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44B1 - Osd 밝기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Osd 밝기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44B1
KR100210244B1 KR1019960064749A KR19960064749A KR100210244B1 KR 100210244 B1 KR100210244 B1 KR 100210244B1 KR 1019960064749 A KR1019960064749 A KR 1019960064749A KR 19960064749 A KR19960064749 A KR 19960064749A KR 100210244 B1 KR100210244 B1 KR 10021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level
contrast
microcompu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414A (ko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6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2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44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화면의 콘트라스트 밝기에 따라 OSD 밝기를 조절해 주도록 하는 것으로 콘트라스트 레벨이 낮을 때 OSD 문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콤의 OSD R.G.B신호가 크로마IC에서 메인 R.G.B신호와 혼합되어 출력되는 회로에 있어서,
마이콤이 콘트라스트 조절용 PWM 펄스를 적분시키는 적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적분수단의 적분값이 일정전위 이상일 때 스위칭되어지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칭수단과 마이콤의 OSD R.G.B신호라인 사이에 연결시킨 감쇄소자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콘트라스트레벨이 낮더라도 OSD문자의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OSD 밝기 조절회로
본 발명은 영상 화면의 콘트라스트 밝기에 따라 OSD 밝기를 조절해 주도록 하는 것으로 콘트라스트 레벨이 낮을 때 OSD 문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화면을 재생시키는 영상기기에서 OSD문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영상화면의 콘트라스트 레벨이 낮아지면 OSD 레벨도 함께 낮아져 OSD 문자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이는 마이콤에서 발생시킨 OSD 신호(R.G.B)와 메인 R.G.B신호를 크로마IC에서 직접혼합하여 출력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영상화면의 콘트라스트를 낮출 때 메인 R.G.B신호의 레벨과 함께 OSD R.G.B신호의 레벨도 함께 낮아지게되어 OSD문자의 식별이 어려운 것이었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는 낮추더라도 OSD문자는 정확히 식별하고자 할 경우 기존에는 콘트라스트 레벨 변화에 연동하여 OSD레벨을 조정해 주지 못하므로 OSD문자를 식별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영상화면의 콘트라스트 레벨조정에 연동하여 OSD문자의 레벨을 조정해 주므로써 OSD문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콘트라스트레벨이 낮을 때 OSD문자의 레벨을 증가시켜 OSD문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이콤의 OSD R.G.B신호가 크로마IC에서 메인 R.G.B신호와 혼합되어 출력되는 회로에 있어서,
마이콤이 콘트라스트 조절용 PWM 펄스를 적분시키는 적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적분수단의 적분값이 일정전위 이상일 때 스위칭되어지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칭수단과 마이콤의 OSD R.G.B신호라인 사이에 연결시킨 감쇄소자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콘트라스트가 적정 레벨로 조정될때는 적분수단에서 스위칭수단을 스위칭시켜 OSD R.G.B신호가 감쇄소자에서 분배되어지후 크로마IC에 인가되게 하고 이때의 OSD 밝기가 최적의 상태가 되게 감쇄소자의 값을 결정한후 콘트라스트가 어둡게 조정될때는 적분수단에서 스위칭 수단을 차단시켜 OSD R.G.B 신호가 감쇄소자에서 감쇄되지 않고 직접 크로마IC에 인가되게 하므로써
콘트라스트가 낮게 조정되더라도 OSD 문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크로마IC
21 : 메인R.G.B신호 22 : 믹서
30 : 적분부 Q1 : 트랜지스터
R1-R7 :저항 C1 : 콘덴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회로도로써,
마이콤(10)의 OSD R.G.B신호는 각각 감쇄저항(R1)(R2)(R3)를 통한후 크로마IC(20)의 믹서(22)에 인가되어 메인 R.G.B신호(21)와 혼합된후 출력되게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마이콤(10)의 콘트라스트 조절용 PWM펄스출력은 저항(R7)과 콘덴서(C1)로 구성된 적분부(30)에서 적분되어진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접지시키는 한편 에이터는 저항(R1)(R2)(E3)의 후단과 각각 저항(R4)(R5)(R6)을 연결 구성시킨 것이다.
여기서 마이콤(10)의 콘트라스트 조절용 출력이 PWM펄스가 아니고 DC전압일 경우는 적분부(30)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어스저항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또는 마이콤(10)에서 콘트라스트레벨이 정해진 레벨이상일 경우는 로우레벨, 그 이하일 경우는 하이레벨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시켜도 그 동작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먼저 콘트라스트레벨이 최대가 되게 조정한 경우(크로마IC(20)의 R.G.B증폭률 최대) 마이콤(10)의 콘트라스트 조절용 PWM펄스가 적분부(30)에서 적분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 시키게 한다.
즉 콘트라스트레벨이 최대가 될 때 마이콤(10)의 콘트라스트조절용 PWM펄스를 적분부(30)에서 적분할 경우 그 값이 논리 로우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마이콤(10)에서 크로마IC(20)로 인가되는 OSD R.G.B신호가 저항(R1-R6)으로 분배되어진후 인가되게 되고 이때 저항(R1-R6)값을 조정하여 OSD레벨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콘트라스 레벨이 최대가 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게 하고 이때 OSD R.G.B의 레벨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저항(R1-R6)의 값을 조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마이콤(10)의 콘트라스트 조절용PWM펄스를 적분부(30)를 거쳐 트랜지터(Q1)에 인가시키거나 DC 값을 직접 트랜지스터(Q1)에 인가시키는 경우에 관계없이 콘트라스트 레벨이 최대가 될 때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야 하고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 상태에서 OSD R.G.B의 레벨이 최적이 되도록 저항(R1-R6)을 조정고정시켜야 한다.
이상태에서 사용자가 콘트라스트를 조정하여 시청하게 되며 사용자가 과도하게 콘트라스트를 낮출때(예를 들어 최대 콘트라스트레벨의 30% 정도로)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키게 한다.
즉 사용자가 콘트라스트레벨을 낮추면 콘트라스트 조절용 PWM펄스를 적분부(30)에 적분시킬 때 논리 하이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키게 되고 마이콤(10)에서 DC제어값이 높게 인가되는 경우도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 된다.
결국 트랜지스터(Q1)는 항시 턴온상태를 유지하다가 콘트라스트레벨이 최대콘트라스트레벨의 30% 정도까지 낮추어질 때 턴오프되게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저항(R4-R6)이 오픈되어 OSD R.G.B신호가 저항 (R4-R6)에서 분배되지 않고 저항(R1-R3)을 통하여 직접 크로마IC(20)에 인가되므로 이때의 OSD레벨을 상승된 결과를 갖게된다.
즉 사용자가 콘트라스트레벨을 OSD문자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과도하게 낮추면 마이콤(10)의 콘트라스트레벨 제어용 PWM펄스 또는 DC 값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이콤(10)의 OSD R.G.B 신호가 저항(R4-R6)에서 분배되지 않은채 크로마IC(20)에 인가되므로 OSD R.G.B신호가 저항(R4-R6)에서 분배되어진후 인가될때의 OSD레벨에 비해 저항(R4-R6)에서 분배되지 않은채로 크로마IC(20)에 인가될때의 OSD레벨이 높게 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레벨이 낮을 때 OSD 레벨이 상승되어지므로 OSD문자의 밝기가 밝아져 콘트라스트가 낮더라도 OSD문자의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영상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줄여 화면이 어두워질 때 콘트라스트레벨과 연동하여 OSD레벨을 높임으로써 OSD밝기를 자동 보정하여 OSD문자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마이콤의 OSD신호가 크로마IC에서 메인 R.G.B신호와 혼합되어 출력되는 회로에 있어서,
    마이콤의 콘트라스트 조절용 PWM펄스를 적분시키는 적분부와,
    적분부의 적분 전압레벨에 따라 그 구동이 선택되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구동시 마이콤의 OSD R.G.B신호레벨을 분배시키는 감쇄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밝기 조절회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콘트라스트레벨이 일정레벨 이하로 낮추어질 때 마이콤의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가 구동되게 구성한 OSD 밝기 조절회로.
  3. 청구항 1 에서 있어서,
    감쇄소자는 콘트라스트레벨이 최대일 때 최적의 OSD레벨을 갖도록 그 값을 설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밝기 조절회로.
KR1019960064749A 1996-12-12 1996-12-12 Osd 밝기 조절회로 KR10021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749A KR100210244B1 (ko) 1996-12-12 1996-12-12 Osd 밝기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749A KR100210244B1 (ko) 1996-12-12 1996-12-12 Osd 밝기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14A KR19980046414A (ko) 1998-09-15
KR100210244B1 true KR100210244B1 (ko) 1999-09-01

Family

ID=1948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749A KR100210244B1 (ko) 1996-12-12 1996-12-12 Osd 밝기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2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14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5892A (ko) 윤곽보정장치
KR100210244B1 (ko) Osd 밝기 조절회로
US5245434A (en) Autopix circuit with inserted vertical blanking
KR100307572B1 (ko) 핫스타트플레쉬현상을방지하기위한자동키네스코프바이어스장치
KR910005930Y1 (ko) 온 스크린 문자의 밝기 조절회로
KR910007192Y1 (ko) 온스크린 신호 출력회로
KR930011289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y 신호의 선택적 노이즈 감쇄장치
JPH0810989Y2 (ja) 映像信号のフェーダ回路
KR0118645Y1 (ko) 비디오 문자 믹서회로
KR920000925Y1 (ko) 합성 영상신호의 블랭킹 레벨 보상회로
KR200161114Y1 (ko) 화면 안정화 회로
KR200188160Y1 (ko) 그린 피킹 제어회로
KR970004670Y1 (ko) 전계강도에 따른 칼라 이득 조절회로
KR950004056Y1 (ko) 무신호시 화면 블랭킹 방지회로
KR200164978Y1 (ko) 영상신호 디스플레이장치
KR910005804Y1 (ko)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KR100214777B1 (ko)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자동조정회로
KR920000924Y1 (ko) 휘도신호의 블랭킹 레벨 보상회로
KR900005317Y1 (ko) Tv의 패스 워드 기능시 영상 뮤팅 회로
KR100212837B1 (ko) 모니터의 밝기 조절 장치
KR910007420Y1 (ko) 컬러와 브라이트 레벨의 초기치 설정회로
KR910009317Y1 (ko) 크로마 노이즈 제거회로
KR910005925Y1 (ko) 텔레비젼의 모우드스위칭 보상회로
KR0154013B1 (ko) 비디오신호의 뮤트회로
KR960003381Y1 (ko) 블루밍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