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918B1 -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918B1
KR100420918B1 KR10-2001-0086840A KR20010086840A KR100420918B1 KR 100420918 B1 KR100420918 B1 KR 100420918B1 KR 20010086840 A KR20010086840 A KR 20010086840A KR 100420918 B1 KR100420918 B1 KR 10042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compressed air
shock wave
suppl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577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1-008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9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호흡으로 인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 사용자의 호흡시 레귤레이터 내부의 유동부재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되어 호흡기 면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전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잔량을 효과적으로 경보하여 사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유로; 공기용기로부터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감압시키는 감압밸브;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된 공기를 공급호스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 면체로 공급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유입되면 사용자의 호흡시 상하의 유동으로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을 개폐하면서 충격파를 발생시켜 감압공기 공급유로와 연결된 공급호스를 통해 호흡기 면체로 전달하는 충격파 발생수단; 및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충격파 발생수단이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하여 감압된 공기가 감압공기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Impact alarming apparatus eliminating air consumption regulator for air breathing}
본 발명은 공기호흡기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호흡기의 압축공기 호흡시 잔압의 부족을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경보하여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이 탄다는 사실은 연소라는 용어로서 표기되고 있으며, 이 연소에 대한 정의를 내림으로서 불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다. 연소는 어떤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반응 중에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그 결과 강한 열과 빛을 동반한 산화반응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소방법 제1조에 의하면 소방은 "화재를 예방·경계·진압하고 재난 재해 및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구급활동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질서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고 있다. 시대와 공간을 막론하고 인간은 항상 예방하기 어려운 재난이나 사고의 위험 속에서 살고 있다. 특히, 사회구조가 고도로 산업화되고 도시화될수록 화재, 폭발, 각종 산업재해 및 교통사고 등 재난의 양상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기 마련이다.
지난 10여년간 우리 나라에서 발생한 화재를 원인별로 보면 전기, 유류, 담배, 아궁이, 난로, 불장난, 성냥, 가스 등이 주요 원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체 화재의 절반 이상이 사용자의 부주의와 방심, 다시 말하면 불조심에 신경을 쓰지 않고 마음을 풀어놓은 무관심 상태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 분 화재발생(건) 재산피해(천원) 인 명 피 해(명)
사망 부상
전국 32,664 159,721,000 2,284 505 1,779
구분 전기 담배불 방화 불장난 불티 가스 유류 기타
전국 32,664 10,897 3,856 3,056 1,938 1,668 1,827 475 8,947
구분 주택 차량 공장 음식점 점포 선박 사업장 기타
전국 32,664 9,854 5,377 3,404 2,023 1,769 118 530 9,589
표 1 표 2 및 표 3 은 1998년 한 해 동안 전국의 화재발생 총괄, 화재원인별 및 화재장소별 건수를 산출한 데이터로, 표 1, 2, 3 에서와 같이 화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또한,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화재에는 가연물의 연소시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독성 가스가 발생한 화재의 진압시 소방관들은 공기호흡기를 등에 짊어지게 된다.
전술한 공기호흡기는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화재현장 등에서 소방관들의 화재진압 또는 그외의 위급상황에서의 인명구조 작업시에 등에 착용하여 산소량이 부족한 주위상황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식사고에 대한 인명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비의 하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호흡기는 약 300kgf/cm2까지 공기의 충전이 가능한 공기용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충전된 압축공기는 레귤레이터에서 1차 감압이 되어진 후 공급호스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에 씌워진 호흡기 면체로 공급되어 호흡시 공급되어진다.
한편, 종래의 공기호흡기에는 경보용 휘슬이 구비되어져 있어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았을 경우에는 소량의 호흡용 공기가 휘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기의 소진을 경보하여 작업의 철수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양은 약 40초간의 호흡양으로 유독가스의 농도에 따라서는 1회의 호흡으로도 질식될 수 있는 상황에서 호흡할 수 있는 분량이다. 이외에도 종래의 공기호흡기 경보장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자음 또는 LED(점멸장치) 등을 휘슬 또는 벨과 함께 혼용한 2중 경보장치 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호흡기 경보장치는 전선, 배터리, LED 등과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 개스킷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고, 또한 물리적인 힘으로 작동하는 휘슬이나 벨, 전자장치로 작동하는 LED 및 전자음 장치는 상호 작동시간에 있어 어느 정도의 시간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에서 효과적인 경보음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호흡기 경보장치는 사용자의 외부에 노출되어져 있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화재진압 현장에서 경보음이 발하는 경우 주위의 혼란한 상황에 묻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가 호흡으로 인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 사용자의 호흡시 레귤레이터 내부의 유동부재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되어 호흡기 면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잔량을 효과적으로 경보하여 사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의 소진에 대한 경보로 충격파를 발생하여 호흡기 면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접으로 전달해줌으로써 사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명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화재진압 현장과 같은 격한 환경에서도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보인 설치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서 일정 이상의 공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서 일정 이하의 공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의 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서 일정 이상의 공기압이 작동하고 있을 때의 흡입시 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레귤레이터 110. 공기유로
110a. 유입측 공기유로 110b. 압력계측 공기유로
110c. 개방수단측 공기유로 110d. 감압밸브측 공기유로
110e. 감압공기 유입유로 120. 감압밸브
130. 감압공기 공급유로 140. 충격파 발생수단
142. 유동부재 144. 고무링
146. 탄성스프링 148. 지지부재
150.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 152, 하부 지지부재
154. 상부 지지부재 156. 탄성스프링
160. 2차 압력 조절수단 162. 2차 압력 조절부재
164. 압력조절나사 166. 탄성스프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호흡으로 인하여 압력이 낮아지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유로; 공기용기로부터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감압시키는 감압밸브;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된 공기를 공급호스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 면체로 공급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유입되면 사용자의 호흡시 상하의 유동으로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을 개폐하면서 충격파를 발생시켜 감압공기 공급유로와 연결된 공급호스를 통해 호흡기 면체로 전달하는 충격파 발생수단; 및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충격파 발생수단이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하여 감압된 공기가 감압공기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공기유로는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측 공기유로; 유입측 공기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압력계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압력계측 공기유로; 유입측 공기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 유입측 공기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감압밸브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감압밸브측 공기유로; 및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된 공기가 흐르는 감압공기 유입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충격파 발생수단은 중심에 상하로 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동부재; 유동부재의 원주면에 설치되어 밀봉시키는 고무링; 및 유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동부재를 감압공기 공급유로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은 개방수단측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공과 압축공기 유입공과 내통되어 상하로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재; 하부 지지부재의 설치공에 하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유동부재가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 및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향으로 작용하는 상부 지지부재를 상시 역방향의 하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의 탄성스프링은 충격파 발생수단의 탄성스프링에 비해 탄성력이 더 크게 구성됨이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보인 설치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서 일정 이상의 공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서 일정 이하의 공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의 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에서 일정 이상의 공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의 흡입시 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는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의 압력 즉, 공기의 소진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충격파 발생수단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되어 공급호스를 통해 호흡기 면체로 충격파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잔량을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잔량을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100)는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10)의 압축공기 공급호스(12)와 호흡기 면체(20)의 감압공기 공급호스(22)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레귤레이터(100)의 일측에는 공기용기(10) 내부의 압력을 표시해주는 압력계(30)가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레귤레이터(100)는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사용자가 호흡하기에 알맞은 압력으로 감압시켜 호흡시마다 감아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설치되는 레귤레이터(100)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4)으로 이루어져나사부재(106)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귤레이터(100)의 유입된 공기를 감압시키는 구성과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유입될 경우 경보를 발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도 2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110), 유입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감압시키는 감압밸브(120), 감압된 공기를 공급호스(2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130),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유입되면 사용자의 호흡시 상하의 유동으로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을 개폐하면서 충격파를 발생시켜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와 연결된 공급호스(22)를 통해 충격파를 전달하는 충격파 발생수단(140) 및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충격파 발생수단(140)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귤레이터(100)는 공기용기(10)로부터 후술하는 공기유로(110)의 유입측 공기유로(110a)를 거쳐 유입된 공기를 감압밸브(120)를 통해 사용자가 호흡하기에 알맞은 압력으로 감압시킨 후 후술하는 공기유로(110)의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 면체(2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의 공급과정은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의 공급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의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은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후술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상부 지지부재(154)가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상향으로 이동되어 후술하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방시키게 된다.
반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의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은 후술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탄성스프링(156)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어 후술하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 선단을 폐쇄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시 후술하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가 상하로 유동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폐하면서 충격파를 발생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에서 공기유로(110)는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측 공기유로(110a), 유입측 공기유로(110a)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압력계(30)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압력계측 공기유로(110b), 유입측 공기유로(110a)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 유입측 공기유로(110a)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감압밸브(120)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 및 감압밸브(120)에 의해 감압된 공기가 흐르는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레귤레이터(100) 구성 중 감압밸브(120)는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보다 더 큰 직경의 감압공(1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작은 직경의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확장된 구조의 감압공(122)으로 유입될시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감압밸브(120)의 감압공(122)은 2단의 확장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충격파 발생수단(140)은 중심에 상하로 공기공(142a) 관통 형성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동부재(142), 유동부재(142)의 원주면에 설치되어 유동부재(142)의 원주면과 벽면 사이를 밀봉시키는 고무링(144) 및 유동부재(142)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동부재(142)를 가압하는 힘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4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은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공(152a)과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압축공기 유입공(152a)과 내통되는 설치공(152b)이 구비된 하부 지지부재(152), 하부 지지부재(152)의 설치공(152b)에 하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유동부재(142)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154) 및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향으로 작용하는 상부 지지부재(154)를 상시 역방향의 하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5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100)의 유입된 공기를 감압시키는 구성과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유입될 경우 경보를 발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공기유로(110)는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것으로, 이 다수의 공기유로(110) 중 상부 하우징(102)에 형성된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제외한 나머지 유입측 공기유로(110a), 압력계측 공기유로(110b),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 및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는 하부 하우징(104)에 형성된다.
전술한 공기유로(110) 중 유입측 공기유로(110a)는 공기용기(10)로부터 압축공기 공급호스(12)를 거쳐 하부 하우징(104)의 압축공기 유입구(112)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압력계측 공기유로(110b),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 및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압력계측 공기유로(110b)는 공기용기(1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압력계(3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로, 이 압력계측 공기유로(110b)는 압축공기 유입구(112)로부터 압력계(30)가 설치된 방향의 하부 하우징(104) 내측에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압력계측 공기유로(110b)는 공기용기(1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압력계(30)측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압력계(3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는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방시키기 위한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으로 압축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로, 이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는 유입측 공기유로(110a)로부터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 방향의 하부 하우징(104) 일측에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는 유입측 공기유로(110a)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상부 지지부재(154)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는 공기용기(1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감압밸브(120)로 흐르게 하기위한 유로로, 이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는 유입측 공기유로(110a)로부터 감압밸브(120)가 설치된 방향의 하부 하우징(104) 내측에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는 공기용기(1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감압밸브(120)로 흐르게 하여 감압밸브(120)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약 8kgf/cm2의 압력으로 감압시킨다.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는 감압밸브(120)에 의해 감압된 공기를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로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로, 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는 상부 하우징(102)의 하부측 적소에 형성되어 감압밸브(120)의 의해 감압된 공기를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로 흐르게 한다.
감압밸브(120)는 공기용기(10)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약 8kgf/cm2의 압력으로 감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감압밸브(120)는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와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104)의 내측 적소에 설치된다. 이때, 전술한 감압밸브(120)는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보다 더 큰 직경의 감압공(122)이 형성된 구조이고, 감압공(122)은 2단 확장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감압밸브(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압공(122)의 구조가 감압밸브측 공기유로(110d) 직경보다 훨씬 큰 단면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감압밸브(120)는 공기용기(10)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2차 압력인 약 8kgf/cm2로 감압시켜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거쳐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로 감압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는 감압밸브(120)에 의해 2차 압력인 야ㄷ 8kgf/cm2로 감압된 공기를 감압공기 공급호스(22)를 통해 호흡기 면체(20)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로, 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는 상부 하우징(102)의 일측 적소에 형성되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와 연결된다.
충격파 발생수단(140)은 공기용기(10)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의 소진으로 인하여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즉, 약 50kgf/cm2이하의 압력일 경우 사용자의 호흡시 유동부재(142)의 상하 유동을 통해 충격파를 발생시켜 감압공기 공급호스(22)와 호흡기 면체(2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적으로 충격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충격파 발생수단(140)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2)의 내측 적소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동부재(142), 유동부재(142)의 외주면과 벽면사이를 밀봉시키는 고무링(144), 가압하는 탄성력이 유동부재(142)를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상시 폐쇄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46) 및 탄성스프링(146)의 상부측에서 탄성스프링(146)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8)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동부재(142)의 중심에는 상하로 공기공(142a)이 관통 형성되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유입된 감압공기가 공기공(142a)을 통해 지지부재(148)과 유동부재(14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상부 지지부재(154)는 도 7 에서와 같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즉, 약 50kgf/cm2이하의 압력이기 때문에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의 탄성스프링(156)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따라서,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어 그 하단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충격파 발생수단(140)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 즉, 약 50kgf/cm2이하인 압력으로 공급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의 탄성스프링(156)에 의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상부 지지부재(154)가 하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어 그 하단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흡을 하게되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 내부의 감압공기가 감압공기 공급호스(22)를 통해 호흡기 면체(20)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 내부의 감압공기가 감압공기 공급호스(22)를 통해 호흡기 면체(2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에 잔류하는 감압공기 역시 유동부재(142)의 공기공(142a)을 통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로 빠져나와 감압공기 공급호스(22)를 거쳐 호흡기 면체(20)로 공급된다. 이때,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에 잔류하는 감압공기가 유동부재(142)의 공기공(142a)을 통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로 빠져나감으로써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은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의 압력인 약 8kgf/cm2이하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보다 압력이 낮아지므로써 유동부재(142)는 도 8 에서와 같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향 이동하여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방하게 되고,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는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통해 호흡기 면체(20)로 공급된다. 이때,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보다 압력이 낮아져 유동부재(142)가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향 이동하게 되면 유동부재(142)의 상향 이동에 따른 충겨파가 발생되어 감압공기 공급호스(22)와 호흡기 면체(2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으로 직접 충겨파가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이 압력저하가 됨으로써 유동부재(142)가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향 이동하게 되어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예를 들어, 물레방아의 원리를 보면 절구공이는 유동부재(142), 절구대는 탄성스프링(146), 물은 감압공기라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유동부재(142)는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향 이동되고, 이에 따라 유동부재(142)의 순간적인 이동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흡기 면체(20)를 통해 얼굴로 전해지는 충격파에 의해 화재진압과 같은 격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속에서도 공기용기(10) 내의 공기가 소진되었음을 인지하여 다음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충격파는 사용자의 얼굴에 충격을 줄만큼 강한 충격파는 아니고 격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속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충격파이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호흡시 유동부재(142)의 순간적인 상향 이동에 의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방하게 되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통해 호흡기 면체(20)로 공급된 후, 들이마신 숨을 내뱉으면 감압공기 유입유로(110e)를 통해 공급되는 감압공기는 호흡기 면체(20)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고, 유동부재(142)의 공기공(142a)을 통해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동부재(142)는 도 7 에서와 같이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감압공기의 압력과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향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들이마신 숨을 내뱉을 경우 유동부재(142)와 지지부재(14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감압공기의 압력과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향 이동되면 유동부재(142)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격파를 발생시켜 감압공기 공급호스(22)와 호흡기 면체(2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로 직접적으로 충격파가 감압공기 공급호스(22)를 통해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 즉, 약 50kgf/cm2이하인 압력으로 공급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의 탄성스프링(156)에 의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상부 지지부재(154)가 하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어 그 하단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입과 내뱉음을 반복하게 되면 도 7 및 도 8 에서와 같이 유동부재(142)가 상하로 반복해서 유동됨에 따라 충격파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감압공기 공급호스(22)와 호흡기 면체(2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로 직접적으로 충격파가 전달된다.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은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 즉 약 50kgf/cm2이상에서만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를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하여 감압된 공기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은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이면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기유로(110)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 즉, 약 50kgf/cm2이하인 압력으로 공급되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의 탄성스프링(156)에 의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상부 지지부재(154)가 하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어 그 하단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은 약 50kgf/cm2에서 자동함을 알 수 알 수 있다. 따라서, 경보를 발하기 위한 조건으로써 제조자의 제품 사양에 따라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구성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공(152a)과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압축공기 유입공(152a)과 내통되는 설치공(152b)이 구비된 하부 지지부재(152), 하부 지지부재(152)의 설치공(152b)에 하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유동부재(142)가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154) 및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향으로 작용하는 상부 지지부재(154)를 상시 역방향의 하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5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구성 중 하부 지지부재(152)는 하부 하우징(104)의 내측 적소에 상하로 설치되어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통해 상부 지지부재(154)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하부 지지부재(152)에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공(152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압축공기 유입공(152a)과 내통되어 설치공(152b)이 상하로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재(154)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 즉,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상시에만 상향으로 이동되어 유동부재(142)를 감압공기 공급유로(130)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 상부 지지부재(154)는 하부 지지부재(152)의 설치공(152b)에 하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 지지부재(154)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상일 경우에는 압축공기 유입공(152a)을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되어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를 상향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방시키게된다.
반면, 상부 지지부재(154)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하일 경우 압축공기 유입공(152a)을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후술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상부 지지부재(154)를 들어 올릴만한 압력이 아니기 때문에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시키게 된다.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은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하일 경우에만 상부 지지부재(154)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가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은 하부 하우징(104)의 내측 적소에 지지되어 상부 지지부재(154)를 상시 하향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상일 경우에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감압공기 공급유로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상부 지지부재(154)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상부 지지부재(154)에 의해 상향으로 들어 올려져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개방시키게 된다.
반면,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하일 경우에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을 이겨내지 못하기 때문에 상향으로 이동된 상부 지지부재(154)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측 탄성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는 들어 올려지는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충격파 발생수단(140)측 탄성스프링(146)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감압공기 공급유로(130)를 폐쇄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150)의 작용에서 개방수단측 공기유로(110c)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0kgf/cm2이하일 경우가 레귤레이터(100)의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한편, 전술한 감압밸브(120)의 하부측에는 감압밸브(120)의 하단을 통해 감압공(122)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감압밸브(120)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2차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160)이 구성된다. 이러한 2차 압력 조절수단(160)은 감압밸브(120)의 하단을 안착시켜 감압공(122)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2차 압력 조절부재(162), 정역회전을 통해감압밸브(120) 하단과 2차 압력 조절부재(16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나사(164) 및 2차 압력 조절부재(162) 상단부에 설치되어 가압하는 힘이 2차 압력 조절부재(162)를 상시 하향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6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2차 압력 조절수단(160)은 압력조절나사(164)를 정역회전을 통해 상하로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2차 압력 조절부재(162)와 감압밸브(120) 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감압밸브(120)의 감압공(122)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2차 압력 조절부재(162)와 감압밸브(120) 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감압밸브(120)의 감압공(122)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결국 감압밸브(120)의 감압공(122)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2차 압력 조절수단(160)측 탄성스프링(166)은 2차 압력 조절부재(162)를 상시 압력조절나사(164)의 상단에 밀착시키려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임의대로 유동되지 못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소진되어 공기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 즉, 약 50kgf/cm2이하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호흡시 충격파 발생수단(140)의 유동부재(142)가 순간적으로 상하 유동되어 충격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발생된 충격파가 감압공기 공급호스(22)와 호흡기 면체(2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현장과 같은 격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공기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소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위험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진압과 같은 격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속에서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제품을 제공하여 어떠한 상황속에서도 경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호흡으로 인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 사용자의 호흡시 레귤레이터 내부의 유동부재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되어 호흡기 면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소진을 효과적으로 경보하여 사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압축공기의 소진에 대한 경보로 충격파를 발생하여 호흡기 면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접으로 전달해줌으로써 사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명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효과들 이외에 화재진압 현장과 같은 격한 환경에서도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공기호흡기용 공기용기 내부의 공기호흡으로 인하여 압력이 낮아지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유로;
    상기 공기용기로부터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감압시키는 감압밸브;
    상기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된 공기를 공급호스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 면체로 공급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유입되면 사용자의 호흡시 상하의 유동으로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을 개폐하면서 충격파를 발생시켜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와 연결된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호흡기 면체로 전달하는 충격파 발생수단; 및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상기 충격파 발생수단이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하여 감압된 공기가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공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측 공기유로;
    상기 유입측 공기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압력계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압력계측 공기유로;
    상기 유입측 공기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개방수단측 공기유로;
    상기 유입측 공기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기 감압밸브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감압밸브측 공기유로; 및
    상기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된 공기가 흐르는 감압공기 유입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발생수단은 중심에 상하로 공기공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원주면에 설치되어 밀봉시키는 고무링; 및
    상기 유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부재를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은 상기 개방수단측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공과 상기 압축공기 유입공과 내통되어 상하로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설치공에 하단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공기용기로부터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시에만 상기 유동부재가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의 선단으로부터 상시 이격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 및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지지부재를 상시 역방향의 하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공기 공급유로 개방수단의 탄성스프링은 상기 충격파 발생수단의 탄성스프링에 비해 탄성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KR10-2001-0086840A 2001-12-28 2001-12-28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KR100420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840A KR100420918B1 (ko) 2001-12-28 2001-12-28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840A KR100420918B1 (ko) 2001-12-28 2001-12-28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577A KR20030056577A (ko) 2003-07-04
KR100420918B1 true KR100420918B1 (ko) 2004-03-02

Family

ID=3221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840A KR100420918B1 (ko) 2001-12-28 2001-12-28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7855B (zh) * 2020-05-22 2023-10-17 中国人民解放军陆军防化学院 一种基于活动强度的空气呼吸器耗气量预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577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722B1 (ko) 비상시 공기를 공급하는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및 접이식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US11771927B2 (en) Rebreathing apparatus having inhaled oxygen mixing and exhaled carbon dioxide removal functions by electronic control
WO1997019726A9 (en)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having a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integrated therewith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KR100951394B1 (ko)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KR100420918B1 (ko) 공기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공기소모 없는 충격파 경보장치
KR200314946Y1 (ko) 공기호흡기용 개인안전 경보시스템
KR20080110329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12253223A (zh) 一种智能一体化呼吸自救装置
CN106139437A (zh) 一种可检测温度并报警的消防呼吸装置
KR200338192Y1 (ko) 비상용 산소호흡기
CN104288931B (zh) 空气呼吸器双重报警装置
CN205994902U (zh) 一种智能呼吸器
KR200362480Y1 (ko) 비상용 산소호흡기
KR101209864B1 (ko) 방화공
KR100215512B1 (ko) 양압식 공기호흡기의 이중 자동경보장치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CN216603846U (zh) 一种具有智能电子报警功能的舱式正压氧气呼吸器
CN218739919U (zh) 分离式气源呼吸装置、消防头盔以及救援设备
CN216395074U (zh) 一种便携式自供氧长效消防呼吸装置
CN218923608U (zh) 一种集成扩音、跌倒声光报警、气压采集功能的空呼背板
KR200428481Y1 (ko) 공기축압소화기
KR102264802B1 (ko) 건축물 소방용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US20230054808A1 (en) Emergency evacuation oxygen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