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610B1 -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610B1
KR100214610B1 KR1019960036379A KR19960036379A KR100214610B1 KR 100214610 B1 KR100214610 B1 KR 100214610B1 KR 1019960036379 A KR1019960036379 A KR 1019960036379A KR 19960036379 A KR19960036379 A KR 19960036379A KR 100214610 B1 KR100214610 B1 KR 10021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mputer monitor
monitor
video camera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02A (ko
Inventor
이경원
이국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6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20)에 수납부(21)를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수납부(21)에 카메라(30)를 수납시킨 상태로 사용하다가, 카메라 렌즈(32)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때는 카메라(30)를 수납부(21)에서 인출시킨 상태에서 2중 회전측(24)(25)으로 고정된 렌즈부(32)를 회전시켜 사용토록 한 것으로, 모니터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도 비디오 카메라의 성능을 최대한 보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수납부에 내장된 카메라를 상하좌우 회전시에는 모니터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토록 함으로써 모니터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카메라의 인식범위를 향상시키도록 한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회의를 실시하기 위하여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상,하측 각도만을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카메라 본체(1)를 지지하는 베이스(2)에 힌지(3)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의 상하측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한계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95년 특허출원된 제17708호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5)의 상부에 카메라 본체(4)가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베이스(5)는 하부베이스(6)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카메라 본체(4)와 상부베이스(5)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하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며, 상부베이스(5)와 하부베이스(6)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좌우측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져 화상회의용 카메라의 화각조절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도 1의 발명의 단점을 극복하도록 하였다.
한편, 역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95년 특허출원 제35518호는 도 3에서와 같이, 카메라 본체(7)를 모니터(8)의 상면에서 360°좌우회전이 가능함과 아울러 90°상하회전이 가능하며, 모니터(8)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한 구조로서, 카메라가 모니터에 항시 고정된 구조인 도 2의 단점을 해소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95년 특허출원 36337호에서 카메라를 모니터 내부에 수납시킨 구조를 제안한 바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카메라(9)를 모니터(10)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모니터(10) 내부에서 카메라(9)가 상하회전만이 가능하고, 좌우회전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여러 기술들은 화상회의가 가능하도록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하회전 및 좌우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비디오 카메라가 모니터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측 회전이 가능한 구조까지 제공되고 있으나, 모니터 내부에 카메라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측 회전이 자유로운 구조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모니터 내부에 카메라가 수납된 구조에서 상하측 및 좌우측 회전을 가능하게 하려면 상하좌우회전에 따른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므로 기기의 박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착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모니터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하고,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니터에서 인출시켜 자유롭게 카메라의 상하회전 및 좌우측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디오 카메라가 설치되는 모니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회의용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 화상회의용 카메라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 비디오 카메라장치의 일례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종래 비디오 카메라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장치가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 및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에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보인 단면도로서,
제7a도는 비디오 카메라부가 모니터 몸체에 내장된 상태의 단면도.
제7b도는 비디오 카메라부가 모니터 몸체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부의 적용된 회전축의 이중 회전조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9도는 비디오 카메라부의 회전축의 틸팅(tilting)/패닝(panning)하는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제9a도는 정상시의 상태도,
제9b도는 일측 방향으로 틸팅 또는 패닝된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보인 단면도로서,
제10a도는 비디오 카메라부가 모니터 몸체에 내장된 상태의 단면도.
제10b도는 비디오 카메라부가 모니터 몸체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비디오 카메라장치를 모니터에서 분리가능하도록 단일 유니트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제12a도는 록킹 상태도.
제12b도는 록킹해제 상태도.
제13도는 제11도의 B부위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확대도.
제14도는 제11도의 단일 유니트를 분리하여 사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모니터 몸체 20a : 곡면부
21 : 수납부 21a : 고정나사부
21b : 걸림턱 22 : 탄성부재
23 : 케이블 23, 25 : 2중 회전축
26 : 회전축 27 : 저탄성체
30 : 카메라 본체 31 : 카메라 고정부
32 : 카메라 렌즈부 50 : 케이스
51 : 록킹레버 53 : 탄성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부에 소정의 홈 형상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된 컴퓨터 모니터와, 전면에 카메라 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카메라 렌즈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시에는 수납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카메라 본체와, 상기 컴퓨터 모니터 수납부의 후벽과 카메라 본체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카메라를 수납부의 외측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탈된 카메라를 다시 컴퓨터모니터의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카메라 고정수단과, 상기 컴퓨터의 수납부에서 외부로 이탈된 카메라의 렌즈부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카메라 상하좌우 회전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가 제공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례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는 멀티미디어용 개인용 모니터(11) 또는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12) 등의 일측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도 7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몸체(20)에는 비디오 카메라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카메라 수납부(21)의 내부에 비디오 카메라 본체(30)가 스프링(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 본체(30)는 고정부(31)와 렌즈부(3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31)와 렌즈부(3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중 조인트 개념의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1)에 선단부 외주면에는 고정나사부(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의 고정나사부(31a)와 대응되는 모니터 몸체(20)의 수납부(21) 내주면에도 고정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부(32)는 바깥측으로 갈수록 방사상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렌즈부(32)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21)의 입구부도 바깥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 몸체(30)와 모니터 몸체(20)의 수납부(21)의 내측 사이에는 스프링(22)이 개재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원/비디오 데이터선(2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 본체(30)의 고정부(31)와 렌즈부(32)가 결합되어 있는 2중 회전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회전될 때는 X축 방향의 회전축(24)이 회전되고, 좌우 회전될 때는 Z축방향의 회전축(25)이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회전구조는 수동으로 직접 사람이 조작하거나, 각각의 회전축(24)(25)에 모터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하, 좌우회전이 가능한 2중 회전축의 또 다른 회전구조를 보인 것으로, 회전축(26)의양단부에 힘줄 형태가 같이 탄성도 작은 탄성체(27)를 고정면(28)에 연결설치하여 회전축(26)의 양단부가 탄성체(27)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26)의 회전시 적절하게 신장 및 구부러지도록 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실제 비디오 카메라의 틸팅 및 패닝시의 회전각도가 90°내외의 회전이면 충분하다는데 착안한 것으로, 도 9a는 정상 상태의 위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9b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른 탄성체의 변형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러한 상하, 좌우 회전구조는 모터없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모니터의 수납부(21)에 카메라 본체(30)를 수납시키고자 할 때는 카메라 본체(30)의 고정부(31)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나사부(31a)와 모니터(20)의 수납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나사부(21a)를 일치시켜 카메라 본체(30)를 돌리면서 체결해주면 된다. 이때, 카메라 본체(30)는 수납부(21)의 내측으로 장착되어 고정되고, 카메라(30)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프링(22)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30)를 모니터(20)에서 인출시키고자 할 때는 카메라 본체(30)를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카메라(30)이 고정나사부(31a)가 모니터(20)의 고정나사부(21a)에서 이탈된 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2)의 탄력에 의해 카메라(30)는 완전히 모니터(20)의 수납부(21)에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렌즈부(32)을 상하 또는 좌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도 8과 도 9의 도시한 2중 회전구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수납부(21)의 내측중간부에 걸림턱(21b)을 형성하고, 카메라 본체(30)의 고정부(31)의 중간부에도 이에 대응되는 단차부(31b)를 형성하여 도 10b에서와 같이, 모니터의 고정나사부(21a)와 카메라의 고정나사부(31a)가 완전히 이탈된 후에 카메라 본체(30)가 스프링(22)에 의해 모니터(20)의 바깥측으로 탄력을 받아 인출될 때, 카메라(30)의 일정부위 만큼만 인출되도록 카메라의 인출길이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구조도 제공가능하다.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가 장착되는 입구부를 곡면부(20a)로 형성하여 사람이 수작업으로 비디오 카메라를 인출시킬 때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디자인도 미려해지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2)의 일단부는 카메라 본체(30)의 후면에 절곡형성된 고정돌기(30a)에 고정시키고, 타단부는 별도의 스프링 고정판(40)에 납땜으로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 고정판(40)은 나사(41)로 고정된다. 그리고 전원 및 비디오데이터선(23)은 케이블 인출공(21c)를 통해 인출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를 착탈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30)가 수납되어 있는 카메라 수납부(21)를 포함하는 단일 조립체로서의 케이스(50)가 적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 조립체 케이스(50)는 상하측의 록킹레버(51)에 의해 록킹되어 있는 구조이고, 조립체 케이스(50)하여금 중간부에는 상,하 케이스(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보스(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0)의 후면에는 케이스(50)를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53)이 스프링고정구(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록킹레버(5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50)가 외측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이동되는 구조로서, 도 12a는 록킹 상태이고, 도 12b는 록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 조립체의 케이블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커넥터(55)를 사용하여 기판(56)에 형성된 소켓(57)과 연결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카메라 조립체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카메라 조립체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체 지지대(6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니터측에 내장된 상태이고,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모니터에서 인출시켜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도 비디오 카메라의 성능을 최대한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일측부에 소정의 홈 형상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된 컴퓨터 모니터와, 전면에 카메라 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카메라 렌즈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시에는 수납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카메라 본체와, 상기 컴퓨터 모니터 수납부의 후벽과 카메라 본체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카메라를 수납부의 외측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탈된 카메라를 다시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카메라 고정수단과, 상기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에서 외부로 이탈된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카메라 상하좌우 회전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는 카메라 렌즈가 수납가능하도록 입구부가 바깥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모니터 수납부의 입구부의 선단면은 카메라 본체의 고정 및 이탈 작업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공간의 확보를 위해 곡면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고정수단은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 내주면 중간부에 고정나사부가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의 외주면 중간부에 상기 수납부의 고정나사부와 체결되는 고정나사부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의 내주면 후방부에는 카메라의 이탈을 일정하게 규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상하좌우 회전수단을 카메라 렌즈가 본체에 2중 회전축으로 연결고정되어 상하방향의 틸팅회전과, 좌우방향의 패닝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상하좌우 회전수단은 카메라 렌즈의 회전축의 양단부를 힘줄 형태와 같은 저탄성체로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모니터의 수납부는 모니터 본체에서 착탈가능하도록 별도의 독립적인 케이스 내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내장된 케이스는 케이스를 모니터 본체에서 이탈시키도록 후방에 탄성부재가 외측으로 탄지되어 설치되고, 케이스를 모니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케이스의 전면 상하부에는 록킹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KR1019960036379A 1996-08-29 1996-08-29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KR10021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79A KR100214610B1 (ko) 1996-08-29 1996-08-29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79A KR100214610B1 (ko) 1996-08-29 1996-08-29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02A KR19980016702A (ko) 1998-06-05
KR100214610B1 true KR100214610B1 (ko) 1999-08-02

Family

ID=1947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379A KR100214610B1 (ko) 1996-08-29 1996-08-29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511A (ko) * 1998-09-19 2000-04-15 구자홍 카메라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0184B1 (ko) * 2013-02-18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209039A (zh) * 2018-10-31 2019-01-15 东莞市腾达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监控门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855A (ja) * 1991-09-06 1993-03-19 Toshiba Corp 画像入力装置付きラツプトツプ型コンピユ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855A (ja) * 1991-09-06 1993-03-19 Toshiba Corp 画像入力装置付きラツプトツプ型コンピユ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02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019B2 (en) Security camera
US7596832B2 (en) Rotational casing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JP4388521B2 (ja) ヒンジ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端末機及び電子機器
CA2203859C (en) Dual display system
KR100750733B1 (ko) 외장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US20050258319A1 (en) Monitor apparatus
JP4445322B2 (ja) カメラ取付装置
KR100497002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 화상기
JPH11184393A (ja) Lcdモニタ
JP2015148720A (ja) 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及びこの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に取り付け可能な支持台ユニット
KR20050077715A (ko)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KR100214610B1 (ko)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JPH09116837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
KR101228317B1 (ko) 감시용 카메라
JP6989868B2 (ja) 3軸ドーム型監視カメラ
CN219530385U (zh) 一种支架及投影设备
KR200322331Y1 (ko) 피시카메라
KR1003393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 장착용 연결장치
JP3472428B2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
CN210381063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100308045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스피커 장치
CN210662228U (zh) 手柄组件、手持装置及拍摄设备
JP2680527B2 (ja) カメラ構造
KR20038249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설치구조
JP3356410B2 (ja) 本体に連結され本体と配線コードで電気的に接続されるモニター体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