저(130)를 캡(155) 쪽으로 가압하는 공기의 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플런저(13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상 밸브 유닛(175)은 바이패스 유로(117)를 통과하는 공기를 배기홈(116)을 통해 비상 배기시킬 수 있도록 배기홈(116)에 설치된다. 비상 밸브 유닛(175)은 하우징(110)의 통공(1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배기홈(116) 속에서 이동할 수 있는 비상 밸브 마개(176)와, 배기홈(116)의 하우징 나사부(127)에 대응하는 비상 밸브 캡 나사부(179)를 구비하는 비상 밸브 캡(178)과, 비상 밸브 마개(176)와 비상 밸브 캡(178)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80)을 포함한다. 스프링(180)은 비상 밸브 마개(176)에 대해 통공(121)을 밀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비상 밸브 마개(176)는 하우징(110)의 비상 밸브 시트부(120)에 접함으로써 통공(121)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비상 밸브 마개(176)에는 비상 밸브 시트부(120)에 밀착되는 완충부재(177)가 구비된다. 완충부재(177)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통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압력 레귤레이터(100)를 통해 착용 기구로 유동하는 중에 압력 레귤레이터(100)에 의해 감압되는 공기의 압력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할 수 있다. 과도한 크기의 압력을 갖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의 호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악영향이 가해질 수 있다. 비상 밸브 유닛(175)은 이러한 비정상적 상황에서 배기홈(116)을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과도한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지 않게 하고,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사용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즉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구(112)로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이 되면, 비상 밸브 유닛(175)의 비상 밸브 마개(176)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180)을 압축시키면서 비상 밸브 시트부(120)로부터 밀려나게 된다. 이때, 비상 밸브 시트부(120)의 통공(121)이 개방되어 플런저(130)를 통과한 공기가 바이패스 유로(117)와 통공(121)을 통해 배기홈(116)으로 유입되어 배기구(118)를 통해 배기된다. 그리고 배기구(118)를 통해 공기가 배기됨으로써 배출구(112)로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하우징(110) 내부에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 비상 밸브 마개(176)가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통공(121)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한다.
비상 밸브 유닛(175)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배출구(112)로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상승할 때 배기홈(116)과 하우징(110)의 외부를 연결시켜 공기를 비상 배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압축된 공기는 플런저(130)의 가이드 유로(133)를 통과하여 오리피스(136)로 유동한다. 이때, 개폐부재(145)가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시트부(135)로부터 들어올려져 오리피스(136)가 개방된다. 압축된 공기에 의한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는 스토퍼 핀(165)에 의해 제한된다. 즉 개폐부재(145)는 그 끝단이 스토퍼 핀(165)에 접하는 위치까지 밀린 후 정지하고, 오리피스(136)는 설정된 개도량만큼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오리피스(136)를 통과하는 공기는 감압되어 플런저(130)의 연결 유로(138)를 통해 하우징(110)의 설치홈(115)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설치홈(115)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10)의 배출구(112)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된 착용 기구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토퍼 핀(165)이 개폐부재(145)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 높이를 줄이면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10)의 유입구(111)로 공기가 유입되면 개폐부재(145)가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토퍼 핀(165)과 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11의 경우 도 9와 비교하여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이격되고, 이에 따라 오리피스(136)의 개도량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통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를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감압시킬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여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캡(155)을 플런저(130)로부터 멀리 위치시키면 스토퍼 핀(165)과 개폐부재(145)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므로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통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를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 크기에 따라 플런저(130)가 캡(155) 쪽을 밀릴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145)와 스토퍼 핀(165)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145)가 시트부(135)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작게 이격되어 오리피스(136)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오리피스(136)의 개도량도 작아져 공기통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를 상대적으로 더 작은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다이아프램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적은 부품과 단순한 구조로 압축된 기체를 효과적으로 감압시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캡(155)에 대한 스토퍼 핀(165)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우징(110)에 대한 캡(155)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플런저(130)에 대한 스프링(17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부재(145)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체의 갑압률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가 비상 탈출용 호흡기에 사용되어 압축된 공기를 감압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압축된 공기 이외의 다양한 압축 기체를 감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압력 레귤레이터 110 : 하우징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13 : 연결홈 115 : 설치홈
116 : 배기홈 117 : 바이패스 유로
118 : 배기구 120 : 비상 밸브 시트부
121 : 통공 130 : 플런저
131 : 플런저 바디 132 : 플런저 헤드
133: 가이드 유로 135: 시트부
136 : 오리피스 137 : 플런저 챔버
138 : 연결 유로 145 : 개폐부재
146 : 몸체부 148 : 마개부
149 : 개폐부재 홈 155 : 캡
157 : 캡 홀 159 : 캡 내측 나사부
161 : 캡홈 162 : 삽입홈
165 : 스토퍼 핀 166 : 팁부
167 : 스토퍼 핀 나사부 168 : 스토퍼 핀 홈
170, 180 : 스프링 175 : 비상 밸브 유닛
176 : 비상 밸브 마개 178 : 비상 밸브 캡
182 : 배출 튜브 184 : 연결관
186 : 커버 188 : 유입 튜브
190 : 커플링 캡 192 : 연결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압축된 기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외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홈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마련된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결되되 상기 설치홈 중으로 개방되는 플런저 챔버와, 상기 플런저 챔버에서 감압된 기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 챔버를 통해 상기 설치홈으로 기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막고, 상기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내측에 캡 홀이 형성된 캡; 및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 가능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거리는 상기 스토퍼 핀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설치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연결 유로가 형성된 플런저 헤드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를 상기 오리피스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유로가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런저 헤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캡 쪽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설치홈 속에는 하우징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캡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 나사부에 대응하는 캡 외측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캡은 상기 캡 외측 나사부가 상기 하우징 나사부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4. 압축된 기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외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홈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마련된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결되되 상기 설치홈 중으로 개방되는 플런저 챔버와, 상기 플런저 챔버에서 감압된 기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 챔버를 통해 상기 설치홈으로 기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막고, 상기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내측에 캡 홀이 형성된 캡; 및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 가능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거리는 상기 스토퍼 핀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설치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연결 유로가 형성된 플런저 헤드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를 상기 오리피스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유로가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런저 헤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캡 홀 속에는 캡 내측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핀의 외면에는 상기 캡 내측 나사부에 대응하는 스토퍼 핀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스토퍼 핀 나사부가 상기 캡 내측 나사부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핀의 일단에는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의 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6. 압축된 기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외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홈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마련된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결되되 상기 설치홈 중으로 개방되는 플런저 챔버와, 상기 플런저 챔버에서 감압된 기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 챔버를 통해 상기 설치홈으로 기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막고, 상기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내측에 캡 홀이 형성된 캡; 및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 가능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거리는 상기 스토퍼 핀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시트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마개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플런저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7. 압축된 기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외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홈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마련된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결되되 상기 설치홈 중으로 개방되는 플런저 챔버와, 상기 플런저 챔버에서 감압된 기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 챔버를 통해 상기 설치홈으로 기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막고, 상기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내측에 캡 홀이 형성된 캡; 및
    상기 개폐부재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부에서 이격 가능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거리는 상기 스토퍼 핀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홈과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되는 배기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홈에는 상기 배기홈을 통해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입되는 일정 압력 이상의 기체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배기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비상 밸브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KR1020210023845A 2021-02-23 2021-02-23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KR10233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45A KR102339310B1 (ko) 2021-02-23 2021-02-23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45A KR102339310B1 (ko) 2021-02-23 2021-02-23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310B1 true KR102339310B1 (ko) 2021-12-15

Family

ID=7886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845A KR102339310B1 (ko) 2021-02-23 2021-02-23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3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710A (ja) * 2000-03-07 2003-09-02 ルグテイゲイド,ゲラルデユス・ウイルヘルムス 人又は動物にガスを投与するための装置
KR101305473B1 (ko) * 2013-02-04 2013-09-06 (주)에쎈테크 액화가스 압력 레귤레이터
KR101832817B1 (ko) 2016-11-21 2018-02-27 박대수 비상탈출용 호흡기
KR20200129410A (ko) 2019-05-08 2020-11-18 미노언 주식회사 공기호흡장치의 디맨드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710A (ja) * 2000-03-07 2003-09-02 ルグテイゲイド,ゲラルデユス・ウイルヘルムス 人又は動物にガスを投与するための装置
KR101305473B1 (ko) * 2013-02-04 2013-09-06 (주)에쎈테크 액화가스 압력 레귤레이터
KR101832817B1 (ko) 2016-11-21 2018-02-27 박대수 비상탈출용 호흡기
KR20200129410A (ko) 2019-05-08 2020-11-18 미노언 주식회사 공기호흡장치의 디맨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25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breathing apparatuses in multiple modes
US4436090A (en) Piston actuated, pilot valve operated breathing regulator
US4345593A (en) Pressure-demand breat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air shut-off
US4354520A (en) Pressure/demand exhalation valve
RU2250121C2 (ru)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US8955514B2 (en) Facepiece with open port
US5724961A (en) Valve arrangement and a breathing regulator which includes such a valve arrangement
KR102250203B1 (ko) 공기호흡장치의 디맨드 밸브
CA1129303A (en) Pressure-demand breat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air shut-off
KR102339310B1 (ko) 비상용 압력 레귤레이터
EP1831594B1 (en) Springless regulator valve assembly
US5549107A (en) Second stage scuba diving regulator
KR102402674B1 (ko) 공기 호흡기용 유량조절장치
KR102388553B1 (ko) 압력 레귤레이터
EP0631795B1 (en) Regulator for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2346362B1 (ko) 공기호흡기용 압력조절장치
KR102388554B1 (ko) 압력 레귤레이터
KR101870114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209060397U (zh) 正压式空气呼吸器
KR200338192Y1 (ko) 비상용 산소호흡기
US5619987A (en) Semi-closed rebreathing apparatus with water removing pump
US20030116156A1 (en) Breathing apparatus
GB2209123A (en) Breathing apparatus
KR20050092997A (ko)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KR100419840B1 (ko) 공기 소모가 없는 공기 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경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