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037B1 - 낮은 프로파일 음료 분배기 - Google Patents

낮은 프로파일 음료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037B1
KR100209037B1 KR1019960706198A KR19960706198A KR100209037B1 KR 100209037 B1 KR100209037 B1 KR 100209037B1 KR 1019960706198 A KR1019960706198 A KR 1019960706198A KR 19960706198 A KR19960706198 A KR 19960706198A KR 100209037 B1 KR100209037 B1 KR 100209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beverage
cooling chamber
froze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817A (ko
Inventor
존 티. 호킨스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에이. 쉬로더
랜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에이. 쉬로더, 랜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에이. 쉬로더
Publication of KR97070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80Arrangements of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iquids to be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4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oling b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nfectionery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분배기(10)는 냉각실(12)을 형성하고 하우징 상에 장착된 분배 노즐(16A 내지 16D)을 갖는 하우징(11)과, 물을 분배 노즐(16A 내지 16D)에 연통시키기 위해 냉각실(12)의 기부에 배치된 급수관(14)과, 음료를 분배 노즐(16A 내지 16D)에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냉각실(12)의 전방에 배치된 음료 공급관(25 내지 28)과, 냉각실(12) 위에 장착되고 냉각실(12) 안으로 연장하는 증발기 코일(35)을 포함하는 냉장 유닛(13), 및 냉각실(12) 위에 장착되고 냉각실(12)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교반기 모터(37)를 포함한다. 냉각실(12)은 냉각 유체를 내장하고, 그 일부는 언 냉각 유체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 냉장 유닛(13)의 작동 중에 증발기 코일(35) 주위에서 결빙된다. 언 냉각 유체 뱅크제어기는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크기를 제어하고, 하우징(11)의 전방과 대향하는 증발기 코일(35)의 측면으로의 제어기 탐침(39)의 장착은 냉각 유체 슬라브가 결빙되어 음료 공급관(25 내지 28) 외피를 덮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낮은 프로파일 음료 분배기
식음료 서비스 시설의 운영에 적합한 실재의 상업 부지의 임대 또는 구매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대도시 구역에서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이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 효율로 이용해야 하며, 특히 판매대 공간은 추가의 고객 좌석 뿐만 아니라 고객을 위한 서비스 구역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대 상에 있는 음료 분배기는 최소한의 판매대 공간을 차지하도록 작아야 한다.
음료 분배기 크기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음료 분배기의 주요 특성은 음료 분배 용량이다. 즉, 음료 분배기는 계속해서 고객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5.5℃의 산업 표준 이하의 온도에서 음료를 분배해야 한다. 불행히도, 일반적으로 대용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음료 분배기는 너무 크며 많은 판매대 공간을 차지한다.
반대로, 소형의 음료 분배기는 많은 수의 고객에게 제공하기에 충분한 음료분배 용량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어떠한 음료 분배기 설계도 크기의 소형화와 음료 분배 용량을 조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분배기 설계에 있어서의 주 목적은 음료 분배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적어도 현재의 음료 분배 용량을 유지시키면서 그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1975년 7월 1일에 쉬로에더(Schroeder)에게 특허 허용된 미국 특허 제3,892,335호는 음료 분배 용량의 증가와 함께 소형화를 시도한 초기의 음료 분배기 설계를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892335호의 음료 분배기는 냉각 유체를 내장한 냉각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냉각실 위에 있는 냉장 유닛은 냉각실 안으로 연장하는 증발기 코일을 포함한다. 증발기 코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은 냉각실의 중앙에 있게 된다. 음료 공급관과 급수관은 일반적으로 소다수인 음료 및 물을 음료 분배 밸브로 운반하기 위해 각각 음료 및 물 공급원과 연통한다.
작동 중에, 냉장 유닛은 냉각 유체가 증발기 코일 주위의 슬라브에서 얼도록 냉각 유체를 냉각시킨다. 교반 모터는 얼지 않는 냉각 유체를 냉각실 주위로 순환 시키기 위해 샤프트를 통해 임펠러를 구동시킨다. 그러한 순환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순환할 때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으로부터 열을 수용하여 그 열을 언 냉각 유체 슬라브로 전달하기 때문에 음료 공급관과 급수관 및 냉각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제공한다. 그 결과, 언 냉각 유체는 찬 음료가 분배 밸브로부터 분배되도록 음료 및 물로부터 열을 방산시키기 위해 녹는다.
적절한 순환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 하방으로부터 그 측면 주위의 그 상부위 및 그 중앙을 거쳐 후방으로의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안정된 흐름을 요구한다. 전술된 통로를 따르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은 차가운 음료를 생산하고 음료 분배용량을 증가시키는 열 교환 과정에 필수적이다. 불행하게도, 냉각실의 중앙에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의 배치는 음료 공급관, 급수관 및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주위의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을 줄인다. 즉,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중앙을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며 언 냉각 유체와 얼지 않은 냉각 유체 사이의 접촉을 크게 제한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3,892,335호에 기재된 음료 분배기는 음료와 물 및 냉각 유체 사이에 최대 열교환을 제공할 수 없게 되어 음료 분배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1990년 4월 17일에 쉬로에더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16,910호는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을 증발기 코일 내로부터 증발기 코일 하방의 냉각실의 기부상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음료 분배기를 기재하고 있다. 그 위치 변화로 인해 증발기 코일의 높이는 줄어들 수 있게 되어 낮은 프로파일의 음료 분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불행하게도, 음료 분배기의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냉각 유체와 음료 및 물 사이에 열 교환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음료 및 물로부터 냉각 유체로의 최대 열 교환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최대 표면 구역에 걸쳐 언 냉각 유체 슬라브와 접할 때 일어난다. 미국 특허 제4,916,910호의 음료 분배기에서, 압축된 증발기 코일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주위로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냉각실의 모서리 내의 음료 공급관 및 물 공급관 위의 냉각 유체를 완전히 결빙시킨다. 따라서, 얼지 않은 냉각 유체만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기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충분하지 않은 열 교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열 교환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와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사이의 접촉 구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얼지 않은 냉각 유체와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사이의 접촉이 최대 열교환을 제공하기 위해 최대 표면 구역을 따라 일어나게 하여 음료 분배 용량을 증가시키는 한편 최소의 판매대 공간을 차지하는 음료 분배기 설계가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음료 분배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무제한으로 음료 분배 용량과 5.5℃의 산업 표준 이하의 온도에서 분배되는 음료 양을 증가시키는 개선된 부품 형태를 갖춘 음료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음료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음료 분배기의 측면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냉각실 내의 음료 공급관과 급수관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에 따라, 음료 분배기는 냉각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냉각실의 기부에 배치된 급수관, 냉각실의 전방에 배치된 음료 공급관 코일, 교반기, 및 냉각실 안으로 연장하는 증발기 코일을 포함하는 냉각실 위에 장착된 냉장 유닛을 포함한다.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은 일반적으로 음료 시럽인 음료와 일반적으로 소다수인 물을 각각의 분배 밸브에 각각 운반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장착된 분배 밸브와 연통 한다. 냉각실은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 각각을 통해 흐르는 음료 및 물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 유체, 일반적으로 물을 내장한다. 교반기는 냉각 유체와 음료 및 물 사이의 열 교환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각실 주위로 냉각 유체를 순환시킨다.
냉장 유닛은 언 냉각 유체의 슬라브가 증발기 코일 주위에 형성되도록 냉각 유체를 냉각시킨다. 언 냉각 유체 뱅크(bank) 제어기는 언 냉각 유체 뱅크가 크게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기는 하우징의 전방과 대향하는 증발기 코일의 측면에 장착된 탐침을 포함한다.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로 줄어들 때, 탐침은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고, 그후 더 큰 슬라브를 생성하기 위해 냉장 유닛이 더 많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결빙시키도록 작동시킨다.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로 성장하게 되면, 탐침은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 냉장 유닛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하우징의 전방에 대향하는 증발기 코일의 측면 상의 탐침의 배치로 인해 언 냉각 슬라브가 성장하는 것 및 음료 공급관을 가장 쉽게 결빙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실 전방의 음료 공급관과 냉각실 기부의 급수관의 배치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을 증가시킴으로서 음료 분배기의 음료 분배 용량을 크게 증가시킨다. 특히, 증발기 코일의 중앙으로부터 음료 공급관과 급수관을 제거함으로서 증발기 코일 내의 중앙에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음료 분배기에 의해 생기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흐름 방해를 제거한다.
또한, 급수관은 급수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관 사이에 채널을 생성하는 파상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한 채널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흐름을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을 증가시키는 하우징의 전, 후방 벽을 향해 유도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급수관의 채널에 결합된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중앙을 통과할 뿐만 아니라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모든 측면 주의의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위한 완전히 방해받지 않은 통로는 언 냉각 유체와 얼지 않은 유체 사이에 최대의 표면 접촉 구역을 제공하기 위해 얼지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을 증가시킨다. 그 최대 표면 접촉 구역은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으로부터 얼지 않은 냉각 유체와 다음의 언 냉각 유체 슬라브로 최대 열 교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음료 분배기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그 순환의 증가와 대응 열 교환의 증가로 인해 최대 사용 중일 때조차도 약 0℃의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증가된 음료 분배 용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실 내에서 흐르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을 향상시키는 음료 분배기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실의 기부에 배치된 급수관을 갖추고 그 급수관의 파상 형태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흐름을 냉각실의 전, 후방을 향해 유도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음료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음료 공급관 내에서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냉각실의 전방에 탐침을 갖춘 음료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대로, 음료 분배기(10)는 하우징(11), 냉장 유닛(13), 급수관(14), 음료 공급관(25 내지 28), 및 분배 밸브(16A 내지 16D)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전방 벽(15A), 후방 벽(15B), 측벽(15C,15D), 및 냉각실(12)을 형성하는 기부(15E)를 포함한다. 냉각실(12)은 일반적으로 물인 냉각 유체를 내장한다. 분배 밸브(16A 내지 16D) 각각은 너트 및 볼트와 같은 어느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방 벽(15A)에 연결된다.
급수관(14)은 냉각실(12)의 기부 상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파상 형태를 포함한다. 급수관(14)은 브래킷과 같은 어느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하우징(11)의 기부(15E)에 장착된다. 급수관(14)안의 유입구는 물펌프(17)에 연결되고, 차례로 상수도관과 같은 어느 적절한 물 공급원에 연결된다. 급수관(14)으로부터의 배출구는 (도시 않된) T자형 커넥터에 연결된다.
T자형 커넥터는 급수관(14)으로부터 받은 물을 그 배출구 중 하나로부터 소다수 제조기(18)로 운반시킨다. 소다수 제조기(18)는 연결되어 급수관(14)으로부터 운반된 물을 T자형 커넥터로부터 배출구 중 하나를 거치면서 탄화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공급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받는다. 소다수 제조기(18)는 브래킷과 같은 어느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냉각실(12)의 전방에 장착된다.
소다수 제조기(18)로부터의 배출구는 매니폴드(19)안의 유입구에 연결된다. 매니폴드(19)의 한쪽 단부는 소다수 제조기(18)에 연결되고 반대편 단부는 브래킷과 같은 어느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하우징(11)의 측벽(15C)에 연결된다. 매니폴드(19)는 소다수 제조기(18)로부터 소다수를 받아 그것을 그 각각의 배출구(20 내지 23)를 통해 분배 밸브(16A 내지 16D)로 운반한다. 또한, T자형 커넥터로부터의 제2배출구는 담수를 분배 밸브(16C)로 직접 운반하기 위해 공급관(24)을 통해 분배 밸브(16C)에 부착된다.
음료 공급관(25은 28)은 냉각실(12)의 전방에 존재하고 브래킷과 같은 어느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냉각실(12) 내에 장착된다. 또한, 매니폴드(19)는 후방에 직접 존재하여 각각의 음료 공급관(25 내지 28)의 후방과 접하도록 소다수 제조기(18)와 하우징(11)의 측벽(15C)에 장착된다. 매니폴드(19)는 하우징(11)의 전방 벽(15A)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음료 공급관(25 내지 28)과 접한다.
각각의 음료 공급관(25 내지 28)은 (도시 안된) 음료 공급원과 연통하는 (도시 안된) 유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음료 공급관(25 내지 28)은 음료를 분배 밸브(16A 내지 16D)에 공급하기 위해 각각 분배 밸브(16A 내지 16D)에 연결되는 배출구(29 내지 32)를 포함한다. 4개의 음료 공급관과 분배 밸브가 기재되어 있지만, 그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추가의 음료 공급관과 분배 밸브 또는 더 작은 수의 음료 공급관과 분배 밸브가 대응하는 하우징(11)의 크기의 변경을 통해 실현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냉장 유닛(13)은 압축기(33), 응축기 코일(34), 증발기 코일(35), 팬(36)을 포함하는 표준형 음료 분배기 냉장 장치를 포함한다. 압축기(33)와 응축기 코일(34)은 플랫폼(38)의 상부에 장착되고, 한편 증발기 코일(35)은 하방에 장착된다. 팬(36)은 열 교환이 용이하도록 공기를 응축기 코일(34)을 가로 질러 송풍시키기 위해 응축기 코일(34)에 장착된다. 플랫폼(38)은 증발기 코일(35)이 냉각실(12)의 중앙부 내의 급수관(14) 위에 놓이도록 하우징(11)의 상부 상에 장착된다.
냉장 유닛(13)은 냉각 유체가 증발기 코일(35) 주위의 슬라브 내에서 얼도록 냉각실(12) 내에 있는 냉각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해 어떠한 표준형 음료 분배기 냉각 장치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냉장 유닛(13)은 냉각되고 궁극적으로 차가운 음료가 음료 분배기(10)로부터 분배되도록 냉각 유체와 음료 및 물 사이의 열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냉각 유체를 냉동시킨다. 그러나, 냉각 유체의 완전한 냉동은 열 교환이 비효율적으로 되기 때문에, (도시 안된) 냉각 유체 뱅크 제어 장치는 냉각 유체의 완전한 냉동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33)의 작동을 조절한다. 음료 분배기(10)에 이용되는 냉각 유체 뱅크 제어 장치는 1989년 4월 25일에 체스트넛(Chestnut)에게 특허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823,556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823,556호의 기재는 본 명세서의 참고로 기재되어 있다.
음료 분배기(10)의 냉각 유체 뱅크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구성 요소가 미국 특허 제4,823,556호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지만, 음료 분배기(10)의 작동은 탐침(39)의 재배치에 의해 상당히 개선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참침(39)은 냉각 유체가 음료 공급관(25 내지 28) 안에서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벽(15A)과 대향하는 증발기 코일(35)의 측면에 장착된다. 탐침(39)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탐침(39)의 외부 센서 코일에 도달하면 탐침(39)이 냉각 유체 뱅크 제어 장치로 신호를 보내 압축기(33)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언 냉각 유체의 슬라브가 음료 공급관(25 내지 28)안에서 어는 것을 방지시킨다. 압축기(33)는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탐침(39)의 내부 센서 코일 위에서 녹아 내부 센서가 얼지 않은 냉각 유체에 노출될 때 까지 작동되지 않는다. 내부 센서 코일이 얼지 않은 냉각 유체와 접한 후에, 탐침(39)은 냉각 유체 뱅크 제어 장치에 신호를 보내 압축기(33)를 작동시켜, 언 냉각 슬라브가 다시 탐침(39)의 외부 센서 코일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된다. 따라서, 탐침(39)과 냉각 유체 뱅크 제어 장치는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음료 공급관(25 내지 28) 안으로 성장 가능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가동되지 않도록 압축기(33)의 작동을 조절한다.
교반기 모터(37)는 샤프트(41)를 통해 임펠러(40)를 구동시키기 위해 플랫폼(38)상에 장착된다. 교반기 모터(37)는 급수관(14)과 음료 공급관(25 내지 28) 및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주위의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해 임펠러를 구동시킨다. 임펠러(40)는 저온 냉각 유체와 더 높은 온도의 음료 및 물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열 교환을 높이기 위해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순환시킨다. 열교환은 각각의 음료 공급관(25 내지 28) 및 급수관(14)을 통해 흐르는 음료 및 물로부터 발생하여, 열을 얼지 않은 냉각 유체 안으로 전달한다.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그후 열을 수용하는 언 냉각 유체 슬라브로 열을 전달하고 액체인 냉각 유체를 냉각실(12)안으로의 운반시에 녹게 된다. 음료 및 물로부터 냉각 유체로 전달된 열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용융을 통해 방산된다. 따라서, 열의 방산과 언냉각 유체 슬라브의 대응 용융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0℃의 소정 온도로 유지시킨다.
전술된 열 교환의 효율성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와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사이의 표면 접촉 구역 양에 관계가 있다. 즉,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최대 표면 구역 양을 따라 언 냉각 유체 슬라브와 접하게 되면, 열 교환은 상당히 증가한다. 음료 분배기(10)는 냉각실(12)의 전방부에서의 음료 공급관(25 내지 28)의 배치와 냉각실(12)의 기부에 결합된 급수관(14)의 파상 형태로 인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표면을 따라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최대 접촉을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증발기 코일의 중앙으로부터 음료 공급관 및 급수관의 제거는 증발기 코일의 중앙에 음료 공급관과 급수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음료 분배기에서 생기는 얼지 않는 냉각 유체의 흐름 방지를 제거한다. 또한, 냉각실(12)의 전방부에서의 음료 공급관 코일의 배치는 대응하는 하우징(11)의 높이의 증가 없이 증발기 코일(35)의 크기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증발기 코일(35) 크기의 증가로 인해, 더 큰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형성된다. 더 큰 언 냉각 유체 슬라브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로부터 열 전달을 위해 더 큰 표면 구역을 제공한다. 얼지 않은 냉각 유체로부터 언 냉각 유체 슬라브로의 열 교환의 그러한 증가는 음료 분배기(10)의 최대 사용 중일 때조차도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0℃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음료 및 물로부터 적출된 열은 음료 분배기(10)의 음료 분배 용량을 크게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한다.
또한, 하우징(11)과 증발기 코일(35)의 높이 모두는 증발기 코일이 더 작아지더라도 그에 따라 더 작은 음료 분배기가 여전히 현재의 음료 분배기와 동일한 음료 분배 용량을 갖기 때문에,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급수관(14)의 파상 형태는 임펠러(40)에 의해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급수관(14)의 파상 형태는 급수관(14)을 포함하는 각각의 배관 순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42 내지 62)을 생성시킨다. 급수관(14)의 채널(42 내지 62)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흐름이 하우징(11)의 전방 벽(15A)과 후방 벽(15B)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작동시에 교반기 모터(37)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증발기 코일(35)에 의해 형성된 채널로부터 급수관(14)을 향하도록 임펠러(40)를 구동시킨다.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채널(42 내지 62) 안으로 들어갈 때, 채널(42 내지 62)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하우징(11)의 전방 벽(15A)과 후방 벽(15B)을 향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채널(53 내지 62)은 채널(53 내지 62) 안으로 들어가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얼지 않은 제2유체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전방 벽(15A)을 향해 흐르도록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분할하고, 한편 채널(42 내지 52)안으로 들어가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얼지 않은 제2 유체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 벽(15B)을 향해 흐른다. 채널(42 내지 62)을 통한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흐름은 물로부터 얼지 않은 냉각 유체로 열 교환을 야기시킨다. 마찬가지로,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그 사이에서 열 교환을 야기시키기 위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하부 측면과 접한다.
얼지 않은 제1냉각 유체가 냉각실(12)의 전방부 안으로 흐를 때, 그것은 내부의 음료 흐름으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해 음료 공급관(25 내지 28)과 접한다. 또한,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그 사이의 열을 교환하기 위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와 접한다. 또한, 얼지 않은 제2 냉각 유체가 냉각실(12)의 후방부 안으로 흐를 때, 그것은 그 사이에서 열 교환을 야기하기 위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와 접한다.
얼지 않은 제1 및 제2 냉각 유체 흐름은 냉각실(12)의 전, 후방부 각각으로부터 냉각실(12)의 상승부로 순환된다. 얼지 않은 제1 및 제2 냉각 유체 흐름이 냉각실(12)의 상부로 들어갈 때, 그 사이에서 열 교환을 야기하기 위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상부와 접한다. 또한, 제1 및 제2 냉각 유체 흐름은 증발기 코일(35)에 의해 형성된 채널 안으로 흘러가 추가의 열 교환을 위해 언 냉각 유체 슬라브와 접하도록 재결합한다. 증발기 코일(35)에 의해 형성된 채널 안으로 들어가는 재결합된 냉각 유체 흐름은 전술된 순환이 반복하도록 채널로부터 급수관(14)쪽으로 다시 흐르게된다.
또한, 임펠러(40)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증발기 코일(35)에 의해 형성된 체널로부터 하우징(11)의 측벽(15C, 15D)쪽으로 흐르게 한다.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상부 위와 증발기 코일(35)에 의해 형성된 채널 후방 및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측면 주위의 순환 통로를 이동하는 얼지 않는 제3 및 제4 냉각 유체 흐름으로 분할된다. 얼지 않는 제3 및 제4 냉각 유체 흐름은 음료 및 물로부터 얼거나 얼지 않은 냉각 유체로의 추가의 열 교환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중심을 통과하고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모든 측면 주위의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위해 완전히 방해받지 않은 통로를 언 냉각 유체와 얼지 않은 냉각 유체 사이에 최대 표면 접촉 구역을 제공한다. 그러한 최대 표면 접촉 구역은 음료 및 물로부터 얼지 않은 냉각 유체로 그후 언 냉각 유체 슬라브로의 최대 열 교환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음료 분배기(10)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가 그 순환 증가와 대응하는 열 교환 증가로 인해 최대 사용 중일 때조차도 약0℃의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증가된 음료 분배 용량을 나타낸다.
또한, 언 냉각 유체 슬라브 주위로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방해받지 않은 흐름, 특히 채널(42 내지 62)로부터 생기는 냉각실(12)의 전, 후방부 주위의 증가된 흐름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하우징(11)의 벽(15A 내지 15D)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탐침(39)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가 하우징(11)의 전방 벽(15A)에 결빙 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그러나 언 냉각 유체 슬라브는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증가 및 방해받지 않은 흐름이 없다면 하우징(11)의 후방 벽(15B)과 측벽(15C, 15D)에 결빙될 수 있다. 즉,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모든 4개의 측면 주위로의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연속적으로 순환되는 순환은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일정한 용융을 야기한다. 언 냉각 유체 슬라브의 일정한 용융은 그것이 후방 벽(15B)과 측벽(15C, 15D)으로 성장하는 것을 막는다.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일정한 순환이 없다면, 동일한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후방 벽(15B)과 측벽(15C, 15D) 사이에서 언 냉각 유체 슬라브로 남아있게 된다. 결국, 교반되지 않은 얼지 않은 냉각 유체는 그 결빙을 막는 음료 및 물로부터 충분한 열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결빙된다. 따라서, 음료 분배기(10)의 형태에 의해 야기된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 증가는 음료 분배기(10)의 형태에 의해 야기된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순환 증가는 음료 분배기(10)의 음료 분배 용량을 더 크게 할 뿐만 아니라, 음료 분배 용량을 크게 제한하는 냉각 유체의 결빙을 막는다.
본 발명은 선행 실시예에서 기재되어 있지만. 그러한 설명이 전형적인 목적만을 위해 이루어졌고, 그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많은 변경, 동등예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그 영역은 어떠한 점에서 전술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단지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4)

  1. 내부에 냉각 유체가 내장된 냉각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 분배 밸브와, 물을 상기 분배 밸브에 연통시키기 위해 완전히 상기 냉각실의 기부에 배치되고, 얼지 않은 냉각 유체의 흐름을 상기 냉각실의 전, 후방부를 향하게 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파상 형태를 갖는 급수관과, 음료를 상기 분배 밸브에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냉각실의 전방에 배치된 음료 공급관과, 상기 냉각실 위헤 장착되고, 그 주위의 냉각 유체를 결빙하기 위해 상기 냉각실 안으로 연장하는 증발기 코일을 갖는 냉장 유닛, 및 얼지 않은 냉각 유체를 냉각 유체 슬라브의 내부 및 외부 주위의 순환 통로를 따라 순환시키기 위한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상기 증발기 코일의 측면에 장착된 탐침을 갖는 언 냉각 유체 뱅크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 내에 장착되고 소다수를 상기 분배 밸브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급수관과 이산화탄소 공급원에 연결되는 소다수 제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소다수를 상기 소다수 제조기로부터 받아 소다수를 분배 밸브로 분배하기 위해 인접하는 상기 음료 공급관 바로 후방의 상기 냉각실 내에 장착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기.
KR1019960706198A 1994-05-03 1995-05-03 낮은 프로파일 음료 분배기 KR100209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37,375 US5499744A (en) 1994-05-03 1994-05-03 Low profile drink dispenser
US08237,375 1994-05-03
PCT/US1995/005474 WO1995029870A1 (en) 1994-05-03 1995-05-03 Low profile drink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817A KR970702817A (ko) 1997-06-10
KR100209037B1 true KR100209037B1 (ko) 1999-07-15

Family

ID=2289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198A KR100209037B1 (ko) 1994-05-03 1995-05-03 낮은 프로파일 음료 분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99744A (ko)
EP (1) EP0759010B1 (ko)
JP (1) JP3210346B2 (ko)
KR (1) KR100209037B1 (ko)
CN (1) CN1041704C (ko)
AU (1) AU677523B2 (ko)
CA (1) CA2188526C (ko)
DE (1) DE69524743T2 (ko)
ES (1) ES2169758T3 (ko)
WO (1) WO1995029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7400414U (pt) * 1994-03-04 1994-07-26 Spal Ind Brasileira De Bebidas Máquina dispensadora de refrigerantes
EP0778240A1 (en) * 1995-12-08 1997-06-11 IMI Cornelius Inc. Electro-mechanical refrigeration system
US5884813A (en) * 1997-02-04 1999-03-23 Imi Wilshi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lain water from a postmix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US5974825A (en) 1998-08-18 1999-11-02 Lancer Partnership, Ltd. Beverage dispenser with enhanced cooling efficiency
EP1121325A4 (en) * 1998-09-15 2001-12-12 Imi Cornelius Inc BEVERAGE DISPENSER
US6178875B1 (en) * 1999-01-19 2001-01-30 Lancer Partnership. Ltd. Carbon dioxide precooling system for a carbonator
US6286720B1 (en) * 1999-06-04 2001-09-11 Lancer Partnership, Ltd. Beverage dispenser with an improved cooling chamber configuration
US6698621B2 (en) * 2000-04-14 2004-03-02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Selection manifold for beverage dispenser
US6708741B1 (en) 2000-08-24 2004-03-23 Ocean Spray Cranberries, Inc. Beverage dispenser
AU2002323617A1 (en) * 2001-09-06 2003-03-24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Low volume beverage dispenser
CA2463314A1 (en) 2001-10-19 2003-05-01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Beverage dispenser with integral ice maker
US6662573B2 (en) * 2002-04-30 2003-12-16 Lancer Partnership, Ltd. Cooling bank control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ITMO20030143A1 (it) * 2003-05-16 2004-11-17 Spm Drink Systems Srl Macchina erogatrice di bevande gelate del tipo di granite,
US7581914B2 (en) * 2006-01-12 2009-09-01 Lyman Jr Hugh Marion Foldable paper padding press
US7861550B2 (en) * 2007-03-26 2011-01-04 Natural Choice Corporation Water dispenser
CA2665782A1 (en) * 2008-05-15 2009-11-15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er
BR112012032780B1 (pt) * 2010-06-21 2020-09-29 Smartbar Usa Llc Dispensador de bebida para mistura e dispensa de líquidos
US8807392B2 (en) * 2010-11-10 2014-08-19 Lanc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a liquid concentrate
CN105231835A (zh) * 2015-10-09 2016-01-13 苏州融睿纳米复材科技有限公司 电子制冷制热装置
US10060666B2 (en) * 2016-04-21 2018-08-28 Pepsico, Inc. Refrigerated post-mix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335A (en) * 1973-11-30 1975-07-01 Braley William V Beverage dispenser
US4555371A (en) * 1980-04-16 1985-11-26 Cadbury Schweppes, Plc Carbonator for a beverage dispenser
GB8304441D0 (en) * 1983-02-17 1983-03-23 Ruskin B E S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4979647A (en) * 1984-06-18 1990-12-25 The Corneliu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dispensing beverage
US4651862A (en) * 1985-06-10 1987-03-24 Greenfield Jr Irving E Dual temperature beverage dispenser with removable operating module
US5190188A (en) * 1987-12-04 1993-03-02 The Coca-Cola Company Convertible beverage dispenser
US4916910A (en) * 1988-07-11 1990-04-17 Lancer Corporation Low profile drink dispenser
US4934150A (en) * 1988-12-12 1990-06-19 The Corneliu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ce thickness
US5141130A (en) * 1989-02-27 1992-08-25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warm water purging
US5234131A (en) * 1992-02-07 1993-08-10 Lancer Corpor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excessive freezing of the ice bank in beverages dispensers
US5392960A (en) * 1992-11-13 1995-02-28 Wilshire Partners Postmix beverage dispenser and a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dispenser
US5319947A (en) * 1993-09-03 1994-06-14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88526C (en) 2000-05-02
AU677523B2 (en) 1997-04-24
ES2169758T3 (es) 2002-07-16
EP0759010A4 (en) 2000-04-26
DE69524743D1 (de) 2002-01-31
CN1149282A (zh) 1997-05-07
JPH09505545A (ja) 1997-06-03
AU2466495A (en) 1995-11-29
US5499744A (en) 1996-03-19
CN1041704C (zh) 1999-01-20
JP3210346B2 (ja) 2001-09-17
EP0759010B1 (en) 2001-12-19
CA2188526A1 (en) 1995-11-09
KR970702817A (ko) 1997-06-10
DE69524743T2 (de) 2002-08-08
WO1995029870A1 (en) 1995-11-09
EP0759010A1 (en)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037B1 (ko) 낮은 프로파일 음료 분배기
EP1200336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an improved cooling chamber configuration
EP0176259B1 (en) Post mix fruit juice dispenser
KR100470366B1 (ko) 중간온도 냉장식 머천다이저
US20070157656A1 (en) Chilled beverage delivery system
KR0179951B1 (ko) 전환식 복수 맛 후혼합 음료 분배기
RU2319662C2 (ru) Дозирующая напиток система
WO2003029734A1 (en) Airflow cooler for a liquid dispenser outlet
EP1121322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enhanced cooling efficiency
JP2898037B2 (ja) 外形の低い飲料分与装置
GB2204389A (en) Drink cooler
JP2000057432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冷却装置
KR900006358B1 (ko) 후혼합 청량음료 분배기용 냉동장치
KR20010065919A (ko) 냉장고의 균일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