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540B1 -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540B1
KR100213540B1 KR1019970036379A KR19970036379A KR100213540B1 KR 100213540 B1 KR100213540 B1 KR 100213540B1 KR 1019970036379 A KR1019970036379 A KR 1019970036379A KR 19970036379 A KR19970036379 A KR 19970036379A KR 100213540 B1 KR100213540 B1 KR 10021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evaporator
fasten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834A (ko
Inventor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3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5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30)의 상부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체결가능하도록 절곡된 체결받침부(410)가 형성된 제1브라켓(41)과, 증발기(30) 하부의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조립공(431)이 형성된 체결부(430)를 통해 체결.고정되는 제3브라켓(43)과, 상부로는 제1브라켓(41)과 하부로는 제3브라켓(43)과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제2브라켓(42)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40)과, 상기 제1브라켓(41)의 체결받침부(410)와 체결가능하도록 고정핀(70a)이 형성된 제1고정구(70)와, 조립공(71a)이 형성된 제2고정구(71)가 형성되며 제3브라켓(43)의 체결부(430)가 체결.고정가능하도록 조립공(21)이 형성된 지지부(20)를 갖는 몸체(10)를 구비하여 고정브라켓을 실내기 몸체에 고정시 고정작업을 보다 단순화 시킴과 아울러 간편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An apparatus for fixing the eva of indoor part of a separating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켜시키며, 또한 꺽임각도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브라켓을 실내기 몸체에 고정시 고정작업을 단순화 시킴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기로는 열을 흡수하여 실내에 냉풍을 공급하는 증발기가 실외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실외기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방출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 부터 나오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켜 실내기의 증발기로 보내주는 모세관이 설치되어 있다.
도3은 상기 증발기가 고정된 고정브라켓이 실내기 몸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몸체(10) 양측으로는 각각의 조립공(21a)(22a)을 갖는 제1 및 제2지지대(21)(22)가 형성된 지지부(2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40)은 증발기(30)의 굽혀서 또는 꺽어 설치하기 위하여 굽혀진 부분이나 꺽어진 부분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제1브라켓(41), 제2브라켓(42) 및 제3브라켓(4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조립공을 일치시켜 스크류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3브라켓(43)의 일측은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20)의 제2지지대(21) 조립공(21a)과 일치되는 조립공(43b)을 구비한 절곡부(4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1지지대(21)의 조립공(21a)과 일치하는 조립공(51)을 구비하고, 일측은 절곡되어 제2브라켓(42)의 일측으로 형성된 턱부(42a)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편(5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 고정장치는 몸체(10) 지지부(20)의 제1지지대(21) 조립공(21a)에 고정편(50)의 조립공(51)을 일치시킨 후 스크류(60)로 고정하며, 이어 증발기(30)가 설치된 고정브라켓(40)의 제2브라켓(42) 턱부(42a) 일측이 상기 고정편(50)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몸체(10)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한편, 제2브라켓(42)의 턱부(42a)와 고정편(50)의 하부면이 일치되면, 다시 제3브라켓(43)의 절곡부(43a)에 형성된 조립공(43b)을 지지부(20) 하측으로 형성된 제2지지대(22)의 조립공(22a)과 일치시킨 후 스크류(60)로 고정하므로서, 증발기(30)가 설치된 고정브라켓(40)을 실내기 몸체(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증발기(30)가 설치된 고정브라켓(40)을 고정하는 경우 작업자는 고정브라켓(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50)을 고정하고, 이어 각각의 조립공(21a)(22a)(51)에 스크류(50)를 통한 고정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고정작업이 복잡하며, 아울러 착.탈이 어려운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발기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켜시키며, 또한 꺽임각도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브라켓을 실내기 몸체에 고정시 고정작업을 단순화 시킴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의 상부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체결가능하도록 절곡된 체결받침부가 형성된 제1브라켓과, 증발기 하부의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조립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통해 체결.고정되는 제3브라켓과, 상부로는 제1브라켓과 하부로는 제3브라켓과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제2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체결받침부와 체결가능하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제1고정구와, 조립공이 형성된 제2고정구가 형성되며 제3브라켓의 체결부가 체결.고정가능하도록 조립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갖는 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도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증발기가 고정된 종래 고정브라켓이 실내기 몸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몸체 20 : 지지부
21 : 조립공 30 : 증발기
40 : 고정브라켓 70 : 제1고정구
70a : 고정핀 71 : 제2고정구
71a : 조립공 410 : 체결받침부
411 : 고정홀 412 : 조립공
430 : 체결부 431 : 조립공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브라켓(41)으로 증발기(30)의 상부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체결가능하도록 절곡된 체결받침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증발기(30) 하부의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조립공(431)이 형성된 체결부(430)를 통해 체결.고정되는 제3브라켓(43)이 형성되어 상부로는 제1브라켓(41)과 하부로는 제3브라켓(43)과 스크류(60)에 의해 고정되는 제2브라켓(42)이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브라켓(40)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1브라켓(41)의 체결받침부(410)와 체결가능하도록 고정핀(70a)이 형성된 제1고정구(70)와, 조립공(71a)이 형성된 제2고정구(71)가 형성되며 제3브라켓(43)의 체결부(430)가 체결.고정가능하도록 조립공(21)이 형성된 지지부(20)가 몸체(10)의 양측 일정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증발기(30)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브라켓(41)과, 제2브라켓(42)과, 제3브라켓(43)을 스크류를 통해 하나의 고정브라켓(40)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증발기(3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증발기(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브라켓(41)에 형성되어 증발기(30)의 상부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체결가능하도록 절곡된 체결받침부(410)의 고정홀(411)을 몸체(10)에 형성된 제1고정구(70)의 고정핀(70a)에 삽입.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체결받침부(410)의 고정홀(411) 하측에 형성된 조립공(412)은 자연스럽게 제2고정구(71)의 조립공(71a)과 일치되어 스크류(60)를 통해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증발기(30) 하부의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제3브라켓(43)의 체결부(430)에 형성된 조립공(431)과, 몸체(10) 지지부(20)의 하측에 형성된 조립공(21)을 일치시키게 되면, 제3브라켓(43)의 절곡된 일측이 지지부(20) 하측의 일면에 안착되어 지고, 이 상태에서 스크류(60)를 통해 지지부(20)와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므로서, 도2와 같이 증발기(30)를 실내기 몸체(10)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기 몸체에 증발기가 설치된 고정브라켓을 고정시 별도의 지지대 및 고정편의 작업과정을 삭제 하므로서, 고정브라켓을 실내기 몸체에 고정시 고정작업을 보다 단순화 시킴과 아울러 착.탈이 간편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증발기(30)의 상부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체결가능하도록 절곡된 체결받침부(410)가 형성된 제1브라켓(41)과, 증발기(30) 하부의 꺽임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며 조립공(431)이 형성된 체결부(430)를 통해 체결.고정되는 제3브라켓(43)과, 상부로는 제1브라켓(41)과 하부로는 제3브라켓(43)과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제2브라켓(42)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40)과;
    상기 제1브라켓(41)의 체결받침부(410)와 체결가능하도록 고정핀(70a)이 형성된 제1고정구(70)와, 조립공(71a)이 형성된 제2고정구(71)가 형성되며 제3브라켓(43)의 체결부(430)가 체결.고정가능하도록 조립공(21)이 형성된 지지부(20)를 갖는 몸체(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KR1019970036379A 1997-07-31 1997-07-31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KR10021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379A KR100213540B1 (ko) 1997-07-31 1997-07-31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379A KR100213540B1 (ko) 1997-07-31 1997-07-31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834A KR19990012834A (ko) 1999-02-25
KR100213540B1 true KR100213540B1 (ko) 1999-08-02

Family

ID=1951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379A KR100213540B1 (ko) 1997-07-31 1997-07-31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5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834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86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9990012833A (ko) 분리형 에어컨의 브로우팬 고정장치
KR100213540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증발기 고정장치
JP375525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13872945U (zh) 一种空调室外机及空调器
KR20015555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증발기 파이프 고정장치
KR19990007261U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고정장치
JPH111409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9857253U (zh) 空调机的室外机
JPH0328251Y2 (ko)
KR19990007257U (ko) 분리형 에어콘 실내기의 컨트럴 박스
KR200211347Y1 (ko) 증발기의 센서 고정장치
KR200158976Y1 (ko) 에어컨의 열교환기 고정용 브래킷
KR100469788B1 (ko) 에어컨의 실외기
JPH119430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300020Y1 (ko) 에어컨실외기의 지지구조
KR10043268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구조
JPS6317939Y2 (ko)
JP200120111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356004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JPH0213867Y2 (ko)
KR100247802B1 (ko) 스크롤과 증발기커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창문형 에어콘
KR20010097499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기 설치구조
JPH0728501Y2 (ja) 熱交換ユニツト
KR200282155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